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161A - 피봇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피봇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161A
KR20070007161A KR1020067022156A KR20067022156A KR20070007161A KR 20070007161 A KR20070007161 A KR 20070007161A KR 1020067022156 A KR1020067022156 A KR 1020067022156A KR 20067022156 A KR20067022156 A KR 20067022156A KR 20070007161 A KR20070007161 A KR 20070007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rtions
hinge member
housing
shap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074B1 (ko
Inventor
윌리엄 자일스 디. 맥
마크 더블유. 올리버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07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부분(110) 상의 디스플레이(150), 제2 하우징 부분(120) 상의 키패드(162), 및 힌지부(130)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힌지 부재(130)는 제1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제1 부분 부재(132)와 제2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제2 부분(13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및/또는 키패드는 힌지 부재가 하우징 부분에 대해 피봇되는 위치에 따른 힌지 부재의 개방에 의해 가로보기 또는 세로보기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 이동 전화기, 하우징, 키패드, 디스플레이, 가로보기, 세로보기

Description

피봇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HANDHELD ELECTRONICS DEVICE HAVING PIVOTAL HINGE MECHANIS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들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전자 장치에서의 피봇식 힌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힌지형 하우징을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명칭이 "적응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인 미국 특허 제6,549,789호에는 클램쉘(calmshell) 모양의 하우징을 갖는 휴대용 이동 전화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장치의 상단부에서 유니버셜 힌지(universal hinge)에 의해 결합된다. 미국 특허 제6,549,789호에서, 힌지는 하우징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접히고 펼쳐질 수 있도록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6,549,789호의 힌지는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삼성(Samsung)의 V500 이동 전화기는 클램쉘 모양의 힌지를 포함한다. 삼성의 V5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갖는 하우징 부분은 가로보기(landscape) 형상과 세로보기(portrait) 형상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이하에 설명 되는 첨부 도면을 신중히 고려할 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보다 완전하게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힌지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이동 전화기, 무선 가능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또는 포켓 무선 통신 장치의 형태이다. 대안적으로,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능력을 갖거나 그렇지 않은 개인용 오거나이저(organizer) 또는 계산기 또는 소정의 기타 장치일 수도 있다.
도1은 힌지형 하우징 부분이 폐쇄된 형상인 예시적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는 힌지형 하우징 부분이 폐쇄된 형상인 예시적인 전자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은 힌지형 하우징 부분이 개방된 형상인 예시적인 전자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4는 피봇식 힌지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5는 피봇식 힌지 부재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6은 피봇식 힌지 부재가 정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7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세로보기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피봇식 힌지가 위치된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8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가로보기 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피봇식 힌지가 위치된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9는 피봇식 힌지가 하나의 모서리에서 제1 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10은 피봇식 힌지가 하나의 모서리에서 제2 형상으로 배치된 다른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11은 개방되고 부분적으로 피봇된 형상인 다른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12는 개방되고 부분적으로 피봇된 형상인 다른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1에서, 예시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힌지 부재(130)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제2 하우징 부분(120)에 결합된 제1 하우징 부분(110)을 포함한다. 도2는 또한 도2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하며, 유사한 구성 요소는 유사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도1 및 도2에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의 위로 적층된 폐쇄된 형상에 있다.
일반적으로, 힌지 부재는 제1 하우징 부분에 결합된 제1 부분과, 제2 하우징 부분에 결합된 제2 부분을 갖는다. 도2에서, 예시적인 힌지 부재는 제1 하우징 부분에 결합된 제1 플랜지부(132)와, 제2 하우징 부분(120)에 결합된 제2 플랜지부(134)를 포함한다. 도2는, 힌지 부재가 개방된 형상과 폐쇄된 형상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36)에 의해 제1 플랜지부(132)가 제2 플랜지부(134)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2에서,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역시 폐쇄된 형상인 폐쇄된 형상에 있다. 도3에서,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서로 분리된 개방된 형상에 있다.
도1 내지 도3에서, 예시적인 힌지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폐쇄된 형상에 있을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배치된 개방 가능한 대체로 U자형 힌지 부재이다. 도11에서, 힌지부는 피봇팅 부재(137)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는 개방 또는 폐쇄되어 있는 동안 하나의 하우징 부분이 다른 하우징 부분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돕도록, 개방 또는 폐쇄 기구, 예컨대 스프링 편의형 캠 또는 종동자 조립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힌지부는 일부 다른 유형의 힌지, 예컨대 굴곡 가능한 또는 가요성 부재 또는 재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한 힌지 기구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힌지부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6,549,78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초과의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거나 회전되는 유니버셜 힌지이다. 다른 다중축 힌지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힌지부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축, 예컨대 도2 및 도3에 도시된 힌지축(138)을 중심으로 피봇될 것이다. 힌지 부재는 플라스틱, 복합재, 금속 또는 소정의 다른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며, 힌지 부재의 제2 부분은 제2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봇 부재는 힌지 부재를 하우징에 결합시킨다. 도3에서, 예를 들어 힌지 부재(131)는 플랜지부(132)를 하우징 부분(110)에 피봇식으로 결합시키며, 피봇 부재(133)는 플랜지부(133)를 하우징 부분(120)에 피봇식으로 결합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다른 구조물 또는 기구에 의해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1 및 도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도2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폐쇄된 형상에 있을 때 공통축(139)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축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축, 예컨대 도1에서의 힌지축(138)은 제1 및 제2 힌지부가 그를 중심으로 피봇되는 축과 평행하지 않다. 도1에서, 예를 들어 힌지축(138)은 축(139)과 수직이다. 도1에서의 이러한 예시적인 힌지축(138, 139)은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교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부는 하우징 부분이 힌지 부재에 그를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축(139)과 평행한 회전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1에서, 피봇식 힌지 부재 축(139)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폐쇄된 하우징 조립체를 통해 다른 위치될 수도 있지만, 직사각형 하우징 조립체의 일 단부를 향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9 및 도10에서, 힌지 피봇부(131)는 장치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봇축을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것은 힌지 부재가 보 다 넓은 각도 범위를 통해 피봇될 수 있게 한다. 도1에서, 예를 들어 피봇축(129)은 장치의 일 단부에서 대칭적으로 위치되며, 따라서 약 180도의 피봇 범위를 잠재적으로 허용한다. 도9 및 도1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힌지 부재는 약 90도의 다소 제한된 범위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폐쇄된 또는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배치된 개방 가능한 대체로 u자형 부재이다. 도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플랜지부(132, 143)는 폐쇄된 형상에 있는 대응하는 하우징 부분(110, 120)의 외부면(111, 121)에 대해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힌지 플랜지부는 하우징 부분의 내부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플랜지부(132, 134)가 대응하는 하우징 부분(110, 120)의 내부면 상에 배치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플랜지부(132, 134)는 대응 하우징 부분의 개구, 예컨대 슬롯 내부로 연장한다. 도11은 적어도 하나의 힌지 플랜지부(132)가 하우징 부분 내의 대응하는 슬롯(152) 내에서 피봇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피봇된다. 더욱 일반적으로, 하우징 부분은 또한 하우징 부분이 개방된 형상일 때, 힌지 부재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힌지 부재에 대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은 적층된 또는 폐쇄된 하우징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중심으 로 피봇되는 힌지 부재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하우징 부분은 보다 긴 면과 보다 짧은 면을 갖는 형상의 직사각형, 더욱 일반적으로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예시적인 면들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직선이지만, 보다 길고 보다 짧은 면들은 예컨대 편평한 반타원형 하우징 조립체의 경우에는 곡선이다. 도4에서, 힌지 부재(130)는 초기에 하우징 부분(110, 120)의 짧은 면을 따라 위치된다. 도5에서, 힌지 부재(130)는 폐쇄된 하우징 조립체의 다른 면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부(131)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피봇된다. 도6에서, 힌지 부재(130)는 폐쇄된 하우징 조립체의 보다 긴 면을 따라 위치된다.
도4 내지 도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90도 이상 피봇되거나 회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180도 및 360도 또는 그 이상까지의 보다 큰 각도를 통해 회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 피봇부의 회전은 인덱싱된다(indexed). 예를 들면, 힌지 부재 또는 하나의 하우징 부분 상의 멈춤쇠가 힌지 부재를 미리 선택된 위치로 확실하게 고정하거나 보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수단이 힌지 부재를 인덱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의 분리각으로 인덱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는 보다 작은 각도, 예컨대 30도 또는 45도로 인덱싱될 수도 있다. 도12에서, 스틸 또는 비디오 카메라(160)는 하나의 하우징 부분 상에 배치되며, 힌지를 피봇시킴으로써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부재(130)가 회전되기 전에 화살표(101) 방향으로 외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도4에서, 예를 들어 힌지 부재(130)에 결합된 피봇 부재(131)는 힌지 부재의 회전을 허용하기 전에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슬롯(116)을 따라 활주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는 그 회전이 허용되기 전에 가압되어야 한다. 힌지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힌지 부재는 도시되지 않은 포획부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힌지 부재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힌지 부재는 어느 하나의 방향 또는 둘 모두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자형 힌지는 하우징의 모서리 또는 다른 돌출부를 중심으로 힌지가 피봇될 수 있도록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측방향으로 활주된다. 예를 들면, 힌지는 힌지를 하우징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의 편의에 대항하여 활주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힌지는 힌지가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먼저 이동되지 않는 한 힌지의 회전 또는 피봇을 방지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힌지 부재는 힌지 부재가 하우징 부분에 대해 상이한 위치로 피봇된 때 개방될 수 있다. 힌지 부재(13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때, 하우징 부분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개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유사하게, 힌지 부재(130)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때, 하우징 부분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개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7 및 도8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직사각형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150)를 포함 한다. 도7에서, 디스플레이는, 힌지 부재를 도4에 도시된 제1 위치로 피봇하여 개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개방되거나 분리된 때, 세로부기 형상으로 배향된다. 도8에서, 디스플레이는, 힌지 부재를 도6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위치시켜 개방된 때, 가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된다. 유사하게, 도7에서 숫자/제어 키패드(162)는 힌지 부재가 도4에 도시된 제1 위치로 위치된 때, 세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된다. 키패드(162)는 힌지 부재가 도6에 도시된 제 2위치로 배치된 때, 가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120)는 일 면 상에서 도7에 도시된 숫자 키패드(162)를 포함하며, 반대측 면 상에서 도8에 도시된 쿼티(Qwerty) 키패드(164)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형상의 경우, 힌지 플랜지는 키패드(162, 164) 사이의 슬롯 내에서 피봇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부재(130)는 도7에 도시된 힌지축(138)에 가로로 놓인 제2 축(13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유형이다. 힌지 부재(130)에 대해 축(135)을 중심으로 제2 하우징 부분(120)을 회전시킴으로써 키패드(162, 164)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은 힌지 부재에 대해 독립적으로 피봇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7에서, 디스플레이(150)는 세로보기 또는 가로보기 형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반면 키패드(162)는 디스플레이(150)의 형상과 무관하게 가로보기 또는 세로보기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개시 사항 또는 현재 이의 최상의 방법으로 고려된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한 소유권을 확립하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이를 제조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많은 균등물이 존재하며 예시적인 실시예가 아닌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휴대용 전자 장치이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과,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배치되며, 그 일부분이 제1 하우징 부분과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다른 부분이 제2 하우징 부분과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대체로 u자형인 개방 가능한 힌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피봇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상기 힌지 부재가 제1 위치에 있고 힌지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90도 이상으로 피봇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보다 긴 면과 보다 짧은 면을 갖는 대체로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힌지 부재의 제1 위치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보다 긴 면을 따르고,
    상기 힌지 부재의 제2 위치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보다 짧은 면을 따르는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힌지 부재를 제1 위치로 개방함으로써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분리된 때 세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힌지 부재를 제2 위치로 개방함으로써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분리된 때 가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피봇축을 중심으로 피봇되며,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축과 정렬되지 않은 제2 축을 중심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축은 수직이며, 교차하지 않는 휴대용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장치의 모서리에 배치된 피봇축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8. 휴대용 전자 장치이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과,
    상기 제1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제1 부분을 가지며, 제2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제2 부분을 갖는 힌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에 대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되고,
    상기 힌지 부재는 힌지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그리고 힌지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을 적층된 형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적층된 형상일 때 보다 긴 면과 보다 짧은 면을 갖는 대체로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
    힌지 부재의 제1 위치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긴 면 상에 있고, 힌지 부재의 제2 위치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짧은 면 상에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힌지 부재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세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힌지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가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힌지부와 결합된 제1 및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부재의 제1 플랜지부는 제1 하우징 부분과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 부재의 제2 플랜지부는 제2 하우징 부분과 피봇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의 피봇축은 제1 및 제2 플랜지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과 그를 중심으로 결합되는 피봇축과 평행하지 않은 휴대용 전자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피봇축은 제1 및 제2 플랜지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과 그를 중심으로 결합되는 축과 교차하지 않는 휴대용 전자 장치.
  13. 전자 장치이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과,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 부분을 갖는 힌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 부재의 제2 부분은 제2 하우징 부분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힌지 부재의 제1 및 제2 부분이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과 그를 중심으로 결합되는 축과 평행하지 않은 힌지축을 갖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개방 및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서로의 위로 배치되는 폐쇄된 형상과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서로 분리된 개방된 형상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전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폐쇄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상이한 면들을 따라 위치될 수 있는 전자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상이한 면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부재는 힌지 부재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상이한 면들을 따라 위치된 때, 개방 및 폐쇄된 형상을 갖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은 대체로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보다 긴 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힌지 부재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이 적층된 형상일 때,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보다 짧은 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전자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 중 하나는 장방형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힌지 부재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하나의 면으로부 터 개방된 때, 세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힌지 부재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분의 다른 하나의 면으로부터 개방된 때, 가로보기 형상으로 배향되는 전자 장치.
KR1020067022156A 2004-04-26 2005-03-31 피봇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139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32,008 2004-04-26
US10/832,008 US6976861B2 (en) 2004-04-26 2004-04-26 Handheld electronics device having pivotal hinge mechanism
PCT/US2005/011137 WO2005109838A1 (en) 2004-04-26 2005-03-31 Handheld electronics device having pivotal hinge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161A true KR20070007161A (ko) 2007-01-12
KR101139074B1 KR101139074B1 (ko) 2012-04-30

Family

ID=3496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156A KR101139074B1 (ko) 2004-04-26 2005-03-31 피봇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76861B2 (ko)
EP (1) EP1743472B1 (ko)
KR (1) KR101139074B1 (ko)
CN (1) CN1985499B (ko)
AT (1) ATE496477T1 (ko)
BR (1) BRPI0510316A (ko)
DE (1) DE602005026001D1 (ko)
ES (1) ES2355449T3 (ko)
RU (1) RU2380850C2 (ko)
WO (1) WO2005109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5286430A (ja) * 2004-03-26 2005-10-13 Sharp Corp 携帯機器
JP4515211B2 (ja) * 2004-10-01 2010-07-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US7580518B2 (en) * 2004-12-01 2009-08-25 Motorola, Inc. Dual-axes hinge part for hinged components
US7499540B2 (en) 2004-12-30 2009-03-03 Motorola, Inc. Device having pivotable hinges
FI20050106A (fi) * 2005-01-31 2006-08-01 Elcoteq Se Matkaviestinlaite
US7380314B2 (en) * 2005-08-09 2008-06-0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and mobile phone with the hinge
EP1887763B1 (en) 2006-08-11 201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JP4708294B2 (ja) * 2006-09-28 2011-06-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8103322B2 (en) 2009-02-27 2012-0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two device members slidable relative to a bridge
US9684343B2 (en) * 2014-06-12 2017-06-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us hinge
US10975603B2 (en)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US10558277B2 (en) 2016-08-04 2020-02-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ing angle sensing of a fold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711Y2 (ko) * 1980-05-12 1986-02-28
DE3139893A1 (de) * 1980-10-09 1982-07-08 Mitsubishi Denki K.K., Tokyo Tragbare akustische einrichtung
US5691882A (en) * 1996-06-04 1997-11-25 Ma; Hsi-Kuang PCMCIA mounting structure
US6164531A (en) * 1998-01-16 2000-12-26 Motorola, Inc. User interface card for use with a device
US6317497B1 (en) * 1999-05-12 2001-11-13 Jack Ou Toggle joint combination for extending a receptacle of automobile cigarette lighter and application thereof
US6549789B1 (en)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US6450828B1 (en) * 2000-06-01 2002-09-17 Rosen Products Llc Projecting plug with non-wiping connector contacts
US6985579B2 (en) * 2001-09-26 2006-01-10 Siemens Communica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output unit positionable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an input unit
JP2003134214A (ja) * 2001-10-23 2003-05-09 Sony Corp 携帯情報端末
US6781824B2 (en) * 2002-01-29 2004-08-24 Palm, Inc. Encasement for handheld computer
JP3719221B2 (ja) * 2002-02-25 2005-11-24 オムロン株式会社 信号中継用回動構造
AR035939A1 (es) * 2002-03-04 2004-07-28 Rolla Jose Maria Mejoras en auriculares plegables
US6544075B1 (en) * 2002-04-24 2003-04-08 Accton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adapter
FR2845547B1 (fr) * 2002-10-03 2005-01-14 Cellon France Sas Appareil electronique portatif comportant un element structurel articule autou d'un axe orthogonal a son plan general
US20040203520A1 (en) * 2002-12-20 2004-10-14 Tom Schirtzinger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in an electronic device
WO2005020046A1 (ja) * 2003-08-21 2005-03-03 Alps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KR100678041B1 (ko) * 2003-11-24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3472A1 (en) 2007-01-17
DE602005026001D1 (de) 2011-03-03
RU2006141634A (ru) 2008-06-10
KR101139074B1 (ko) 2012-04-30
US6976861B2 (en) 2005-12-20
CN1985499B (zh) 2014-05-07
BRPI0510316A (pt) 2007-10-16
RU2380850C2 (ru) 2010-01-27
EP1743472B1 (en) 2011-01-19
CN1985499A (zh) 2007-06-20
US20050239306A1 (en) 2005-10-27
ES2355449T3 (es) 2011-03-25
ATE496477T1 (de) 2011-02-15
WO2005109838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074B1 (ko) 피봇식 힌지 기구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US7269450B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US7844050B2 (en)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US7555120B2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EP1773029A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liding device thereof, upper part of device moving along a curved way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7869840B2 (en) 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sw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080076480A1 (en) Sw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wing device thereof
JP2007049294A (ja) 携帯端末
US20110194238A1 (en) Terminal and opening mechanism to display a manipulation area of a terminal
EP1814285B1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ositioning liquid crystal display at center portion thereo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1650934B1 (en) Foldable phone with a 3d hinge and a camera in the hinge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0849284B1 (ko)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US20050245296A1 (en) Portable dual hinge type communication device usable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5016395B2 (ja)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KR100671694B1 (ko)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EP1887763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CN101150817A (zh) 用于多媒体服务的移动通信终端
EP1868356A1 (en)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a dynamic multifunctional module
US20060154619A1 (en) 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JP5130543B2 (ja) 筐体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295213A (ja) 折畳み式電子機器
KR100810224B1 (ko) 락킹 기능을 구비한 이축 회전 폴더 타입 이동 통신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100006561U (ko) 180도보다 큰 동작 범위 및 디텐트 분리를 갖는 마찰 힌지의 설계 및 구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