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359Y1 -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359Y1
KR200173359Y1 KR2019990017735U KR19990017735U KR200173359Y1 KR 200173359 Y1 KR200173359 Y1 KR 200173359Y1 KR 2019990017735 U KR2019990017735 U KR 2019990017735U KR 19990017735 U KR19990017735 U KR 19990017735U KR 200173359 Y1 KR200173359 Y1 KR 200173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otor
explosion
valv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균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청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균 filed Critical 김청균
Priority to KR2019990017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7/00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 G05B17/02Systems involving the use of models or simulators of said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저장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누출을 검지하여 신속하게 가스차단밸브, 방폭모터팬 또는 가스누출경보기를 자동적으로 작동시켜서 누출된 가스를 안전하게 대기중으로 배출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저장탱크(10)와, 밸브(47)와 상기 밸브(47)를 구동하며 직접적인 스위치(73) 및 통합제어부(42)에 의해서 제어되는 모터(46)로 이루어진 가스차단밸브(45)와, 직접적인 스위치(72) 및 통합제어부(42)로서 제어되는 모터(17)와 팬(18)으로 이루어진 방폭모터팬(16)과, 누설된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센서(20)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 및 탱크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22)와, 통합제어부(42)를 리모트 콘트롤하는 무선 송신부(60), 및 상기 통합제어부(42)의 제어에 의해서 작동되는 경보기(12)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검지부, 무선신호, 또는 직접적인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가스차단밸브를 작동시켜 가스 유동을 차단시키고, 방폭팬모터를 작동시켜서 누출가스를 자동적으로 안정 수치 이하로 유지하므로 안정성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Integrated Control Safety System for a Leak Gas }
본 고안은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가스저장탱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스누출을 검지하여 신속하게 가스차단밸브, 방폭모터팬 또는 가스누출경보기를 자동적으로 작동시켜서 누출된 가스를 안전하게 대기중으로 배출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화석유가스의 지하식 가스저장탱크(10)에 안전장치를 설치한 예로서, 가스저장탱크(10)에는 다수개의 가스통(도시 않음)이 내장되어 하나의 가스차단밸브(25)를 통하여 외부로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가스저장탱크(10)에는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유입관(14)과, 탱크(10)내의 누설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배기관(13)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13)은 모터(17)와 팬(18)으로 이루어진 방폭모터팬(16)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10)내에는 누설된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센서(20)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가 가스통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11)로 그 검지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11)에는 경보기(12)가 연결된다.
도 2는 종래의 액화천연가스의 공급설비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센서(20, 21)의 위치가 다르고, 도 1에서는 배출가스차단밸브(25)만 있으나, 도 2에서는 배출가스차단밸브(25) 뿐만아니라 흡입가스차단밸브(27)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가스센서(20)와 온도센서(21)에서 검출한 누설가스량과 탱크 온도를 제어부(11)에서 연산하여, 설정 수준 이상이면 화재 발생에 대비하여 경보기(12)를 작동시켰다.
경보기(12)가 작동되면, 안전관리자들은 가스차단밸브(25, 27)의 레버(26, 28)를 수동으로 차단시키고, 또한 방폭모터팬(16)의 스위치(19)를 온시켜서 모터(17)를 작동시켜 팬(18)이 회전되어 누설가스를 대기로 방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누출안전장치는 가스누출 경보기(12)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대기중의 기압이 낮을 경우에는 누출가스의 배출이 극히 어렵기 때문에 가스 폭발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으며, 가스 폭발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스차단밸브(25, 27)나 방폭모터팬(16)의 근처로 접근하기 어려워서 이들을 작동시킬 수 없고, 더욱이 경보기(12)가 작동할 때마다 작업자가 가스차단밸브나 방폭모터팬을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으로 인하여 안정불감증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출가스가 발생되면 가스차단밸브는 통합제어부에서 공급된 신호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크로즈되고, 동시에 방폭모터팬이 통합제어부의 제어로 자동 작동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누출가스를 배출시키며, 또한 가스폭발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무선송신부에 의해서 가스차단밸브를 자동 크로즈시키고, 방폭팬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의 일예로써,
가스저장탱크와,
상기 가스저장탱크내에 수용된 다수개의 가스통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밸브와, 상기 밸브를 구동하며 직접적인 스위치 및 통합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는 모터로 이루어진 가스차단밸브와,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유입관과,
상기 가스저장탱크내의 누설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배기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며, 직접적인 스위치 및 통합제어부로서 제어되는 모터와 팬으로 이루어진 방폭모터팬과,
상기 탱크내에 설치되는, 누설된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센서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탱크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와,
통합제어부를 리모트 콘트롤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통합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작동되는 경보기로 구성되어, 검지부, 무선신호, 또는 직접적인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가스차단밸브를 작동시켜 가스 유동을 차단시키고, 방폭팬모터를 작동시켜서 누출가스를 자동적으로 안정 수치 이하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화석유가스의 누출가스 제어 안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액화천연가스의 누출가스 제어 안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의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스저장탱크 11 : 제어부
12 : 경보기 13 : 배기관
14 : 공기 유입관 16 : 방폭모터팬
17, 46 : 모터 18 : 팬
20 : 가스센서 21 : 온도센서
22 : 압력센서 25, 45 : 가스차단밸브
42 : 통합제어부 47 : 밸브
50 : 검지부 52 : 가스신호 검출부
54 : 온도신호검출부 56 : 압력신호검출부
60 : 무선송신부 61 : 신호입력부
62 : 신호처리부 63 : 무선신호송신부
70 : 통합제어안전시스템 72, 73 :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액화석유가스의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의 예로서, 가스저장탱크(10)에는 다수개의 가스통(도시 않음)이 내장되어 밸브(47)와 상기 밸브(47)를 구동하는 모터(46)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스차단밸브(45)를 통하여 외부로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모터(46)는 직접적인 스위치(73)로서도 제어된다.
상기 가스저장탱크(10)에는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유입관(14)과, 탱크(10)내의 누설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배기관(13)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13)은 모터(17)와 팬(18)으로 이루어진 방폭모터팬(16)이 설치된다. 상기 모터(17)는 직접적인 스위치(72)로서도 제어된다.
상기 탱크(10)내에는 누설된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센서(20)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 및 탱크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22)가 가스통 사이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통합 제어부(42)로 그 검지 신호를 보내고, 상기 통합 제어부(42)에는 경보기(12)가 연결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공급설비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센서(20, 21, 22)의 위치만 다르고, 도 3에서는 배출가스차단밸브(45)만 있으나, 도 4에서는 배출가스차단밸브(45) 뿐만아니라 흡입가스차단밸브(48)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지부(50)의 가스센서(20)에서 검지한 가스량은 가스신호 검출부(52)를 통하여 통합제어부(42)로 입력되고, 온도센서(21)에서 검지한 온도는온도신호검출부(54)를 통하여 통합제어부(42)로 입력되고, 압력센서(22)에서 검지한 압력은 압력신호검출부(52)를 통하여 통합제어부(42)로 입력된다.
또한 방폭팬모터(16)의 직접적인 스위치(72)의 스위칭 신호 및 가스차단밸브(45)의 직접적인 스위치(73)의 스위칭 신호를 통합제어부(42)에서 입력받고, 신호입력부(61), 신호처리부(62) 및 무선신호송신부(63)로 이루어진 무선 송신부(60)로부터 무선 신호가 송신되면, 무선신호수신부(64)에서 이를 수신하여 무선신호처리부(65)를 거쳐 통합제어부(42)로 입력된다.
상기 통합제어부(42)는 상기 검지부(50)의 입력신호를 연산하여, 가스누출경보기(12), 가스차단밸브 모터 구동부(74) 및 방폭팬모터 구동부(76)를 구동하도록 출력 신호를 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액화석유가스, 액화천연가스, 유해가스등의 정상적인 저장 또는 사용중에는 누출가스 통합 제어 안전 시스템은 작동되지 않으나, 미세한 가스의 누출인 경우에는 방폭팬모터(16)가 자동적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가스차단밸브(45, 48)를 스위치(73)를 이용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고, 방폭팬모터(16)도 스위치(72)를 이용하여 온/오프 시킬 수 있다.
검지부(50)에서 검지한 입력값을 통합제어부(42)에서 연산한 결과, 가스의 누출이 위험 수준이라고 판단하면, 가스차단밸브(45, 48)를 차단시키고, 경보기(12)를 작동시키며, 또한 방폭팬모터(16)를 계속 온시킨다.
또한, 경보기가 작동되기 전이라도, 예를들어 탱크 주위의 화재시에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송신부(60)를 사용하면, 통합제어부(42)는 가스차단밸브(45, 48)를 차단시키고, 경보기(12)를 작동시키며, 또한 방폭팬모터(16)를 온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은 검지부, 무선신호, 또는 직접적인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가스차단밸브를 작동시켜 가스 유동을 차단시키고, 방폭팬모터를 작동시켜서 누출가스를 자동적으로 안정 수치 이하로 유지하므로 안정성을 항상 확보할 수 있어서, 누출 가스에 의한 가스 폭발 위험성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가스저장탱크(10)와,
    상기 가스저장탱크(10)내에 수용된 다수개의 가스통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밸브(47)와, 상기 밸브(47)를 구동하며 직접적인 스위치(73) 및 통합제어부(42)에 의해서 제어되는 모터(46)로 이루어진 가스차단밸브(45, 48)와,
    상기 가스저장탱크(10)에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유입관(14)과, 상기 가스저장탱크(10)내의 누설된 가스를 대기로 배출하는 배기관(13)이 설치되고, 직접적인 스위치(72) 및 통합제어부(42)로서 제어되는 모터(17)와 팬(1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기관(13)에 설치되는 방폭모터팬(16)과,
    상기 탱크(10)내에 설치되는, 누설된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센서(20)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 및 탱크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센서(22)와,
    통합제어부(42)를 리모트 콘트롤하는 무선 송신부(60), 및
    상기 통합제어부(42)의 제어에 의해서 작동되는 경보기(12)
    로 구성되어, 검지부, 무선신호, 또는 직접적인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가스차단밸브를 작동시켜 가스 유동을 차단시키고, 방폭팬모터를 작동시켜서 누출가스를 자동적으로 안정 수치 이하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KR2019990017735U 1999-08-25 1999-08-25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KR200173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35U KR200173359Y1 (ko) 1999-08-25 1999-08-25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35U KR200173359Y1 (ko) 1999-08-25 1999-08-25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359Y1 true KR200173359Y1 (ko) 2000-03-15

Family

ID=1958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735U KR200173359Y1 (ko) 1999-08-25 1999-08-25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35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512A1 (en) * 2007-07-30 2009-02-05 Ghazarian John D Secure wireless leak detection system
KR101168196B1 (ko) * 2012-03-07 2012-07-25 주식회사 마르센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측정이 가능한 유수경계면 측정장치
KR101362780B1 (ko) 2013-01-11 2014-02-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출구 개방 시스템
CN113063526A (zh) * 2021-03-08 2021-07-02 中国人民解放军61699部队 防化防爆罐的监测功能测试方法
CN113188043A (zh) * 2021-04-28 2021-07-30 花芳 一种罐体的氮气保护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512A1 (en) * 2007-07-30 2009-02-05 Ghazarian John D Secure wireless leak detection system
KR101168196B1 (ko) * 2012-03-07 2012-07-25 주식회사 마르센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측정이 가능한 유수경계면 측정장치
KR101362780B1 (ko) 2013-01-11 2014-02-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배출구 개방 시스템
CN113063526A (zh) * 2021-03-08 2021-07-02 中国人民解放军61699部队 防化防爆罐的监测功能测试方法
CN113063526B (zh) * 2021-03-08 2023-10-27 中国人民解放军61699部队 防化防爆罐的监测功能测试方法
CN113188043A (zh) * 2021-04-28 2021-07-30 花芳 一种罐体的氮气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270B2 (en) Automated water shut-off valve
EP0275155B1 (en) Fluid leak detector
KR100537656B1 (ko) 압력 스위치 및 시간 계수기를 사용한 폐쇄된 증기 조정시스템에서의 누출 탐지
EP19380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onitoring interstitial regions in gasoline storage facilities and pipelines
US5419358A (en) Gas monitoring system for a boiler
KR20150137812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장치 및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방법
KR200173359Y1 (ko) 누출가스 통합제어 안전시스템
US5588461A (en) Hazardous material containment system
US5501577A (en) Gas operated pump leak preventer
MXPA01008100A (es) Deteccion de fugas de vapor en un sistema de combustible de vehiculo de motor.
US5607384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safely containing and delivering hazardous fluid substances from supply cylinders
GB2472027A (en) Air pressure safety controller for inflatable bag, stopper, bladder or pneumatic flap valve system used for sealing pipes etc for containing spills etc
US5810040A (en) Container for storing liquids
EP0444434A3 (en) Portable counter-flow helium leak detector for testing a vessel provided with its own pumping group
KR102579317B1 (ko) 가압수 신뢰성을 높인 옥내소화전 장치
CN207848944U (zh) 一种储罐及lng供气系统
CN207249884U (zh) 智能型多功能气体报警器检定装置
GB2235490A (en) Burst pipe prevention
KR200166460Y1 (ko) 액화석유가스 탱크로리의 긴급차단장치
JP2008174285A (ja) タンクローリの底弁異常動作検出装置
KR20030092281A (ko) 차량의 이중 자동 연료 차단 장치
GB2287794A (en) Gas container weighing and leak detection
JPH04187897A (ja) ドライガスシールの異常時の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CN108050374A (zh) 一种储罐及lng供气系统
KR19990004401U (ko) 액화 석유 가스의 보급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