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098A -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 Google Patents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098A
KR20070010098A KR1020060122412A KR20060122412A KR20070010098A KR 20070010098 A KR20070010098 A KR 20070010098A KR 1020060122412 A KR1020060122412 A KR 1020060122412A KR 20060122412 A KR20060122412 A KR 20060122412A KR 20070010098 A KR20070010098 A KR 20070010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sewer
rainwater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1684B1 (ko
Inventor
이성우
전인재
Original Assignee
이성우
전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전인재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06012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6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2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관과 오수관의 서로 오접된 부분을 감지하거나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는, 하나 이상의 맨홀이 구비된 오수관과 상기 오수관과 서로 분리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맨홀이 구비된 우수관을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과 우수관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관의 오접 및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오수관이나 우수관의 서로 오접된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감지함으로서 오수에 의한 하천 및 바다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수관과 우수관의 사이에 구비된 맨홀을 통해 오염도 높은 초기 우수를 오수관으로 배출시켜 하수 처리장으로 보냄으로서 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던 것을 방지하여 하천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하수관거, 오접감지, 오수관, 하수관

Description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Separate sewer over flow having sens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분류식 하수관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수관
11 : 맨홀
2 : 우수관
21 : 맨홀
3 : 감지수단
4 : 차집관거
41 : 유입홀
5 : 토사 유입 방지장치
51 : 지지축
52 : 연결 회전수단
521 : 베어링 브라켓, 521a : 베어링
53 : 회전 개폐판
6 : 맨홀
61 : 뚜껑
62 : 우수 유입공간
63 : 오수 유입공간
7 : 우수 유입부
71 : 양 돌출턱
711 : 유입홀
72 : 프레임
73 : 지지축
74 : 연결 회전수단
741 : 베어링 브라켓, 741a : 베어링
75 : 회전 개폐판
본 발명은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관과 오수관의 서로 오접된 부분을 감지하거나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라 함은, 여러 하수구에서 하수를 모아 하수 처리장으로 내려 보내는 하수도관을 말하는 것이다.
특히 분류식 하수관거는 빗물이나 오수를 별도의 관으로 나누어 배제하는 관거로서 빗물과 오수를 동일관으로 배제하는 합류식 관거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현재는 이 방법이 장려되고 있다.
즉 분류식 하수관거에 의한 오수를 유입시키는 방법은 오수와 우수를 다른 관을 이용하여 오수 라인만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하수 종말처리장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류식 하수관거를 시공함에 있어서 설계 및 시공 작업의 오류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분류식 하수관거의 시공 설계시 분류식 오수관은 식별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표시가 되도록 설계가 되어야 하는데 잘못된 설계에 의해 작업자가 분류식 오수관과 우수관을 상호 오접하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시공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오수관과 우수관을 상호 오접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하수가 흘러가는 오수관과 빗물이 흘러가는 우수관에 대한 오접이 원인이 되어 우수관을 통해서 오수가 하천이나 바다로 그냥 방류되어 하천 및 바다의 오염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미 부실하게 설치된 분류식 하수관거를 보수하는데 드는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오접으로 인한 사고외에도 하수관거에 생긴 균열로 인해 지하수 등이 하수관거에 흘러 들어오거나 하수관거 내에 흘러야 할 하수가 균열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직접 육안으로 관의 상태를 확인하는 육안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수관거에 이용되는 관의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기 육안조사는 거의 사용을 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카메라를 관거내에 투입하여 지상에 설치된 모니터 TV에 관의 상태를 사진 촬영하여 정리하는 CCTV 카메라 조사와 염료 및 연막을 이용한 조사들이 실시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류식 하수관거는 오수관(100)과 우수관(200)이 서로 분리 설치되며 오수 라인만 체계적으로 연결하여 하수 종말처리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었다. 종래의 조사 수단들은 관의 길이가 매우 길고 오수관과 하수관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황에서 관의 오접 및 누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함으로 인해서 오접과 누수가 발생된 부분을 찾기 위해 기존에 설치된 관의 전체가 드러날 때까지 흙을 파내야 함으로서 재시공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수관과 우수관에 다수개의 감지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오수관과 우수관의 서로 오접된 부분과 오수관과 우수관의 균열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오수관이나 우수관의 균열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오수관과 우수관의 사이에 구비된 맨홀을 통해 오염도 높은 초기 우수를 오수관으로 배출시켜 하수 처리장으로 보냄으로서 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맨홀이 구비된 오수관과 상기 오수관과 서로 분리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맨홀이 구비된 우수관을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과 우수관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관의 오접 및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D-D선 단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는 하나 이상의 맨홀(11)이 구비된 오수관(1)과 상기 오수관(1)과 서로 분리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맨홀(21)이 구비된 우수관(2)을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관의 오접 및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분류식 하수관거는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흐르는 오수관(1)과 우수가 흐르게 되는 우수관(2)들이 매우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 설계나 시공 작업이 잘못된 경우에 관의 오접이 발생되곤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분류식 하수관거에서는 관의 오접은 물론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오수관(1)과 우수관(2)의 구간마다 감지수단(3)을 설치함으로서 관의 오접 여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관의 균열에 의한 누수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다수개의 감지수단(3)을 통해 오접 및 누수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의 관을 덮고 있는 흙을 파내지 않고 이상이 있는 부분의 관을 덮고 있는 흙만을 파내는 것으로 오접 및 누수의 조사 시간과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수관(1)과 우수관(2)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맨홀 등을 설치한 후 매설 작업이 완료되면 외부에서 흙을 파지 않고도 상기 맨홀 공간으로 출입하여 감지수단(3)을 통해 오접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감지수단(3)은 물의 흐린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며, 주로 탁도계, 농도계 등의 측정기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에 구비된 각각의 맨홀(11,21)은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오수가 유입되는 오수관(1) 및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관(2)들이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올려지는 맨홀뚜껑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우수관(2)의 배출측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41)을 포함하는 차집관거(4)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41)에는 차집관거(4)내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토사 유입 방지장치(5)가 더 구비된다.
상기 토사 유입 방지장치(5)는, 상기 차집관거(4)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홀(41)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지지축(51)과, 상기 지지축(51)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 회전수단(52)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유입홀(41)을 우수의 흐름에 따라 개폐하는 회전 개폐판(5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회전수단(52)은, 상기 지지축(51)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어링(521a)을 포함하는 베어링 브라켓(521)으로 구성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5)와 후술하게 될 다중구조의 맨홀(6)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의 사 이에는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을 동시에 연결 사용할 수 있는 다중구조의 맨홀(6)이 더 구비된다.
상기 맨홀(6)은,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61)을 포함하는 맨홀(6) 내부가 우수 유입부(7)를 통해 상,하로 구획되며, 각각의 상,하부 전,후방에 우수관(2)과 오수관(1)이 연결된 우수 유입공간(62)과 오수 유입공간(6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 유입부(7)는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711)을 포함하는 양 돌출턱(71)과, 상기 유입홀(711)의 둘레에 구비되어 볼트를 통해 상기 양 돌출턱(71)에 고정되는 프레임(72)과, 상기 유입홀(711)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축(73)과, 상기 지지축(73)의 외부에 구비된 연결 회전수단(74)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우수 유입공간(62)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회전 개폐판(75)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 회전수단(74)은 상기 지지축(73)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어링(741a)을 포함하는 베어링 브라켓(741)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회전 개폐판(75)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가 우수 유입부(7)를 통해 오수 유입공간(63)으로 유입되면서 오수관(1)으로 분리 처리되어 종말 처리장으로 원활히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우수 유입공간(62) 내부에 우수량이 많아질 경우에는, 우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 개폐판(75)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개방이 단속되어 오수 유입공간(63)의 우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우수관(2)을 통해 우수가 하천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는, 오수관이나 우수관의 서로 오접된 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감지함으로서 오수에 의한 하천 및 바다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수관이나 우수관의 균열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파악하여 토양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수관과 우수관의 사이에 구비된 맨홀을 통해 오염도 높은 초기 우수를 오수관으로 배출시켜 하수 처리장으로 보냄으로서 우수관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던 것을 방지하여 하천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하나 이상의 맨홀(11)이 구비된 오수관(1)과 상기 오수관(1)과 서로 분리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맨홀(21)이 구비된 우수관(2)을 포함하는 분류식 하수관거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의 일측에 다수개로 구비되어 관의 오접 및 누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2. 제 1항에 있어서, 우수관(2)의 배출측에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41)을 포함하는 차집관거(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입홀(41)에는, 차집관거(4)내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토사 유입 방지장치(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의 사이에는,
    상기 오수관(1)과 우수관(2)을 동시에 연결 사용하도록 맨홀(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KR1020060122412A 2006-12-05 2006-12-05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KR10080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412A KR100801684B1 (ko) 2006-12-05 2006-12-05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412A KR100801684B1 (ko) 2006-12-05 2006-12-05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098A true KR20070010098A (ko) 2007-01-22
KR100801684B1 KR100801684B1 (ko) 2008-02-11

Family

ID=3801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412A KR100801684B1 (ko) 2006-12-05 2006-12-05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6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86B1 (ko) * 2008-04-07 2009-01-22 주식회사 부강테크 슬러지 이송관로를 별도로 구비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하수 처리 방법
CN115341720A (zh) * 2022-07-22 2022-11-15 伍广钦 一种建筑用补偿式雨水管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953A (zh) * 2020-04-27 2020-08-0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排水管网的异常分析方法、系统、介质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37B1 (ko) * 2004-09-18 2006-07-31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577847B1 (ko) 2005-10-17 2006-05-10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KR100659400B1 (ko) * 2006-02-22 2006-12-19 이경우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86B1 (ko) * 2008-04-07 2009-01-22 주식회사 부강테크 슬러지 이송관로를 별도로 구비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하수 처리 방법
CN115341720A (zh) * 2022-07-22 2022-11-15 伍广钦 一种建筑用补偿式雨水管道
CN115341720B (zh) * 2022-07-22 2024-04-12 广东钰隆管业有限公司 一种建筑用补偿式雨水管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684B1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067B1 (ko)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2076094B1 (ko) 상수도관 세척 및 누수 위치 탐지 공법
EP1236983A1 (en) Impoundment leak detection, location, and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with mobile sensor
US9068866B2 (en) Micro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01684B1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KR20050078189A (ko) 하수관거 모니터링 및 자료해석 방법
KR101694722B1 (ko) 급배수환경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용 상하수 배관 구조물
KR101045111B1 (ko)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KR100937976B1 (ko) 지하수위 관측장치
KR100577847B1 (ko)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KR101750260B1 (ko) 상수관로 드레인 누수 및 수질 검사 장치
KR100802084B1 (ko)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RU184075U1 (ru) Трубопроводная обвязка магистрального насосного агрегата для отвода утечек
Harris et al. Sewer pipe infiltration assessment: Comparison of electro-scan, joint pressure testing, and CCTV inspection
KR100838759B1 (ko) 콘크리트 복공이 있는 수로터널의 정밀 누수검사 및지하수압 조절장치
KR200426986Y1 (ko) 점검구 일체형 상수도관
KR100759594B1 (ko)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감지장치
Chandure et al. Review on guidelines of sewer inspection
KR20160038597A (ko) 지하에서 발생하는 위험 가능 상황을 점검, 예방 및 조치하는 방법
TWI770859B (zh) 下水道管渠入流入滲流量自動監測系統
CN209085669U (zh) 一种管道检测系统
CN213274747U (zh) 建筑与小区埋地给水管的渗漏监测报警检测系统
JP2000283400A (ja) ガス導管への漏水流入範囲の特定方法
US11873940B2 (en) Cured in place pipe system having a sensor
KR100914670B1 (ko)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