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841A - 단자 블록 - Google Patents

단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841A
KR20070006841A KR1020067021250A KR20067021250A KR20070006841A KR 20070006841 A KR20070006841 A KR 20070006841A KR 1020067021250 A KR1020067021250 A KR 1020067021250A KR 20067021250 A KR20067021250 A KR 20067021250A KR 20070006841 A KR20070006841 A KR 2007000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terminal
flesh
screw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럴 떠블유. 찔케
오브레이 디. 넬슨
Original Assignee
레비톤 메뉴팩튜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비톤 메뉴팩튜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레비톤 메뉴팩튜어링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0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3Terminal boxes for telephone sets

Abstract

단자 블록은 이격된 뒷면과 앞면에 후방 및 전방 개구를 각각 가지며, 상기 뒷면 상에 다수의 장착면을 갖는다. 각각의 장착면에는 나사를 수용하는 나사 수용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뒷면과 앞면 사이에는 후방 개구 및 전방 개구를 통해서 뒷면과 앞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한 내부 리세스가 제공된다. 뒷면에서 각 장착면에는 단자 연결 패드가 배치되며, 다수의 살이 상기 후방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고, 이들 살은 전방 개구를 통해서 접근하기 위해 내부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살은 편평한 접촉 단부 부분을 갖는다. 상기 뒷면에는 다수의 트레이스 부재가 배치되며, 각각의 트레이스 부재는 하나의 단자 연결 패드와 하나의 살을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단자 연결 패드, 살, 및 트레이스 부재는 스탬핑된 얇고 편평한 리드 프레임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나사 수용 부분, 단자 블록 베이스, 리드 프레임, 단자 연결 부분, 살 부분

Description

단자 블록 {TERMINATION BLOC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 장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화 네트워크용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 블록에 관한 것이다.
단자 블록은 전화기와 같은 전화 기기를 전화 네트워크에 신속히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자 블록은, 커넥터 플러그가 커넥터 잭에 삽입될 때 대응하는 플러그 및 잭 살(jack tines) 쌍 사이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살을 갖는 멀티-와이어 커넥터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살을 갖는 멀티-와이어 커넥터 잭을 제공한다. 상기 잭 살은 와이어에 의해 단자 나사에 연결되며, 이들 단자 나사에는 전화 네트워크의 와이어가 또한 연결된다.
상기 멀티-와이어 커넥터 플러그는 통상 대응하는 단일 또는 복수 쌍의 전화기 코드 와이어 및 플러그 살 사이를 접속시킴으로써 둘, 넷,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화기 코드에 연결된다. 전화기 코드 와이어는 전화기와 같은 전화 기기에 연결된다.
단자 블록은 통상 면판(面板:faceplate)에 장착되며, 방의 벽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면판에는 방에서 멀티-와이어 커넥터 잭에 접근하기 위한 구멍이 제공되며, 이 구멍은 방에 설치된 전화 기기의 멀티-와이어 커넥터 플러그가 커넥터 잭에 삽입될 수 있게 해준다. 단자 블록은 전화 기기가 전화 네트워크에 신속히 연결 및 분리될 수 있게 해준다. 불행히, 종래의 단자 블록의 구조는 좀더 고비용적이고 원하는 것에 비해 신뢰성이 미흡하다. 종래의 단자 블록은 통상 수동 조립되는 복수의 와셔, 와이어, 와이어 커넥터, 및 기타 부품들을 포함하는 수많은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이렇게 많은 부품이 구비되기 때문에, 각각의 조립된 단자 블록에 대해 대단히 폭넓은 테스트가 필요하며, 이는 구조를 더 불편하게 만들고 결국 바람직하지 않은 비용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단자 블록에 관한 것이다. 그 일 실시예는 후방 개구를 갖는 뒷면, 전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뒷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앞면, 및 상기 뒷면 상의 다수의 장착면을 구비한다. 다수의 나사 수용 부분 각각이 상기 장착면중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 수용 부분은 개구, 및 상기 뒷면으로부터 앞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 수용체를 갖는다. 상기 뒷면과 앞면 사이에는 내부 리세스가 제공된다. 상기 내부 리세스는 후방 개구를 통해서 뒷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고, 전방 개구를 통해서 앞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다수의 나사 각각은 상기 나사 수용 부분중 하나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고 그 나사 수용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뒷면에서 장착면중 하나에는 다수의 단자 연결 패드가 배치된다. 단자 연결 패드의 각각에는 장착면에 배치된 나사 수용 부분의 개구와 정렬하여 나사 개구가 관통하여 배치된다. 다수의 살이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고, 이들 살은 내부 리세스 내에 배치되며, 전방 개구를 통해서 접근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살은 접촉 단부 부분을 갖는다. 상기 살의 접촉 단부 부분은 내부 리세스 내의 적소에 이격 배열된다. 상기 뒷면에는 다수의 트레이스 부재가 배치되며, 각각의 트레이스 부재는 하나의 단자 연결 패드와 하나의 살을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예시된 실시예는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내부 리세스 내에서 연장되고 살을 이격된 배열로 유지하는 플러그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는 다수의 채널을 구비하며, 각각의 채널에는 상기 살중 하나가 배치된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뒷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분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는 또한 단자 연결 패드 각각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접 단자 연결 패드를 지나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돌출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단자 블록은 또한 다수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방 지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전방 지지 부재는 두 개의 단자 블록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을 향하여 앞면과 결합하여 배치될 때 상기 다른 단자 블록의 후방 돌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방 지지 부재 및 후방 돌출 부분의 결합 부분의 조합된 길이는 상기 앞면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하여 단자 블록의 대면 출하 또는 보관 중에 나사 손상이 방지된다.
예시된 실시예는 트레이스 부재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트레이스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며 그 사이에는 트레이스 부재가 배치되는 후방 돌출 부분을 구비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뒷면에는 또한 다수의 이격된 채널이 제공된다. 각각의 채널은 상기 살중 하나의 자유 단부 부분을 수용한다.
각각의 살은 상기 뒷면의 일부와 탄성 결합하여 살에 전방을 향한 장력을 발생시킨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채널의 각각에는 상기 살중 하나의 자유 단부 부분이 배치된다.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내부 리세스 내에서 연장되는 플러그는 살에 전방 힘을 가하여 살에 전방을 향한 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살의 각각의 접촉 단부 부분은 전도성 금속이 코팅되는 편평하고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 단부 부분의 다른 부분은 코팅되지 않는다.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나사 리테이너가 연장되며, 이 나사 리테이너는 단자 블록이 부착되는 장착 부재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장착 나사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상기 나사 리테이너는 그로부터 나사가 제거될 때 단자 연결 패드에 연결될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strain relief)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리드 프레임 롤의 개략 등각도이다.
도2는 리드 프레임의 앞면을 도시하는, 도1의 리드 프레임 롤의 여러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3은 리드 프레임의 뒷면을 도시하는, 도1의 리드 프레임 롤의 여러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의 등각도이다.
도4는 단자 블록 베이스에 장착하기 위해 구부러진 후의 살을 도시하는 하나의 리드 프레임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5는 도4의 리드 프레임의 등각 정면도이다.
도6은 단자 블록 베이스에 장착되기 위해 배향되어 있는 도4의 리드 프레임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7은 블록 플러그가 구부러진 살 위치에서 단자 블록 베이스에 삽입되기 위해 배향되어 있는 상태의, 단자 블록 베이스에 장착된 도6의 리드 프레임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8은 네 개의 나사가 단자 블록 베이스에 의해 나사결합가능하게 수용되기 위해 배향되어 있는 상태의, 도7의 조립된 리드 프레임, 단자 블록 베이스, 및 블록 플러그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9는 완전히 조립된 단자 블록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단자 블록의 등각 정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단자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12는 도9의 단자 블록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13은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에 스냅 끼움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는 단자 블록을 도시하는, 도12의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14는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에 완전히 삽입된 단자 블록을 도시하는, 도12의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15는 단자 블록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도12의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16은 단자 블록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도12의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등각 정면도이다.
도17은 이중 블록 브래킷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18은 함께 포개져 있고 이중 블록 브래킷에 스냅 끼움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단자 블록을 도시하는, 도17의 이중 블록 브래킷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19는 제1 및 제2 단자 블록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도17의 이중 블록 브래킷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20은 제1 및 제2 단자 블록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도17의 이중 블록 브래킷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21은 제1 및 제2 단자 블록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도17의 이중 블록 브래킷의, 전화 네트워크 와이어가 부착된 상태의 등각 배면도이다.
도22는 제1 및 제2 단자 블록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도17의 이중 블록 브 래킷의 등각 정면도이다.
도23은 제1 및 제2 단자 블록이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도17의 이중 블록 브래킷의 등각 배면도로서, 출하를 위해 제2 단자 블록 상에 두 개의 장착 나사가 나사 리테이너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24는 출하 또는 보관 목적으로 적층된 한 쌍의 단자 블록의 등각 배면도이다.
본원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듯이, 종래의 단자 블록에서 요구되는 개별 부품의 개수를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단자 블록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며,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단자 블록(2)이 도9에 완전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단자 블록(2)의 다른 장점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단자 블록(2)은, 도1에 부분적으로 언롤링 도시되어 있는, 연속적인 스트립 리드 프레임의 롤(6)에서 분리되는 스탬핑된 얇고 편평한 리드 프레임(4)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언롤링된 몇 가지 리드 프레임(4)은 (도1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편평한 앞면(8) 및 (도1에서 위쪽을 향하는) 편평한 뒷면(1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별 리드 프레임(4)은 롤(6)의 좌측 및 우측 에지 스트립(12, 14) 사이에 배치되어 부착된다. 좌측 및 추측 에지 스트립(12, 14)의 각각은 일련의 스프로켓 구멍(16)을 구비한다.
종래와 같이, 스프로켓 구멍(16)은 정밀한 작업을 위한 스탬핑에 사용되며, 또한 리드 프레임(4)을 사용하여 단자 블록(2)을 제작하는 다른 태양에 사용된다. 롤(6)의 대칭 리드 프레임(4)의 우발적인 역전(inversion)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 에지 스트립(12)의 스프로켓 구멍중 하나 걸러 마다에 대응하는 우측 에지 스트립(14) 상에 스프로켓 구멍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좌측 및 우측 에지 스트립(12, 14) 상의 스프로켓 구멍(16)은 측방향으로 배열된다. 후술하듯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리드 프레임의 적절한 배향 유지가 바람직하도록 각 리드 프레임(4)의 일 부분의 편평한 앞면(8)만이 금과 같은 고전도성 금속으로 코팅된다.
롤(6)은, 각각의 리드 프레임(4)과 연관된 부재로서, 좌측 및 우측 에지 스트립(12, 14) 사이에서 연장되고 에지 스트립에 부착되는 가로(cross) 부재(18)를 구비한다. 리드 프레임(4)의 각각은 후술하듯이 하나의 가로 부재(18)에 부착된다.
리드 프레임(4) 각각은 관통 개구를 갖는 네 개의 단자 연결 패드(22), 네 개의 평행한 살(tine)(24), 및 네 개의 트레이스 부재(26)를 구비한다. 상기 트레이스 부재(26) 각각은 단자 연결 패드(22)중 하나를 대응하는 하나의 살(24)에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리드 프레임(4)이 롤(6)에서 분리되기 전에, 리드 프레임에는 좌측 에지 스트립(12)을 향하여 배치된 단자 연결 패드(22)가 부착되어 있고, 우측 에지 스트립(14)을 향하여 배치된 단자 연결 패드의 두 개가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리드 프레임(4)이 롤(6)에서 분리되기 전에, 리드 프레임과 연관된 가로 부재(18)에는 상기 살(24)의 각각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로 부재(18)는, 적절하게 이격되는 살(24)의 자유 단부가 될 부분을 이로부터 살이 분리될 때까지 유지한다.
도4 및 도5에는 롤(6)에서 분리된 리드 프레임(4)이 도시되어 있는 바, 그 살(24)은 도6에 도시된 단자 블록 베이스(28)에 대한 리드 프레임의 장착을 대비하여 구부러져 있다. 롤(6)에서 분리될 때, 및 사용 준비가 된 상태에서, 각각의 리드 프레임(4)은 네 개의 분리된 회로 부분을 포함하며, 하나의 관통 개구가 구비된 하나의 단자 연결 패드(22), 하나의 살(24), 및 하나의 트레이스 부재(26)를 갖는 각각의 회로 부분은 단자 연결 패드와 살을 함께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각각의 회로 부분은 단일 전도체이며, 그 단자 연결 패드(22), 살(24) 및 트레이스 부재(26)는 원피스 구조를 이룬다.
도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리드 프레임(4)의 살(24)의 편평한 앞면(8)은 금과 같은 고전도성 금속으로 코팅된 단부 부분(56)을 갖는다. 리드 프레임(4)의 살(24)의 코팅된 단부 부분(56)은 단자 블록(2)에 삽입될 때 커넥터 플러그(도시되지 않음)의 살과 접촉하도록 단자 블록 베이스(24)에 장착될 때 상호 대체로 평행하고 평면적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것이다. 도3에 도시하듯이, 살의 뒷면(10)은 커넥터 플러그의 살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코팅을 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재료 및 처리 비용이 절감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하듯이, 살(24)은 트레이스 부재(26)에 대한 그 연결 위치 부근에 제1 굴곡부(bend)(58)를 형성하고 살의 코팅된 단부 부분에서 이격되어 제2 굴곡부(59)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단자 블록 베이스에 대한 리드 프레임의 장착 이전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에 대한 리드 프레임(4)의 살(24)의 배향이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6, 도10, 및 도11에 도시하듯이,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뒷면(60), 앞면(62), 및 네 개의 측면(64, 66, 68, 70)을 갖는다.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은 리드 프레임(4)의 단자 연결 패드(22) 및 트레이스 부재(26)와 유사한 형상의 동일평면(coplanar) 장착면 부분을 갖는다. 단자 연결 패드(22)에 대응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의 장착면 부분은 도6에서 도면부호 74로 식별된다.
도7에는 리드 프레임(4)이 단자 블록 베이스(28)에 장착 도시되어 있는 바, 리드 프레임의 동일평면 단자 연결 패드(22) 및 트레이스 부재(26)가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60)의 대응 형상의 동일평면 장착면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에는, 단자 블록 베이스에 장착될 때 리드 프레임(4)의 굴곡된 살(24)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71)가 배치된다.
도7에는 리드 프레임(4)의 굴곡된 살(24)이 먼저 개구에 삽입된 이후,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개구(71)에 삽입되기 위한 위치에 있는 단자 블록 플러그(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50)는 도8에서 개구(71)에 완전히 삽입된 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50)는 커버 플랜지(94)를 갖는 바, 이 커버 플랜지는 플러그가 개구(71)에 삽입될 때 외측으로 돌출하여, 살(24)로부터 트레이스 부재(26)의 상기 단자 연결 패드(22)를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플러그(50)는 또한 네 개의 이격된 살 채널(96)을 가지며, 플러그가 개구(71)에 삽입될 때 각각의 살 채널에는 각 살(24)의 일부가 수용된다. 삽입될 때, 플러그(50)는 살(24)과 결합하여 이들 살을 전방으로 가압하며, 이는 그 자유 단부 부 분이 개구(71) 근처에서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의 일부와 결합하여 살을 전방을 향하는 인장력 하에 배치되게 한다.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의 장착면 부분에는, 리드 프레임(4)의 단자 연결 패드(22)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네 개의 나사 구멍(72)이 제공된다. 나사 구멍(72)은 단자 연결 패드(22)의 개구와 일치하며, 나사 헤드(54)를 갖는 나사(도8에서는 나사 구멍에 삽입되기 위한 위치에 있고 도9에서는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있음)를 나사결합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다. 이들 나사(52)는 와이어를 전화망(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리드 프레임(4)의 단자 연결 패드(22)에 전기 접속하여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나사 구멍(72)은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네 개의 튜브형 보디 부분(75)을 통해서 연장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은 추가로, 단자 연결 패드(22)의 하나에 대응하는 각 장착면 부분(74)의 외측에 하나씩 네 개의 돌출 지지체(76)를 구비하고, 단자 연결 패드의 하나에 대응하는 각 장착면 부분의 내측에 돌출 패드 벽(78)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 지지체와 돌출 패드 벽은 그 사이에 단자 연결 패드를 수용하도록 이격되어 있다. 상기 돌출 지지체(76) 및 돌출 패드 벽(78)은 단자 연결 패드(22)를 그것에 연결될 것 이외의 와이어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보호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또한 뒷면(60)에서 단자 연결 패드(22) 근처에 표식(80)을 갖는 바, 이 표식은 전기통신 협약에 따라 패드에 연결될 와이어의 다양한 색상(예를 들면, 적색, 황색, 녹색, 및 흑색)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나사 헤드(54)는 또한 단자 블록(2)의 설치자에 의한 단자 연결 패드(22)에 연결될 와이 어의 적절한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기통신 협약에 따라 상이한 색상(예를 들면, 적색, 황색, 녹색, 및 흑색)으로 페인팅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은 또한, 트레이스 부재를 보호하기 위해 리드 프레임(4)의 트레이스 부재(26)에 대응하는 뒷면의 장착면 부분 근처에 이를 따라 연장하는 돌출 벽부(82)를 갖는다. 플러그(50)가 개구(71)에 삽입되면, 플러그의 커버 플랜지(94)는 살(24)로부터 단자 연결 패드(22)를 향하여 연장되는 트레이스 부재(26) 근처의 돌출 벽부(82) 부분에 걸쳐서 그 위에 연장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은 또한, 그 사이에 네 개의 수용 영역을 규정하는 다섯 개의 평행한 돌출 벽부(86)를 구비한다. 리드 프레임(4)의 굴곡된 살(24)이 개구 내에 삽입될 때 각각의 살의 자유 단부 부분이 다른 쌍의 인접하는 돌출 벽부(86) 사이의 수용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돌출 벽부(86)는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개구(71) 내측으로 배치된다.
전술했듯이, 완전히 조립된 단자 블록(2)이 도9에 후방으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완전히 조립된 단자 블록(2)의 정면도가 도10 및 도11에 도시되어 있다.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앞면(62)은 개구(88)를 구비하며, 이 개구 내에서 리드 프레임(4)의 살(24)의 코팅된 단부 부분(56)은 개구(88)에 삽입될 때 커넥터 플러그(도시되지 않음)의 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것이다.
단자 블록(2)은 이제 플레이트와 브래킷을 커버하기 위한 그 장착에 대해서 또한 그 설계의 다른 태양에 대해 논의될 것이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하듯이,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그 양 단부에 측벽(102) 및 측벽(104)을 갖는다. 측 벽(102, 104)의 각각은 외표면(107)과 내표면(108)을 가지며, 상기 외표면은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면(64, 66) 각각을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도9에 도시하듯이,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측벽(102)의 외표면(107)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이격된 측방향 연장되는 블록 래치 태브(block latch tab)(90)를 앞면(62)을 향한 위치에 갖는 바, 이 블록 래치 태브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듯이, 도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커버 플레이트 또는 도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브래킷에 단자 블록(2)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블록 태브(90) 사이에 배치되는 리세스(91)를 갖는다. 도10에 도시하듯이,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측벽(104)의 외표면(107)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중심 배치된 측방향 연장되는 단일 블록 래치 태브(98)를 앞면(62)을 향한 위치에 가지며, 측벽(104)의 외표면(107)중 앞면(62)을 향한 위치에는 한 쌍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를 갖는 바, 이들 리세스 사이에 블록 태브(98)가 배치된다. 블록 태브(98)는 또한 단자 블록(2)을 커버 플레이트 또는 브래킷에 장착하기 위해 제공된다. 블록 리세스(100)는 블록 태브(90)와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며, 후술하듯이 두 개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커버 플레이트 또는 브래킷에 나란히 장착될 때 사용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 104) 각각은,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앞면(62)을 부분적으로 규정하고 앞면의 최전방 부분인 단부 벽면(106)에서 종료된다. 측벽(102, 104)의 단부 벽면(106)은 동일 평면에 있으며, 후술하듯이 단자 블록(2)이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 또는 브래킷의 뒷면과 결합한다.
도12에는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를 벽 박스(wall box)(도시되지 않음) 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벽 나사 구멍(112)을 갖는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가 그 뒷면으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는 또한 리셉터클 구멍(114)을 구비하는 바, 이 리셉터클 구멍은 단자 블록(2)이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될 때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개구(88)와 정렬되며 커넥터 플러그가 리드 프레임(4)의 살(24)과 접촉하기 위해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앞면으로부터 개구(88)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는 그 뒷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이격된 측방향 연장되는 커버 래치 태브(115), 및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단일 블록 태브(98)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단일의 측방향 연장되는 커버 래치 태브(116)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커버 래치 태브(115)의 각각은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될 단자 블록(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 쌍중 하나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블록 태브(90, 98)가 대응하는 커버 태브(115, 116)의 종방향 내측으로 로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의 뒷면의 적소에 스냅 끼움될 때, 블록 태브의 결합 립(lips)은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뒷면에 대해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커버 태브의 대향하는 결합 립 아래에 배치된다. 단자 블록(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도13에서는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의 뒷면의 적소에 스냅 끼움되기 위해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14 및 도15에서는 적소에 스냅 끼움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커버 태브(115)가 블록 태브(90)와 결합하고 커버 태브(116)가 블록 태브(98)와 결합되는 상태에서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적소 에 완전히 스냅 끼움될 때,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벽(102, 104)의 단부 벽면(106)은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뒷면과 결합한다. 도16에는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리셉터클 구멍(114)이 커넥터 플러그를 단자 블록의 리드 프레임(4)의 살(24)과 접촉하도록 개구(88)에 삽입하기 위한 대기 상태의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된 단자 블록(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개구(88)와 정렬된 상태에서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적소에 완전히 스냅 끼움된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의 앞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의 뒷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은 한 쌍의 태브 리테이너(117)이며, 각각의 태브 리테이너는 블록 태브(90)와 커버 태브(115)의 커플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커버 태브(115)중 하나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들 태브 리테이너(117) 각각은 종방향 연장되는 벽(117a)과 측방향 연장되는 벽(117b)을 갖는 L형상을 갖는다.
태브 리테이너(117)의 종방향 연장되는 벽(117a)은 그 사이에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을 수용하기 위해 이격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블록 태브(90)와 결합하는 커버 태브(115)에 의해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뒷면에 장착될 때, 종방향 연장되는 벽(117a)은 그 사이에 측벽(102)을 트랩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에 대한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방향 외측 이동을 방지한다.
측방향 연장되는 벽(117b)은 측벽(102)의 내표면(108)과 결합하여,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가 종방향으로 휘어질 경우 커버 태브(115)로부터 블록 태브(90)의 종방향 내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 태브(90)를 커버 태브(115)로부터 종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게 하는 휘어짐이 발생할 경우 블록 태브(90)가 대응하는 커버 태브(115)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는 또한 그 뒷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태브 리테이너(118)를 가지며, 각각의 태브 리테이너는 단일 블록 태브(98)와 커버 태브(116)의 커플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단일 커버 태브(116)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들 태브 리테이너(118) 각각은 종방향 연장되는 벽(118a)과 측방향 연장되는 벽(118b)을 갖는 L형상을 갖는다.
태브 리테이너(117)의 종방향 연장되는 벽(118a)은 그 사이에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4)을 수용하기 위해 이격된다.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블록 태브(98)와 결합하는 커버 태브(116)에 의해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의 뒷면에 장착될 때, 종방향 연장되는 벽(118a)은 그 사이에 측벽(104)을 트랩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에 대한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방향 외측 이동을 방지한다.
측방향 연장되는 벽(118b)은 측벽(104)의 내표면(108)과 결합하여,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가 종방향으로 휘어질 경우 커버 태브(116)로부터 블록 태브(98)의 종방향 내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 태브(98)를 커버 태브(116)로부터 종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게 하는 휘어짐이 발생할 경우 블록 태브(98)가 커버 태브(116)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과거에는,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가 휘어져서 단자 블록 베이스의 분리를 초래할 가능성으로 인해, 단자 블록 베이스가 리셉터클 커버에 용접 또는 시멘트 결합되거나, 단자 블록을 둘러싸는 금속 스트립을 사용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증가되었다. 상기 휘어짐은 단자 블록 베이스의 개구에 삽입된 커넥터 플러그에 대한 타격에 기인할 수 있다.
도17에는 이중(dual) 블록 브래킷을 벽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벽 나사 구멍(122)을 갖는 듀플렉스(duplex) 또는 이중 블록 브래킷(120)이 그 뒷면으로부터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중 블록 브래킷(120)은 두 개의 상기 단자 블록(2)이 그것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서 두 개의 단자 블록을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으로 지칭할 것이며, 이들 단자 블록은 도20에서 이중 블록 브래킷(120)에 장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중 블록 브래킷(120)은 제1 및 제2 리셉터클 구멍(124, 125)을 가지며, 이들 리셉터클 구멍은 커넥터 플러그가 이중 블록 브래킷의 앞면으로부터 각각의 개구(88)에 삽입되어 단자 블록의 리드 프레임(4)의 살(24)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개구와 정렬된다.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도18에서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듯이 단부-대-단부로 함께 포개져(nested) 도시되어 있으며,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의 적소에 동시에 스냅 끼움되고, 도19 내지 도22에서는 적소에 스냅 끼움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은 도18에 도시하듯이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을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4)에 대해 배치함으로써 단부-대-단부로 포개진다. 이 위치에 있을 때,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는, 제2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벽(102)이 제1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벽(104)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4)의 외표면(107)에 있는 블록 래치 리세스(100) 내로 돌출한다. 또한 이 위치에 있을 때,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의 결합 립은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대응 블록 래치 리세스(100)의 대향 결합 립 아래에 배치된다. 후술하듯이,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동시에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의 적소에 스냅 끼움될 때,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는, 제2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를 그 측벽(102)의 위치에서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에 대해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와 래치 결합된다.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이 동시에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의 적소에 스냅 끼움되는 동안, 이중 블록 브래킷에 대한 각각의 연결을 이제, 이중 블록 브래킷에 대한 제1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장착 방식부터 시작하여 따로 설명할 것이다.
도17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주위 벽(123)을 가지며, 이 주위 벽은 이중 블록 브래킷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이격된 종방향 연장되는 측벽(123a, 123b)을 갖는다. 한 쌍의 이격된 측방향 연장되는 브래킷 태브(126)가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으로부터 이중 블록 브래킷의 일 단부를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바, 각각의 브래킷 태브는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한 쌍의 블록 태브(90)중 하나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된다. 단일의 측방향 연장되는 브래킷 태브(128)가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단일 블록 태브(98)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으로부터 이중 블록 브래킷의 중간을 향하여 돌출한다. 블록 태브(90, 98)가 대응하는 브래킷 태브(126, 128)의 종방향 내측으로 로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에서 제1 단자 블록(140)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의 적소에 스냅 끼움될 때, 블록 태브의 결합 립은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이중 블록 브래킷의 뒷면에 대해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브래킷 태브의 대향하는 결합 립 아래에 배치된다.
브래킷 태브(126)가 블록 태브(90)와 결합하고 브래킷 태브(128)가 블록 태브(98)와 결합하는 상태에서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적소에 스냅 끼움될 때,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벽(102, 104)의 단부 벽면(106)은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과 결합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의 뒷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은 한 쌍의 측방향 연장되는 태브 리테이너(132)이며, 각각의 태브 리테이너는 블록 태브(90)와 브래킷 태브(126)의 커플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브래킷 태브(126)중 하나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태브 리테이너(132)의 근방에서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종방향 연장되는 측벽(123a, 123b)은 그 사이에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을 수용하기 위해 이격되어 있다.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블록 태브(90)와 결합되는 브래킷 태브(126)에 의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에 장착될 때, 종방향 연장되는 측벽(123a, 123b)은 그 사이에 측벽(102)을 트랩시킴으로써 이중 블록 브래킷에 대한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방향 외측 이동을 방지한다.
측방향 연장되는 태브 리테이너(132)는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의 내표면(108)과 결합하여, 이중 블록 브래킷(120)이 종방향으로 휘어질 경우 브래킷 태브(126)로부터 블록 태브(90)의 종방향 내측 이동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 태브(90)를 브래킷 태브(126)로부터 종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이중 블록 브래킷(120)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게 하는 휘어짐이 발생할 경우 블록 태브(90)가 대응하는 브래킷 태브(90)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중 블록 브래킷(120)은 또한 그 뒷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태브 리테이너(133)를 가지며, 각각의 태브 리테이너는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단일 블록 태브(98)와 브래킷 태브(128)의 커플 연결을 보장할 뿐 아니라 후술하듯이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와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의 커플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이중 블록 브래킷의 중간을 향하여 단일 브래킷 태브(128)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태브 리테이너(133) 각각은, 한 쌍의 이격된 측방향 연장되는 벽(134, 136) 및 종방향 연장되는 벽(135)에 의해 측방향 내측으로 개방 배 치되는 U-형상을 갖는다.
태브 리테이너(133)의 종방향 연장되는 벽(135)은 그 사이에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4)을 수용하기 위해 이격된다.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블록 태브(98)와 결합하는 브래킷 태브(128)에 의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에 장착될 때, 종방향 연장되는 벽(135)은 그 사이에 측벽(104)을 트랩시킴으로써 이중 블록 브래킷에 대한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방향 외측 이동을 방지한다.
태브 리테이너(133)의 측방향 연장되는 벽(134)은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4)의 내표면(108)과 결합하여, 이중 블록 브래킷(120)이 종방향으로 휘어질 경우 브래킷 태브(128)로부터 이격되는 블록 태브(98)의 종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 태브(98)를 브래킷 태브(128)로부터 종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이중 블록 브래킷(120)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게 하는 휘어짐이 발생할 경우 블록 태브(98)가 브래킷 태브(128)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이중 블록 브래킷(120)에 대한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장착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8)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단일의 측방향 연장되는 브래킷 태브(130)가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브래킷 태브(126)에서 먼 이중 블록 브래킷의 단부를 향하여 돌출한다. 전술했듯이,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의 적소에 동시에 스냅 끼움되기 위해 포개진 단부-대-단부 위치에 있게될 때,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는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4)의 외표면(107)에 있는 블록 래치 리세스(100) 내로 돌출한다. 제2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블록 태브(90)를 제1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에 해제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는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4)의 외표면(107)에 있는 블록 래치 리세스(100)와 래치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브래킷 태브(126, 128)에 의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에 대해 적소에 유지되며,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는 브래킷 태브(130) 및 블록 래치 리세스(100)에 의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에 대해 적소에 유지된다.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에 있어서 그 블록 태브(90) 사이에 배치되는 리세스(91)는 도19에서 알 수 있듯이, 그 내부에 브래킷 태브(128)를 수용하고 따라서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을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 바로 근처에 배치시킬 수 있기에 충분히 크다. 두 개의 단자 블록 베이스가 이와 같이 그 사이에 공간이 없이 평평하게 장착되는 것은 또한, 제1 단자 블록의 블록 태브(90)와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브래킷 튜브(126)와 같은 브래킷 튜브 세트를 사용하는 대신에 제2 단자 블록(142)의 블록 태브(90)를 로크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제1 단자 블록(140)에 블록 래치 리세스(100)를 사용함으로써 촉진된다. 결과적인 이중 블록 브래킷(120)은 종래의 이중 블록 브래킷 설계에 비해 길이가 짧아진다.
블록 태브(90)가 제1 단자 블록(142) 및 브래킷 태브(130)의 대응하는 블록 래치 리세스(100)에 각각 로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에서 제2 단자 블록(142)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의 적소에 스냅 끼움될 때, 블록 태브의 결합 립은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이중 블록 브래킷의 뒷면에 대해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제1 단자 블록 및 브래킷 태브(130)의 대응하는 블록 래치 리세스의 대향 결합 립 아래에 배치된다.
블록 태브(90)가 제1 단자 블록(140)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에 결합하고 브래킷 태브(128)가 블록 태브(98)에 결합하는 상태로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적소에 스냅 끼움될 때,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벽(102, 104)의 단부 벽면(106)은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과 결합한다. 도21에서,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은, 전화 네트워크 케이블(202, 204)의 와이어(200)가 나사(52)를 사용하여 단자 블록의 리드 프레임(4)의 단자 연결 패드(22)에 각각 부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했듯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태브 리테이너(133)는 또한, 제1 단자 블록(140)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에 대한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블록 태브(90)의 커플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태브 리테이너(133)의 종방향 연장되는 벽(135)은 그 사이에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을 수용하기 위해 이격된다. 제2 단 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제1 단자 블록(140)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와 결합하는 블록 태브(98)에 의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뒷면에 장착될 때, 종방향 연장되는 벽(135)은 그 사이에 측벽(102)을 트랩시킴으로써 이중 블록 브래킷에 대한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방향 외측 이동을 방지한다.
태브 리테이너(133)의 측방향 연장되는 벽(136)은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측벽(102)의 내표면(108)과 결합하여, 이중 블록 브래킷(120)이 종방향으로 휘어질 경우 제1 단자 블록(140)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로부터 블록 태브(90)의 종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블록 태브를 제1 단자 블록의 블록 래치 리세스로부터 종방향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제2 단자 블록(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를 이중 블록 브래킷(120)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게 하는 휘어짐이 발생할 경우 블록 태브(90)가 제1 단자 블록(140)의 블록 래치 리세스(100)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에 있어서, 과거에는 이중 블록 브래킷이 휘어져서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분리를 초래할 가능성으로 인해, 단자 블록 베이스가 이중 블록 브래킷에 용접 또는 시멘트 결합되거나, 단자 블록을 둘러싸는 금속 스트립을 사용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증가되었다.
도22에는 이중 블록 브래킷의 리셉터클 구멍(124, 125)이 커넥터 플러그를 단자 블록의 리드 프레임(4)의 살(24)과 접촉하도록 개구(88) 각각에 삽입하기 위한 대기 상태의 이중 블록 브래킷에 장착된 제1 및 제2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 베이스의 개구(88)와 정렬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가 적소에 완전히 스냅 끼움된 이중 블록 브래킷(120)의 앞면이 도시되어 있다.
단자 블록(2)은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후크 형상 나사 리테이너(92)를 구비하며, 이들 나사 리테이너 각각은 도23에 도시하듯이 단자 블록의 출하 중에 나사(146)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자 블록(140, 142)이 부착되어 있는 도23에 도시된 이중 블록 브래킷(120)에서는 제2 단자 블록에만 두 개의 나사(146)가 제공되는 바, 이들 나사는 벽 나사 구멍(122)을 통해서 삽입되어 이중 블록 브래킷(120)을 벽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1 단자 블록(140)의 나사 리테이너(92)는 빈 상태로 유지된다.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에 대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12에 도시된 단일 단자 블록(2)의 두 개의 나사 리테이너(92)는 단일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를 벽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기 위해 벽 나사 구멍(112)을 통해서 삽입되는데 필요한 두 개의 나사(146)를 유지할 수 있다.
나사(146)는 단자 블록(2)의 설치 시에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했듯이 리셉터클 커버 플레이트(110) 또는 이중 블록 브래킷(120)을 벽 박스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나사 리테이너(92)로부터 나사(146)가 제거된 후에, 전화 네트워크 케이블(202, 204)은 도21에 도시하듯이 이중 블록 브래킷(120)용 나사 리테이너(92)의 아래로 가압되어 그것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리테이너(92)는 단자 블록(2)의 설치 시에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의 제2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24에 도시하듯이, 단자 블록(2)은 손상없이 출하 및 저장되기 위해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이는 각 단자 블록(2)의 단자 블록 베이스(28)의 뒷면(60)의 네 개의 돌출 지지체(76)가 그 위에 적층되는 다른 단자 블록 베이스의 측벽(102, 104)의 단부 벽면(106)을 결합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루어진다. 그 조합된 길이는 하나의 바닥 나사(52)가 그 위의 단자 블록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격을 제공한다. 이는 나사(52)의 나사 헤드(54)에 가해지는 색상 표시 페인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4)

  1. 단자 블록이며,
    후방 개구를 갖는 뒷면, 전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뒷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앞면, 상기 뒷면 상의 다수의 장착면, 그 각각이 상기 장착면중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상기 앞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 수용체와 구멍을 갖는 다수의 나사 수용 부분, 및 상기 뒷면과 앞면 사이에 존재하고 후방 개구를 통해서 뒷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전방 개구를 통해서 앞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
    그 각각이 상기 나사 수용 부분중 하나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고 그 나사 수용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수의 나사, 및
    다수의 분리된 회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에 배치되는 편평한 금속 재질의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각각의 회로 부분은,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장착면중 하나에 배치되는 단자 연결 부분으로서, 각각의 단자 연결 부분에는 상기 장착면에 배치된 나사 수용 부분의 구멍과 정렬하여 나사 개구가 관통 배치되고 이 나사 개구를 통해서 하나의 나사가 연장되는 단자 연결 부분,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고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개구를 통해서 접근되도록 배치되는 굴곡된 살 부분으로 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내부 공간 내의 적소에 이격 배열되는 접촉 단부 부분을 갖는 굴곡된 살 부분, 및
    상기 단자 연결 부분과 상기 굴곡된 살 부분을 함께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트레이스 부재 부분을 구비하는 단자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나사의 각각은 헤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나사는 단자 연결 부분을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에 고정 유지하기 위해 회로 부분의 단자 연결 부분이 배치되는 장착면에 배치된 나사 수용 부분의 나사 수용체 내로 나사결합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단자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단자 블록 베이스의 내부 공간 내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회로 부분의 굴곡된 살 부분을 이격된 배열 상태로 유지하는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다수의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채널에는 상기 다수의 회로 부분의 굴곡된 살 부분중 하나가 배치되는 단자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다수의 회로 부분의 굴곡된 살 부분을 이격된 평면적 배열 상태로 유지하는 단자 블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단자 블록의 뒷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어 다수의 회로 부분의 트레이스 부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분을 갖는 단자 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다수의 회로 부분의 단자 연결 부분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다수의 회로 부분의 단자 연결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는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다수의 전방 돌출하는 전방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전방 지지 부재는 두 개의 단자 블록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을 향하여 앞면과 결합하여 배치될 때 상기 다른 단자 블록의 후방 돌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도록 배치되고, 전방 지지 부재 및 후방 돌출 부분의 결합 부분의 조합된 길이는 상기 앞면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하여 단자 블록의 대면 출하 또는 보관 중에 나사 손상이 방지되는 단자 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다수의 회로 부분의 트레이스 부재 부분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다수의 회로 부분의 트레이스 부재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며 그 사이에는 트레이스 부재 부분이 배치되는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채널의 각각은 다수의 회로 부분의 굴곡된 살 부분중 하나의 자유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단자 블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로 부분의 굴곡된 살 부분은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의 일부와 탄성 결합하여 전방을 향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단자 블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채널의 각각에는 굴곡된 살 부분중 하나의 자유 단부 부분이 배치되는 단자 블록.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단자 블록 베이스의 내부 공간 내에서 연장되며, 다수의 회로 부분의 굴곡된 살 부분에 전방 힘을 가하여 상기 굴곡된 살 부분에 전방을 향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채널의 각각에는 굴곡된 살 부분중 하나의 자유 단부 부분이 배치되는 단자 블록.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로 부분의 굴곡된 살 부분 각각의 접촉 단부 부분은 전도성 금속이 코팅되는 편평하고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 단부 부분의 다른 부분은 코팅되지 않는 단자 블록.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장착 나사를 보유하도록 배열되며, 이 단자 블록은,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 나사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된 나사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17. 제16항에 있어서, 다수의 회로 부분의 단자 연결 부분에 연결될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나사 리테이너는 그로부터 나사가 제거될 때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제1 및 제2 장착 나사를 보유하도록 배열되며, 이 단자 블록은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의 각각은 제1 및 제2 장착 나사중 하나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각각 관통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착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 이격된 제1 및 제2 장착 구멍을 갖는 장착 부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장착 부재 내의 제1 및 제2 장착 구멍을 향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양 측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는 제1 및 제2 장착 나사를 단자 블록 베이스의 제1 및 제2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단자 블록.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다수의 회로 부분의 단자 연결 부분에 연결될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중 적어도 하나는 그로부터 나사가 제거될 때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다른 단자 블록의 다수의 회로 부분의 단자 연결 부분에 연결될 와이어를 갖는 다른 와이어 케이블에 연결되는 다른 단자 블록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중 다른 하나는 그로부터 나사가 제거될 때 다른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22. 단자 블록이며,
    후방 개구를 갖는 뒷면,
    전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뒷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앞면,
    상기 뒷면 상의 다수의 장착면,
    그 각각이 상기 장착면중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상기 앞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나사 수용체 및 구멍을 갖는 다수의 나사 수용 부분,
    상기 뒷면과 앞면 사이에 존재하며 후방 개구를 통해서 뒷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전방 개구를 통해서 앞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내부 리세스,
    그 각각이 상기 나사 수용 부분중 하나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되고 그 나사 수용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수의 나사,
    상기 뒷면에서 장착면중 하나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자 연결 패드로서, 각각의 단자 연결 패드에는 상기 장착면에 배치된 나사 수용 부분의 구멍과 정렬하여 나사 개구가 관통 배치되고 이 나사 개구를 통해서 하나의 나사가 연장되는 단자 연결 패드,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리세스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개구를 통해서 접근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살(tine)로서, 상기 내부 리세스 내의 적소에 이격 배열되는 접촉 단부 부분을 갖는 살, 및
    상기 뒷면에 배치되고, 그 각각은 하나의 단자 연결 패드와 하나의 살을 함께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다수의 트레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단자 블록.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나사의 각각은 헤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나 사는 단자 연결 패드를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에 고정 유지하기 위해 단자 연결 패드가 배치되는 장착면에 배치된 나사 수용 부분의 나사 수용체 내로 나사결합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단자 블록.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내부 리세스 내에서 연장되며 상기 살을 이격된 배열 상태로 유지하는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다수의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채널에는 다수의 살중 하나가 배치되는 단자 블록.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다수의 살을 이격된 평면적 배열 상태로 유지하는 단자 블록.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뒷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어 트레이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분을 갖는 단자 블록.
  28. 제22항에 있어서, 단자 연결 패드 각각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접 단자 연결 패드를 지나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29. 제28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방 돌출하는 전방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전방 지지 부재는 두 개의 단자 블록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을 향하여 앞면과 결합하여 배치될 때 상기 다른 단자 블록의 후방 돌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도록 배치되고, 전방 지지 부재 및 후방 돌출 부분의 결합 부분의 조합된 길이는 상기 앞면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하여 단자 블록의 대면 출하 또는 보관 중에 나사 손상이 방지되는 단자 블록.
  30. 제22항에 있어서, 트레이스 부재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트레이스 부재를 지나서 연장되며 그 사이에는 트레이스 부재가 배치되는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채널의 각각은 하나의 살의 자유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단자 블록.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살의 각각은 상기 뒷면의 일부와 탄성 결합하여 살에 전방을 향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단자 블록.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채널의 각각에는 하나의 살의 자유 단부 부분이 배치되는 단자 블록.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상기 내부 리세스 내에서 연장되며, 다수의 살에 전방 힘을 가하여 상기 살에 전방을 향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채널의 각각에는 하나의 살의 자유 단부 부분이 배치되는 단자 블록.
  3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살 각각의 접촉 단부 부분은 전도성 금속이 코팅되는 편평하고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 단부 부분의 다른 부분은 코팅되지 않는 단자 블록.
  3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장착 나사를 보유하도록 배열되며, 이 단자 블록은,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 나사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나사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단자 연결 패드에 연결될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나사 리테이너는 그로부터 장착 나사가 제거될 때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3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제1 및 제2 장착 나사를 보유하도록 배열되며, 이 단자 블록은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의 각각은 제1 및 제2 장착 나사중 하나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는 제1 및 제2 장착 나사를 대체로 평행한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단자 블록.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리테이너는 각각 그로부터 나사가 제거될 때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42. 다수의 나사, 다수의 와이어, 및 전도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자 블록 베이스로서, 상기 전도체는 그 각각이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와 조립될 때 상기 다수의 나사중 하나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는 상기 다수의 와이어중 하나와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단자 연결 부분, 다수의 살 부분, 및 그 각각이 상기 다수의 단자 연결 부분중 하나와 상기 다수의 살 부분중 하나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트레이스 부재 부분을 갖는 단자 블록 베이스이며,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뒷면 및 상기 뒷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앞면,
    상기 뒷면에 제공되며 상기 나사들중 하나를 나사결합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다수의 나사 수용 부분,
    상기 뒷면과 앞면 사이에 존재하며 후방 개구를 통해서 뒷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전방 개구를 통해서 앞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내부 리세스로서, 전방 개구로부터 접근되도록 후방 개구를 통해서 돌출하는 다수의 살 부분을 그 내부의 적소에 수용하도록 형상을 갖는 내부 리세스, 및
    그 각각이 상기 다수의 단자 연결 부분중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뒷면 상의 다수의 장착면을 포함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상기 내부 리세스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살 부분을 그 내부에서 이격된 배열 상태로 유지하는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다수의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채널에는 상기 다수의 살 부분중 하나가 배치되는 단자 블록 베이스.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뒷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어 트레이스 부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분을 갖는 단자 블록 베이스.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 연결 부분 각각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접 단자 연결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트레이스 부재 부분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다수의 트레이스 부재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며 그 사이에는 트레이스 부재 부분이 배치되는 다수의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
  48.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그 각각이 자유 단부 부분을 갖는 다수의 살 부분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상기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들 채널의 각각은 상기 다수의 살 부분중 하나의 자유 단부 부분을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단자 블록 베이스.
  49.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 베이스는 장착 나사를 보유하도록 배열되며, 이 단자 블록 베이스는,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 나사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나사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리테이너는 그로부터 장착 나사가 제거될 때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베이스.
  51. 후방 개구를 갖는 뒷면, 전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뒷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앞면, 상기 뒷면과 앞면 사이에 존재하며 후방 개구를 통해서 뒷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전방 개구를 통해서 앞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내부 리세스, 및 상기 뒷면 상의 다수의 장착면을 구비하는 단자 블록 베이스와 함께 사용가능한 리드 프레임이며,
    상기 리드 프레임은, 단자 블록 베이스의 뒷면에 배치되도록 크기 설정된 다수의 분리된 회로 부분을 갖는 편평한 금속 재질의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부분의 각각은 원피스 구조의 단자 연결 부분, 굴곡된 살 부분, 및 트레이스 부재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단자 연결 부분은 단자 블록 베이스의 장착면중 하나에 배치되도록 크기 설정되고,
    상기 굴곡된 살 부분은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고 앞면의 전방 개구를 통한 접근을 위해 단자 블록 베이스의 내부 리세스 내에 배치되도록 크기 설정되며,
    상기 트레이스 부재 부분은 상기 단자 연결 부분과 상기 굴곡된 살 부분을 함께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리드 프레임.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된 살 부분 각각은 접촉 단부 부분을 가지며, 이들 접촉 단부 부분은 단자 블록 베이스의 내부 리세스 내에 배치될 때 이격 배열되는 리드 프레임.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다수의 나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자 연결 부분은 상기 나사들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크기 설정된 관통 개구를 갖는 리드 프레임.
  54. 단자 블록이며,
    후방 개구를 갖는 뒷면,
    전방 개구를 가지며 상기 뒷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앞면,
    상기 뒷면 상의 다수의 장착면,
    상기 뒷면과 앞면 사이에 존재하며 후방 개구를 통해서 뒷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고 전방 개구를 통해서 앞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내부 리세스, 및
    그 각각이 원피스 구조의 단자 연결 부분, 살 부분, 및 트레이스 부재 부분을 구비하는 다수의 분리된 회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연결 부분은 상기 뒷면 상의 장착면중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살 부분은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연장되며 내부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서는 앞면의 전방 개구를 통해서 접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스 부재 부분은 상기 단자 연결 부분과 상기 살 부분을 함께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단자 블록.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후방 개구를 통해서 또한 내부 리세스 내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회로 부분의 살 부분을 이격된 배열 상태로 유지하는 플러그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다수의 채널을 가지며, 각각의 채널에는 다수의 살 부분중 하나가 배치되는 단자 블록.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뒷면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어 트레이스 부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분을 갖는 단자 블록.
  58. 제54항에 있어서, 단자 연결 부분 각각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접 단자 연결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59. 제58항에 있어서, 다수의 전방 돌출하는 전방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전방 지지 부재는 두 개의 단자 블록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을 향하여 앞면과 결합하여 배치될 때 상기 다른 단자 블록의 후방 돌출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결 합하도록 배치되고, 전방 지지 부재 및 후방 돌출 부분의 결합 부분의 조합된 길이는 상기 앞면이 다른 단자 블록의 뒷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기에 충분한 단자 블록.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스 부재 부분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트레이스 부재 부분을 지나서 연장되며 그 사이에는 트레이스 부재 부분이 배치되는 후방 돌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61.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에 다수의 이격된 채널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채널의 각각은 다수의 살 부분중 하나의 자유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단자 블록.
  62.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살 부분의 각각은 상기 내부 리세스에 배치되는 접촉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각각의 접촉 단부 부분은 전도성 금속이 코팅되는 편평하고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 단부 부분의 다른 부분은 코팅되지 않는 단자 블록.
  63.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장착 나사를 보유하도록 배열되며, 이 단자 블록은, 상기 뒷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 나사를 제거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나사 리테이너를 추가로 구비하는 단자 블록.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단자 연결 패드에 연결될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 케이블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나사 리테이너는 그로부터 장착 나사가 제거될 때 케이블을 유지하여 케이블 응력 완화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크기 설정되는 단자 블록.
KR1020067021250A 2004-03-15 2005-03-14 단자 블록 KR20070006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00,512 US7039183B2 (en) 2004-03-15 2004-03-15 Termination block
US10/800,512 2004-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841A true KR20070006841A (ko) 2007-01-11

Family

ID=3498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250A KR20070006841A (ko) 2004-03-15 2005-03-14 단자 블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039183B2 (ko)
EP (1) EP1726147A4 (ko)
KR (1) KR20070006841A (ko)
CN (1) CN100542184C (ko)
AU (1) AU2005222996B2 (ko)
BR (1) BRPI0508725A (ko)
CA (1) CA2559623C (ko)
MX (1) MXPA06010499A (ko)
TW (1) TW200539528A (ko)
WO (1) WO20050893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6036A1 (en) * 2007-07-13 2009-01-15 Wong Shaw Fong Conductor reinforcement for circuit boards
US8366492B2 (en) * 2009-12-21 2013-02-05 Boltswitch, Inc. Terminal reversing block
US9559442B2 (en) * 2013-03-29 2017-01-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quencer terminal block, sequencer, and sequenc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5183A (en) * 1970-08-03 1972-07-04 Dracon Ind Telephone cord terminal block
US4040699A (en) * 1976-10-18 1977-08-09 Crest Industries, Inc. Female connector and escutcheon plate combined therewith for telephone equipment
US4146292A (en) * 1978-03-21 1979-03-27 Superior Cable Corporation Telephone wall mounting
US4865564A (en) * 1988-06-10 1989-09-12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Wall mounted connecting block
GB9416254D0 (en) * 1994-08-11 1994-10-05 Drewnicki Richard Electrical connectors
GB2300763B (en) * 1995-04-27 1999-08-18 Krone Electrical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39183B2 (en) 2006-05-02
TW200539528A (en) 2005-12-01
CN1951088A (zh) 2007-04-18
WO2005089318A2 (en) 2005-09-29
WO2005089318A3 (en) 2006-03-09
EP1726147A2 (en) 2006-11-29
CA2559623C (en) 2013-05-21
AU2005222996B2 (en) 2010-03-25
BRPI0508725A (pt) 2007-08-14
US20050213750A1 (en) 2005-09-29
CN100542184C (zh) 2009-09-16
US20060018461A1 (en) 2006-01-26
EP1726147A4 (en) 2007-07-18
MXPA06010499A (es) 2006-12-19
CA2559623A1 (en) 2005-09-29
AU2005222996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111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センサ組立体
US4261633A (en) Wiring module for telephone jack
US6976867B2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assembly
US5562493A (en) Network interface assembly and mounting frame
EP1880555B1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assembly
US4758182A (en) Electric connector
US8454388B2 (en) Micro-USB connector
TWI309490B (en) Cross-connect module and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ross-connect module
JPS6378463A (ja) 薄型のモジュール式ホーンジャック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TW200301029A (en) Electric connector with cable holding mechanism
KR101337546B1 (ko) 커넥터 터미널
US5573432A (en) Press-connecting connector
US723495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otective cover for post header
KR20070006841A (ko) 단자 블록
US6019641A (en) Electric connector
US743511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S63160180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ハウジング
JP2004055391A (ja)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2019175601A (ja) 電気通信用シールドパッチパネル
WO2004082078A1 (en) Network connection sensing assembly
JPH10289748A (ja) 電気通信用ジャック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