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622B1 -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622B1
KR100805622B1 KR1020060135136A KR20060135136A KR100805622B1 KR 100805622 B1 KR100805622 B1 KR 100805622B1 KR 1020060135136 A KR1020060135136 A KR 1020060135136A KR 20060135136 A KR20060135136 A KR 20060135136A KR 100805622 B1 KR100805622 B1 KR 10080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formwork
manhol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3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1Transformable moulds allowing the change of shape of an initial moulded preform by preform deformation or the change of its size by moulding on the pre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할 맨홀의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상부 슬라브용, 하부 슬라브용, 벽체용으로 구성된 하나의 거푸집 세트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조립용 맨홀 세그먼트를 제작할 수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는, 조립식 맨홀의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최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하부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모서리판 및 간격판과;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소정 각도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된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MOLD DEVICE FOR MANUFACTURING MULTI-DIVIDED SEGMENTS OF SECTIONAL MANH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서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서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서 벽체용 거푸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모서리판과 간격판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지지대와 측판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거푸집의 일부가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벽체용 거푸집의 길이조절 마감부재와 관구부 마감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벽체용 거푸집의 고정탭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벽체용 거푸집에서 벽체 측판이 유압장치에 의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벽체용 거푸집의 너트 삽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로 제작한 조립식 맨홀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 11 : 모서리판
12 : 간격판 13 : 지지대
13a : 볼트 구멍 14 : 측판
14a : 고정장치 16 : 철개 개구부용 틀
20 :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 21 : 모서리판
24 : 측판 26 : 바닥 수부용 틀
30 : 벽체용 거푸집 31 : 내부판
32 : 벽체 측판 33 : 마감부재
34 : 관구부 마감재 35 : 너트 삽입장치
36 : 지지대 36a : 고정 탭
38 : 유압장치
본 발명은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할 맨홀의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상부 슬라브용, 하부 슬라브용, 벽체용으로 구성된 하나의 거푸집 세트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조립용 맨홀 세그먼트를 제작할 수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 배관, 오수, 가스, 전력 또는 통신 선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마다 설치된 지중 구조물로써 노후된 상수도 배관의 교환이나 수리와 같은 공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맨홀 자체가 노후되어, 내부에 각종 시설물이 이미 수용되어 있는 기존 맨홀을 대체할 경우에, 맨홀 내부의 시설물들이 지장이 되어 품질이 우수한 공장 제작품인 프리캐스트 형태의 맨홀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맨홀을 설치할 수밖에 없다. 또한, 지하 매설물이 산재한 장소에 맨홀을 시공할 경우에도 프리캐스트 맨홀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현장 콘크리트 타설 맨홀을 설치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거푸집 시공, 철근 조립,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거푸집 철거 등의 공정이 소요되어 공사 기간이 장기화 되고, 도심지에 위치한 맨홀인 경우에는 교통 소통이나 통행 불편 등을 유발시킨다. 또한,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맨홀은 프리캐스트 맨홀에 비해 시공 품질이 저하되므로, 시공 후 운용 및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다분할 세그먼트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을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으며(출원번호 10-2006-0131016, 출원일자 2006.12.20), 이 조립식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가 본 발명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 및 벽체용 거푸집으로 각각 이루어져, 설치할 맨홀의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상부 슬라브용, 하부 슬라브용, 벽체용으로 구성된 하나의 거푸집 세트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조립용 맨홀 세그먼트를 제작할 수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립식 맨홀의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최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하부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모서리판 및 간격판과;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소정 각도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된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모서리판은 사각 형상의 각 모서리마다 하나씩 총 4개 구비되며, 상기 간격판(12)은 모서리판(11)의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간격판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모서리판과 상기 간격판의 중심부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조립식 맨홀의 상부 슬라브에 맨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철재 개구부용 틀을 더 포함하여, 맨홀 구멍의 형성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서로 직교하는 상기 측판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각 모서리마다 하나씩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판이 외압을 받는 경우에도 고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모서리판 및 간격판의 위치 및 개수가 결정된 후, 상기 측판들의 위치는 전후 좌우로 조정되어, 상기 모서리판 및 간격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립식 맨홀의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최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벽체의 바깥쪽 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체 측판과; 상기 벽체 측판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판(31)과; 상기 벽체 측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이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벽체 측판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내부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판에 대하여 안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장치를 더 포함하여, 거푸집의 탈형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의 표면에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제작 후 상기 벽체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되는 고정탭을 더 포함하여, 탈형 시 내부 거푸집이 유압에 의하여 안쪽으로 이동할 경우, 벽체가 함께 이동하면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벽체 내에 인양 고리를 설치하여, 상기 벽체의 제작 후 벽체 세그먼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너트 삽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조립식 맨홀의 설치 후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벽체 측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관구부 마감재를 더 포함하여, 관구부 형성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거푸집 장치에 의하여 제작된 조립식 맨홀의 구성에 대해서는 출원특허 제10-2006-0131016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맨홀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는 크게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과,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20) 및 벽체용 거푸집(30)으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서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의 각 구성요소들은 하단에 위치한 사각판 형상의 지지대(13) 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의 일측에는 볼트 구멍(13a)이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슬라브(미도시)의 하단 면을 형성하는 모서리판(11) 및 간격판(12)이 소정 높이 돌출하여 구비되고, 이 모서리판(11)은 사각 형상의 각 모서리마다 하나씩 총 4개 구비되며, 간격판(12)은 모서리판(11)의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모서리판(11)은 사각 형상의 모서리에 구비되고 이 모서리판(11)의 사이에는 간격판(12)이 구비된 모습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모서리판(11)은 상부 슬라브의 각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고, 간격판(12)은 상부 슬라브의 하단 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부 슬라브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간격판(12)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간격판(12)의 개수를 필요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상부 슬라브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모서리판(11)과 간격판(12)의 중심부에는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원 형상의 철개 개구부용 틀(16)이 구비된다. 이 철개 개구부용 틀(16)은 조립식 맨홀의 상부 슬라브에 맨홀 구멍(미도시)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맨홀 뚜껑의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판(11) 및 간격판(12)의 사방 주위에는 측판(14)이 4개 구비된다. 이 측판(14)은 상부 슬라브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경사진 상부 슬라브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 각도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모서리판(11) 및 간격판(12)의 위치 및 개수가 결정된 후, 측판(14)들의 위치를 전후 좌우로 조정하여 상기 모서리판(11) 및 간격판(12)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의 크기를 원하는 크기로 조정할 수 있고, 이 결과 상부 슬라브의 크기 또한 자유롭게 조정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 상기 모서리판(11) 및 간격판(12)과 측판(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조립식 맨홀의 재료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등을 붓는 캐스트(cast; 주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부 슬라브를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제조방법은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20) 및 벽체용 거푸집(30)에서도 동일하다. 이는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지지대와 측판 부분을 도시한 도 5를 참고하면 더욱 명백하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수부용 틀(26)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즉 모서리판(21), 간격판(22), 지지대(23) 및 측판(24)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도 2에는 측판(24)이 두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좌측 및 상측의 측판(24)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일 뿐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의 철개 개구부용 틀(16)과는 다소 형상이 상이한 바닥 수부용 틀(26)이 구비된다. 이 바닥 수부용 틀(26)은 하부 슬라브의 상부 면 중심에 형성되는 ‘바닥 수부(미도시)’를 제작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 바닥 수부는 조립식 맨홀의 설치 후, 맨홀 외부에서 흘러온 물을 맨홀의 바닥 가운데에 고이도록 함으로써, 양수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서 벽체용 거푸집(30)은, 내부판(31)과 벽체 측판(32)과 마감부재(33) 및 유압장치(38) 등의 구성 및 이 구성들을 지지하는 지지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벽체 측판(32)은 조립식 맨홀의 벽체(미도시)에서 바깥쪽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3과 같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벽체 측판(32)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내부판(31) 또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부판(31)과 측판(3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조립식 맨홀의 재료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등을 붓는 캐스트(cast; 주조) 방법을 이용하여 ‘ㄱ’자 형상의 벽체를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판(31)에 대하여 안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장치(38)가 내부판(31)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판(31)과 벽체 측판(3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이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마감부재(33)가 구비된다. 유압장치(38)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감부재(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판(31)의 벽체 측판(32) 사이에 부어지는 재료의 마감부를 형성하게 되고, 이 마감부재(33)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작되는 벽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거푸집의 일부가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20)에서 중심 측에 위치한 간격판(12)은 선단 측에 위치한 간격판(12) 및 모서리판(11)에 대하여 아래 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조립식 맨홀 재료의 주조가 종료한 후에, 조립식 맨홀과 거푸집을 분리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라브용 거푸집(10)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20)에서 서로 직교하여 위치하는 측판(14, 24)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장치(14a)가 각 모서리마다 하나씩 구비된다.
도 8은 벽체용 거푸집의 길이조절 마감부재(33)와 관구부 마감재(34)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감부재(33)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며, 관구부 마감재(34)는 조립식 맨홀의 벽체(미도시)에 관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관구부’란 도 15의 도면부호 24로 도시된 부분으로, 조립식 맨홀의 설치 후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구성으로, 조립식 맨홀의 설계에 따라 관구부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초기 벽체의 제작 시 이를 미리 형성하여 캐스트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 관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벽체용 거푸집에서 마감부재(33)를 설치하는 방법과 같이 관구부 마감재(34)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맨홀의 재료를 부음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관구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서는 마감부재(33)와 관구부 마감재(34)의 형상은 동일하나 크기가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마감부재(33)와 관구부 마감재(34)의 크기는 벽체 및 관구부 설계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벽체용 거푸집의 고정탭(36a)을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탭(36a)은 지지대(36)의 표면에서 조립식 맨홀의 재료가 부어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거푸집으로부터 맨홀 세그먼트가 탈형되는 경우에, 거푸집이 유압에 의하여 안쪽으로 이동할 경우, 벽체가 함께 이동하면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이 고정탭(36a)은 벽체의 하단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벽체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11은 벽체용 거푸집의 너트 삽입장치(35)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너트 삽입장치(35)는 인양 고리(미도시)를 벽체 내에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 인양 고리에 의하여 벽체의 제작 후에, 벽체 세그먼트를 이동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로 제작한 조립식 맨홀의 개략도로서, 출원특허 제10-2006-0131016호에 기재된 도면들이다. 상술한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에 의하여 제작한 상부 슬라브(도 12 참조), 하부 슬라브(도 13 참조) 및 벽체(도 14 참 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착시킨 후 맨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맨홀의 시공 품질을 프리 캐스트 수준까지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에서 맨홀을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는 설치할 맨홀의 크기(가로, 세로, 높이)에 구애 받지 않고, 상부 슬라브용, 하부 슬라브용, 벽체용으로 구성된 하나의 거푸집 세트를 사용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조립용 맨홀 세그먼트를 제작할 수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조립식 맨홀의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최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하부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모서리판 및 간격판과;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소정 각도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된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판은 사각 형상의 각 모서리마다 하나씩 총 4개 구비되며,
    상기 간격판(12)은 모서리판(11)의 사이에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간격판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판과 상기 간격판의 중심부에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 루어져,
    조립식 맨홀의 상부 슬라브에 맨홀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철재 개구부용 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슬라브용 거푸집에서, 서로 직교하는 상기 측판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각 모서리마다 하나씩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판 및 간격판의 위치 및 개수가 결정된 후,
    상기 측판들의 위치는 전후 좌우로 조정되어, 상기 모서리판 및 간격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6. 조립식 맨홀의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최하단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상기 벽체의 바깥쪽 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체 측판과;
    상기 벽체 측판의 내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판(31)과;
    상기 벽체 측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이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측판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판에 대하여 안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표면에 소정 높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벽체의 제작 후 상기 벽체 내에 삽입된 상태가 되는 고정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내에 인양 고리를 설치하여, 상기 벽체의 제작 후 벽체 세그먼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너트 삽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11.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조립식 맨홀의 설치 후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벽체 측판과 상기 내부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관구부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1020060135136A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10080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36A KR100805622B1 (ko)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136A KR100805622B1 (ko)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622B1 true KR100805622B1 (ko) 2008-02-20

Family

ID=3938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136A KR100805622B1 (ko) 2006-12-27 2006-12-27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6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02Y1 (ko) * 2011-07-26 2013-07-22 충청레미콘(주) 콘크리트 맨홀 성형장치
KR101557161B1 (ko) * 2008-11-18 2015-10-02 주식회사 케이티 조립식 맨홀용 벽체 세그먼트와 그 절단방법 및 거푸집 장치
CN105856394A (zh) * 2016-06-03 2016-08-17 太仓富莱克斯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制砖模具的模腿组件
CN111844385A (zh) * 2020-07-31 2020-10-30 山东鼎鲁建筑有限公司 一种具有防膨胀功能的建筑模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97A (ko) * 2001-09-28 2003-04-07 주식회사 케이티 수축형 거푸집
KR200315928Y1 (ko) * 2003-02-28 2003-06-12 주식회사 아산건설 맨홀용 거푸집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97A (ko) * 2001-09-28 2003-04-07 주식회사 케이티 수축형 거푸집
KR200315928Y1 (ko) * 2003-02-28 2003-06-12 주식회사 아산건설 맨홀용 거푸집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161B1 (ko) * 2008-11-18 2015-10-02 주식회사 케이티 조립식 맨홀용 벽체 세그먼트와 그 절단방법 및 거푸집 장치
KR200468002Y1 (ko) * 2011-07-26 2013-07-22 충청레미콘(주) 콘크리트 맨홀 성형장치
CN105856394A (zh) * 2016-06-03 2016-08-17 太仓富莱克斯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制砖模具的模腿组件
CN105856394B (zh) * 2016-06-03 2018-05-04 太仓富莱克斯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制砖模具的模腿组件
CN111844385A (zh) * 2020-07-31 2020-10-30 山东鼎鲁建筑有限公司 一种具有防膨胀功能的建筑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782B1 (ko) 부분 프리캐스팅 구조의 현장 타설 암거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현장 조립 성형 장치
CN205377242U (zh) 一种组装式电缆沟
KR20130143097A (ko) 설치 기초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100805622B1 (ko) 조립식 맨홀의 세그먼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110863507A (zh) 一种加装电梯整体式预制基础构件、成型模具和使用方法
KR101401057B1 (ko) 기둥과 주두와 철골보 및 슬래브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KR20160000702A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에 사용되는 체결부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브라켓의 설치구조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구조물 구축구조와 방법
JP6644600B2 (ja) 一体型基礎及び一体型基礎工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200244705Y1 (ko)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
CN106930391B (zh) 无模施工顶板现浇排水渠结构及施工方法
KR102363892B1 (ko) 원심력 사각 수로관 결합용 빗물받이, 이의 프리캐스트 상부 구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체
JP5921176B2 (ja) 据え付け基礎施工方法
JP2009161961A (ja) 側溝及び側溝施工方法
KR20100127062A (ko) 맨홀 보수공사용 거푸집 및 맨홀의 보수 시공방법
CN112049144B (zh) 一种适用于交通杆件的基础及施工方法
KR20070076560A (ko) 각도조절형 조립식 맨홀
KR100805555B1 (ko) 다분할 세그먼트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KR200189326Y1 (ko) 아이엘엠용 피씨박스거더 교량제작 거푸집 시스템
KR200397597Y1 (ko) 암거형 중앙분리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20070002206A (ko) 암거형 중앙분리 이동식 거푸집 장치
CN220433734U (zh) 一种用于地下空间混凝土结构施工的模板系统
CN219886937U (zh) 一种井座的安装结构
KR200405477Y1 (ko) 암거형 중앙분리 이동식 거푸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