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084B1 -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84B1
KR100802084B1 KR1020060116878A KR20060116878A KR100802084B1 KR 100802084 B1 KR100802084 B1 KR 100802084B1 KR 1020060116878 A KR1020060116878 A KR 1020060116878A KR 20060116878 A KR20060116878 A KR 20060116878A KR 100802084 B1 KR100802084 B1 KR 100802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nd
sewage
pipe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1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에 누수가 유입되는 집수홈을 갖는 덮개를 설치하고, 상기 집수홈의 바닥면에 물과 쉽게 반응하여 분해되는 녹말밴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녹말밴드의 반응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는
상기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 하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 하부에 연결부위를 통해 발생한 누수가 모일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집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홈의 양측 벽면에 상방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공이 형성되며, 양단부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을 갖는 제1 연결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된 하부덮개;
상기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 상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에 안착/설치되며, 양단부에 복수개의 제2 체결공을 갖는 제2 연결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제1 연결공과 연통관계를 갖는 제2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공에 연결관이 볼트결합된 상부덮개;
상기 집수홈에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홈의 바닥면에 고정구를 통해 안착/고정되며, 양단부에 연결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물에 접촉시 분해되어 끊어지는 녹말밴드;
상기 녹말밴드의 끊김 여부를 통해 누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단부와 서로 연통 되게 결합되며, 그 내측에 상기 녹말밴드와 고무밴드로 연결된 결합공을 갖는 가압판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에 상기 가압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중앙제어판넬 측으로 인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제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누수, 하수관거, 녹말, 센서

Description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A leak of water security diagnosis device of a sewage draina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중 제어박스를 나타낸 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수관거 110 : 하부덮개
120 : 상부덮개 130 : 녹말밴드
140 : 제어박스 150 : 장력조절구
P : 중앙제어판넬 S : 램프
L : 고무밴드
본 발명은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에 누수가 유입되는 집수홈을 갖는 덮개를 설치하고, 상기 집수홈의 바닥면에 물과 쉽게 반응하여 분해되는 녹말밴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녹말밴드의 반응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생활에 있어 물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이를 생산하는 데 적지 않은 돈이 소요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물을 직접 생활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관로를 따라 각각의 가정으로 공급 및 배수되고 있다.
이에 각 가정에서 배수되는 물은 하수관로를 따라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러한 하수관로는 오수받이 등과 같이 정상적인 개구부를 통해 하수가 흘러들어오는 것이 정상이나, 하수관거에 생긴 균열 및 각 하수관거의 연결부위를 통해 침입 및 누수현상이 발생한다.
즉, 지하수 등이 하수관거에 흘러들어오는 것을 침입(infiltration)이라고 하고, 하수관거를 흘러야 할 하수가 상기 균열 및 연결부위 등을 통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누수(exfiltration, 혹은 누출)이라고 한다.
통상 누수는 하수관로의 노후화나 관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 등에 의해 관로의 이음부나 몸통부에 크랙이 발생되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하 수의 누수에 의한 침출수는 악취를 유발케 할 뿐만 아니라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 및 감시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하수관로의 누수 안전진단은 육안조사, 폐쇄회로 TV 조사, 염료추적조사, 연막조사 등의 방법에 의하고 있다.
즉, 육안조사는 맨홀 등을 통해 하수관거의 내부로 들어가 그 하수관거에 균열 등이 있는지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으로서, 사람의 육감에 의존하게 되므로 정밀성/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폐쇄회로 TV 조사 방법은 하수관거의 내부에 폐쇄회로 TV를 투입하여 이를 통한 촬영 영상을 통해 검사하는 것이나 이 역시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육감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염료추적조사는 통상 하수관거 단구간에서 수행됨으로써 전체유역의 부실도 판정이 곤란하다.
끝으로, 연막조사는 하수관거 구간의 오접위치 판단에 주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누수를 검출하기 힘들다.
이러한 종래에 의한 하수관거의 상태조사방법으로는 특정 지역에서의 누수를 정확히 검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 누수 안전진단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에 누수가 유입되는 집수홈을 갖는 덮개를 설치하고, 상기 집수홈의 바닥면에 물과 쉽게 반응하여 분해되는 녹말밴드를 설치함으로써, 상 기 녹말밴드의 반응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서로 맞대어 연속 반복되게 매설된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그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시 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는
상기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 하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 하부에 연결부위를 통해 발생한 누수가 모일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집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홈의 양측 벽면에 상방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공이 형성되며, 양단부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을 갖는 제1 연결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된 하부덮개;
상기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 상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에 안착/설치되며, 양단부에 복수개의 제2 체결공을 갖는 제2 연결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제1 연결공과 연통관계를 갖는 제2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공에 연결관이 볼트결합된 상부덮개;
상기 집수홈에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홈의 바닥면에 고정구를 통해 안착/고정되며, 양단부에 연결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물에 접촉시 분해되어 끊어지는 녹말밴드;
상기 녹말밴드의 끊김 여부를 통해 누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단부와 서로 연통되게 결합되며, 그 내측에 상기 녹말밴드와 고무밴드로 연결된 결합공을 갖는 가압판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에 상기 가압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중앙제어판넬 측으로 인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 제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판은 그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어박스는 그 내측벽에 상기 가이드돌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무밴드와 가압판 사이에는 고무밴드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구가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구는
상기 결합공에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연결봉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는 상기 고무밴드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박스에는 상기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가 설치된 인접한 위치의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녹말밴드와 결속관을 통해 고무밴드로 연결된 가압판과 센서가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 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중 제어박스를 나타낸 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100)는 하부덮개(110), 상부덮개(120), 녹말밴드(130), 제어박스(140) 및 장력조절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덮개(110)는 상기 하수관거(10)의 각 연결부위 하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그 내주면 하부에 경사면(111)을 갖는 집수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홈(113)의 양측 벽면에 상방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공(115)이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제1 연결플레이트(117)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117)는 그 내측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11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수관거(10)의 각 연결부위 상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덮개(110)의 상부에 안착/설치되는 상부덮개(120)는 그 양단부에 제2 연결플레이트(12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121)는 그 내측에 복수개의 제2 체결공(1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플레인트(121)의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제1 연결공(115)과 연통관계를 갖는 제2 연결공(1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공(125)은 상/하로 개구되어 그 내주면에는 연결관(127)의 하부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녹말밴드(130)는 그 양단부에 각각 연결홈(131)이 일체로 형성되 고, 그 전체적인 형상이 "V"형상을 갖으며, 그 성분은 물에 쉽게 반응하여 물과 접촉시 녹는 녹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녹말밴드(130)의 상부에는 상기 집수홈(113)의 바닥면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녹말밴드(130)를 집수홈(113)의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133)가 안착/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어박스(140)는 그 양측벽에 다수개의 설치공(141)이 형성되고, 내측벽에 다수개의 가이드홈(14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140)는 그 상부에 상기 제어박스(1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투시창(143)을 갖는 뚜껑(144)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어박스(140)는 그 내측에 상기 녹말밴드(130)와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L)와 연결관계를 갖는 가압판(146)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146)은 그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돌기(147)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47) 내측에 결합공(148)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146)은 상기 고무밴드(L)에 의해 부상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14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압판(146)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중앙제어판넬(P) 측으로 인가하기 위한 센서(N)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무밴드(L)와 가압판(146) 사이에는 상기 고무밴드(L)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구(150)는 상기 결합공(148)에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연결봉(151)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151)의 단부에는 상기 고무밴드(L)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1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박스(140)에는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100)가 설치된 인접한 위치의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녹말밴드(130)와 결속관(160)을 통해 고무밴드(L)로 연결된 가압판(146)과 센서(N)가 다수개 설치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하수관거(10)의 연결부위 상/하부에 상기 하부덮개(110)와 상부덮개(120)의 제1,2 연결플레이트(117,121)를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 연통된 제1 체결공(119)과 제2 체결공(123)에 볼트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덮개(110)와 상부덮개(120)는 서로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공(115)과 제2 연결공(125)은 서로 연통관계를 갖게 되며, 상기 제2 연결공(125)에는 연결관(127)이 볼트체결된다.
또한, 상기 집수홈(113)의 바닥면에는 고정구(133)를 통해 녹말밴드(1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녹말밴드(130)는 그 양단부에 고무밴드(L)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고무밴드(L)는 그 자유단측이 상기 제1 연결공(115), 제2 연결공(125) 및 연결관(127)을 통해 상기 제어박스(140)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어박스(140) 내부로 삽입된 고무밴드(L)의 자유단측은 상기 장력조절구(150)의 고리(15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구(150)는 그 연결봉(151)이 상기 가압판(146)의 결합공(148)에 볼트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151)의 체결깊이에 따라, 고무밴드(L)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판(146)의 가이드돌기(147)는 상기 가이드홈(142)에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146)은 가이드홈(14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N)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는 물과 쉽게 반응하여 분해되는 녹말밴드를 통해 용이하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작동관계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수관거(10)의 각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그 누수는 집수홈(113)으로 유입되어 경사면(111)을 따라 집수홈(113)의 바닥면 측으로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집수홈(113)의 바닥면에 누수가 고이게 되면, 고인 누수에 의해 상기 녹말밴드(130)가 분해되어 녹말밴드(130)가 끊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녹말밴드(130)가 끊어지면, 녹말밴드(130)와 연결된 고무밴드(L)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무밴드(L)와 연결된 가압판(146)이 가이드홈(142)을 따라 하강한다.
이렇게 하강한 가압판(146)은 센서(N)와 접촉을 이루어 센서(N)가 반응을 하며, 상기 센서(N)에서 인가된 신호가 중앙제어판넬(P) 측으로 전달되어, 그 부위의 누수가 발행하였음을 램프(S)를 통해 표시하여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거의 각 연결부위에 누수가 유입되는 집수홈을 갖는 덮개를 설치하고, 상기 집수홈의 바닥면에 물과 쉽게 반응하여 분해되는 녹말밴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녹말밴드의 반응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면에 서로 맞대어 연속 반복되게 매설된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그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시 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100)는
    상기 하수관거(10)의 각 연결부위 하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 하부에 연결부위를 통해 발생한 누수가 모일 수 있도록 경사면(111)을 갖는 집수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집수홈(113)의 양측 벽면에 상방으로 관통되는 제1 연결공(115)이 형성되며, 양단부에 복수개의 제1 체결공(119)을 갖는 제1 연결플레이트(117)가 돌출/형성된 하부덮개(110);
    상기 하수관거(10)의 각 연결부위 상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덮개(110)의 상부에 안착/설치되며, 양단부에 복수개의 제2 체결공(123)을 갖는 제2 연결플레이트(12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플레이트(121)의 인접한 일측에 상기 제1 연결공(115)과 연통관계를 갖는 제2 연결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공(125)에 연결관(127)이 볼트결합된 상부덮개(120);
    상기 집수홈(113)에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집수홈(113)의 바닥면에 고정구(133)를 통해 안착/고정되며, 양단부에 연결홈(131)이 일체로 형성되어 물에 접촉시 분해되어 끊어지는 녹말밴드(130);
    상기 녹말밴드(130)의 끊김 여부를 통해 누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관(127)의 단부와 서로 연통되게 결합되며, 그 내측에 상기 녹말밴드(130)와 고무밴드(L)로 연결된 결합공(148)을 갖는 가압판(146)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에 상기 가압판(146)의 슬라이딩 이동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중앙제어판넬(P) 측으로 인가하기 위한 센서(N)가 구비된 제어박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46)은 그 양단부에 각각 한 쌍의 가이드돌기(147)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어박스(140)는 그 내측벽에 상기 가이드돌기(147)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밴드(L)와 가압판(146) 사이에는 고무밴드(L)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구(150)가 설치되며,
    상기 장력조절구(150)는
    상기 결합공(148)에 볼트체결 가능하도록 연결봉(151)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151)의 단부에는 상기 고무밴드(L)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1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140)에는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100)가 설치된 인접한 위치의 하수관거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녹말밴드(130)와 결속관(160)을 통해 고무밴드(L)로 연결된 가압판(146)과 센서(N)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20060116878A 2006-11-24 2006-11-24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0802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878A KR100802084B1 (ko) 2006-11-24 2006-11-24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878A KR100802084B1 (ko) 2006-11-24 2006-11-24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084B1 true KR100802084B1 (ko) 2008-02-11

Family

ID=3934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878A KR100802084B1 (ko) 2006-11-24 2006-11-24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03B1 (ko) * 2010-03-25 2010-08-25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1495773B1 (ko) 2013-09-26 2015-02-25 씨에스텍 주식회사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CN111022935A (zh) * 2019-11-25 2020-04-17 成都碧水水务建设工程有限公司 污水处理设备风管管网破漏检测方法、装置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103B1 (ko) * 2010-03-25 2010-08-25 주식회사 가나오엠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1495773B1 (ko) 2013-09-26 2015-02-25 씨에스텍 주식회사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CN111022935A (zh) * 2019-11-25 2020-04-17 成都碧水水务建设工程有限公司 污水处理设备风管管网破漏检测方法、装置及系统
CN111022935B (zh) * 2019-11-25 2021-06-29 成都碧水水务建设工程有限公司 污水处理设备风管管网破漏检测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067B1 (ko)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2335268B1 (ko) 맨홀내 환경정보 측정 모니터링용 케이스
KR100802084B1 (ko)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2233736B1 (ko) 배관 삽입형 누수음 탐지 장치
KR100978103B1 (ko)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KR100712394B1 (ko) 감시형 방수 맨홀
US6006773A (en) Installation method for pipe layout with opposing incline
KR100730653B1 (ko) 상ㆍ하수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를 위한 맨홀의 진공압 시험 장치
KR101185368B1 (ko) 누수음 발생 및 발생지점의 방향 체크가 가능한 누수탐지장치
KR101895441B1 (ko) 이중지수 주철관 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주철관파이프
CN113107465A (zh) 导管架及海洋深水浅层气监测装置
KR20220103283A (ko)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리 시스템
KR20080003255A (ko)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661513B1 (ko) 안전감시기능을 갖춘 상하수도 맨홀장치
KR102382535B1 (ko) 가스감지용 포집장치
CZ20021226A3 (cs) Způsob a měřicí sonda pro provádění měření v systémech zásobování vodou
KR20020039490A (ko) 지하매설 수도관로의 누수탐지연결장치
KR20070010098A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KR100577847B1 (ko) 하수관거 누수탐지장치
KR102567025B1 (ko) 맨홀 안전관리장치
KR101955718B1 (ko) 누수 확인용 내시경 점검구
JP2011106113A (ja) 下水道管路における異常水浸入場所の特定方法
KR102561298B1 (ko) 배관 부착형 원격 누수 센서
JP3093462B2 (ja) 遮水シート漏水監視装置
KR200426986Y1 (ko) 점검구 일체형 상수도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