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811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811A
KR20070009811A KR20050063711A KR20050063711A KR20070009811A KR 20070009811 A KR20070009811 A KR 20070009811A KR 20050063711 A KR20050063711 A KR 20050063711A KR 20050063711 A KR20050063711 A KR 20050063711A KR 20070009811 A KR20070009811 A KR 20070009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dm
channel
psi
up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6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587B1 (ko
Inventor
조남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6100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098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6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587B1/ko
Priority to CNB2006100826002A priority patent/CN100448279C/zh
Priority to JP2006194427A priority patent/JP4557934B2/ja
Priority to US11/457,790 priority patent/US8059612B2/en
Publication of KR2007000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부와; 최근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부터 획득된 시스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방송 수신 초기 진입시, 초기 구동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기본 동작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초기 진입, 시스템 정보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수신 방법{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위성 DMB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위성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CDM 채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DMB 수신 단말기의 초기 진입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 수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수신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수신율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의 디지털화는 데이터 전송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포괄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DMB는 전송채널상의 잡음과 왜곡에 강인하고, 전송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채택하여 사용하는 위성 DMB는 일본식의 시스템E 방식을 기반을 두고 있다. 위성 DMB 방송 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CDM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구국 송출센터에서 위성으로 송출하며, 사용자는 위성으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의 세기가 약한 음영지역에서는 갭필러(Gap Filler)라는 지상 보조 중계설비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위성DMB의 전송채널은 무선 이동수신 채널로서, 수신신호의 크기(Amplitude)가 시변(Time-Varying)할 뿐만 아니라, 이동 수신의 영향으로 수신신호 스펙트럼의 도플러 천이 (Doppler shift)가 발생한다. 이러한 채널환경 하에서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위성DMB 송신 방식은 부호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시간 영역 신호에 대한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수행하여, 전송 채널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는 도 2에서 보는 바 와 같이 튜너(110, 120), CDM 복조기(200), 비트 디인터리버(321, 341), 비터비 복호기(322,342,351), 바이트 디인터리버(323,243,352), 리드솔로몬 복호기(324,344,353), 제어부(400), 역다중화기(DEMUX)(500) 및 디코더(600)로 구성된다. 휴대형 단말기의 경우 크기 및 휴대성을 고려하여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성 DMB 방송을 시/청취하기 위해서는 최소 4개(오디오 방송) 또는 5개(비디오 방송)의 CDM 채널을 복조하여야지만 가능하다. 즉, 수신기 복조하는데 사용하는 CDM 채널은 3개의 시스템 정보 채널과 2개의 미디어 채널로 구성된다.
튜너(Tuner)(110, 120)는 주파수 발생기로부터의 신호와 입력신호를 혼합하여 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얻는다.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복조부는 짧은 부호와 의사잡음 부호를 사용하여 CDM 신호를 복조한다. 여기서 짧은 부호(Short Code)는 주기 64의 왈쉬(Walsh) 부호를 사용한다. 비트 디인터리버(bit deinterleaver)는 주기 51의 분할형 길쌈(convolution) 방식의 비트 인터리빙된 신호에 대한 복호를 수행한다. 비터비 복호기(Viterbi decoder)는 구속장 7의 비터비 복호를 수행한다. 바이트 디인터리버(byte deinterleaver)는 주기 12의 길쌈(convolution) 방식으로 바이트 인터리빙된 신호의 복호를 수행한다. 리드솔로몬 복호기(Reed-Solomon decoder)는 단축된 리드솔로몬(204, 188)의 복호를 수행한다. 단, 파일럿 채널은 리드 솔로몬(96,80)의 복호를 수행한다. 역다중화기(DEMUX)(500)는 MPEG-2 TS로 다중화된 각각의 비디오/오디오/데이터 신호를 추출한다. 디코더(600)는 압축된 비디오/오디오의 Elementary Stream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시스템 정보 채널은 실제 방송서비스가 아닌 제어용 채널로 파일럿(Pilot),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채널로 구성된다. 미디어 채널은 방송 서비스 컨텐츠가 전송되는 채널이다. 즉, 이 시스템 정보 채널은 사용자가 어떤 채널을 시/청취하더라도 수신기에서 반드시 계속적으로 수신하고 정보의 갱신 여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사용자가 위성 DMB 방송 시/청취 시도시 수신기에서 먼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여야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을 시/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시스템 정보 채널마다 전송되는 내용은 현재로서는 표 1과 같지만, 이는 사업자의 방침에 의해 테이블이 실려오는 채널의 위치가 바뀔 수 있으며, 단말기는 이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CDM 채널 내용
Pilot 논리적 서비스채널과 CDM채널과의 대응표와 수신기 제어를 위한 부가정보
CAS CAT,PAT,NIT,EMM의 섹션데이터를 TS로 전송
EPG SDT,EIT,TOT,BIT,PMT의 섹션데이터를 TS로 전송
AVD1 Audio, Video, Data, EMM, PMT 섹션데이터를 TS로 전송
AVD2 Audio, Video, Data, EMM, PMT 섹션데이터를 TS로 전송
시스템 정보는 [표 2]와 같다.
구분 시스템정보 내용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PMT를 전송하는 TS 패킷 PID를 지정
CAT(Conditional Access Table) 유료방송의 관련정보를 전송하는 TS 패킷 PID를 지정
PMT(Program Map Table) 방송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부호화신호를 전송하는 TS 패킷 PID를 지정
SI(Service Information) NIT(Metwork Information Table) 위성 전송로의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을 관련짓는 정보를 전송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편성채널명, 위탁방송 사업자명 등 편성채널에 관한 정보를 기술
TOT(Time Offset Table) 시각과 일자정보 및 서머타임 실시때의 시간 오프셋값을 전송
BIT(Broadcasting Information Table)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방송정보, SI 각 전송파라미터등
EIT(Event Information Table) 프로그램의 명칭, 방송일시, 내용의 설명등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프로그램 상세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 정보인 CAT, PAT, NIT, SDT, EIT, TOT, BIT, PMT 정보가 어느 CDM 채널에 있는지는 파일럿 채널 구성 정보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경우라도 시스템 정보들은 3개의 CDM 채널을 이용하게 된다.
시스템 정보들은 중요도에 따라 전송 주기가 달라지며, 전송 주기가 짧은 정보들은 수신기 초기 진입시 이 정보들을 빨리 획득하여야지만 수신기가 동작될 수 있는 정보들이다.
시스템 정보(PSI/SI)중 프로그램 상세정보(PSI)는 수신기 동작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실제 전송 주기도 짧다. 이 정보가 획득되어야지만 수신기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서비스 정보는 시스템 운영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해지는 정보들로 실제 전송주기도 길다.
한편, 파일럿 채널(Pilot)은 수신신호의 동기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CDM 채널 구성정보 전달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CDM 채널 구성정보는 시스템 측면에서 다른 CDM 채널이 어떤 구성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이다. 다른 PSI/SI 정보 및 A/V 데이터들이 어느 CDM 채널에 있는지를 알려준다. PSI/SI 정보와 조합하여 채널 몇 번을 보기 위해서는 어느 CDM 채널을 복조하여야 하는지의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성 DMB 수신기 동작시 수행순서는 파일럿 채널을 통해 동기를 획득한 후, 이 후 파일럿 채널의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바탕으로 PSI/SI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맞는 CDM 채널을 복조하기 시작한다.
도 3은 파일럿 채널에 실려오는 CDM 채널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바이트(byte) 크기의 시작 CDM 채널 번호는 프레임(frame)에 포함되는 CDM 채널의 개별 구성 정보 중 첫 번째 것의 CDM 채널 번호를 의미한다. 하나의 프레임(frame)에는 10개의 CDM 채널 구성정보가 포함된다. 각 CDM 채널 구성정보는 7byte의 크기를 갖는다. 각 CDM 채널 구성정보 필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인터리브 모드(4bits) : 해당 CDM 채널의 인터리브 크기를 지정한다.
·컨볼루션 모드(4bit) : 해당 CDM 채널의 컨볼루션 코드의 코드화 비율을 지정한다.
·TS_ID: 해당 CDM 채널이 전송할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의 ID를 지정한다. 전송할 방송 채널이 없으면 TS_ID는 0xffff로 한다.
·PID 최소값: 해당 CDM 채널이 전송할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PID 범위의 최소값을 나타낸다. 다른 CDM 채널에 동일한 범위가 할당되어 있을 때는 복수의 CDM 채널이 TS를 구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Version number: 갱신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PID 최대값: 해당 CDM 채널이 전송할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S packet)의 PID 범위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다른 CDM 채널에 동일한 범위가 할당되어 있을 때는 복수의 CDM 채널이 TS를 구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위성 DMB 수신기에서 초기 진입은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와 같이, Pilot CH 구성 정보 획득, PSI 정보 획득, A/V 채널 복호를 순차적으로 진행시킨다.
사용자가 방송 시/청취를 시도하면(S401) 사용자에게 최소한 채널 정보(채널 리스트, 채널명)를 제공하기 위해 저장된 SDT(Service Description Tabl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402).
이어 파일럿 채널(Pilot CH)의 동기를 획득한다. 파일럿 채널의 동기가 획득되어야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CDM 채널의 복조가 가능해진다(S403).
파일럿 채널의 동기를 획득한 후, 제일 먼저 파일럿 채널에 실려온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제어부(Main Processor Unit: MPU)에 전달한다(S404).
제어부는 실제 PSI/SI를 획득하기 위해서 어떤 CDM 채널을 복조하여야 하는지 판단을 내린 후, 시스템 정보(PSI/SI) 정보들을 획득하기 시작한다(S405).
방송채널을 복조하기 위한 PSI 정보(실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관한 PAT, PMT, CAT 정보 획득)를 획득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A/V 및 CAS관련 PID를 추출해 낸다. 위성 DMB에서 사용되는 비트 디인터리빙(bit de-interleaving)으로 인해 PSI 정보를 추출하기 시작한 후 대략 3.5초 이상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A/V 채널을 복호하기 위해 어느 CDM 채널들을 복조하여야 결정할 수 있다(S406).
결정된 CDM 채널들의 복조를 시작하여 사용자에게 A/V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S407). 마찬가지로, 위성 DMB에서 사용되는 비트 디인터리빙으로 인해 PSI 정보를 추출하기 시작하는 데 있어 3.5초 이상의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방송 수신 중 갱신된 CDM 채널 구성 정보 및 PSI/SI 정보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만일, 갱신된 경우에는 이 정보로 바꾸어 준다(S408).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위성 DMB 수신기들은 항상 파일럿 채널을 통해 동기를 획득한 후, 이후 수신기가 안정화된 이후에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MPU(Main Processor Unit)에 전달하여 이를 해석하여 PSI/SI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CDM 채널 구성 정보 이후 PSI 정보를 획득함으로 인해 대략 3.5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무선 환경이 좋은 환경에서도 위성 DMB를 처음 시/청취를 진입하는 경우가 채널 변환의 경우보다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CDM 채널 구성 정보 획득 시간과 PSI/SI CDM 비트 인터리빙(bit deinterleaving)시간만큼의 시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략 4초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위성 DMB 기저대역(Baseband)부와 MPU가 원칩(One chip)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을 이용하거나 또는 속도가 느린 i2c line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 인해 MPU가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까지는 시간이 어느 정도 소모된다.
한편, 위성 DMB 송신의 동기 신호 및 CDM 채널 구성 정보가 실린 파일럿 채널은 빠른 동기 획득을 위해 비트인터리빙을 적용하지 않는다. 그대신 일반적으로 다른 채널보다 3dB(2배)정도의 높은 송신전력을 사용한다. 그러나, 비트 인터리빙을 사용하지 않아 버스트(burst)하게 발생하는 에러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가짐으로 인해 실제 무선 환경에서는 불리한 면이 많다.
무선 환경의 특성상 다른 CDM 채널은 거의 패킷 에러(Packet Error) 또는 비터비 복조후 비트 에러(Bit Error)가 발생하지 않는다. 파일럿 채널에서는 비트 인터리버를 적용하지 않으므로 인해 Error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약전계 지역에서는 파일럿 채널에 실려오는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얻어오기 힘들 수도 있다. 즉, 약전계에서 옆의 사람은 위성 DMB를 시/청취하고 있음에도, 다른 사용자가 위성 DMB 시/청취를 위해 초기 진입을 하는 경우에는 위성 DMB 수신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성 DMB 단말기를 이용한 초기 진입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전계에서의 초기 진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부와; 최근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부터 획득된 시스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방송 수신 초기 진입시, 초기 구동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기본 동작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는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프로그램 상세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및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는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 의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기본 동작을 먼저 시도하고 실제 방송 수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의 갱신 유무에 따라 수신기 동작을 결정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복호부가, 시스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를 복호하는 시스템 채널 복호부와;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미디어 정보를 복호하는 방송 채널 복호부와; 또 다른 시스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파일럿 동기신호를 복호하는 파일럿 채널 복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방송 수신 중 변경사항이 있을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갱신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단말기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단말기, 위성/지상파 DMB 겸용 단말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초기 구동시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먼저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다른 특징은 편성채널리스트(Service Description Table: SDT)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 는 과정과; 내부에 저장된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프로그램 상세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및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를 이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파일럿 채널(Pilot CH)의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실제 방송중인 CDM CH와 PSI/SI 정보를 독립적으로 각각 획득하면서 내부에 미리 저장된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프로그램 상세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및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과정과; 획득된 정보들의 갱신여부에 따라 수신기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다른 특징은 편성채널리스트(Service Description Table: SDT)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내부에 저장된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를 이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파일럿 채널(Pilot CH)의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실제 방송중인 CDM CH와 PSI 정보를 독립적으로 각각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정보들의 갱신여부에 따라 수신기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CDM CH가 먼저 획득되고 그 구성정보가 갱신된 경우, PSI/SI 정보 획득을 다시 시도하여 적어도 PS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CDM CH가 먼저 획득되고 그 구성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PS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PSI 정보의 갱신여부에 따라 차별화된 A/V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PSI 정보가 갱신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거치고, PSI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CDM CH 복조없이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PSI 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 A/V 제공이 가능한 최소한의 CDM CH 구성정보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버전의 갱신여부에 따라 차별화된 A/V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먼저 획득된 PSI 정보가 갱신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거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획득된 CDM CH 버전 정보가 갱신된 경우, CDM CH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PSI/SI 정보 획득을 재시도하여 적어도 PS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 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획득된 CDM CH 버전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CDM CH 복조없이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방송 수신 중 변경사항이 있을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갱신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와 실제 방송신호로부터 수신된 정보와의 차이에 의해 수신 동작을 결정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시스템 E 방식의 위성 DMB 수신 장치에서 사용자가 위성 DMB 시/청취 시도시 시스템 측면에서 미리 저장된 시스템 정보를 활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먼저 시작하도록 한다. 수신기의 빠른 동작을 위해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정보(PAT, PMT, CAT)/SI 정보를 사용하거나, CDM 채널 구성 정보와 SI정보를 미리 저장시켜 사용한다. 여기에 더하여, 수신기 동작시 이 정보들이 갱신될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갱신시켜 가능한 한 최신의 정보들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CAS, EPC 관련 정보)를 복호하는 시스템 채널 복호부(21)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포함된 방송 미디어(Audio, Video, data) 신호를 복호하는 방송 채널 복호부(22)와; 또 다른 시스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파일럿 동기신호를 복호하는 파일럿 채널 복호부(23)와; 최근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부터 획득된 시스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30)와; 방송 수신 초기 진입시, 초기 구동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기본 동작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시스템 채널 복호부와 방송채널복호부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화된 각각의 비디오/오디오/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역다중화기(Demux)(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복호부(21, 22, 23)의 상세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시스템 운영 측면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되는 정보가 CDM 채널 구성 정보이다. 저장된 CDM 채널 구성정보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정상적인 무선환경에서는 PSI 정보는 일반적으로 3.5초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CDM 채널 구성 정 보가 실리는 파일럿 채널은 비트 인터리빙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PSI 정보보다 먼저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 운영상 CDM 채널 구성정보, 채널 리스트에 해당하는 SDT 정보, 위성 전송로의 정보 및 채널명과 관련된 NIT 정보 등은 시스템의 운영상 거의 변화를 시키지 않으면, 위성 DMB 서비스 변경 또는 채널 변경/추가와 같은 전체적인 방송개편이 있는 경우에만 변경이 가해진다. 한편, PSI 정보의 경우에도 같은 채널에 대해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서로 다른 PID를 사용하여 운영할 가능성도 작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를 더 많이 활용하기 위해, 저장된 CDM 채널 구성정보와 수신받은 CDM 채널 구성정보의 버전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도 CDM 채널정보를 획득한 것으로 여긴다. 이는 약전계에서 CDM 채널 구성 정보 전체를 수신하지 못 하는 경우에도 최소한 버전 정보를 CDM 채널정보 갱신 유무의 판단 근거로 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DM 채널 구성 정보 및 변경 가능성이 희박한 PSI/SI 정보를 수신기 초기 구동시 미리 저장된 값을 활용하여 단말기 수신기 동작을 시도함으로써 초기 진입시의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정보(PAT,PMT,CAT)/SI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제 1 방법)와 CDM 채널 구성 정보와 SI정보를 저장시켜 사용하는 경우(제 2 방법)이다.
강전계에서는 수신기의 빠른 동작을 위해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정보(PAT,PMT,CAT)/SI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정보들의 갱신이 없는 경우 대략 4초 이상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CDM 채널 구성 정보와 SI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정 보들의 갱신이 없는 경우 대략 1초 이상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약전계에서는 강전계 이상의 시간을 줄일 수도 있으며, 초기 수신율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정보(PAT, PMT, CAT)/SI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SI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A/V 채널 복호를 위한 CDM 채널들에 대한 복조를 실제 CDM 채널 구성정보 및 PSI/SI 정보를 방송으로부터 수신하기 이전에 미리 시작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채널 환경에서 정보들이 변하지 않은 경우 빠른 초기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CDM CH가 먼저 획득된 경우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방송 시/청취를 시도하면(S601), 최소한 사용자에게 채널 정보(채널 리스트, 채널 명)을 제공하기 위해 저장된 SD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602).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SI 정보를 활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시작한다(S603).
이어, 파일럿 채널의 동기를 획득한다. 파일럿 채널의 동기가 획득되어야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CDM 채널의 복조가 가능해진다(S604).
파일럿 채널의 동기를 획득한 후 실제 방송중인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 정보 획득을 시도하면서(S605),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정보(PAT, PMT, CAT)/SI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수행한다(S606).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실제 방송 신호로부터 CDM 채널 구성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이다(S607).
획득된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현재 메모리에 저장된 CDM 채널 정보와 비교하여 갱신 여부를 확인한다(S608). 그 구성정보의 갱신 여부를 확인하여, 갱신된 경우에는 PSI/SI 정보 획득을 다시 시도하여(S609), 적어도 PSI 정보를 획득한다(S610). 획득한 PSI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고(S611),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한다(S612).
CDM CH가 먼저 획득되고 그 구성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PSI 정보를 획득하고(S613), PSI 정보의 갱신여부를 판단한다(S614).
PSI 정보가 갱신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여(S611)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한다(S612).
PSI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CDM CH 복조없이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한다(S612).
도 7은 PSI 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방송 시/청취를 시도하면(S701), 최소한 사용자에게 채널 정보(채널 리스트, 채널명)을 제공하기 위해 저장된 SD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702).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SI 정보를 활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시작한다(S703).
이어, 파일럿 채널의 동기를 획득한다. 파일럿 채널의 동기가 획득되어야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CDM 채널의 복조가 가능해진다(S704).
파일럿 채널의 동기를 획득한 후 실제 방송중인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 정보 획득을 시도하면서(S705),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정보(PAT, PMT, CAT)/SI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수행한다(S706).
PSI 정보가 획득되면(S707), 획득된 PSI 정보의 갱신 여부를 확인한다(S708). 갱신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S709)를 거친다.
이어, A/V 제공이 가능한 최소한의 CDM CH 구성정보의 버전 정보를 획득한다(S710).
획득된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버전의 갱신여부를 확인한다(S711).
획득된 CDM CH 버전정보가 갱신된 경우, CDM CH 구성정보를 획득하고(S712), PSI/SI 정보 획득을 재시도하여 적어도 PSI 정보를 획득한다(S713~S714).
이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여(S715)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한다(S716).
만일, 획득된 CDM CH 버전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CDM CH 복조없이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한다(S716).
위의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방송 수신 중 갱신된 CDM 채널 구성 정보 및 PSI/SI 정보는 갱신시마다 메모리에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된다.
도 8과 도 9는 단말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SI 정보 만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그 구분은 단말기를 사용하여 CDM 채널구성정보와 PSI/SI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도에 대하여 어떤 신호가 먼저 도착했는가에 따라 다른 과정이 수행되므로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는 일반적인 무선환경하에서 PSI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보다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이 짧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CDM 채널 구성 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에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만큼을 줄이고자 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는 PSI 정보 획득 후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A/V 채널 복호를 시작한다.
도 8은 CDM 채널구성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이다.
사용자가 방송 시/청취를 시도하면(S801), 최소한 사용자에게 채널 정보(채널 리스트, 채널명)을 제공하기 위해 저장된 SD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802).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SI 정보를 활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시작한다(S803).
이어, 파일럿 채널의 동기를 획득한다. 파일럿 채널의 동기가 획득되어야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CDM 채널의 복조가 가능해진다(S804).
파일럿 채널의 동기를 획득한 후 실제 방송중인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SI 정보 획득을 시도하여(S805), CDM CH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S806).
즉, 메모리에 저장된 SI 정보 및 CDM 채널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시도하고, 파일럿 채널을 통해 동기가 획득되면 PSI/SI 정보 및 CDM 채널 구 성정보의 획득을 시도한다.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실제 방송 신호로부터 CDM 채널 구성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이다(S806). 획득된 CDM 채널 구성 정보를 현재 메모리에 저장된 CDM 채널 정보와 비교하여 갱신 여부를 확인한다(S807).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PSI 정보(실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관한 PAT, PMT, CAT 정보)를 획득하여(S812),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채널의 복조를 시도한다(S810).
이어, 사용자에게 오디오/비디오를 제공한다(S811).
한편, 먼저 획득된 CDM 채널의 구성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PSI/SI 정보 획득을 재시도하고(S808), PSI 정보 획득이 완료(S809)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채널을 복조하여(S810) 사용자에게 오디오/비디오를 제공한다(S811).
도 9는 CDM 채널 구성정보와 SI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에서 실제 방송 신호로부터 PSI 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이다.
일부 과정은 위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SI 정보 및 CDM 채널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시도하고, 파일럿 채널을 통해 동기가 획득되면 PSI/SI 정보 및 CDM 채널 구성정보의 획득을 시도하는 과정까지(S901~S905)를 말한다.
PSI 정보가 먼저 획득되면(S906), 이를 이용하여 CDM 채널의 복조를 시도한다(S907).
이어, A/V 제공이 가능한 최소한의 CDM 채널 구성정보의 버전정보를 획득한 다(S908).
메모리에 저장된 CDM 채널 구성정보의 버전과 획득된 버전정보를 비교하여 갱신여부를 확인한다. 버전정보는 도 3의 CDM 채널 구성정보 프레임에서도 알 수 있듯이 3비트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S909).
버전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전체 CDM 채널 구성 정보가 바뀐 것이므로 기존의 수신기 동작처럼, CDM 채널 구성정보를 획득한다(S910).
이어, PSI/S 정보 획득을 재시도하여(S911) 획득이 완료되면(S912),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채널을 복조하여(S913) 사용자에게 오디오/비디오를 제공한다(S914).
만일 CDM 채널 구성정보의 버전이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 복조된 채널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오디오/비디오를 제공한다(S914).
방송 수신 중 갱신된 CDM 채널 구성 정보 및 PSI/SI 정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갱신된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본 발명에서는 CDM 채널 구성 정보 및 변경 가능성이 희박한 PSI/SI 정보를 수신기 초기 구동시 미리 저장된 값을 활용하여 단말기 수신기 동작을 시도함으로써 초기 진입시의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강전계에서는 수신기의 빠른 동작을 위해 저장된 CDM 채널 구성 정보와 PSI정보(PAT,PMT,CAT)/SI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정보들의 갱신이 없는 경우 대략 4초 이상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CDM 채널 구성 정보와 SI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정보들의 갱신이 없는 경우 대략 1초 이상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약전계에서는 강전계 이상의 시간을 줄일 수도 있으며, 초기 수신율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31)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초기 구동시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먼저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와 실제 방송신호로부터 수신된 정보와의 차이에 의해 수신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프로그램 상세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및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 치에 저장된 정보는 방송 수신 중 변경사항이 있을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단말기, 위성/지상파 DMB 겸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7. 편성채널리스트(Service Description Table: SDT)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내부에 저장된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프로그램 상세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를 이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파일럿 채널(Pilot CH)의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실제 방송중인 CDM CH와 PSI/SI 정보를 독립적으로 각각 획득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프로그램 상세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하는 과정과;
    획득된 정보들의 갱신여부에 따라 수신기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CDM CH가 먼저 획득되고 그 구성정보가 갱신된 경우,
    PSI/SI 정보의 획득을 다시 시도하여 적어도 PS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CDM CH가 먼저 획득되고 그 구성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PS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PSI 정보의 갱신여부에 따라 차별화된 A/V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PSI 정보가 갱신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거치고,
    PSI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CDM CH 복조없이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PSI 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
    A/V 제공이 가능한 최소한의 CDM CH 구성정보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버전의 갱신여부에 따라 차별화된 A/V 제공 절 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먼저 획득된 PSI 정보가 갱신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획득된 CDM CH 버전정보가 갱신된 경우,
    CDM CH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PSI/SI 정보를 다시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획득된 CDM CH 버전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CDM CH 복조없이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방송 수신 중 변경사항이 있을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 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단말기, 위성/지상파 DMB 겸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7. 편성채널리스트(Service Description Table: SDT)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내부에 저장된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를 이용하여 수신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파일럿 채널(Pilot CH)의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실제 방송중인 CDM CH와 PSI 정보를 독립적으로 각각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정보들의 갱신여부에 따라 수신기 동작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CDM CH가 먼저 획득되고 그 구성정보가 갱신된 경우,
    PSI/SI 정보의 획득을 다시 시도하여 적어도 PSI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CDM CH가 먼저 획득되고 그 구성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PSI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PSI 정보가 먼저 획득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와;
    A/V 제공이 가능한 최소한의 CDM CH 구성정보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버전의 갱신여부에 따라 차별화된 A/V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획득된 CDM CH 구성정보의 버전이 갱신된 경우,
    CDM CH 구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PSI/SI 정보를 다시 획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CDM CH 복조를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단계를 거쳐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획득된 CDM CH 구성정보의 버전이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CDM CH 복조없이 사용자에게 Audio/Video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기억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방송 수신 중 변경사항이 있을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단말기, 위성/지상파 DMB 겸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
  25.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부와;
    최근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부터 획득된 시스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방송 수신 초기 진입시, 초기 구동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기본 동작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는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프로그램 상세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 및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는 코드분할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채널 구성 정보와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S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 기본 동작을 먼저 시도하고 실제 방송 수신을 통해 획득한 정보의 갱신 유무에 따라 수신기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부는,
    시스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를 복호하는 시스템 채널 복호부와;
    방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미디어 정보를 복호하는 방송 채널 복호부와;
    또 다른 시스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파일럿 동기신호를 복호하는 파일럿 채널 복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30. 제 25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방송 수신 중 변경사항이 있을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단말기, 위성/지상파 DMB 겸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KR20050063711A 2005-07-14 2005-07-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 방법 KR10072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3711A KR100720587B1 (ko) 2005-07-14 2005-07-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 방법
CNB2006100826002A CN100448279C (zh) 2005-07-14 2006-05-18 接收数字多媒体广播的终端及广播接收方法
JP2006194427A JP4557934B2 (ja) 2005-07-14 2006-07-14 デジタル放送受信用端末機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放送の受信方法
US11/457,790 US8059612B2 (en) 2005-07-14 2006-07-14 Method and terminal for receiving a digital broadca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3711A KR100720587B1 (ko) 2005-07-14 2005-07-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811A true KR20070009811A (ko) 2007-01-19
KR100720587B1 KR100720587B1 (ko) 2007-05-22

Family

ID=3761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3711A KR100720587B1 (ko) 2005-07-14 2005-07-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59612B2 (ko)
JP (1) JP4557934B2 (ko)
KR (1) KR100720587B1 (ko)
CN (1) CN10044827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81B1 (ko) * 2007-02-2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US9374182B2 (en) 2014-10-22 2016-06-2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3915B2 (ja) 2007-02-07 2010-09-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5319088B2 (ja) * 2007-07-17 2013-10-16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プログラム
KR101798079B1 (ko) * 2010-05-10 201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값의 차분을 이용하여 영상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42385B2 (en) * 2015-03-10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service initialization for adaptive media stream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581A (en) * 1979-06-27 1981-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Television synchronizing broadcast device
JP3866342B2 (ja) 1996-10-07 2007-01-10 順 大湖 球面に鎖の網を設けた球技用のボール
JP3140381B2 (ja) * 1996-10-30 2001-03-05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JPH11308580A (ja) 1998-04-20 1999-11-05 Fujitsu General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DE69935360T2 (de) * 1998-06-18 2007-10-31 Sony Corp. Elektronischer Programmführer und entsprechenden MPEG-Datenstrom
US6763522B1 (en) * 1998-06-30 2004-07-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television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0322295B1 (ko) 1998-12-30 2002-06-20 윤종용 수신가능한 네트워크들에 대한 psi/si를 업데이트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3549442B2 (ja) * 1999-06-28 2004-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4099051B2 (ja) * 2001-12-19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36526A (ko) * 2003-10-16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환 대기 시간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송스트림, 장치,방법 및 그 방송 수신 단말기
GB0328249D0 (en) * 2003-12-05 2004-01-07 Nokia Corp Data reception in a multi-function receiv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81B1 (ko) * 2007-02-2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US9374182B2 (en) 2014-10-22 2016-06-2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8279C (zh) 2008-12-31
US20070019588A1 (en) 2007-01-25
JP4557934B2 (ja) 2010-10-06
JP2007028627A (ja) 2007-02-01
US8059612B2 (en) 2011-11-15
KR100720587B1 (ko) 2007-05-22
CN1897661A (zh)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3535B2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KR101147760B1 (ko)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US841318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US8045591B2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KR10072058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송수신 방법
JPH09507359A (ja) 制限された有効期間を有す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のチャンネル・ガイド
KR20100126194A (ko) 디지털 방송 송신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들의 스트림 구성 및 처리 방법
MX2010011649A (es) Transmision de informacion adicional en encabezamientos de paquetes de datos encapsulados en señales de television digital movil/portatil (m/h).
CN102210143A (zh) 设计用于接收移动/手持信号的数字电视接收机中的子频道获取
EP16382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via satellite
JP2008514105A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放送サービス受信装置及び方法
JP4064771B2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とその受信端末装置
KR100730814B1 (ko) 위성 dmb 서비스를 위한 다채널 수신 장치
KR100776090B1 (ko)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의멀티앙상블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JP422345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75808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의 방송 신호 재생 방법
US20070133661A1 (en) DMB receiver capable of reducing time required for changing channel
KR101456009B1 (ko)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461986B1 (ko)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JP2008053852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送信装置
JP2005124203A5 (ko)
KR19990056477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신호 측정 방법
KR100710990B1 (ko) 위성 방송 시스템에서의 광고 방법
KR20000003670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초기 모드 서비스 방법
KR19990075945A (ko) 위성 방송 시스템의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