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461A -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 - Google Patents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461A
KR20070004461A KR1020060062549A KR20060062549A KR20070004461A KR 20070004461 A KR20070004461 A KR 20070004461A KR 1020060062549 A KR1020060062549 A KR 1020060062549A KR 20060062549 A KR20060062549 A KR 20060062549A KR 20070004461 A KR20070004461 A KR 2007000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point
members
movable poi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385B1 (ko
Inventor
필리페 머그
Original Assignee
보슬로 꼬지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슬로 꼬지페 filed Critical 보슬로 꼬지페
Publication of KR2007000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10Frogs
    • E01B7/14Frogs with 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Railway Tracks (AREA)
  • Prosthes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Eyeglass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크로싱 프로그(crossing frog)는 :
-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돌출 부재(35, 36)를 가지는 가동 포인트 맞춤 요소(movable point fitting component)를 포함하는 크레이들 조립체,
- 크레이들 조립체에 장착되어 있고 맞춤 요소(12)에 맞춰져 있는 가동 포인트,
- 돌출 부재(35, 36)와 가동 포인트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 요소(63), 및
- 맞춤 요소(12)의 가동 포인트를 제거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수단(70, 81, 83)을 포함한다.
스페이서 요소(63)는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수단(70, 81, 83)으로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돌출 부재(35, 36)에 부착되어 있어서, 크레이들 조립체에 대하여 수직 방향(Z)으로 포인트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MOVABLE POINT CROSSING FROG FOR A RAIL TRACK}
도 1은 트랙 상에 위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싱 프로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싱 프로그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크로싱 프로그의 3-3 평면으로 절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크로싱 프로그의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크로싱 프로그의 5-5 평면으로 절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돌출 부재를 가지는 가동 포인트 맞춤 요소을 구비하는 크레이들 조립체,
- 크레이들 조립체에 장착되고 맞춤 요소에 맞춰지는 가동 포인트,
- 돌출 부재와 가동 포인트 사이에 재재된 스페이서 요소, 및
- 맞춤 요소에 가동 포인트를 제거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크로싱 프로그의 설계는, 가동 포인트가 마모되거나 손상시, 가동 포인트를 트랙 상에서 제거하고 대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컨대, 프랑스 특허 FR 2 788 535 공보에 기술된 크로싱 프로그는 돌출 부재와 함께 단일 부재로 형성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이 형태의 크로싱 프로그에서, 가동 포인트를 피쉬-플레이트 챔버(fish-plate chamber)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트랙의 주 방향, 즉 축 방향으로만 실행될 수 있다. 이 제거는 가동 포인트에 부착하여 연결된 맞춤 요소를 미리 제거할 필요가 있고, 그 후 가동 포인트의 제거는 현장이 아닌 작업장에서 실행되고, 이는 마모되거나 손상된 프로그를 제거하고 동일 형태의 대체 부분으로 대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형태의 유지 조작은 상당한 고비용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상당히 긴 시간 동안 트랙을 폐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단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고 유지 조작의 비용과 기간을 현저히 감소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이런 형태의 유지 조작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에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한 형태의 크로싱 프로그에 관한 것으로서, 스페이서 요소가,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수단에 의해서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돌출 부재에 부착되어 있어서, 포인트를 크레이들 조립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 능하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특징에 따르면 :
-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상기 수단이, 두 개의 돌출 부재에 체결되어 있고, 단면에서 돌출 부재, 스페이서 및 가동 포인트를 통하여 연장하는 나사가공된 횡단 섕크(threaded transverse shank)를 각각 가지는 조립체 부재를 포함한다;
- 조립체 부재는, 나사가공된 섕크가 장착되어 있는 부시 조립체를 각각 가지고, 부시 조립체는, 단면에서 돌출 부재, 스페이서 및 가동 포인트(5)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 크로싱 프로그가, 각 스페이서 요소를 위해서, 포인트의 수직 변위를 제한하도록 스페이서 요소의 상부면에 대하여 접하여, 예를 들어, 나사 조임 등의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돌출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심(security shim)(89)을 포함한다;
- 크레이들 조립체가,
. 포인트 단부측의 크레이들,
. 돌출 단부측의 맞춤 요소, 및
. 크레이들을 두 개의 돌출 부재에 각각 연결하는 두 개의 중간 부재를 포함한다;
- 맞춤 요소가, 두개의 돌출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고 가동 포인트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 지지판이 두개의 돌출 부재와 함께 단일 부재로 제조되어 있다;
- 맞춤 요소가, 일체형 돌출 요소로, 특히 강 또는 특수 주철로부터 주조하여, 구성되어 있다;
- 돌출 요소가, 용접 또는 접착 결합된 조인트에 의해서 두 개의 중간 부재 상에 조립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 지지판은 두 개의 돌출 부재와 별개 요소이다;
- 두 개의 돌출 부재는 두 개의 중간 부재를 처리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사용 상태에서, 트랙 상에 위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싱 프로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의 나머지에서는, 크로싱 프로그는 사용시 수평방향 위치에 놓여지는 것으로 간주하며 방향과 위치에 관한 모든 용어가 이 방위에 따라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수평" 및 "수직"이라는 용어는, 크로싱 프로그의 특정 요소를 한정할 수 있으며, 크로싱 프로그를 이용하기 위해 수평 위치에 따라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축 방향" 및 "횡단 방향" 이라는 용어는, 트랙의 통상적인 방향에 대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의 개략도를 참조하면, 크로싱 프로그(1)는 실질적으로 크로스-피 스(cross-piece)에 부착되는 크레이들 조립체(3)와, 이 크레이들 조립체(3)에 장착된 가동 포인트(5)를 구비하고 있다.
크레이들 조립체(3)는 실질적으로 포인트 크레이들(11), 맞춤 요소(12), 및 맞춤 요소(12)를 포인트 크레이들(11)에 연결하는 중간 요소(13)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포인트 단부에, 크레이들(11)이 수직 축 방향 평면의 일 측과 다른 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영역(21, 22)을 갖고 있다.
이들 영역(21, 22)은, 단면에서, 크레이들(11)의 수직 축 방향 평면에 대해 대칭인 각 형태를 가지며 레일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레일의 두 길이(21A, 22A)는 크레이들(11)의 포인트 단부의 영역(21, 22)에 각각 용접되어 있고, 이들 길이의 각각은 대응하는 단부 영역(21, 22)과 동일한 레일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다.
동일 방식으로, 크레이들(11)은, 그 돌출 단부에, 수직 축 방향 평면의 일 측과 다른 측에 대칭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영역(23, 24)을 갖고 있고, 이들 영역(23, 24)은 단면에서, 이 평면에 대해 대칭인 각각의 형태를 갖고 있다.
중간부(13)는, 각각 압연된 레일형상의 윤곽을 가지거나 대응하는 영역(23, 24)의 단부와 동일 단부를 가진 주조 부재인 두 개의 중간 부재(33, 34)를 가진다.
맞춤 요소(12)는, 윤곽 단부가 중간 부재(33, 34)의 단부에 대응하고 중간 부재(33, 34)를 연장하는 두 개의 돌출 부재(35, 36)를 구비한다.
크레이들 조립체(3)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조립된 요소로서, 단부 영역(21, 22, 23, 24)과, 중간 부재(33, 34)와, 돌출 부재(35, 36)에 의해 형성된 윤곽들 사 이에서 수평으로 연장한 베이스 벽을 더 구비한다. 크레이들 조립체(3)에 장착될 때, 가동 포인트(5)는 이 베이스 벽 상에 다시 설정된다.
가동 포인트(5)는, 포인트 단부(41)의 위치에 따라, 크레이들(11)의 포인트 영역(21, 22)의 하나 또는 다른 것과 선택적으로, 안내 표면의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설치된 윤곽을 가지는 테이퍼진 자유 단부 영역(41) (또는 포인트 단부)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포인트(5)는 버섯 모양 부재(47)와 보강된 러너(runner)(48)를 가진 두꺼운 웹(46)을 갖는 특별한 윤곽을 가지는 두 개의 레일(43, 44)을 구비한다. 이들 레일(43, 44)은 포인트 단부(41)를 향하여 수렴하도록 연장하며, 이는 두 개의 레일 중의 한 레일의 단부에 구성된다.
가동 포인트(5)는 하기에 설명될 수단에 의해 크레이들 조립체(3)에 부착되어 있는 맞춤 섹션(49)을 가진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맞춤 요소(12)는 일체형 크레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체형 크레이들(12)은 강 또는 특수 주철로 주조하여 제조되며, 이 돌출 부재(35, 36)는 용접 또는 접착 결합된 조인트에 의해 각 중간 부재(33, 34)와 조립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이들 조립체(3)는, 모두 통상적으로 51로 지시되어 있지만 크레이들 조립체(3)의 각 부재들, 즉 크레이들(11), 맞춤 요소(12) 및 중간 요소(13)를 위하여 다른 타입도 될 수 있는 부착 장치에 의해 크로스-피스(50)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이들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 상세 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 요소를 형성하는 일체형 크레이들(12)은 베이스 벽을 형성하는 지지판(55)을 가지며, 그 위에 가동 포인트를 형성하는 두 레일(43, 44)의 러너(48)가 놓인다.
돌출 부재(35, 36)와 함께 단일 부재로 형성된 지지판(55)은 크레이들(12)의 통상적인 U자형상 단면의 돌출 부재(35, 36)와 함께 형성된다. 지지판(55)은, 부착 장치(51)를 사용하여 크레이들(12)의 크로스-피스(50)에 부착되게 하는 외부 림(rim)(57)에 의해 돌출 부재(35, 36)에 대하여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두 레일(43, 44)은 이들의 내부 윤곽부에 합치하고 이들 상에 지지되는 스페이서(60)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크레이들(12)(또는 맞춤 요소)에서 섹션(49) 영역에서 가동 포인트(5)를 부착 고정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크로싱 프로그(1)는 제거가능한 부착 고정 수단(61)을 구비한다.
이들 수단(61)은 가동 포인트의 각 측을 서로 대향하여 짝을 이뤄 배열되고,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인 스페이서 요소(63)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페이서 요소(63)는 통상적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같은 쌍의 두 개의 스페이서 요소(63)는 수직 축 방향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각각은 대응하는 돌출 부재(35, 36) 상에서 두 개의 레일(43, 44) 중 하나의 레일을 고정한다.
각각의 스페이서 요소(63)는, 외부 측면에 의해, 대응하는 돌출 부재(35, 36)의 내부 면에 지지되고, 내부 측면에 의해, 대응하는 레일(43, 44)의 웹(46)의 외측 상에 지지된다.
스페이서(63)는, 스페이서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상보적인 형상에 의해, 각 레일(43, 44)의 외부 윤곽 부분과 협동하기에 적절한 형상을 가지며, 이 부분은 러너(48)의 상부 표면과, 웹(46)의 외측 표면과, 웹(46)과 버섯모양 부재(47) 사이의 전이 표면을 구비한다.
횡단 구멍(69)은, 예를 들면 스페이서당 4개이며, 돌출 부재(35, 36)와, 레일(43, 44)의 웹(46)과, 스페이서(60)와, 스페이서 요소(63)를 통하여 동축으로 연장한다. 이들 구멍(69)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도 2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고정 수단(61)은 각 구멍(69)에 대하여 체결 볼트(70)를 포함한다.
볼트(70)는, 머리(72)가 와셔(73)에 의해 돌출 부재(36)의 외부 면에 지지되어 있고, 나사가공된 섕크(75)가 구멍(69)을 통하여 동축으로 연장하는 나사(71)를 포함한다. 볼트(70)는 나사가공된 섕크(75)의 나사이에 체결되고, 와셔(79)에 의해 다른 돌출 부재(35)의 외부 면에 지지되는 너트(77)를 더 구비한다. 나사(71)에 너트(77)를 체결하고 브레이크 너트(80)에 의해 고정된다.
부착 고정 수단(61)은 나사가공된 섕크(75)와 구멍(69)의 내부 면 사이에 동축으로 배열된 부시 조립체를 더 구비한다. 이 부시 조립체는 스페이서(60)의 구멍에 배열된 중앙 원통형 슬리브(81)와, 두 개의 핀(83)(바람직하게는 메캐닌더스® 형(mechanindus® type)을 구비한다. 이들 핀(83)은 중앙 슬리브(81)의 한 측면 및 다른 측면에서, 돌출 부재(35, 36), 스페이서 요소(61) 및 레일 웹(46)에 형성된 구멍(69)의 섹션에서 각각 맞물려 있다.
각 볼트(70)는, 부시 조립체(81, 83)와 함께, 심각한 횡단 덜거덕거림(play)의 가능성 없이 횡단하는 방식으로, 스페이서 요소(63)에 의해 돌출 부재(35, 36) 사이에 가동 포인트(5)를 고정함으로써, 사용될 때, 두 개의 돌출 부재(35, 36)에 체결되는 제거가능한 조립체 부재를 형성한다.
부착 고정 체결 수단(6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택적이지만, 각각의 스페이서 요소(63)와 관련된 고정 심(89)을 포함한다. 각각의 심(89)은 제거가능한 방법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90)로 돌출 부재의 상부에서, 각각의 돌출 부재(35, 36)에 부착된다. 심(89)은 크레이들(12)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하부면에 의해, 대응하는 스페이서 부재(63)의 상부면 상에 지지된다.
심(89)이, 크로싱 프로그의 실제 사용 동안에 스페이서 요소(63)의 수직 변위를 제한하도록 설치되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트(70)가 헐거워지는 경우에, 포인트(5)의 수직 이동을 감소시킨다.
부착 고정 수단(61)을 제거한 후, 가동 포인트(5)는 그 맞춤 위치로부터 수직으로(도 3에서 지시되는 방향(Z)으로) 제거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가동 포인트(5)를 크레이들 조립체(3)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본래의 장소에서 다음의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 종래의 트랙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레일(43, 44)의 단부를 느슨하게 한다;
- 나사(90)를 제거함으로써 심(89)을 제거한다;
- (수압 잭 등의 적당한 도구를 사용하여) 부시 조립체(81, 83)와 함께 볼트(70)를 제거한다;
- 스페이서 요소(63)와 가동 포인트(5)를 Z 방향으로 수직으로 제거한다.
손상된 가동 포인트를 대체한 후, 상세하게 기술된 필요 없는 역순으로 재조립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맞춤 요소(12)가 일체형의 크레이들에 의해서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155)은, 각 중간 부재(33, 34)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두개의 돌출 부재(35, 36)와 별개의 요소이다. 지지판(155)은, 돌출 부재(35, 36)의 물질과 다른 물질로부터 바람직하게 제조되고, 개별적으로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다.
맞춤 요소(12)에 가동 포인트를 부착 고정하기 위한 수단(61) 및 스페이서 요소(63)는, 모든 측면에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는 것이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은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크레이들(11)은, 바람직하게는 주조 기술 및 합금강 특히 하이퍼 켄치되고(hyper-quenched) 선택적으로 예경화된(pre-hardened) 주조 망간강으로부터 주조에 의해서 제조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롤링, 컨택트, 슬라이딩 또는 연결 표면에 걸쳐서 처리된다.
크로싱 프로그의 부분을 형성하는 두개의 레일 길이(21A, 22A)는 압연 탄소강 또는 경합금강의 레일 윤곽이고, 용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는 삽입부를 사용하여, 크레이들(11)에 연결된다.
중간 부재(33, 34)는, 레일의 형상으로 바람직하게 제조되거나 또는 선로의 기계적인 힘과 유사한 기계적인 힘을 가지고 이들이 크레이들(11)에 선택적으로는 삽입부를 사용하여, 용접되게 하는 경합금강 또는 주조 탄소강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형태의 크로싱 프로그에 관한 것으로서, 스페이서 요소가,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수단에 의해서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돌출 부재에 부착되어 있어서, 포인트를 크레이들 조립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개의 돌출 부재(35, 36)를 가지는 가동 포인트 맞춤 요소(movable point fitting component)(12)를 포함하는 크레이들 조립체(3),
    상기 크레이들 조립체(3)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맞춤 요소(12)에 맞춰져 있는 가동 포인트(5),
    상기 돌출 부재(35, 36)와 상기 가동 포인트(5)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 요소(63), 및
    상기 맞춤 요소(12)에서 상기 가동 포인트(5)를 제거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수단(70, 81, 83)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 요소(63)가,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상기 수단(70, 81, 83)에 의해서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돌출 부재(35, 36)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 조립체(3)에 대해 수직 방향(Z)으로 상기 스페이서 요소(63)로 상기 포인트(5)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movable point crossing frog).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거가능한 부착을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두개의 돌출 부재(35, 36)에 체결되어 있고, 단면에서 상기 돌출 부재(35, 36), 상기 스페이서(63) 및 상기 가동 포인트(5)를 통하여 연장하는 나사가공된 횡단 섕크(threaded transverse shank)(75)를 각각 가지는 조립체 부재(70, 81, 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 부재(70, 81, 83)는, 상기 나사가공된 섕크(75)가 장착되어 있는 부시 조립체(81, 83)를 각각 가지고, 상기 부시 조립체(81, 83)는, 단면에서 상기 돌출 부재(35, 36), 상기 스페이서(63) 및 상기 가동 포인트(5)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스페이서 요소(63)를 위해서, 상기 포인트(5)의 수직 변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페이서 요소(63)의 상부면에 대하여 접하여, 예를 들어, 나사 조임 등의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돌출 부재(35, 36)에 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심(security shim)(8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들 조립체가,
    상기 포인트 단부측의 크레이들(11),
    상기 돌출 단부측의 상기 맞춤 요소(12), 및
    상기 크레이들(11)을 상기 두개의 돌출 부재(35, 36)에 각각 연결하는 두 개 의 중간 부재(33, 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요소(12)가, 상기 두 개의 돌출 부재(35, 36)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가동 포인트(5)를 지지하는 지지판(55; 1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7. 조합된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5)이 상기 두 개의 돌출 부재(35, 36)와 함께 단일 부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맞춤 요소(12)가, 일체형 돌출 요소로, 특히 강 또는 특수 주철로부터 주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 요소(12)가, 용접 또는 접착 결합된 조인트에 의해서 상기 두개의 중간 부재(33, 34) 상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10. 조합된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55)이 상기 두 개의 돌출 부재(35, 36)와 별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돌출 부재(35, 36)가 상기 두개의 중간 부재(33, 34)를 처리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싱 프로그.
KR1020060062549A 2005-07-04 2006-07-04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 KR101562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7091A FR2887898B1 (fr) 2005-07-04 2005-07-04 Coeur de croisement a pointe mobile pour voie ferree
FR0507091 2005-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61A true KR20070004461A (ko) 2007-01-09
KR101562385B1 KR101562385B1 (ko) 2015-10-21

Family

ID=3617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549A KR101562385B1 (ko) 2005-07-04 2006-07-04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740208B2 (ko)
EP (1) EP1741830B1 (ko)
KR (1) KR101562385B1 (ko)
CN (2) CN1891906A (ko)
AU (1) AU2006202847B2 (ko)
ES (1) ES2634258T3 (ko)
FR (1) FR2887898B1 (ko)
MA (1) MA28424B1 (ko)
PL (1) PL1741830T3 (ko)
RU (1) RU2335591C2 (ko)
TW (1) TWI336362B (ko)
UA (1) UA91009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02B1 (ko) * 2015-09-25 2018-07-16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레일분기기의 상하분리형 크로싱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7540B2 (en) * 2007-09-06 2011-08-16 Universal City Studios Llc Fast track switch
GB0802495D0 (en) * 2008-02-11 2008-03-19 Balfour Beatty Plc Swing nose crossing
CN101697378B (zh) 2009-10-30 2012-11-21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设备天线处理方法以及无线设备
US8424812B1 (en) * 2011-01-25 2013-04-23 Cleveland Track Material, Inc. Elevated frog and rail track assembly
US8870129B1 (en) * 2011-09-14 2014-10-28 Cleveland Track Material, Inc. Flange bearing frog crossing
BR112014015310B1 (pt) * 2012-01-19 2020-06-02 Drilltec Patents & Technologies Corporation Protetor de caixa para uma junta rosqueada para tubos
US9074325B2 (en) 2013-03-14 2015-07-07 Union Pacific Railroad Company Portable temporary turnout system for rails
DE102015121273A1 (de) * 2015-12-07 2017-06-08 Voestalpine Bwg Gmbh Gleisabschnitt sowi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Gleisbauteilen
DE202017107122U1 (de) 2017-09-19 2018-12-21 Voestalpine Bwg Gmbh Zungenvorrichtung
CN109930429A (zh) * 2019-03-20 2019-06-25 浙江贝尔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使用菱形心轨组件的低噪音小号码辙叉
CN111335080B (zh) * 2020-05-21 2020-08-18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可动心轨辙叉长短心轨错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8528A (en) * 1928-10-19 1930-05-01 Ver Stahlwerke A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earproof insertions for crossings and points with vignoles rails
DE1222957B (de) * 1961-03-27 1966-08-18 Const J Kihn Atel Herzstueck fuer Weichen und Kreuzungen
DE1658316B1 (de) * 1966-12-21 1970-08-27 Kloeckner Werke Ag Einfaches Herzstück für Weichen und Kreuzungen
FR1528087A (fr) * 1967-04-28 1968-06-07 Paris & Outreau Acieries Coeur de croisement
AT391500B (de) * 1987-11-05 1990-10-10 Voest Alpine Ag Umstellvorrichtung fuer bewegliche teile einer schienenweiche
FR2695662B1 (fr) * 1992-09-11 1994-11-18 Cogifer Encastrement de la pointe mobile dans le berceau d'un cÓoeur de croisement incorporé dans les longs rails soudés et procédé de réalisation d'un tel encastrement.
US5456430A (en) * 1993-05-04 1995-10-10 Ortiz-Rivas; Arturo A. Frog with interchangeable insert
US5560571A (en) * 1995-10-02 1996-10-01 Abc Rail Products Corporation Reversible wing insert frog
US5743496A (en) * 1997-02-19 1998-04-28 Upcor, Inc. Railroad frog crossing bolt and nut assembly for clamping railroad rail sections together
CN2321805Y (zh) * 1998-01-19 1999-06-02 李丰实 框架换心式铁路辙叉
FR2788535B1 (fr) * 1999-01-15 2001-05-04 Comagep Coeur de croisement a pointe 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coeur de croisement
US6732980B2 (en) * 2002-10-08 2004-05-11 Progress Rail Services Corp. Railway frog wear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02B1 (ko) * 2015-09-25 2018-07-16 삼표레일웨이 주식회사 레일분기기의 상하분리형 크로싱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91009C2 (ru) 2010-06-25
FR2887898A1 (fr) 2007-01-05
PL1741830T3 (pl) 2017-12-29
CN1891906A (zh) 2007-01-10
US7740208B2 (en) 2010-06-22
RU2006123534A (ru) 2008-01-20
RU2335591C2 (ru) 2008-10-10
ES2634258T3 (es) 2017-09-27
MA28424B1 (fr) 2007-02-01
TWI336362B (en) 2011-01-21
AU2006202847A1 (en) 2007-01-18
EP1741830A1 (fr) 2007-01-10
CN103821041A (zh) 2014-05-28
EP1741830B1 (fr) 2017-06-14
FR2887898B1 (fr) 2009-06-05
TW200722589A (en) 2007-06-16
KR101562385B1 (ko) 2015-10-21
AU2006202847B2 (en) 2011-08-11
US20070001060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4461A (ko) 선로용 가동 포인트 크로싱 프로그
CA1323013C (en) Railway switch comprising a frog having a movable main point and auxiliary point
US5560571A (en) Reversible wing insert frog
US2007000739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turnout and derail lift frog
US20040065784A1 (en) Railway frog wear component
US6266866B1 (en) Frog insert an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frog assembly
CZ18503U1 (cs) Srdcovka
CA2068903C (en) Switch for grooved rails
CN114717886A (zh) 一种镶嵌翼轨式合金钢组合辙叉及其在线更换易损件的方法
KR100440502B1 (ko)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US8418970B2 (en) Swing nose crossing
CA2340554C (en) Bridge joint
KR200402755Y1 (ko) 철도 분기기용 용접 크로싱
KR102236701B1 (ko)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RU2805596C1 (ru) Промежуточн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US9469943B2 (en) Leveling rail joints with planar surface oblique support
US8348203B2 (en) Leveling rail joints for rails of different height characteristics with plane support
CN116289343A (zh) 一种道岔转辙器
CN113430872A (zh) 一种有轨电车道岔用尖轨跟端结构
KR200296639Y1 (ko)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CZ33029U1 (cs) Srdcovka se zkráceným odlitkem monobloku
US3378683A (en) Cast-steel railway crossing pieces
CA2244054A1 (en) Rail fastener
JP2019157554A (ja) 床版の仮支持構造、床版及び床版の仮支持方法
CS235832B1 (cs) Přichytily třmen kolejnice jeřábové drá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16

Effective date: 2015083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