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474B1 - 가스 공급 조절 박스 - Google Patents

가스 공급 조절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474B1
KR102229474B1 KR1020200110580A KR20200110580A KR102229474B1 KR 102229474 B1 KR102229474 B1 KR 102229474B1 KR 1020200110580 A KR1020200110580 A KR 1020200110580A KR 20200110580 A KR20200110580 A KR 20200110580A KR 102229474 B1 KR102229474 B1 KR 10222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nit
case
solenoid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갑수
이장주
Original Assignee
서갑수
이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갑수, 이장주 filed Critical 서갑수
Priority to KR102020011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7Handl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누출 여부를 감지하여, 누출된 가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스 공급 조절 박스에 관한 것으로, 자석부가 구비된 막대부 및 솔레노이드가 내부에 설치된 가스 배관, 공급 조절 밸브, 누설 감지부, 누설 알림부, 공급 차단부 및 가스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와, 누출된 가스를 냉각하는 냉각부 및 냉각된 가스를 수용하는 액화 가스 보관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배관에 공급 조절 밸브가 구비되어 가스의 공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누설 감지부가 구비되어 가스 저장부 또는 가스 배관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누설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누설 알림부가 구비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설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급 차단부가 구비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가스 공급을 중단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스 흡입부 및 누출된 가스를 액화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냉각부로 이동 후 냉각시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냉각부와 연결된 액화 가스 보관부가 구비됨으로써 누출된 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공급 조절 박스{Gas supply control box}
본 발명은 가스 공급 조절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스 누출 여부를 감지하여, 누출된 가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스 공급 조절 박스에 관한 것이다.
독성과 부식성이 강한 가스를 사용하는 공정 설비에 있어서, 가스를 안전하게 공급하는 장치의 중요성은 익히 강조되어 왔다. 가스 공급 과정에서 가스가 배관 또는 공급 박스의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 근로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며, 공정 설비의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위험이 높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설비에 관한 선행기술들이 다수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가스 누출이 예상되는 부분에 감지센서들을 설치하고, 감지신호를 디스플레이패널에 전달하여 가스 누설 여부를 알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누출된 가스를 처리하지는 못하므로, 경보만을 제공할 뿐 직접적으로 가스를 제거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지는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안전한 가스 공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누출된 가스를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한 가스 공급 조절 박스에 대해 개시하고자 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0990 (2017.03.23.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94915 (2018.08.29.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 공급 조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스의 공급 시 공급 배관의 외부로 누출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는 가스 공급 조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가스 공급 조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스의 공급 시 공급 배관의 외부로 누출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가스 공급 조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석부가 구비된 막대부 및 솔레노이드가 내부에 설치된 가스 배관, 공급 조절 밸브, 누설 감지부, 누설 알림부, 공급 차단부 및 가스 흡입부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와, 누출된 가스를 냉각하는 냉각부 및 냉각된 가스를 수용하는 액화 가스 보관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배관에 공급 조절 밸브가 구비되어 가스의 공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감지부가 구비되어 가스 저장부 또는 가스 배관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누설 알림부가 구비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급 차단부가 구비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가스 공급을 중단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스 흡입부 및 누출된 가스를 액화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됨으로써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냉각부로 이동 후 냉각시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부와 연결된 액화 가스 보관부가 구비됨으로써 누출된 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조절 박스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조절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관의 내부에 정상적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관의 내부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조절 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조절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공급 조절 박스는 가스 저장부(110), 가스 배관(120), 누설 알림부(130), 공급 차단부(140) 및 가스 흡입부(150)를 포함하는 제1 케이스(100)와 냉각부(210) 및 액화 가스 보관부(220)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200)의 이중 구조로 구비된다.
제1 케이스(100)는, 가스 저장부(110), 가스 배관(120) 및 공급 차단부(140)가 내설되고, 누설 알림부(130)가 상부에 구비되며, 벽면에 가스 흡입부(150)가 설치되고, 전면에 개폐부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제1 케이스(1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는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실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가스 저장부(110), 가스 배관(120) 및 공급 차단부(140)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면 족하다. 제1 케이스(10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1 케이스(100)의 내부로 가스가 유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가스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카본 스틸 등의 내식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에 구비된 개폐부와의 틈새로 가스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개폐부와 제1 케이스(100)의 접촉면에 실리콘 등의 재질로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케이스(100)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부에는 미리 설정된 인증값에 따라 개폐를 인가하는 보안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미리 설정된 인증값은 보안 장치의 제어 패널 또는 외부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설정되고, 0에서 9까지의 숫자의 조합으로 설정된 4자리 이상의 고유 번호, a부터 z까지의 알파벳의 조합으로 설정된 8자리 이상의 문자 암호, 숫자 및 알파벳의 조합으로 설정된 4자리 이상의 복합 암호 및 관리자의 지문, 음성, 홍채인식 등의 생체 정보를 통한 인증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보안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본원 발명에 의한 가스 공급 조절 박스는 지정된 관리자 외에는 설비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차단되므로 설비의 보안성을 높이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가스 저장부(110)는, 공급할 가스를 종류별로 각각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가스 저장부(110)는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복수 개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가스 저장부(110)가 제1 케이스(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 저장부(110)는 후술할 가스 배관(120)과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면 족하다. 가스 저장부(110)는 내부에 저장된 가스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카본 스틸 등의 내식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관(120)은 가스 저장부(11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가스 배관(120)은 가스 저장부(11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동일한 종류의 가스라도 서로 다른 조건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나의 가스 저장부(110)에 복수개의 가스 배관(120)이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스 배관(120)은 내부를 지나가는 가스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카본 스틸 등의 내식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급되는 가스의 온도에 따라 각기 다른 재질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관(120)은 금형 시 일체형으로 제작되도록 구비되어 가스 배관(120)의 연결부로 가스가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 조절밸브(121)는 가스 배관(120)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공급 조절밸브(121)는 가스 배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된다. 공급 조절밸브(121)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공급 조절밸브(121)는 니들식 교축밸브, 압력보상밸브, 가변교축밸브 등의 방식을 활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공급 조절밸브(121)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로, 공급 조절밸브(121)는 후술할 공급 차단부(14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 감지부(122)는 가스 배관(120)으로부터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누설 감지부(122)는 가스 배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는 누설 감지부(122)가 가스 배관(120)의 표면에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누설되는 가스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해 가스 저장부(110)와 가스 배관(120)의 연결부, 제1 케이스(100)의 내측 표면 등 가스 배관(120)의 표면이 아닌 곳에도 설치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누설 감지부(122)는 가스의 누설 여부에 따라 가스 공급 조절 박스에 구비된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후술할 누설 알림부(130), 공급 차단부(140) 및 가스 흡입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 알림부(130)는 누설 감지부(122)에 의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소리 또는 빛으로 누설 감지부(122)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누설 알림부(130)는 누설 감지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누설 알림부(130)는 누설 감지부(122)에 의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누설 감지부(122)의 감지 결과와 함께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누설 감지부(122)의 감지 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누설 알림부(130)가 제1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었으나, 누설 알림부(13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공급 차단부(140)는 누설 감지부(122)에 의해 가스의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공급 조절 밸브(121)를 닫아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공급 차단부(140)는 누설 감지부(122) 및 공급 조절 밸브(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공급 차단부(140)가 제1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었으나, 공급 차단부(14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누설 감지부(122) 및 공급 조절 밸브(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가스 흡입부(150)는 누설 감지부(122)에 의해 가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모터(M)를 가동하여 가스 배관(120)으로부터 제1 케이스(100)로 누출된 가스를 흡입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가스 흡입부(150)는 제1 케이스(100)의 전면 개폐부를 제외한 다섯개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가스 흡입부(150)가 제1 케이스(100)의 하부 벽면에만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케이스(100)의 좌측 벽면, 우측 벽면, 상부 벽면 또는 후면 벽면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가스 흡입부(150)는 후술할 제2 케이스(200)와 연결되어, 제1 케이스(100)의 내부로 누출된 가스를 제2 케이스(200)로 배출하게 된다.
제2 케이스(200)는 제1 케이스(100)의 외부를 감싸고 전면에 개폐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가스 흡입부(150)와 연결되어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누설된 가스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제2 케이스(200)는 내부에 위치한 제1 케이스(100)의 누설 알림부(130)에 출력된 가스 누설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케이스(200)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제2 케이스(200)의 외부에 제1 케이스(100)의 누설 감지부(122) 또는 누설 알림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누설 감지부(122)의 감지 결과를 외부에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케이스(2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는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실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제1 케이스(100)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면 족하다. 제2 케이스(20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2 케이스(200)의 내부로 가스가 유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가스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카본 스틸 등의 내식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에 구비된 개폐부와의 틈새로 가스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개폐부와 제2 케이스(200)의 접촉면에 실리콘 등의 재질로 실링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케이스(200)의 전면에 구비된 개폐부에는 미리 설정된 인증값에 따라 개폐를 인가하는 보안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미리 설정된 인증값은 보안 장치의 제어 패널 또는 외부 서버의 제어부에 의해 설정되고, 0에서 9까지의 숫자의 조합으로 설정된 4자리 이상의 고유 번호, a부터 z까지의 알파벳의 조합으로 설정된 8자리 이상의 문자 암호, 숫자 및 알파벳의 조합으로 설정된 4자리 이상의 복합 암호 및 관리자의 지문, 음성, 홍채인식 등의 생체 정보를 통한 인증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보안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본원 발명에 의한 가스 공급 조절 박스는 지정된 관리자 외에는 설비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2중으로 차단되므로 설비의 보안성을 높이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냉각부(210)는 제2 케이스(200)의 내부로 수용된 가스를 액화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냉각부(210)는 제2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 흡입부(150)를 통해 제2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를 재 흡입하여 액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때, 가스 흡입부(150)는 제1 케이스(100)의 내부로 누출된 가스를 완전히 배출하고, 냉각부(210)가 가스를 모두 냉각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누출된 가스가 냉각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0분인 경우, 가스 흡입부(150)는 이의 1.5배 내지 2배인 45분 내지 60분동안 가동되는 방식으로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잔존하는 누출 가스가 없도록 충분히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부(210)는 공기 또는 물을 냉매로 사용하여, 기체 형태의 가스를 액체로 냉각한다. 냉각부(2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냉각부(210)는 라이빅 냉각기, 그라함 냉각기, 알린 냉각기, 콜드 핑거 냉각기 등을 사용하여 냉각을 실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냉각부(210)가 제2 케이스(20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부(210)는 후술할 액화 가스 보관부(2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액화 가스 보관부(220)는 냉각부(210)에 의해 냉각된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액화 가스 보관부(220)는 제2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냉각부(21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액화된 가스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액화 가스 보관부(220)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화 가스 보관부(220)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액화 가스 보관부(220)의 내부에 누설 알림부(130)와 연결된 가스 감지 센서가 더 설치되어, 누출된 가스가 냉각되어 액화 가스 보관부(220)로 수용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누설 알림부(130)에 빛 또는 소리의 형태로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2에는 액화 가스 보관부(220)가 제2 케이스(20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화 가스 보관부(220)는 제2 케이스(200)의 좌측, 우측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부(210)에 의해 냉각된 액화 가스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면 족하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관(120)의 내부에 정상적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관(120)의 내부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를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공급 조절 장치의 가스 배관(120)은 내부에 탄성체(F)로 연결된 솔레노이드(S), 막대부(B) 및 막대부(B)의 표면에 구비되는 자석부(M)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가스 배관(120)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솔레노이드(S)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탄성체(F)가 각 솔레노이드(S)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가스 배관(120)의 내부에 솔레노이드(S)를 고정한다. 고정된 솔레노이드(S)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가스 배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설된 막대부(B)가 가스 배관(120)의 입구부터 출구까지 설치되며, 설치된 막대부(B)의 표면에 자석부(M)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 때, 자석부(M)는 막대부(B)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격된 솔레노이드(S)와 솔레노이드(S)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관(120)의 외측 표면에는 솔레노이드(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레노이드(S)에 발생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123)가 더 구비됨으로써, 솔레노이드(S)의 전력 발생 유무에 따라 가스 배관(120)으로부터 가스가 누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 솔레노이드(S)를 가스 배관(120)의 내부에 연결한 탄성체(F)는 가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의 이동 방향(도 3의 아래 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가스가 누설되는 경우 가스의 압력이 약해짐에 따라 도 4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탄성체(F)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탄성체(F)와 연결된 솔레노이드(S)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석부(M)가 솔레노이드(S)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자석부(M)가 솔레노이드(S)의 내부를 통과할 때 발생한 솔레노이드(S) 내부의 자기장 변화로 인해 솔레노이드(S)에 생성된 전력을 전력 측정부(123)가 측정함으로써, 가스가 누설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 케이스 110 : 가스 저장부
120 : 가스 배관 121 : 공급 조절 밸브
122 : 누설 감지부 123 : 전력 측정부
130 : 누설 알림부 140 : 공급 차단부
150 : 가스 흡입부 200 : 제2 케이스
210 : 냉각부 220 : 액화 가스 보관부
S : 솔레노이드 F : 탄성체
B : 막대부 M : 자석부

Claims (3)

  1. 공급할 가스를 종류별로 각각 수용하는 복수개의 가스 저장부(110);
    상기 가스 저장부(11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가스 배관(120);
    상기 가스 배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가스 배관(120)을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급 조절밸브(121);
    상기 가스 배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가스 배관(120)으로부터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하는 누설 감지부(122);
    상기 누설 감지부(122)에 의해 가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소리 또는 빛으로 상기 누설 감지부(122)의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누설 알림부(130);
    상기 누설 감지부(122)에 의해 가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공급 조절 밸브(121)를 닫아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공급 차단부(140);
    상기 누설 감지부(122)에 의해 가스 누설이 감지되는 경우, 모터(M)를 가동하여 누설된 가스를 흡입하는 가스 흡입부(150);
    상기 가스 저장부(110), 상기 가스 배관(120) 및 상기 공급 차단부(140)가 내설되고, 상기 누설 알림부(130)가 상부에 구비되며, 벽면에 상기 가스 흡입부(150)가 설치되고, 전면에 개폐부가 구비되는 박스 형상의 제1 케이스(100); 및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외부를 감싸고 전면에 개폐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스 흡입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내부에 누설된 가스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200)는,
    상기 제2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케이스(200)의 내부로 수용된 가스를 액화시키는 냉각부(210)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냉각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냉각부(210)에 의해 냉각된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액화 가스 보관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공급 조절 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관(120)은,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솔레노이드(S);
    상기 솔레노이드(S)의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 배관(120)의 내부에 상기 솔레노이드(S)를 설치하는 복수개의 탄성체(F);
    상기 솔레노이드(S)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가스 배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설된 막대부(B);
    상기 막대부(B)의 표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자석부(M)
    상기 솔레노이드(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S)에 발생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123)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탄성체(F)는 가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스의 이동 방향으로 인장되고, 가스가 누설되는 경우 가스의 압력이 약해짐에 따라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탄성체(F)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탄성체(F)와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S)가 이동하면서 상기 자석부(M)가 상기 솔레노이드(S)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자석부(M)가 상기 솔레노이드(S)의 내부를 통과할 때 발생한 상기 솔레노이드(S) 내부의 자기장 변화로 인해 상기 솔레노이드(S)에 생성된 전력을 상기 전력 측정부(123)가 측정하여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공급 조절 박스.

KR1020200110580A 2020-08-31 2020-08-31 가스 공급 조절 박스 KR10222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80A KR102229474B1 (ko) 2020-08-31 2020-08-31 가스 공급 조절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580A KR102229474B1 (ko) 2020-08-31 2020-08-31 가스 공급 조절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474B1 true KR102229474B1 (ko) 2021-03-17

Family

ID=7524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580A KR102229474B1 (ko) 2020-08-31 2020-08-31 가스 공급 조절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4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065A (ko) * 2000-05-03 2003-05-01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가스 공급 장치, 이온 주입 장치, 가스 시약 공급 방법,흡착 탈착 방법 및 반도체 제조 설비
KR101440020B1 (ko) * 2014-05-23 2014-09-24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누출 방지 장치
KR101495773B1 (ko) * 2013-09-26 2015-02-25 씨에스텍 주식회사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KR101720990B1 (ko) 2016-03-10 2017-04-21 주식회사 이노와이즈테크놀러지 가스누설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가스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장치
KR101894915B1 (ko) 2012-03-15 2018-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스 공급 장치
KR20190129632A (ko) * 2018-05-11 2019-11-20 (주)쿠첸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065A (ko) * 2000-05-03 2003-05-01 어드밴스드 테크놀러지 머티리얼즈, 인코포레이티드 가스 공급 장치, 이온 주입 장치, 가스 시약 공급 방법,흡착 탈착 방법 및 반도체 제조 설비
KR101894915B1 (ko) 2012-03-15 2018-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스 공급 장치
KR101495773B1 (ko) * 2013-09-26 2015-02-25 씨에스텍 주식회사 용해물질을 이용한 자가발전구동형 누수감지장치
KR101440020B1 (ko) * 2014-05-23 2014-09-24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누출 방지 장치
KR101720990B1 (ko) 2016-03-10 2017-04-21 주식회사 이노와이즈테크놀러지 가스누설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가스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장치
KR20190129632A (ko) * 2018-05-11 2019-11-20 (주)쿠첸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16B1 (ko) 공정 및 작업 위험도에 의한 위험지도 기반의 안전관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807441B1 (ko) 가스 누설 검지 시스템, 가스 누설 검지 방법 및 반도체제조 장치
KR102411015B1 (ko) 인라인 사이클 퓨즈
JPH01200081A (ja) ポンプ自動保護装置
KR102229474B1 (ko) 가스 공급 조절 박스
KR101946026B1 (ko) 가스 누출 감지 자동 제어 시스템
KR101002008B1 (ko) 설계 기준사고 시험 장치
KR102557961B1 (ko) 사물인터넷 센서 및 빅 데이터를 이용한 사업장의 대기환경 오염 물질 관리 방법 및 장치
US5601108A (en) Gas line safety evacuation apparatus and method
Roser et al. Investigations of flame front propagation between interconnected process vessels. Development of a new flame front propagation time prediction model
CN115047809A (zh) 一种基于测试数采系统实现地面流程紧急关断的控制方法
KR101409487B1 (ko) 밸브 내부누출 감지 시스템
Park et al. Nonintrusive Sensor System Developed Using a Force‐Sensing Resistor for Pipeline Integrity Monitoring
JP2002333381A (ja) 水素ガス漏洩の検知方法
Usiabulu et al. Estimation of Gas leak volume to quantify gaseous fluid flow in processing plants
US20240001169A1 (en) Method and system of air parameter based automatic purging of breathable air within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KR200173359Y1 (ko)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JP2006349139A (ja) 筐体の接合機構
US11821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port fluid without discharge
US20240001166A1 (en) Method and system of air parameter based automatic bypassing of a source of breathable air in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implemented within a structure
KR20100047483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환경정보 안내장치
KR101401495B1 (ko) 특수 가스 누설 확인을 위한 고진공 시스템
CN1321708C (zh) 真空配管灾害防止装置
Xu et al. Study on the Condition Monitoring Technology of Electric Valve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P2005214859A (ja) 液化ガス用ポンプの気密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