KR20070011752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752A
KR20070011752A KR1020050066286A KR20050066286A KR20070011752A KR 20070011752 A KR20070011752 A KR 20070011752A KR 1020050066286 A KR1020050066286 A KR 1020050066286A KR 20050066286 A KR20050066286 A KR 20050066286A KR 20070011752 A KR20070011752 A KR 2007001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ad
pads
flexible display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현
김상일
오준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1752A/ko
Publication of KR2007001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시, 플라스틱 기판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오정렬에 대비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패드를 포함하되, 이러한 복수의 패드는 다수의 열로 형성되고, 인접한 패드는 상이한 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플라스틱 기판, 패드, 오정렬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에서 플라스틱 기판의 오정렬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b는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은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오정렬이 발생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에 대응하는 TCP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TCP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상부 기판 420: 하부 기판
430, 530, 630; 패드 500: TCP
621: 플라스틱 기판 622: 절연막
623a, 623b: 데이터 라인 624: 보호막
625: 콘택홀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시, 플라스틱 기판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오정렬(misalign)에 대비한 패드 구조와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의 전기 및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정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액정 표시 장치(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마주보는 컬러 필터 기판 및 양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물질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는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들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들이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이들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영역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되며, 각각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는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패드(20)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장치는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형성된 입력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에 계조전압을 인가하는 소스 구동 드라이브 IC, 게이트 라인들의 일단에 형성된 입력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 라인들 각각에 박막 트랜지스터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 드라이브 IC 및 각종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능동소자들과 수동소자들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액정 표시 장치(10)과 구동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에는 크게 칩 온 글라스(COG; Chip On Glass) 방법과 탭(TAB; Tape Automated Bonding) 본딩 방법이 있다. COG 본딩은 입력패드들이 형성된 액정 표시 장치의 일단에 소스 및 게이트 구동 드라이드 IC 를 직접 실장하여 소스 및 게이트 구동 드라이브 IC의 출력단자를 각각의 입력 패드에 접속시킨 후, 커넥터를 이용하여 소스 및 게이트 구동 드라이브 IC의 입력 단자들과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전송 패턴들을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이와는 달리, 탭 본딩은 테이프에 소스 및 게이트 구동 드라이브 IC가 탑재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의 출력 패드를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들의 입력 패드들과 접속시키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입력 리드들은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전송 패턴들과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은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유리 기판은 무겁고, 깨지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경량이고 다소의 변형을 견디며, 충격에 대해서도 깨지지 않는 성능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을 유리 대신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연구개발이 계속 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는 기존 액정 표시 장치의 유리 기판을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제조하는 차세대 액정 표시 장치로서, 가볍고 두께가 얇은데다 유연성이 뛰어나 깨지지 않고 제조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스마트카드나 휴대전화기, PDA 등 소형 단말기에의 적용이 유력시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기판은 종래의 유리 기판과는 달리 제조 공정 중의 환경에 따라, 플라스틱이 팽창 또는 수축하여, 플라스틱 기판의 크기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은 온도에 대한 변화율이 3 ~ 5 ppm/℃이지만, 플라스틱 기판은 온도에 대한 변화율이 50 ~ 100 ppm/℃이다. 또한, 수분을 흡수할 때에도, 플라스틱 기판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때의 변화율은 약 3000ppm 정도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플라스틱 기판의 오정렬(misalign)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5인치 및 7인치 플라스틱 기판의 제조 공정 중 플라스틱 기판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게이트 대비 각 구성요소의 오정렬의 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상부 기판(40)과 하부 기판(50)이 결합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와 드라이브 IC(미도시)가 탑재된 TCP(8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는 TCP(80)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TCP(80)에 탑재된 드라이브 IC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패드들(60)이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에 인접된 TCP(80) 부분에도 상기 패드들(60)과 동일한 형태 및 개수의 패드들(6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치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60)와 TCP의 패드(65) 상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전도성 리드들이 구비된 탭 테이프(70)를 부착시킴으로써,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3b 내지 도 3d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와 TCP 상에 형성된 패드들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 3b는 오정렬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이상적으로 형성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3c 및 도 3d는 오정렬이 발생할 경우에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3c 및 도 3d는 신호 라인 예를 들면, 게이트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61)과 패드(60)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홀(62)이 플라스틱 기판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하여 패드 밖에 형성되어, 콘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예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라스틱 기판은 종래의 유리 기판과는 달리 제조 공정 중의 환경에 따라, 플라스틱이 팽창 또는 수축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기판의 크기 변화에 따른 오정렬에 대비한 마진을 고려하여 설계하지 않으면, 상기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콘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패드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 플라스틱 기판의 크기 변화에 따른 오정렬의 발생에 대비한 패드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와 그에 상응하는 패드 구조를 갖는 TCP 또는 COF(Chip On Film)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는 다수의 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패드는 인접한 패드와 서로 상이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가 형성되는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은 그 이외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는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각각 다수의 열로 형성되며, 인접한 패드와는 서로 상이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라스틱 기판 상에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패드를 형성하되, 상기 패드는 다수의 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를 도시한 평면 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부 기판(410)과 하부 기판(420)이 대향되고, 그 사이에 액정(미도시)이 삽입되어 있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400)과 드라이브 IC(미도시)가 실장된 TCP(50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400)의 하부 기판(420)의 일단에는 상기 TCP(500)에 실장된 드라이브 IC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다수의 패드(430)가 형성되며, 상기 TCP(500)의 일단에도 상기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430)와 동일한 형태 및 개수의 패드(530)가 형성된다. 상기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430)와 TCP 상에 형성된 패드(53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430)를 상술한다.
상기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430)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2열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인접한 패드는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즉, 전체적인 패드 구조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열로 배치되는 패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 2열 이상의 다수의 열로 패드가 배치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패드 구조에 의하면, n번째 패드와 인접한 n+1번째 패드는 n번째 패드와 다른 열에 배치되고, n+2번째 패드가 n번째 패드와 같은 열에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라인 형상의 패드 구조와 동일한 값의 피치(pitch)를 갖더라도, 실제로는 라인 형상의 패드 구조에 비하여 2배의 피치를 갖게 된다. 그 결과, 종래의 라인 형상의 패드 구조보다 패드의 폭을 넓히고, 패드간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플라스틱 기판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한 오정렬에 대비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의 확대도로서,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라인의 일단에 형성된 패드 구조이며, 도 5c는 상기 도 5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630)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라인(623)의 일단에 2개의 열로 형성된다. 임의의 패드가 제1열에 형성되면, 상기 임의의 패드와 인접한 패드는 제2열에 형성되고, 그 다음 패드는 다시 제1열에 형성되는 구조로 패드들이 배치된다.
이 때, 패드가 형성되는 부분의 데이터 라인의 폭은 다른 부분의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패드의 폭은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과 패드를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홀(625)의 폭은 종래의 라인 형상의 패드 구조에서의 콘택홀의 폭 보다 훨씬 더 넓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패드가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의 데이터 라인의 폭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도 5c를 참조하면, 플라스틱 기판(621) 상에 절연막(622)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막(622)상에 데이터 라인(623a)이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623)상에 보호막(624)이 형성된 후, 상기 데이터 라인(623a)의 상부에 콘택홀(625)이 형성되고, 패드(630)가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623a)과 데이터 라인(623b)은 서로 인접한 데이터 라인으로, 패드가 형성된 데이터 라인(623a)의 폭이 패드가 형성되 지 않은 데이터 라인(623b)의 폭에 비하여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라인의 일단에 형성되는 패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게이트 라인의 일단에 형성되는 패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에 대응하는 TCP 구조를 나타낸 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TCP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TCP(Tape Carrier Package)는 플렉서블 필름(510), 패드(530), 보호막(540), LDI 칩(550) 및 범프(Bump)(56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필름(510)은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이 사용되며, 상기 플렉서블 필름(510) 상에 범프(560)를 이용하여, 상기 LDI 칩(550)을 실장한다. 상기 범프(560)는 TCP에 실장된 LDI 칩(550)과 TCP의 전기 배선을 연결하며, 상기 패드(530)의 일단은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와 연결되며, 타단은 구동장치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다.
상기 패드(530) 구조도 상기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와 동일하다. 즉,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2열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인접한 패드는 서로 다른 열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패드 구조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열로 배치되는 패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 2열 이상의 다수의 열로 패드가 배치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붙이고, 여기에 LDI가 장착된 상기 TCP를 정렬시켜서, 가압착한 후, 열압착을 통해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와 TCP의 패드를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TCP만을 예로서 상술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TCP보다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이 90도 이상 구부릴 수 있는 COF(Chip On Film) 기술의 패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액정 표시 장치를 위주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패드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반도체 성질을 갖는 유기물 또는 공액 고분자를 발광소재로 하여, 이를 두 전극 사이에 끼워 놓고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발광소재 내로 흐르면서 유기물 또는 고분자로부터 빛이 발생되는 원리(전기발광이라 부른다)를 이용하는 OLED 또는 두 장의 기판 사이에 작은 셀을 다수 배치하고 그 상하에 장착된 전극(+와 -)사이에서 가스(네온과 아르곤)방전을 일으켜 거기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해 자기 발광시켜 컬러화상을 재현하는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중 플라스틱 기판의 크기 변화에 따른 오정렬이 발생하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게이트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과 콘택이 제대로 이루어진 패드가 형성된다.

Claims (17)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 전극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는 다수의 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인접한 패드와 서로 상이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형성되는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은 그 이외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에 있어서,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각각 다수의 열로 형성되며, 인접한 패드와는 서로 상이한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형성되는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은 그 이외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의 패드 구조.
  13.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패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의 패드 구조.
  1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드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플라스틱 기판 상에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일단에 패드를 형성하되, 상기 패드는 다수의 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인접한 패드와 서로 상이한 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형성되는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은 그 이외 부분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66286A 2005-07-21 2005-07-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1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286A KR20070011752A (ko) 2005-07-21 2005-07-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286A KR20070011752A (ko) 2005-07-21 2005-07-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752A true KR20070011752A (ko) 2007-01-25

Family

ID=3801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286A KR20070011752A (ko) 2005-07-21 2005-07-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17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109A (ko) * 2009-06-11 2010-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CN103094306A (zh) * 2011-11-03 2013-05-08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109A (ko) * 2009-06-11 2010-1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CN103094306A (zh) * 2011-11-03 2013-05-08 三星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US8766271B2 (en) 2011-11-03 2014-07-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77890B (zh) 柔性显示装置
KR100269947B1 (ko) 인쇄회로기판및이를이용한엘씨디모듈
US7327411B2 (en) Driver chip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23492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 장치와 필름 및 이들을포함하는 모듈
CN107799561B (zh) 显示装置
US79032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762153B (zh) 显示设备
KR101409286B1 (ko) 표시장치
CN111142295B (zh) 显示装置
CN101136388A (zh) 芯片膜封装件和具有该芯片膜封装件的显示面板组件
US20070222777A1 (en) Electrooptic device, wiring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13842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49252B1 (ko) 테이프 배선 기판, 그 테이프 배선 기판을 포함하는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 반도체 칩 패키지를 포함하는액정 표시 장치
CN111199993A (zh) 可拉伸显示装置
CN110462567B (zh) 触控基板、触控屏和电子装置
KR20160122888A (ko) 표시 장치
CN108122882A (zh) 显示装置
KR101000455B1 (ko) 구동 칩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11696474B2 (en) Display device
US20080119069A1 (en) Board device and board
US20050194678A1 (en) Bonding pad structure, display panel and bonding pad array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10365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1175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12820A (ko) 필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모듈
CN114361135A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