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773B1 -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773B1
KR101495773B1 KR20130114412A KR20130114412A KR101495773B1 KR 101495773 B1 KR101495773 B1 KR 101495773B1 KR 20130114412 A KR20130114412 A KR 20130114412A KR 20130114412 A KR20130114412 A KR 20130114412A KR 101495773 B1 KR101495773 B1 KR 10149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leakage
sensor member
gas
electromotiv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씨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ep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0/00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연결부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상기 배관 연결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케이싱;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배관 연결부 또는 케이스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어 끊어지는 이루어진 용해성 센서부재; 일단부는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스파이럴 형태로 말려져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태엽과, 상기 태엽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가 상기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어 단락될 때 상기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다수의 N극과 S극이 방사형으로 착자된 자석을 가진 회전로터와, 상기 회전로터 외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시 자석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로 이루어진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에 의하면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 될 경우 누출된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이 단락되는 순간 이에 연결된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로터가 구동됨으로써 유도코일부에서 기전력이 발생시켜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도 누출 사고를 경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 경보장치에는 누출 사고 여부를 중앙통제실 등에 원격으로 무선성으로 알려주기 위한 경보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배선 작업이 불필요하고 , 자가발전에 의한 전원을 이용하여 누수감지 및 경보 신호를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누출 사고에 대해 완벽한 대응이 가능하고 누수감지장치 설치 비용이 저렴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Self-drive type generator with dissolved substances leak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연결부위에서 유출된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에 의해 누수를 감지하여 경보함과 동시에 누출 여부를 중앙통제실에 유선 또는 무선상으로 경보해 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에는 다양한 유체 또는 기체가 흐르게 되는데, 특히 유독성 화학 용액이나 가스가 흐르는 배관은 누출 사고시 치명적인 인명사고와 주변 환경에 피해를 주게 되므로 배관 연결부위에 누수감지장치 설치하는 것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관 내의 누수를 감지하는 종래의 제1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04741호 "파손 및 누수감지관용 누수감지센서 및 센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2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067303호 "배관제 연결부 감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제1선행기술 및 제2선행기술은 유독성 화학용액이나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번거로우며, 단가가 높은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으며, 설치 후에 고장 및 오동작의 우려가 높아 누수 감지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누수감지장치들을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필요하므로 배선 작업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누출 사고 발생시 누수 감지 신호를 유선상으로 송출하기 위해 감지센서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이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대기전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다수의 배관 접속 부위마다 누수감지 장치 구동을 위한 전원 공급 및 감지 신호 송,수신을 위한 배선 작업 등이 별도로 이루어지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4741호 '파손 및 누수감지관용 누수감지센서 및 센싱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9-0067303호 '배관제 연결부 감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 연결부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 될 경우 누출된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이 단락되는 작용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회전되는 구동력에 의해 자가발전장치를 구동시켜 기전력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유독성 화학 물질의 누출 사고 여부를 원격으로 경보해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부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자가 발전되는 기전력이 미약한 경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누출 사고 여부를 원격으로 경보해줄 수 있는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 연결부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연결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배관 연결부 또는 케이싱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어 끊어지는 이루어진 용해성 센서부재; 일단부는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스파이럴 형태로 말려져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태엽과, 상기 태엽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가 상기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어 단락될 때 상기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다수의 N극과 S극이 방사형으로 착자된 자석을 가진 회전로터와, 상기 회전로터 외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시 자석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로 이루어진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가발전장치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 누출 여부 감지 신호를 원격으로 송출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자가발전장치로부터 기전력을 공급받아 누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부와,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누수감지신호를 누출사고 또는 정상상태로 표시하는 경보램프와,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경보장치에는 상기 유도코일부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이 감지될 때 경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속기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에 의하면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 될 경우 누출된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는 물질이 단락되는 순간 이에 연결된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로터가 구동됨으로써 유도코일부에서 기전력이 발생시켜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도 누출 사고를 경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 경보장치에는 누출 사고 여부를 중앙통제실 등에 원격으로 무선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경보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배선 작업이 불필요하고 , 자가발전에 의한 전원을 이용하여 누수감지 및 경보 신호를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누출 사고에 대해 완벽한 대응이 가능하고 누수감지장치 설치 비용이 저렴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기전력이 약하여 일정 시간 동안 누수 감지 신호를 송출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배터리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자가발전장치의 오동작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되지 못하더라도 미량의 기전력이라도 발생된 것을 제어회로부에서 감지하면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누수 신호를 송출할 수 있어 누수감지장치의 오동작에 의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의 구동장치와 용해물질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의 구동장치와 용해물질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100)는 배관 (P)의 연결부(P1)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케이싱(10)과 용해성 센서부재(20)와, 구동장치(30)와, 자가발전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은 배관 연결부(P1)에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배관의 플랜지 이음부나 개폐밸브, 분기배관 등이 연결되는 접속부위에 설치되며, 가능한 연결부위 전체를 감싸도록 수용공간부(11)를 갖는 한 쌍의 상,하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 내부에는 유출된 가스와 용액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15)가 형성되어 체결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12)에 의해 상,하케이스 형태의 케이싱(10)이 일체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싱(10)은 배관(P) 내부에 이송되는 유독성 유무에 따라 그리고 용액 또는 가스에 반응하여 용해되지 않는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내화학성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싱(10)은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 유출 사고시 케이싱(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배관(P)과의 접촉 부위와 플랜지 조립부 사이에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에 용해되지 않는 바이톤 재질과 같은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갖는 기밀부재(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케이싱(10)에 의하여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 누출 사고 이후 케이싱(10)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출된 용액 또는 가스가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를 신속하게 용해시켜 단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는 배관 연결부(P1)에 직접 설치하여 용액이 누출되었을 때 바로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유출된 유독성 용액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므로 수용공간부(11) 하측에는 누출된 유독성 용액이 모이는 포집공간부(14)를 형성하여 이 포집공간부(14)에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는 그 일단부가 고정부(13)에 고정되는데, 여기서 고정부는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배관 연결부(P1)의 경계부위에 밀착되게 고정되거나 또는 케이싱(10)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의 타단부는 후술된 상기 태엽(31)의 외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강산성 또는 강알칼리성을 갖는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쉽게 용해되어 끊어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의 일측단부와 태엽(31)의 외측단부, 그리고, 용해성 센서부재(20)의 타측단부와 고정부(13)는 용접 또는 리벳팅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용해성 센서부재(20)는 배관(P)에서 유출되는 유독성을 갖는 용액 또는 가스 성분이 강한 산성 또는 강한 알칼리성이므로 이에 신속히 반응하여 용해될 수 있는 금속으로서, 금속 재질 중 마그네슘과 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독성 용액이나 가스 성분에 용해되기 쉬운 다른 금속 재질은 물론 태엽의 탄력을 지탱하고 있다가 신속히 용해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례로서 0.1mm 이하의 박막으로 이루어져 이 박막 형태의 센서부재가 여러 겹으로 적층시킨 상태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태엽(31)과 고정부(13)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박막 한 장의 두께와 겹쳐진 수량에 의한 인장력은 상기 태엽(31)이 압축 탄성력과 같거나 약간 큰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성 센서부재(20)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매쉬(mesh)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매쉬의 크기와 두께는 상기 태엽(31)이 압축 탄성력과 같거나 약간 큰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박막 형태 또는 두께가 얇은 매쉬 구조로 이루어진 용해성 센서부재(20)는 누출된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케이싱(10) 내부에서 반응하여 용해될 때 상기 태엽(31)에 의해 항상 인장력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의 가장자리 또는 그 일단부가 용해되어 녹기 시작하면 태엽(31)의 탄성력에 의해 쉽게 절개되어 단락됨으로써 누수 직후부터 최대한 신속하게 용해되어 단락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30)는 스파이럴 형태로 말려진 상기 태엽(31)을 이용한 것으로서, 태엽(31)의 일단부 그 외측단부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회전축(32)이 구비되어 있다.
이 상태는 태엽(31)이 스파이럴 형태로 말려져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태엽(31)의 내측단부와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2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액 또는 가스에 의해 용해되어 단락될 때 상기 회전축(32)이 상기 태엽(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자가발전장치(40)는 상기 태엽(31)의 회전축(32)에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다수의 N극과 S극이 방사형으로 착자된 자석(42)을 가진 회전로터(41)와, 상기 회전로터(41) 외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터(41)의 회전시 자석(42)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로터(41)는 상기 회전축(32)에 장착되어 태엽(31)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그 외측면에는 다수의 N극과 S극이 방사형으로 착자된 자석(42)이 구비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유도코일부(43)는 상기 회전로터(41)의 자석(42) 형상에 대응되도록 코일을 링형상으로 감은 도우넛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그 내부로 근접되게 설치되는 상기 회전로터(41)가 회전할 때 그 외측에 배치된 자석(42)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자석(42)은 상기 회전로터(41)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거나 외측으로 조립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태엽(31)에 의해 회전축(32)이 회전되면서 회전로터(41)가 함께 회전되므로서 상기 유도코일부(43)에 기전력이 형성되어 자가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가발전장치(40)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 누출 여부 감지 신호를 원격으로 송출하는 경보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보장치(50)는 제어회로부(51)와, 경보램프(52)와, 송신부(53)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회로부(51)는 상기 자가발전장치(40)로부터 기전력을 공급받아 누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회로부(51)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류부 및 전원안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정류부는 상기 유도코일부(43)에서 발생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전원안정부는 상기 정류부에서 변환된 직류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안정부는 레귤레이터(regulator), 벅-컨버터(buck converter), SMPS(Switch Mode Power Supply)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경보램프(52)는 상기 제어회로부(51)에 연결되어 상기 누수감지신호를 누출사고 또는 정상상태로 표시하는 경보램프(5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도코일부(43)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엘이디 램프로 구성되며, 누수 경보가 발생된 직후로부터 소정의 유출 차단 조치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경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부(53)는 유선송신(55)부 및 무선송신부(54)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선송신부(54)는 상기 제어회로부(51)에 연결되어 상기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출하는 기능으로서 제어회로부(51) 로부터 누수 감지 신호를 받게 되면 이를 적외선 또는 RFID 방식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중앙통제실과 같이 원거리까지 송출하기 위한 증폭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무선 송출 방식에 대응되는 송,수신안테나와 적외선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자가발전장치(40)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누수 감지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무선 상으로 경보하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일련의 회로적인 동작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자가발전장치(40)로부터 충분한 기전력이 발전되어야 가능하다.
하지만 태엽(31)의 회전력은 최대로 말려 압축된 상태에서 완전히 풀린 상태까지 회전되고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때, 태엽의 감김수가 적어 회전력이 약한 경우나 태엽의 탄성 복원되는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회전로터의 회전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기전력이 많이 발생되지 못한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자가발전에 의한 기전력의 발생 유무를 제어회로부(51)에서 감지할 수는 있겠지만 그 감지 신호를 무선상으로 송신하기 위한 전원은 부족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경보장치(50)에는 상기 유도코일부(43)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이 감지될 때 경보장치(50)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전력이 미약한 경우 이를 제어회로부(51)에서 판단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송신부(53)를 구동시켜 무선으로 중앙통제실에 송출하여 유출 여부를 경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평상시에는 전원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한 최소한의 작동표시 엘이디램프(미도시)등만을 구동시키는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배터리를 장기간 교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30)의 회전축(32)의 회전력을 극대화하여 상기 회전로터(41)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배속기어장치(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코일부(43)에서 발생된 기전력이 미약한 경우가 발생되거나 기전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주변 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태엽(3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2)과 회전로터(41) 사이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배속기어장치(70)를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기전력이 발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자가발전장치(40)에서 충분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원격의 중앙통제실에 무선은 물론 유선상으로 누수 감지 신호를 보내야 하는 환경에서도 충분한 기전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누수 감지 여부를 무선은 물론 유선으로도 누수 경보를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케이싱 11 : 수용공간부
12 : 체결부재 13 : 고정부
14 : 포집공간부 15 : 플랜지부
16 : 기밀부재 20 : 용해성 센서부재
30 : 구동장치 31 : 태엽
32 : 회전축
40 : 자가발전장치 41 : 회전로터
42 : 자석 43 : 유도코일부
50 : 경보장치 51 : 제어회로부
52 : 경보램프 53 : 송신부
54 : 무선송신부 55 : 유선송신부
60 : 배터리부 70 : 배속기어장치
P : 배관 P1 : 연결부

Claims (5)

  1. 배관 연결부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연결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배관 연결부 또는 케이싱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의 접촉에 의해 용해되면서 끊어지는 용해성 센서부재;
    일단부는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스파이럴 형태로 말려져서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태엽과, 상기 태엽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성 센서부재가 상기 유독성 용액 또는 가스와의 접촉에 의해 용해되어 단락될 때 상기 태엽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외측면에는 다수의 N극과 S극이 방사형으로 착자된 자석을 가진 회전로터와, 상기 회전로터 외측으로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시 자석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부로 이루어진 자가발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장치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 누출 여부 감지 신호를 원격으로 송출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는 상기 자가발전장치로부터 기전력을 공급받아 누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회로부와,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누수감지신호를 누출사고 또는 정상상태로 표시하는 경보램프와,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누수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에는 상기 유도코일부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이 감지될 때 경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로터의 회전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속기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KR20130114412A 2013-09-26 2013-09-26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KR10149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412A KR101495773B1 (ko) 2013-09-26 2013-09-26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412A KR101495773B1 (ko) 2013-09-26 2013-09-26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73B1 true KR101495773B1 (ko) 2015-02-25

Family

ID=5259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412A KR101495773B1 (ko) 2013-09-26 2013-09-26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474B1 (ko) * 2020-08-31 2021-03-17 서갑수 가스 공급 조절 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63A (ko) * 1998-11-23 1999-02-25 이정훈 휴대용 소형 발전기
KR100802084B1 (ko) 2006-11-24 2008-02-11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563A (ko) * 1998-11-23 1999-02-25 이정훈 휴대용 소형 발전기
KR100802084B1 (ko) 2006-11-24 2008-02-11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하수관거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474B1 (ko) * 2020-08-31 2021-03-17 서갑수 가스 공급 조절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9330B2 (ja) 電子デバイスの湿分への曝露を監視し曝露に反応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EP3287996B1 (en) Position indicator for valves
CN202673642U (zh) 可编程稳压泵控制器
JPS62191732A (ja) ホ−ス漏れ検知装置
US201700593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flow of a liquid
WO2013002199A1 (ja) 異常検出機能付き搬送装置用軸受ユニット、コンベア設備および軸受ユニット監視システム
WO2016063672A1 (ja) 風力発電装置の異常監視装置
KR101495773B1 (ko)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JP2012122842A (ja) 無線フィールド機器
US6953046B2 (en) Microprocessor-based gas meter
US20120257995A1 (en) Submersible pump and motor rotation indication circuit
JPH11287818A (ja) 水力発電式無線水センサー
CN207182599U (zh) 一种燃气泄漏远程监测及着火报警装置
KR101821269B1 (ko)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원격 단말 장치
EP2662501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leak protection of a supply water installation
JP5389085B2 (ja) 発電機の絶縁抵抗値監視システム
WO201515927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operation of leakages
CN209116498U (zh) 一种风机盘管警示系统
JP2017216559A (ja) 電力監視処理システム
JP2010113457A (ja) ガス漏れ警報システム
CN203894397U (zh) 取料机行走电机的制动器故障检测装置
KR102557255B1 (ko) 자가발전형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US20120091988A1 (en) Remote machine sentinel
JP4546205B2 (ja) 警報出力検知器
IT201900020076A1 (it) Flussime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