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866A -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 및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 및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866A
KR20070007866A KR1020067022577A KR20067022577A KR20070007866A KR 20070007866 A KR20070007866 A KR 20070007866A KR 1020067022577 A KR1020067022577 A KR 1020067022577A KR 20067022577 A KR20067022577 A KR 20067022577A KR 20070007866 A KR20070007866 A KR 20070007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loudspeaker
pleat
narrow
ho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발트 프라슬
헬무트 바신게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0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4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rrugated, pleated or ribb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바람직하게 기다란 확성기(LS)는 바람직하게 원통형 가동 코일(SP)과 기다란 다이어프램(M)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M)은 기다란 고정부(B), 상기 고정부(B) 내에 놓이는 환형의 유지부(H)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S1)을 구비하고, 상기 다이어프램(M)은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 강성을 감소시키는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은 고정부(B)와 유지부(H) 사이에 존재한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의 주름(S1)의 구성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름 밀도는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BM1, BM2)에서의 주름 밀도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다이어프램(M)은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에 추가 주름(S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주름(S2)은 반경방향에 횡단하여 연장한다. 상기 수단은 다이어프램(M)에 의해 가동 코일(SP) 상에 가해지는 불리한 기계적 힘을 최소화시키도록 국부적으로 다이어프램(M)의 강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 및 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DIAPHRAGM FOR A LOUDSPEAKER WITH A MOVING COIL}
본 발명은 확성기용 다이어프램에 관한 것으로, 다이어프램은 환형의 고정부 및 환형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부분 중 하나는 상기 두 개의 부분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놓이며, 상기 유지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 측정 가능한 최소 거리가 존재하며, 하나의 최소 거리로부터 다른 최소 거리까지 값이 달라,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주름을 포함하며, 상기 주름은 상기 유지부와 고정부 사이에 제공되며 내부로부터 외부로 주름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문단에 상술된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 2 문단에 상술된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의 소형화 및 나아가 경제성의 이유로, 외경이 50mm, 30mm, 15mm, 10mm, 6mm 까지의 아주 작지만 고출력의 확성기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된다. 이러 한 크기의 확성기의 다이어프램을 제조하는 데에 주로 합성 수지 포일(foil)이 사용되고, 사용되는 재료는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변형적으로 폴리아릴레이트로서 두께는 약 8 ㎛ 내지 150 ㎛이다. 주름이 다이어프램의 굽힘을 방해하고 동시에 최대 스트로크를 달성하도록 다이어프램을 지지하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을 기계적으로 안정화시키는 주름이 이들 다이어프램에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대략 반경방향으로 제공되고 직선 또는 구부러진 형상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어지는 주름이 알려져 있다. 보통, 주름은 가동 코일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 다이어프램의 유지부로부터 다이어프램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 다이어프램의 고정부로 방사상으로 퍼지도록 연장하며, 예를 들어 동일한 각 거리(angular distance)로 다이어프램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주름의 단면은 예를 들어 V 형상이고, 각 주름의 중심에서의 단면은 종종 주름의 단부에서보다 크다.
주름의 방사상으로 퍼지는 구성은, 다이어프램이 확성기의 작동 동안 운동하도록 된 경우에, 다이어프램 내에 길이방향 보상의 필요성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사실, 다이어프램은 원형 단면을 갖는 도넛형 표면에 대략 대응하는 아치형의 소리 발생 표면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다이어프램의 소리 발생 표면 상에 놓이는 점은 이 다이어프램의 운동 동안 반경반향으로 부분적으로 이동하며, 이는 상기 점을 통과하는 원호의 원주상에서의 변화로 이어진다. 다이어프램의 최대 스트로크를 위한 따라서 최대 음향 강도를 위한 길이방향 보상의 필요성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에 의해 가능해지며, 주름은 매번 더 큰 또는 더 작은 각도로 좁거나 넓다.
여기서, 반사상으로 퍼지는 구성의 주름은 또한, 다이어프램의 소리 발생 표면의 운동시 상기 길이방향 보상을 달성하기 위해, 보통 기다란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기다란 확성기의 경우에 다이어프램의 아치형의 소리 발생 표면에 제공된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하지만, 다이어프램상에 놓인 점들이 다이어프램의 운동시 도넛형 표면이 아니라 원통형 표면을 이동하기 때문에(이는 명백하게 두 개의 점 사이의 거리에 있어서의 변화로 이어지지 않는다), 그러한 보상은 유지부 및 고정부의 에지 또는 길이방향 측부가 상호 평행하는 다이어프램의 부분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실린더 축에 직교하는 주름은 다이어프램의 운동으로부터 유발되는 원통형 표면의 롤링(rolling) 운동을 촉진하기 보다는 방해한다.
원형 확성기와 대조적으로, 다이어프램의 유지부에 연결된 가동 코일상의 비대칭의 기계적 부하로 인해, 기다란 확성기의 작동은 상술한 비대칭 때문에 문제로 이어진다. 사실, 다이어프램의 진동 동안, 다른 값의 반경방향 힘이 가동 코일 상에 작용하고, 다이어프램이 뒤틀어질 수 있어, 상기 힘은 가동 코일 상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계적 부하로 이어진다. 합성 수지가 약 220℃의 유리 전이 온도까지 가열된 후 20 바아(bar) 내지 25 바아의 압력 하에 다이 상에서 압축되는, 자주 사용되는 고압 딥-드로잉(deep-drawing) 공정 또한 문제를 더 심각하게 한다. 다이어프램의 길이방향 신장에 있어서의 차이는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에서보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 다이어프램의 두께를 더 두껍게 만드는 경향이 있고, 이는 불행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강성에 기여한다.
수명 문제는 특히 자립형(self-supporting) 가동 코일, 즉 개별 턴(turn)이 소량의 접착제만으로 접속된 가동 코일의 경우에 발생한다. 개별 턴은 피복된 코일 와이어로 제조된 기본 코일이 가열되는 가동 코일의 제조시 상호 접속되며, 이는 코일 와이어 상에 제공된 래커 타입(lacquer-type) 층의 액화 및 후속하는 점착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제조된 가동 코일은 따라서 오직 개별 턴 사이의 작은 점착 표면적 때문에 약한 기계적 부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코일 상의 불리한 기계적 영향을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도록, 기다란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기다란 확성기에는 기다란 다이어프램의 최소 치수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형 가동 코일이 제공되며, 이는 여러 반경방향 힘 사이의 차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따라서 가동 코일 상의 기계적 부하가 허용 가능한 한계 내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동 코일의 작은 코일 직경은 최대 음향 출력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가능한 한 큰 자기 시스템의 요구와는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달걀 모양의 기다란 가동 코일이 기다란 확성기에 사용되었다. 가동 코일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다이어프램을 확성기의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사이의 일정 거리가 가능해져, 다이어프램의 운동 동안 다이어프램에 의해 가동 코일상에 가해진 기계적 힘이 중심 대칭적으로 발생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골고루 동등한 것이 달성되었다. 하지만, 달걀 모양의 가동 코일은 원형 원통형 가동 코일보다 제조하기가 훨씬 어렵고, 확성기의 자기 시스템에 대해 가동 코일의 정확한 각 상대 위치(angular relative position)를 달성하기 위해 고정밀 장착을 요구한다. 가능한 한 높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가동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자기 시스템 내의 공기 갭(air gap)이 가능한 한 좁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것은 필요하고, 공기 갭 내에서의 가동 코일의 작은 각 오정렬(angular misalignment)이라도 확성기의 오작동 및 가동 코일의 손상 또는 심지어 파괴까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위험을 피하기 위해 요구되는 노력은 그러한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의 제조를 더욱 고가로 만들고, 이는 특히 소비자가 적은 전자 장치의 분야에서 가격 압력때문에 경쟁상 불리함으로 이어진다.
가동 코일용 유지부와 다이어프램을 고정하는 고정부 사이에 다른 거리가 또한 기다란 다이어프램 및 원통형 가동 코일을 구비한 기다란 확성기에 존재한다. 가동 코일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 유지부에 대해 골고루 동일한 축방향 스트로크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본 경우에 존재하는 두 개의 넓은 영역의 영역에서보다 본 경우에 존재하는 두 개의 좁은 영역의 영역에서 더 크도록 다이어프램의 벌지(bulge)를 선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이어프램의 운동시 발생하고 이미 상술한 롤링 운동은 두 개의 넓은 영역에서보다 두 개의 좁은 영역에서 더 강하다. 이러한 이유로, 또한 두 개의 넓은 영역에서보다 짧은 레버 아암(lever arm)으로 인해 롤링 운동을 야기하는 토크가 두 개의 좁은 영역에서 보다 작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은 두 개의 넓은 영역에서보다 두 개의 좁은 영역에서 더 어렵게 변형된다. 이는 유지부의 반경방향 변형 뿐만 아니라 다이어프램의 뒤틀림 및 따라서 근본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유지부의 뒤틀림으로 이어진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다이어프램, 개선된 확성기 및 개선된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서두의 제 1 문단, 제 2 문단 및 제 3 문단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이어프램, 확성기 및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에 기술적 특징이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어질 수 있다.
확성기용 다이어프램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환형의 고정부 및 환형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부분 중 하나는 상기 두 개의 부분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놓이며, 상기 유지부 및 상기 고정부 사이에 측정 가능한 최소 거리가 존재하며, 하나의 최소 거리로부터 다른 최소 거리까지 값이 달라,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주름을 포함하며, 상기 주름은 상기 유지부와 고정부 사이에 제공되며 내부로부터 외부로 주름 방향으로 연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이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소 수단의 제공은,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 있어서의 변형 저항이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에서의 변형 저항과 비교하여 감소되는 것을 달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어어프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의 작동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다이어프램의 유지부 상에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다이어프램의 유지부의 축방향 운동이 전체 유지부를 따라 아주 동등하며, 다이어프램의 유지부는 뒤틀어지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의 자기 시스템의 공기 갭 내에서 정확하게 선형의 축방향 운동을 수행하면서, 유지부에 접속된 가동 코일은 바람직하지 않고 불리한 어떠한 힘에도 유리하게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항상 원통형 형상을 유지한다.
이는 제조 및 취급의 용이함과 함께 양호한 효율을 갖는 상대적으로 큰 원통형 코일, 특히 자립형 코일이 기다란 확성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과 조합하여 사용시 만족할 만한 긴 수명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동 코일과 관련한 안정성 문제가 소위 색 다이어프램(sack diaphragm)에서 약간 덜 현저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가동 코일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다이어프램의 오목부에 합체되는 색 다이어프램과 함께 사용되기에도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의 감소 수단은,주름 밀도가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에서의 주름 밀도보다 작은, 주름의 특별한 구성에 의해 형성될 때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기계적 특성, 특히 길이방향 및 횡방향에서의 다이어프램의 강성 특성의 바람직한 동등화 및 따라서 가동 코일 상에 작용하는 힘의 바람직한 동등은 이 유리한 실시예에서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사실,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의 주름의 보다 작은 주름 밀도는 이 좁은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보다 더 유연하게 하고, 이는 다어어프램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에서 강성 또는 변형 저항이 상호 유사한 값을 갖고 이상적인 경우에는 완전히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을 달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의 주름 밀도가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에서의 주름 밀도의 절반인 경우에 더 유리하다. 비규칙적으로 분포된 주름은 보통 규칙적으로 분포된 주름보다 제조하기가 더 어렵다. 기술적 노력과 그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 사이의 현명한 절충을 달성하기 위해, 주름에 대한 상기 밀도 비는 하한(下限)으로서 제안된다. 거의 회전적으로 대칭의 확성기의 경우에 주름의 비균일 분포는 명확하게 덜 중요하게 보이므로, 측정의 필요성은 또한 확성기의 측면 비에 상당히 종속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의 주름 밀도가 제로(zero)일 때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 낮은 주름 밀도를 갖는 본 발명의 해법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해법에 있어서 주름이 없는 강성 감소부가 각 좁은 영역에 제공되고, 이는 구성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하기에 유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의 감소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주름은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방향과 상기 추가 주름에 접하는 주름의 주름 방향은 적어도 두 개의 점에서 교차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해법은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름은 적어 도 하나의 좁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에서의 기계적 특성, 특히 강성의 동등화에 더욱 기여한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름은 이 좁은 영역에서의 강성을 더욱 감소시켜, 변형 저항의 동등화가 간단한 방식으로 보다 용이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에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즉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이 제공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주름이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추가 주름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즉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에 횡단하도록 연장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이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서보다 더 밀도가 높게 배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 주름이 다이어프램의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주름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반경반향이 아니라 반경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우에, 상술된 두 개의 가능성의 조합은 또한 유리하다. 이러한 배치는 가동 코일 상의 기계적 부하를 가능한 한 동등하게 달성하는데 동일하게 유리하여, 가동 코일의 긴 유효 수명이 보장된다.
상기 유지부는 원형 형상이고, 상기 추가 주름은 상기 유지부의 접하는 영역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원호 형상인 경우에, 추가 주름을 갖는 본 발명의 해법이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가동 코일을 위한 유지부의 바로 근방에 따라서 가동 코일 자체의 바로 근방에, 어느 정도 다이어프램 내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그러 한 추가 주름의 제공은 가동 코일의 특히 만족할 만한 부하 경감으로 이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름은 유지부에 대한 접선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선형 형상인 경우도 또한 바람직하다. 그러한 추가 주름은 상술된 원형 추가 주름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지만, 제조면에서 기술적으로 약간 간단하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름이 U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경우에 또한 유리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구성에 따라, 추가 주름이 보통 V 형상인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에 부딪히거나 횡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그러한 경우에 V 형상의 단면이 또한 추가 주름에 대하여 선택된다면, 상대적으로 예리한 모서리가 교차 영역에 존재할 것이고, 상기 예리한 모서리는 다이어프램의 유효 수명을 감소시킬 것이다. 하지만, 만약 U 형상의 단면이 선택된다면, 이들 교차 영역에서의 기계적 부하가 또한 작다는 결과와 함께, 교차 영역에서 보다 부드러운 전이부가 얻어질 것이고, 이는 다이어프램의 긴 수명을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그럼에도, 추가 주름의 V 형상 단면 또한 가능하다.
추가 주름이 전체 길이방향 치수에 걸쳐 동일한 단면을 갖는 경우에 또한 유리하다. 유리하게, 그러한 추가 주름은 보통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 주름보다 제조하기가 더 간단하다.
유지부가 원형 형상인 경우에 또한 유리하다. 이는 유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에 제조하기가 간단한 원형 원통형 코일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확성 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작지만 고출력의 기다란 확성기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사용으로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은 여기에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크기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이상의 특징 및 추가의 특징이 아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이들 실시예를 참조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두 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란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확성기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확성기의 다이어프램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를 도 1a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다이어프램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폭방향의 두 개의 영역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을 포함하는 도면,
도 2b는 도 2a의 확성기의 다이어프램을 도 1b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를 도 1a 및 도 2a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다이어프램은 폭방향의 두 개의 영역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좁은 영역 각각에 확성기의 코일에 대하여 동심적으로 연장하는 원형의 추가 주름을 포함하는 도면,
도 3b는 도 3a의 확성기의 다이어프램을 도 1b 및 도 2b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이러프램(M)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확성기(LS)를 도시한다. 확성기(LS)는 하우징(G), 본 경우에서는 달걀 형상으로 환형의 기다란 고정부(fastening part)(B)에 의해 상기 하우징(G)에 연결된 다이어프램(M) 및 접착제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G)은 다이어프램(M)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자기 시스템(magnet system)(도 1a에 도시되지 않음)이 하우징(G)에 설비되고, 가동 코일(SP)이 상기 자기 시스템과 협동한다. 가동 코일(SP)은 접착제에 의해 다이어프램(M)의 환형 유지부(H)에 연결되고, 본 경우에서 유지부(retaining part)(H)는 고정부(B) 내측에 놓인다. 다이어프램(M)의 환형 유지부(H)는 가동 코일(SP)의 원형 원통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형상이다. 환형 고정부(B)는 달걀 형상이지만,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형상때문에 배치되면, 고정부(B)와 유지부(H) 사이에는 다른 거리가 존재한다. 즉, 본 경우에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넓은 다이어프램부, 즉 두 개의 넓은 영역(BM1, BM2)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개의 좁은 다이어프램부, 즉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이 존재하고, 네 개의 다이어프램부(BM1, SM2, BM2, SM1)는 서로 완만하게 바뀐다. 고정부(B)와 유지부(H)는 하나의 평면에서 연장하는 반면, 두 개의 넓은 다이어프램부, 즉 두 개의 넓은 영역(BM1, BM2)과 두 개의 좁은 다이어프램부, 즉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은 둥근 천장 형상이다. 고정부(B) 및 유지부(H)는 각각 폐쇄된 환형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유지부가 단속적인 환형 형상을 갖고, 두 개의 유지부 영역 사이에 비어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
다이어프램(M)에는 주름(S1)이 제공되고, 주름(S1)은 유지부(H) 따라서 가동 코일(SP)과 관련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즉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의 주름 방향으로 연장하며, 주름(S1)은 직선 형상이며, 유지부(H)로부터 고정부(B)까지 연장하도록 규칙적인 배열로 나란히 놓인다. 따라서 주름(S1)은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 및 두 개의 넓은 영역(BM1, BM2)에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주름(S1)은 다이어프램(M)에 대하여 보강 기능을 수행한다. 도 1b는 도 1a의 확성기(LS)의 다이어프램(M)을 도시할 뿐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M)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LS)를 도시한다. 보강 목적을 위해 제공된 주름(S1)은 균일한 분포로 나란히 배치되지 않고, 두 개의 넓은 다이어프램부 영역, 즉 두 개의 넓은 영역(BM1, BM2)에는 균일 분포가 존재하는 반면, 두 개의 좁은 다이어프램 영역, 즉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에는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의 각 중심에 주름이 전혀 제공되지 않아 비균일 분포가 존재한다. 제공된 주름(S1)은 유지부(H)로부터 다이어프램(M)의 고정부(B)까지 유지부(H)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여기에 제공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주름(S1)은 유지부(H) 및 고정부(B)까지 바로 연장한다. 주름(S1)의 단부는 변형적으로 유지부(H) 및 고정부(B)로부터 약간 큰 거리에서 종결할 수 있다. 주름(S1)은 본 경우에서 V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하지만, 변형적으로 특히 물결 모양의 형상도 가능하다.
주름(S1)의 단면은 일정하지 않고, 각 주름(S1)의 양 단부에서보다 각 주름(S1)의 중심에서 크다는 것이 또한 도 2a 및 도 2b에서 명백하다. 이러한 단면 구배는, 각 주름(S1)의 중심에서 보다 강한 보강 효과가 달성되고 따라서 다이어프램(M)의 바람직하지 않은 주름잡힘(crinkling)의 억제가 각 주름(S1)의 중심에서 가장 강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좁은 다이어프램부의 영역, 즉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의 중심에 부분적으로 주름이 제공되지 않아, 주름이 없는 강성 감소부(SR1, SR2)가 각 개별 중심 영역에 존재한다. 두 개의 강성 감소부(SR1, SR2)는 함께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에 다이어프램(M)의 강성을 감소시키는 강성 감소 수단, 즉 감소 수단(SRM)을 형성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M)은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 다이어프램(M)의 강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감소 수단(SRM)을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 포함한다. 감소 수단(SRM)을 위해 선택된 구성 배치는 본 경우에 있어서 주름이 없는 두 개의 강성 감소부(SR1, SR2)의 실현이다. 감소 수단(SRM)의 제공은, 유지부(H)와 고정부(B) 사이의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 때문에 다이어프램(M)이 상대적으로 강성인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의 다이어프램(M)의 강성의 감소를 달성한다.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과 두 개의 넓은 영역(BM1, BM2)에서의 다이어프램(M)의 기계적 특성은 감소 수단(SRM)에 의해 서로 동등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성 감소부(SR1, SR2) 영역에서의 주름의 생략은 유리하게도, 다이어프램(M)의 기다란 구성 및 다이어프램(M)의 유지부(H)의 원형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확성기(LS)의 작동 중 가동 코일(SP)에 비균일 부하가 발생하지 않게 하며, 이는 가동 코일(SP)의 가능한 한 정밀한 축방향 움직임, 망가지기 쉬운 가동 코일(SP)에 가능한 한 낮은 기계적 부하 및 가동 코일(SP)의 가능한 한 긴 유효 수명을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명백하게, 주름(S1)의 주름 밀도에 있어서의 보다 덜 급격한 변화, 즉 주름이 없는 영역과 주름이 있는 영역 사이의 덜 급격한 변이(transition)가 가능하고, 상기 변이에 있어서, 예를 들어 주름(S1)의 주름 밀도는 주름이 없는 영역의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선택된다. 변형적으로, 주름이 없는 영역 각각은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된 것보다 작거나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주름이 없는 영역, 즉 주름 밀도가 제로인 영역 대신에, 넓은 영역과 비교하였을 때 적은 수의 주름 및 작은 주름 밀도를 갖는 영역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b는 보다 명확함을 위해 다이어프램(M)을 사시도로서 도시한다. 여기서, 쌍으로 배치되고 서로 바뀌는 네 개의 다이어프램부(BM1, SM2, BM2, SM1)에서 다이어프램(M)은 아치형 형상임을 알 수 있고, 이는 무엇보다도 다이어프램(M)의 진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다이어프램(M)의 안정화에도 기여한다.
도 3a는 도 2a의 확성기(LS)와 유사한 확성기(LS)를 도시하며, 다이어프램(M)에는 두 개의 좁은 다이어프램부의 각 영역에, 즉 좁은 영역(SM1, SM2)에 추가 주름(S2)이 제공되며, 추가 주름(S2)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지 않지만, 적어도 두 개의 점에서 추가 주름(S2)과 접하는 주름(S1)의 주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두 개의 추가 주름(S2)은 원호 형상이고, 유지부(H)의 인접 영역에 평행하며, 단부는 주름(S1)에 제공된 넓은 다이어프램부(BM1, BM2)까지 연장한다. 두 개의 추가 주름(S2)은 본 경우에 있어서 유지부(H)와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원호의 중심이 각 추가 주름(S2)에 대응하고, 유지부(H)에 대응하는 원의 중심은 동일할 필요가 없고 서로로부터 약간 떨어져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유리하다.
두 개의 추가 주름(S2)은 도 3a 및 도 3b의 다이어프램(M)의 감소 수단(SRM)의 부분으로서 간주되는 것으로, 두 개의 추가 주름(S2)은 두 개의 강성 감소부(SR1, SR2)에 추가하여 제공되며, 두 개의 좁은 다이어프램부의 영역, 즉 좁은 영역(SM1, SM2)에서의 다이어프램(M)의 강성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 및 구성된다. 본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추가 주름(S2)은 일정 치수의 U 형상 단면을 갖는다. 어느 정도 다이어프램에서 접합부(joint)를 각각 형성하는 두 개의 추가 주름(S2)의 제공은,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의 다이어프램(M)의 강도를 도 2a 및 도 2b의 다이어프램에서보다 보다 작게 한다. 이것의 결과로서 두 개의 좁은 영역(SM1, SM2) 및 두 개의 넓은 영역(BM1, BM2)에서의 다이어프램(M)의 기계적 특성을 특별히 만족스럽고 간단한 방식으로 동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동 코일(SP)에는 비대칭 부하가 거의 작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러한 비대칭 부하에 의해 야기되는 불리함이 배제된다.
따라서, 추가 주름(S2)은, 둘 다 기다란 형상인 확성기(LS) 및 다이어프램(M)의 길이 및 폭의 비율 때문에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이어프램(M)에 의해 진동성 운동에 있어서 가동 코일(SP)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할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도 3b는 보다 명확함을 위해 다이어프램(M)을 사시도로서 도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는 볼 발명에 따른 장치에 합체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장치는 이동 전화, 소위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또는 유사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 및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 구성의 확성기, 예를 들어 기다란 다이어프램이 원통형 가동 코일을 갖는 기다란 확성기의 타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며, 또는 계란형,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비원형 가동 코일과 협동하는 확성기 및 다이어프램의 변형적인 원형 실시예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가동 코일은 반드시 여기의 원형 원통형의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고, 바람직하게 자립형 코일로서 형성되는 코일링 공정(coiling process)에 의해 코일 와이어로부터 제조되는 가동 코일로서 형성될 필요는 없고, 가동 코일은 변형적으로, 예를 들어 특허문헌 미국 특허출원 2003/0016113 A1호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평면의 박형 코일(foil-type coil) 부분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소위 적층 코일(stacked coil)일 수도 있다. 그러한 적층 코일은 정사각형 단면, 직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정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좁은 다이어프램부, 즉 좁은 영역(SM1, SM2) 각각에 대한 오직 하나의 추가 주름 대신에, 두 개 또는 세 개의 추가 주름이 변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단은 또한 고정부가 유지부 내에 놓이고, 가동 코일이 다이어프램의 가장 바깥쪽 유지부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에 대하여도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 확성기 기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밀봉 기능을 수행하고 다이어프램의 뒤에 존재하는 공기로부터 다이어프램 앞에 존재하는 공기의 분리를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추가 밀봉부가 유지부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1)

  1. 확성기(LS)용 다이어프램(M)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M)은 환형의 고정부(B) 및 환형의 유지부(H)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부분(B, H) 중 하나는 상기 두개의 부분(B, H)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놓이며, 상기 유지부(B) 및 상기 고정부(H) 사이에 측정 가능한 최소 거리가 존재하며, 하나의 최소 거리로부터 다른 최소 거리까지 값이 달라,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BM1, BM2)과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이 존재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주름(S1)을 포함하며, 상기 주름(S1)은 상기 유지부(H)와 고정부(B) 사이에 제공되며 내부로부터 외부로 주름 방향으로 연장하며,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의 상기 다이어프램(M)의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 수단(SRM)이 제공되는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의 감소 수단(SRM)은, 주름 밀도가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BM1, BM2)에서의 주름 밀도보다 작은, 주름(S1)의 특별한 구성에 의해 형성되는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의 주름 밀도는 적어도 하나의 넓은 영역(BM1, BM2)에서의 주름 밀도의 절반인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에서의 주름 밀도는 제로 값인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좁은 영역(SM1, SM2)의 감소 수단(SRM)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주름(S2)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주름은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방향과 상기 추가 주름(S2)에 접하는 주름(S1)의 주름 방향은 적어도 두 개의 점에서 교차하는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H)는 원형 형상이고,
    상기 추가 주름(S2)은 상기 유지부(H)의 접하는 영역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원호 형상인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주름(S2)은 U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주름은 전체 길이방향 치수에 걸쳐 동일한 단면을 갖는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H)는 원형 형상인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10. 다이어프램(M)을 구비한 확성기(LS)에 있어서,
    상기 확성기(LS)에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어프램(M)이 제공된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
  11. 확성기(LS)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제 10 항에 따른 확성기(LS)가 제공된
    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067022577A 2004-04-29 2005-04-19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 및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 KR20070007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101835 2004-04-29
EP04101835.9 2004-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866A true KR20070007866A (ko) 2007-01-16

Family

ID=3496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577A KR20070007866A (ko) 2004-04-29 2005-04-19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 및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16047B2 (ko)
EP (1) EP1759562A1 (ko)
JP (1) JP2007535260A (ko)
KR (1) KR20070007866A (ko)
CN (1) CN101002502B (ko)
WO (1) WO2005107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4743A (ja) * 2004-02-27 2005-09-08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並びに携帯用通信機器
US7510047B2 (en) * 2004-03-05 2009-03-31 Keiko Muto Speaker edge and resonator panel assembly
US7644801B2 (en) * 2005-03-10 2010-01-12 Nxp B.V. Membrane with a high resistance against buckling and/or crinkling
EP1889511B1 (en) * 2005-05-25 2010-08-25 Nxp B.V. Improved membrane for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8259987B2 (en) * 2007-01-11 2012-09-0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iaphragm, diaphragm assembly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101946525B (zh) * 2008-02-25 2015-10-14 日本先锋公司 扬声器装置
US20110293120A1 (en) * 2010-05-25 2011-12-01 Timothy Val Kolton Earphone transducer
CN202004956U (zh) * 2010-12-31 2011-10-05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发声器
US9253576B2 (en) 2013-11-21 2016-02-02 Bose Corporation Suspension for acoustic device
US9226074B2 (en) * 2013-11-21 2015-12-29 Bose Corporation Surround with variations of concavity
USD780159S1 (en) * 2014-07-15 2017-02-28 Funktion One Research Loudspeaker
USD769215S1 (en) * 2014-07-15 2016-10-18 Funktion One Research Loudspeaker
USD780158S1 (en) * 2014-07-15 2017-02-28 Funktion One Research Loudspeaker
CN204425607U (zh) * 2015-02-02 2015-06-24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扬声器箱
US9900698B2 (en) * 2015-06-30 2018-02-20 Apple Inc. Graphene composite acoustic diaphragm
CN108235217B (zh) * 2016-12-15 2020-09-1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一种传声器的制备方法
CN107018471B (zh) * 2017-05-24 2019-12-13 歌尔股份有限公司 振膜及设有该振膜的微型发声器
CN206923018U (zh) * 2017-06-20 2018-01-2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音膜、发声器件和电子设备
CN206923031U (zh) * 2017-06-20 2018-01-23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音膜、发声器件和电子设备
JP2019161542A (ja) * 2018-03-15 2019-09-19 オンキヨー株式会社 振動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ユニット、ヘッドホン、並びにイヤホン、振動板の製造方法
US11140488B2 (en) * 2018-05-22 2021-10-05 B&W Group Ltd. Speaker-driver cone with increased stiffness
WO2020168063A1 (en) 2019-02-13 2020-08-20 Polk Audio, Llc Elliptical ring radiator diaphragm, tweeter and damping method
CA3148130A1 (en) * 2019-07-29 2021-02-04 Polk Audio, Llc Loudspeaker cone with raised curved protrus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sonant modes
CN214101795U (zh) * 2020-12-25 2021-08-31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音膜成型模具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0330A (en) * 1923-06-14 1927-08-23 Lakhovsky Georges Diaphragm for telephonic apparatus
US1732351A (en) * 1926-03-31 1929-10-22 George F Borkman Balanced resiliency multiple-action one-piece diaphragm
US1734624A (en) * 1926-04-16 1929-11-05 Bell Telephone Labor Inc Piston diaphragm having tangential corrugations
US1918422A (en) * 1926-06-22 1933-07-18 United Res Corp Sound-reproducing device
US1870417A (en) * 1929-01-15 1932-08-09 Rca Corp Diaphragm
US1990409A (en) * 1932-02-19 1935-02-05 Neville Athol Ernest Acoustical diaphragm
US2302178A (en) * 1940-11-12 1942-11-17 Joseph B Brennan Acoustic diaphragm
US2439665A (en) * 1944-01-31 1948-04-13 Rca Corp Sound reproducing device
US2531634A (en) * 1945-01-11 1950-11-28 Athol E N Lawrance Acoustical diaphragm with stiffening means
US2960177A (en) * 1957-11-25 1960-11-15 Hawley Products Co Acoustical devices
US3132713A (en) * 1961-05-25 1964-05-12 Shure Bros Microphone diaphragm
US3342286A (en) * 1966-06-22 1967-09-19 Motorola Inc Compliance activated multi-diaphragm
FR2282203A1 (fr) * 1974-08-12 1976-03-12 Rehde Weber Haut-parleur
JPS5613897A (en) * 1979-07-13 1981-02-10 Toshiba Corp Supporting device for ring-shaped diaphragm
US4581496A (en) * 1979-09-04 1986-04-08 Emhart Industries, Inc. Diaphragm for attenuating harmonic response in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S60220699A (ja) * 1984-04-18 1985-11-05 Hitachi Ltd スピ−カ
JPS63274296A (ja) 1987-04-30 1988-11-11 Gifu Koon Seisakusho:Kk 偏平形スピ−カ
US4881617A (en) * 1988-12-30 1989-11-21 Alexander Faraone Radially arcuated speaker cone
JP3111729B2 (ja) * 1993-03-12 2000-11-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用振動板
JPH09224297A (ja) 1996-02-16 1997-08-26 Sharp Corp 音響変換器の振動板
US5847332A (en) * 1997-11-10 1998-12-08 Faraone; Alexander Polycarbonate-based radially arcuated speaker cone
WO2001056330A2 (en) * 2000-01-27 2001-08-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a diaphragm with coil mounting projections and interposed stabilizing walls
US6654475B2 (en) * 2000-09-29 2003-11-2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Electricity-to-sound transducer
CN2469647Y (zh) * 2001-03-28 2002-01-02 美律实业股份有限公司 收送话器的振动膜
JP3915448B2 (ja) * 2001-07-30 2007-05-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EP1377115B1 (en) * 2002-06-24 2016-01-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oudspeaker diaphragm
WO2004004410A1 (ja) * 2002-06-26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スピーカエッジ
JP2004048494A (ja) * 2002-07-12 2004-02-1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用振動板
WO2004047487A1 (en) * 2002-11-21 2004-06-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acoustic transducer comprising a membrane with a middle area comprising stiffening grooves
EP1519621B1 (en) * 2003-08-19 2008-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oudspeaker
JP4215624B2 (ja) * 2003-11-20 2009-01-2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音響装置
US7483545B2 (en) * 2004-07-07 2009-01-27 Tadashi Nagaoka Acoustic diaphragm
CN1921704A (zh) * 2005-08-26 2007-02-28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微型电声装置的音膜
JP2007081901A (ja) * 2005-09-15 2007-03-29 Foster Electric Co Ltd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2502B (zh) 2011-07-20
WO2005107315A1 (en) 2005-11-10
US20070209866A1 (en) 2007-09-13
JP2007535260A (ja) 2007-11-29
EP1759562A1 (en) 2007-03-07
CN101002502A (zh) 2007-07-18
US7416047B2 (en)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7866A (ko) 확성기용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확성기 및확성기를 포함하는 장치
US8094864B2 (en) Diaphragm unit and speaker using the same
EP1659823B1 (en) Loudspeaker suspension
US1032707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eaker diaphragm
KR101061550B1 (ko) 장방형 서스펜션 및 이를 채용한 스피커 모듈
EP2952014B1 (en) Electro acoustic diaphragm
US10910146B2 (en) Three-phase reactor including vibration suppressing structure part
US9398376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P3038379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4834004B2 (ja) 動的コンバータのための膜
JP6925412B2 (ja) 側面に搭載された振幅トランスを有する超音波振動システム
US9226074B2 (en) Surround with variations of concavity
CN101310561B (zh) 用于压电扬声器的不对称动作系统和不对称扬声器
JP2006351679A (ja) リアクトル装置
JP2009162601A (ja) 光ひずみゲージ
JP2005094766A (ja) ダイナミックコンバータ、特に小型スピーカ
JP3619337B2 (ja) スピーカ
US11341948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improved spring arrangement
JP5310615B2 (ja) 誘導機器
JP4054707B2 (ja) スピーカ用エッジ
CN110775937A (zh) Mems膜片及mems传感器芯片
WO2023276205A1 (ja) 磁歪素子
JP2016072752A (ja) 電気音響変換器
BR102022012163A2 (pt) Transdutor de fita com sistema de tensionamento magnético
CN111137841A (zh) Mems膜片及mems传感器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