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541A -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 Google Patents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541A
KR20070006541A KR1020050117967A KR20050117967A KR20070006541A KR 20070006541 A KR20070006541 A KR 20070006541A KR 1020050117967 A KR1020050117967 A KR 1020050117967A KR 20050117967 A KR20050117967 A KR 20050117967A KR 20070006541 A KR20070006541 A KR 2007000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ormwork
coupling
plate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268B1 (ko
Inventor
남상문
Original Assignee
세종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세종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05011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2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등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맨홀 등의 외벽면 적어도 일부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관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관체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관체가 결합되는 관결합구를 가지며, 상기 관체통과구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거푸집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체위치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관체의 결합 높이 및 결합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등의 구조체가 제공된다.
관체, 맨홀, 일체타설, 결합, 높이조절, 거푸집, 외부거푸집

Description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등의 구조체{Mold for pipe connecter of manhole etc and manhol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 내지 도 4의 또 다른 형태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9은 도 7 및 도 8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10은 도 7 내지 도 9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에 의해 관체가 일체로 결합 제작된 맨홀구조체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사용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거푸집 20 : 외부거푸집
21 : 관체통과구 25 : 가이드핀
30 : 관체위치조절판 31 : 관결합구
본 발명은, 타설 시공될 또는 이미 타설 시공되어 있는 맨홀이나 옹벽구체( 擁壁具體) 등에 관체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등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체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등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하수나 우수 및 통신케이블 등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때는 경로의 시작부인 옹벽구체로부터 다수의 하수관(이하 "관체"라 함)을 연결하여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동경로의 분기점나 교차지점(이하 "분기점"으로 함)에서는 맨홀을 이용하여 경로를 분산시키거나 교차시킨다.
맨홀과 옹벽구체(이하 "맨홀 등"이라 함)에 관체를 일체로 결합하는 시공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대별된다.
첫째, 타설될 맨홀 등에 대응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관체가 결합될 거푸집의 일 영역에 관체의 결합을 위한 결합개구를 형성한 다음, 결합개구에 관체의 일단부 영역을 접속한 상태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맨홀과 관체를 일체로 타설하는 공법과;
둘째, 이미 타설 성형된 맨홀 등의 일 영역에 관체의 직경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관통공에 관체의 일단부 영역을 접속한 상태에서 관통공과 관체 사이의 공극을 몰탈 또는 접착 가능한 재료로 마감 처리하여 맨홀에 관체를 결합하는 공법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맨홀 등에 관체를 일체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전자의 경우 거푸집의 일 영역을 제거하여 결합개구를 형성하기 때문에,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 시공 후에는 해당 거푸집을 이용하여 관체의 결합 높이가 상이한 타 맨홀 등을 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이미 타설 성형된 맨홀에 관통공을 형성할 때, 관체에 비해 큰 직경의 관통공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관체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체의 결합 높이 및 결합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등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맨홀 등의 외벽면 적어도 일부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관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관체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관체가 결합되는 관결합구를 가지며, 상기 관체통과구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거푸집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체위치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체통과구의 둘레연부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플렌지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은 둘레연부에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장공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 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은 상기 외부거푸집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위치조절판과, 상기 외부거푸집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위치조절판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수평위치조절판의 둘레연부에는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의 장공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평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위치조절판의 둘레연부에는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의 장공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의 외주면은 수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핀과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관체통과구의 둘레연부와 상기 결합플렌지부 사이에는 상기 관체통과구 둘레방향을 따라 몰탈보강성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몰탈보강성형부 상부면에는 몰탈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은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양 판상부재가 상호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양 판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관체가 일체로 결합된 맨홀 등의 구조체에 있어서, 전술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에 의해 제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의 구조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1)은 맨홀 등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거푸집(10)과, 맨홀 등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외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20)의 일 영역에 관체(A)를 상하좌우 위치 조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관체위치조절판(30)을 포함한다.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은 형성될 맨홀 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판상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원형맨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은 각각 복수의 원호판상부재가 피스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사각맨홀 등을 형성할 경우에는 평판상부재가 피스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부거푸집(20)의 일 영역 판면에는 관체(A)를 결합하기 위한 관체통과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체통과구(21)는 결합될 관체(A)의 외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관체통과구(21)의 둘레연부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플렌지 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플렌지부(23)에는 관체위치조절판(30)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핀(25)이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한편, 관체위치조절판(30)은 외부거푸집(20)의 결합플렌지부(23)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위치조절판(30a')과, 외부거푸집(20)의 결합플렌지부(2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위치조절판(30b')을 갖는다.
수평위치조절판(30a')은 외부거푸집(20)의 관체통과구(21) 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 수평위치조절판(30a')의 둘레영역 판면에는 결합플렌지부(23)의 가이드핀(25)이 관통되는 수평방향 장공 형상의 수평가이드공(33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영역에는 관체(A)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의 관결합구(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평위치조절판(30a')은 외부거푸집(20)의 관체통과구(21)를 덮는 상태에서 수평가이드공(33a)이 결합플렌지부(23)의 가이드핀(25)에 대해 상호 좌우 수평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외부거푸집(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위치조절판(30b') 역시, 외부거푸집(20)의 관체통과구(21) 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수직위치조절판(30b')의 둘레영역 판면에는 수평위치조절판(30a')의 수평가이드공(33a)을 통과한 가이드핀(25)이 관통되는 수직방향 장공 형상의 수직가이드공(33b)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위치조절판(30b')의 중 앙영역에는 관체(A)의 직경에 대응하는 관결합구(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위치조절판(30b')은 수평위치조절판(30a')의 관결합구(31a)를 덮는 상태에서 수직가이드공(33b)이 가이드핀(25)에 대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들 수평위치조절판(30a')과 수직위치조절판(30b')은 각 조절판의 가이드공을 통과한 가이드핀(25)이 수직위치조절판(30b')의 외측에서 고정너트(27)에 체결됨으로써, 각각 외부거푸집(20)의 관체통과구(21) 결합플렌지부(23)에 대해 좌우 수평방향으로 또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수평위치조절판(30a')과 수직위치조절판(30b')은 각각 상하 대칭되는 한 쌍의 판상부재가 상호 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위치조절판의 양 판상부재를 좌우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시켜 놓은 상태에서 관체(A)를 결합한 후, 각 위치조절판의 양 판상부재를 상호 접근시켜서 관결합구(31a,31b)가 관체(A)를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관체(A)의 결합과 상하좌우 위치 조절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이때에는 각 위치조절판의 양 판상부재가 상호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수직위치조절판(30b')의 외측에 지지바아(35)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위치조절판(30a') 및 수직위치조절판(30b')은 각각 단일 판상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위치조절판(30a')과 수직위치조절판(30b')은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외부거푸집(20)의 결합플렌지에 수직위치조절판(30b')이 먼저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다음, 수직위치조절판(30b') 외측에 수평위치조절판(30a')이 좌우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직위치조절판(30b')의 관결합구(31b)는 관체(A)의 외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수평위치조절판(30a')의 관결합구(31a)는 관체(A)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게 된다.
물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직경의 관결합구를 갖는 수직위치조절판(30b')이 외측에 배치되고, 비교적 작은 직경의 관결합구를 갖는 수평위치조절판(30a')이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1)을 이용하여 맨홀 등에 대해 관체(A)를 소정의 위치에 일체로 타설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맨홀 등의 시공될 위치에 기초를 시공을 하고 기초에 내부거푸집(10) 및 관체위치조절판(30)을 갖는 외부거푸집(20)을 설치한다.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을 설치한 다음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위치조절판(30a')과 수직위치조절판(30b')의 위치를 각각 좌우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를 설정한 후, 고정너트(27)로 관체위치조절판(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각 위치조절판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상부재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일측의 판상부재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타측 판상부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관체(A)를 관결합구(31)에 삽입한 후, 타측 판상부 재를 고정된 일측 판상부재에 접하게 하향 이동시킨 후 위치 고정하면 관체(A)의 결합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한편, 관체(A)가 설치될 위치에 대응하는 내부거푸집(10)의 판면에는 관체위치조절판(30)의 관결합구(31)를 통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 사이에 삽입된 관체(A)의 단부를 기밀시키는 기밀부재(11)가 미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A)를 적정 위치에 설치한 다음에는 외부거푸집(20) 외측에 위치하는 관체(A)의 하부에 관체(A)를 수평 지지할 수 있도록 버팀부재(41)를 개재한다.
이렇게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의 설치 및 거푸집의 적정 높이에 관체(A)의 결합이 완료되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러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20) 사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면서 도 4와 같이, 관체(A)가 소정의 높이에서 맨홀 등과 일체로 타설되어 도 13과 같은 맨홀구조체(B)가 제작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 및 도 8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은 필요에 따라서 관체위치조절판(30)이 외부거푸집(20)의 결합플렌지부(2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위치조절판만 (30a,30b)으로 마련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A)의 결합위치를 상하 수직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은 또 다른 필요에 따라서 관체위치조절판(3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거푸집(20)의 결합플렌지부(23)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위치조절판(30a,30b)만으로 마련됨으로써, 관체(A)의 결합위치를 좌우 수평방향으로만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수직위치조절판(30a,30b) 또는 수평위치조절판(30a,30b)의 구성과 결합구조 등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외부거푸집(20')은 이미 성형되어 있는 맨홀 등(B)의 외벽면 적어도 일부영역에 대응하는 판면을 가지고 있으며, 판면에 관체(A)에 비해 큰 직경의 관체통과구(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거푸집(20')의 관체통과구(21') 둘레 연부에는 관체통과구(21') 둘레방향을 따라 외향 돌출된 몰탈보강성형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몰탈보강성형부(50) 둘레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플렌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몰탈보강성형부(50) 상부면에는 몰탈투입구(5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플렌지부(23)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관체위치조절판(30)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관체위치조절판(30)의 결합구조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타설 성형된 맨홀 등(B)의 일 영역에 관체(A)를 결합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이미 성형된 맨홀 등(B)의 일 영역에 관체(A)의 직경에 대응하는 관통공(61)을 형성한다. 이때, 관통공(61)은 관체(A)의 원할한 삽입을 위해 관체(A)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관체위치조절판(30)이 결합된 외부거푸집(20')을 관통공(61)이 형성된 영역의 맨홀 등(B)의 외벽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때, 외부거푸집(20')의 관체통과구(21')와 맨홀 등(B)의 관통공(61)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
외부거푸집(20')을 맨홀 등(B)에 고정한 다음에는 관체위치조절판(30)의 수평위치조절판(30b)와 수직위치조절판(30a)의 위치를 상하 좌우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조절한 후, 고정너트(27)로 관체위치조절판(30)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관체위치조절판(30)의 관결합구(31')에 관체(A)를 삽입한다. 이때, 맨홀 등(B)의 내벽면 측에는 관체(A)의 단부와 맨홀의 내벽면을 기밀하는 기밀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야 한다.
관체(A) 결합한 다음에는 외부거푸집(20') 외측에 위치하는 관체(A)의 하부 에 관체(A)를 수평 지지할 수 있도록 버팀부재(미도시)를 개재한다.
이 상태에서 관체위치조절판(30)의 몰탈보강성형부(5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몰탈투입구(51)로 몰탈 또는 접착 가능한 재료를 주입하면, 맨홀 등(B)의 관통공(61)과 관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과 몰탈보강성형부(50) 내측 공간에 몰탈 또는 접착 가능한 재료가 충전되고, 소정의 양생기간이 지나면 도 13과 같이, 관체(A)가 일체로 결합된 맨홀 등(B)의 제작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각 실시예들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결합용 거푸집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이가 높은 맨홀 등을 제작할 때, 외부거푸집(20)과 내부거푸집(10)을 상호 적층하여 맨홀 등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관체위치조절판(30)은 상하 적층된 외부거푸집(10) 중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외부거푸집(10)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의 사시도이며,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1)은 외부거푸집의 일 영역에 관체(A)를 결합하기 위한 사각의 관체통과구(21)가 그 둘레연부에 내향절곡된 결합플렌지부(2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플렌지부(23)의 관체통과구(21) 둘레영역과, 관체위치조절판 (30)의 관결합구(31) 둘레영역에는 관체위치조절판(30)을 위치조절한 상태에서 결합플렌지부(23)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결합핀(25)이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결합용 거푸집은 도 16과 같이, 관체위치조절판(30)이 결합플렌지(23) 내측면에서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관체위치조절판의 가이드결합핀(25)에 고정너트나 지지바아를 결속하여 관체위치조절판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도 16과 같이, 관체위치조절판(30)이 결합플렌지(23) 외측면에서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결합플렌지의 가이드결합핀(25)에 고정너트(27) 및 지지바아(35)를 결속하여 관체위치조절판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은 외부거푸집에 상하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한 관체위치조절판을 마련함으로써, 맨홀 등에 대해 관체를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맨홀 등과 일체로 타설할 수 있다.
또한,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 시공 후에는 해당 거푸집을 이용하여 관체의 결합 위치가 상이한 타 맨홀 등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 타설 성형된 맨홀에 관체를 결합할 때도 원하는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관체를 결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체의 결합 높이 및 결합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등의 구조체가 제공된다.

Claims (9)

  1.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맨홀 등의 외벽면 적어도 일부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관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관체통과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거푸집과;
    상기 관체가 결합되는 관결합구를 가지며, 상기 관체통과구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거푸집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체위치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통과구의 둘레연부에는 외향 돌출된 결합플렌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플렌지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은 둘레연부에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장공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은
    상기 외부거푸집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위치조 절판과,
    상기 외부거푸집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위치조절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위치조절판의 둘레연부에는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의 장공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평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위치조절판의 둘레연부에는 상기 가이드핀에 대응하도록 수직방향의 장공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의 외주면은 수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핀과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통과구의 둘레연부와 상기 결합플렌지부 사이에는 상기 관체통과구 둘레방향을 따라 몰탈보강성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몰탈보강성형부 상부면에는 몰탈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 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위치조절판은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판상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 판상부재가 상호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상기 양 판상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9. 관체가 일체로 결합된 맨홀 등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등의 구조체.
KR1020050117967A 2005-07-08 2005-12-06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KR10075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967A KR100752268B1 (ko) 2005-07-08 2005-12-06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511 2005-07-08
KR1020050061511 2005-07-08
KR1020050117967A KR100752268B1 (ko) 2005-07-08 2005-12-06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541A true KR20070006541A (ko) 2007-01-11
KR100752268B1 KR100752268B1 (ko) 2007-08-29

Family

ID=3787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967A KR100752268B1 (ko) 2005-07-08 2005-12-06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7537A (zh) * 2012-08-28 2013-01-16 李尚喜 公路路边固力井下水道建设与施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413B1 (ko) 2008-10-21 2011-03-28 김선홍 맨홀의 하수관 결합 방법
KR101448610B1 (ko) 2013-12-31 2014-10-13 주식회사 성은특수콘크리트 조립식 맨홀의 관연결부의 콘크리트타설 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713B1 (ko) * 2003-11-12 2006-05-22 세종종합건설 주식회사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JP2005045794A (ja) * 2004-07-15 2005-02-17 Ricoh Co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の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7537A (zh) * 2012-08-28 2013-01-16 李尚喜 公路路边固力井下水道建设与施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268B1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103A (ko) 부분 프리캐스팅 구조의 현장 타설 암거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현장 조립 성형 장치
KR101905805B1 (ko) 비정형 거푸집 모듈
KR100752268B1 (ko)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KR20050112519A (ko) 건축용 슬리브
KR101616867B1 (ko)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397660Y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KR100805622B1 (ko)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20030045727A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JP2017082530A (ja) プレキャスト円形水路の連結設置工法
KR102363892B1 (ko) 원심력 사각 수로관 결합용 빗물받이, 이의 프리캐스트 상부 구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180026413A (ko)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08850Y1 (ko) 긴급공사용 하수맨홀의 설치구조
KR101942246B1 (ko) 레진 맨홀용 몸체 성형틀
KR20100013993A (ko) 지수단관이 구비된 맨홀의 성형장치
KR101262856B1 (ko) 콘크리트 맨홀 성형틀
KR200367355Y1 (ko) 맨홀 유니트
KR100733583B1 (ko) 맨홀거푸집
JPH10140589A (ja) マンホール用躯体ブロック及び下水用宅排ます
KR100582713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타설용 거푸집 및 그 타설방법
KR100635482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부재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KR20200001391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CN115434303B (zh) 围护桩、围护结构、围护桩模具及其生产工艺
US7677604B2 (en) Adjustable offset bushing type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