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020B1 - 누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누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020B1
KR101440020B1 KR1020140062317A KR20140062317A KR101440020B1 KR 101440020 B1 KR101440020 B1 KR 101440020B1 KR 1020140062317 A KR1020140062317 A KR 1020140062317A KR 20140062317 A KR20140062317 A KR 20140062317A KR 101440020 B1 KR101440020 B1 KR 10144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fluid
leaked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업
장재영
이태호
황재선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Priority to KR102014006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누출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출 방지 장치는 저장 탱크에 저장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방폭부를 경유하여 다수개의 제조 설비를 향해 이송되는 이송관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 방지부; 상기 누출 방지부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제조 설비로 이송되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유량과 압력 상태를 제어하고, 이송관의 특정 위치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누출이 발생된 구간을 우선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출 방지 장치{Leakage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또는 폭발 가능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화학 플랜트 설비 또는 방폭이 필요한 설비에 사용할 수 있는 누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 가스, 중공업장비, 정유관련 공장 및 저장소등과 같은 현장에서는 수많은 위험물질을 여러 공정에서 취급함으로서 폭발로 인한 화재나 가스중독과 같은 위험을 항시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장의 폭발은 공장과 주위의 주택가로 화재가 번져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공장 내에 설치되는 케이스는 대부분 방폭구조를 갖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폭구조를 갖는 케이스는 종류에 따라서 내압방폭구조(Frame proof Type), 유입방폭구조(Oil Immersed Type), 압력방폭구조(Pressurized Type), 안전증방폭구조(Increased Safety Type), 특수방폭구조와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갖는 방폭구조가 사용된다.
방폭케이스는 기계적인 요소와 전기전자부품이 내장된 PCB기판과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접속부분이 폭발성가스 또는 전기 기기의 불꽃, 아크, 또는 고온으로 인한 폭발이 발생하여도 케이스가 압력에 안정적으로 견디며 접합면 또는 개구부등을 통해서 외부의 폭발성 증기에 인화되지 않도록 폭발시험을 통해서 검증을 받도록 이루어진 내압 방폭 구조가 있다.
또한 외압 방폭케이스는 폭발의 3요소(인화성물질, 공기, 점화원)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요소를 제거하여 폭발이 발생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441호(공개일:2009년 8월 21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방폭이 필요한 방폭 대상물 또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를 공급받는 제조 설비의 안정적인 작동과 누출 위험 대상 유체에서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대기중으로 직접적인 누출 발생을 차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 탱크에 저장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방폭부를 경유하여 다수개의 제조 설비를 향해 이송되는 이송관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 방지부; 상기 누출 방지부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제조 설비로 이송되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유량과 압력 상태를 제어하고, 이송관의 특정 위치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누출이 발생된 구간을 우선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누출 방지부는 상기 이송관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관; 상기 보호관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이송관의 전 구간을 단위 밀폐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송관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제어부에 의해 누출이 이루어진 단위 밀폐 영역을 클로징 상태로 제어하는 차단 밸브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작업자가 이송관의 누출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이송관의 누출 위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작업자가 이송관의 누출 상태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알람부를 포함한다.
차단 밸브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온 오프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누출 방지 장치는 차단 밸브에 의해 구획된 보호관의 내부로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이송관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다수개의 이송관 중 누설이 발생된 이송관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차단 밸브를 클로즈시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이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누출 방지 장치는 이송관의 상태를 영상 정보로 제어부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유닛; 이송관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관리자에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와 누출이 발생된 위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현재 누출이 발생된 위치와 상태 정보를 동시에 확인 가능하게 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방폭부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본체부의 내부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가스 공급부; 상기 압축 가스 공급부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기 도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에서 부분적으로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대기중으로 확산되지 않고 안전하게 차단시켜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설비품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방폭 대상물에 설치될 경우 방폭 대상물에 대한 보호와 함께 누출 가스로 인한 2차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출 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출 방지 장치의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계된 주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출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출 방지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누출 방지 장치(1)는 방폭이 필요한 방폭부 또는 유해화학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이송되는 이송관(102)의 외측에 누출 방지부(100)를 설치한다.
이송관(102)은 누출 위험 대상 유체와 화학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플라스틱관이 사용되나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저장 탱크(2)는 외부로 누출이 위험할 수 있는 각종 산, 염기성 유체 또는 이와 유사한 화학적 성분을 갖는 화학적 유체가 저장되는 탱크로서 적어도 1개 이상 마련되는데, 개수는 변동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제조 설비(a1, a2...an)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저장 탱크(2)와 각각의 제조 설비(a1, a2...an)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 이송관(102)을 매개로 짧게는 수백 미터에서 길게는 몇 킬로 미터의 거리를 두고 서로 간에 연결된다.
이송관(102)은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외부로 누출될 경우 상당한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누출 방지부(100)를 설치하여 이송관(102)을 통해 이송 조중 특정 위치에서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외부 누출을 예방할 수 있다.
누출 방지부(100)는 이송관(102)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관(110)과, 보호관(110)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이송관(102)의 전 구간을 단위 밀폐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송관(102)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제어부(300)에 의해 누출이 이루어진 단위 밀폐 영역을 클로징 상태로 제어하는 차단 밸브(120)를 포함한다.
보호관(110)은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되나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되는 이유는 수분 또는 염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특정 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은 크롬과 니켈을 특정 비율로 첨가할 경우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강산성의 용액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식으로 인한 사고 발생의 위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보호관(110)은 이송관(102)의 외측을 감싸며 이중관 형태로 보호하는데, 이송관(102)의 전 구간을 따라 외측에 설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관 형태 또는 반원 형태의 2피스로 이루어진 형태 중의 어느 한 형태로 이송관(102)의 외측에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호관(110)이 관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이송관(102)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로 현장에서 조립되며 이 경우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각각의 보호관과 용접된다.
차단 밸브(120)는 후술할 제어부(300)에 의해 개폐 상태가 제어되는데,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누출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픈 상태로 작동되고, 누출이 발생될 경우에는 클로즈 상태로 제어된다.
차단 밸브(120)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보호관(110)에 설치된 모든 차단 밸브(120)가 클로즈되지 않고 누출이 발생된 위치에 해당되는 보호관(110)의 가장 가까운 차단 밸브(120)가 클로즈 된다.
즉 이송관(102)이 제조 설비(a1)에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누출이 발생될 경우 보호관(110)에 설치된 모든 차단 밸브(120)가 클로즈되지 않고 누출이 발생된 위치와 가장 근접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차단 밸브(120)만 제어부(300)에 의해 우선적으로 클로즈됨으로써 다른 제조 설비(a2, a3...an)의 작동은 유지시켜 제조 설비(a2, a3...an)의 작동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보호관(110)은 이송관(102)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외부를 향해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확산되지 않고 보호관(110)의 내측에서만 누출된 상태를 유지시켜 근처에 위치된 작업자의 안전과 설비품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예방한다.
제어부(300)는 이송관(102)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다수개의 이송관 중 누설이 발생된 이송관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차단 밸브(120)를 클로즈시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이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이와 같이 제어할 경우 누출에 따른 초기 대응이 안전하게 이루어져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이송관(102)의 누출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단 밸브(120)는 제어부(30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며 보호관(110)을 따라 Nm 단위로 배치된다. 차단 밸브(120) 사이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수동 밸브(3)가 설치되어 제어부(300)를 통한 제어가 불가능한 위급 상황시 현장에서 작업자가 즉시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전술한 보호관(110)에 설치되거나 각각의 제조 설비(a1, a2...an)의 전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간별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조 설비(a1, a2...an)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제어부(300)를 통해 제조 설비(a1, a2...an)의 총괄적인 작동 상태를 관리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현재 이송관(102)의 누출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누출에 따른 현장 대처 능력 향상과 안전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작업자가 이송관(102)의 누출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이송관(102)의 누출 위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작업자가 이송관(102)의 누출 상태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알람부(2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외측에 별도의 보호 커버(미도시)가 설치되어 이물질 및 수분침투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되고, 제어부(300)와 연계되어 작동된다. 즉, 제어부(300)에 의해 현재 이송관(102)를 통해 이송되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어 누출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사전에 예방될 수 있다.
알람부(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인접하여 위치되나 설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특정 위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알람부(220)는 이송관(102) 주위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청각적인 인지력을 향상시켜 누출이 발생될 경우 즉각적인 대응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응 조치 이후에 안전 장소로 신속하게 다수의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알람부(220)는 경광등이 사용되어 주간 및 야간에 모든 작업자가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누출 방지 장치(1)는 차단 밸브(120)에 의해 구획된 보호관(110)의 내부로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부(400)를 포함하고, 감지부(400)는 보호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감지부(400)는 보호관(110)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고, 제어부(300)는 감지부(4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다수개의 이송관에서의 누출 여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현재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300)는 제조 설비(a1, a2...an)으로 이송되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유량과 압력 상태를 제어하고, 이송관(102)의 특정 위치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누출이 발생된 구간에서 확산이 방지되도록 차단 밸브(120)가 클로즈되도록 우선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이유는 누출이 발생된 특정 위치에서 확산되는 상태를 우선적으로 차단할 경우 최초 누출이 발생된 지점에서 보다 넓은 반경으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초기 대응 능력이 향상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누출 방지 장치(1)는 이송관(102)의 상태를 영상 정보로 제어부(300)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유닛(500)과, 이송관(102)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관리자에 모니터링 유닛(500)을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와 누출이 발생된 위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현재 누출이 발생된 위치와 상태 정보를 동시에 확인 가능하게 하는 메인 서버(60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유닛(500)은 카메라 유닛이 사용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은 보호관(110)과 인접한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어부(300)에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카메라 유닛은 주간 또는 야간에 모두 촬영 가능하고, 적외선 촬영도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각도로 자동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메인 서버(600)는 제조 설비가 한 곳이 아닌 다수개일 경우 특정 제조 설비를 하나의 존(zone)으로 구획하고 존 별로 제어부(3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통합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조 설비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대규모 단지에 조성되는 경우에도 통합 관리가 가능해지므로 관리의 편의성 및 불특정 위치에서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누출에 따른 대응 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확산에 따른 인명피해 예방과 설비품의 파손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방폭부(5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본체부(51)의 내부 공간을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본체부(51)의 내부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가스 공급부(52)와, 상기 압축 가스 공급부(52)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기 도입부(54)를 포함한다.
압축 가스 공급부(52)는 방폭을 위해 사용되는 공기 압축기가 사용되나 외기 도입부(54)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압축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부(51)에 압축 가스 공급부(52)가 내장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사양을 갖는 공기 압축기가 사용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방폭부(50)를 구성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컴펙트한 장비 배치가 이루어진다.
방폭부(50)는 방폭 대상물(미도시))이 내장되어 화재 또는 가연성 가스와 같은 점화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되므로 폭발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방폭부(50)는 압축 가스 공급부(52)가 본체부()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위치되어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본체부(51)를 이와 같이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외기 도입부(54)를 통해 다량의 외기를 도입하여 유지한다.
외기 도입부(54)는 건물에 설치된 공조 덕트(54)와 연결되어 다량의 외기를 압축 가스 공급부(52)에 제공하며 공조 덕트에 포함된 이물질 및 유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필터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누출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장 탱크(2)에 저장된 누출 위험 대상 유체는 이송관(102)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고 방폭부(50)를 경유하여 제조 설비(a1, a2...an)를 향해 이송된다.
제어부(300)는 정상적으로 이송관(102)을 통해 제조 설비(a1, a2...an)로 이소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차단 밸브(120)가 오픈 상태로 작동되도록 제어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통해 정상 작동 상태로 표시된다.
감지부(400)는 현재 이송관(102)의 외측으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되는지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고, 제어부(300)는 이를 입력 받아 현재 이송관(102)의 누출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감지부(400)에서 별다른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300)는 제조 설비(a1, a2...an)를 향해 안정적으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이송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량과 압력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감지부(400)에서 누출 신호가 전송될 경우 누출이 발생된 이송관(102)을 기준으로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차단 밸브(120)가 클로즈 되도록 제어하여 제2 설비(a2)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이송을 차단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현재 누출이 발생된 위치와 누출량에 따른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주위에서 근무하는 작업자 및 다른 위치에 위치된 작업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알람부(22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다수의 작업자가 청각적으로 현재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누출을 인지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누출이 발생되지 않은 이송관을 통해서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다른 제조 설비로 공급된다.
메인 서버(600)는 관리자에게 현재 누출이 발생된 이송관의 상태 정보와 누출이 발생된 위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누출이 발생된 이송관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격지에 위치한 경우에도 현장 책임자 또는 현장 관리자에게 필요한 지시를 즉각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근로자 또는 현장 관리자 누출이 발생된 이송관 주위의 작업자를 철수시킨 후에 누출이 발생된 이송관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수리 및 교체를 실시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누출 방지 장치
50 : 방폭부
100 : 누출 방지부
102 : 이송관
110 : 보호관
120 : 차단 밸브
200 : 표시부
210 : 디스플레이 패널
220 : 알람부

Claims (8)

  1. 저장 탱크에 저장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방폭부를 경유하여 다수개의 제조 설비를 향해 이송되는 이송관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 방지부;
    상기 누출 방지부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제조 설비로 이송되는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유량과 압력 상태를 제어하고, 이송관의 특정 위치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누출이 발생된 구간을 우선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누출 방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부는,
    상기 이송관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관;
    상기 보호관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위치되어 이송관의 전 구간을 단위 밀폐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송관에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누출될 경우 제어부에 의해 누출이 이루어진 단위 밀폐 영역을 클로징 상태로 제어하는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누출 방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작업자가 이송관의 누출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이송관의 누출 위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작업자가 이송관의 누출 상태를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알람부를 포함하는 누출 방지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온 오프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 장치는,
    상기 차단 밸브에 의해 구획된 보호관의 내부로 누출 위험 대상 유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누출 방지 장치.
  6. 제1 항 및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관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다수개의 이송관 중 누설이 발생된 이송관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위치된 차단 밸브를 클로즈시켜 누출 위험 대상 유체가 이송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방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방지 장치는,
    상기 이송관의 상태를 영상 정보로 제어부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유닛;
    상기 이송관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관리자에 모니터링 유닛을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와 누출이 발생된 위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현재 누출이 발생된 위치와 상태 정보를 동시에 확인 가능하게 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누출 방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부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본체부의 내부 공간을 양압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본체부의 내부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가스 공급부;
    상기 압축 가스 공급부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외기 도입부를 포함하는 누출 방지 장치.
KR1020140062317A 2014-05-23 2014-05-23 누출 방지 장치 KR10144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17A KR101440020B1 (ko) 2014-05-23 2014-05-23 누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17A KR101440020B1 (ko) 2014-05-23 2014-05-23 누출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020B1 true KR101440020B1 (ko) 2014-09-24

Family

ID=5176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317A KR101440020B1 (ko) 2014-05-23 2014-05-23 누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0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474B1 (ko) * 2020-08-31 2021-03-17 서갑수 가스 공급 조절 박스
KR102266545B1 (ko) * 2021-01-14 2021-06-18 주식회사 유한테크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913A (ja) * 1994-11-01 1996-05-21 Tokyo Gas Co Ltd 漏洩検知システム
KR100206166B1 (ko) 1995-11-07 1999-07-01 이승욱 압력감지관 및 자동 압력감지 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913A (ja) * 1994-11-01 1996-05-21 Tokyo Gas Co Ltd 漏洩検知システム
KR100206166B1 (ko) 1995-11-07 1999-07-01 이승욱 압력감지관 및 자동 압력감지 폐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474B1 (ko) * 2020-08-31 2021-03-17 서갑수 가스 공급 조절 박스
KR102266545B1 (ko) * 2021-01-14 2021-06-18 주식회사 유한테크 위험물 유출 센트럴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6887B (zh) 灭火设备的、尤其洒水或喷水灭火设备的报警阀组和灭火设备
EP2092498A2 (en) Enclosure system allowing for hot work within the vicinity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material
CA2896639C (en) Equipment for the remote control of fire extinguishers and/or hydrants
JP2006321041A (ja) 内圧防爆システム
KR101503705B1 (ko) 양압형 방폭장치
JP5522808B2 (ja) 遮断弁遠隔開閉システム
KR102068481B1 (ko) 가스누출 감지 및 밸브 자동차단 기능을 갖는 가스용접 시스템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EP2573408B1 (en) Solenoid valve bypass system for continuous operation of pneumatic valve and method therefor
KR101440020B1 (ko) 누출 방지 장치
KR102387676B1 (ko) 유체 누출 대응 훈련 방법
EP3502457B1 (en) Ship having a gas piping system installed therein
US20210262997A1 (en) Gas sensor testing system and method
KR102348753B1 (ko) 유체 누출 대응 훈련용 유체 방출 키트
KR102387674B1 (ko) 유체 누출 대응 훈련 시스템
KR102348761B1 (ko) 유체 누출 대응 훈련용 유체 방출 장치
US6302166B1 (en) Secondary containment cap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primary chlorine container
US20140116992A1 (en) Welding Enclosure
DE3934057C1 (en) Leak indicator for double-walled container - has vacuum switch coupled to monitoring cavity between walls via measuring lead to control vacuum pump
KR20230052781A (ko) 소화장치 감지시스템
KR102586376B1 (ko) 다중 분사라인 및 스위칭모듈을 포함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시스템
US20210402236A1 (en) Fire Suppre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387671B1 (ko) 유체 누출 대응 훈련용 유체 방출 방법
Vijay et al. Hazard and Operability (HAZOP) Study on LNG Skid
US8667841B1 (en) Glovebox air intake emergency safety shutof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