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006A -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및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흡수용품 - Google Patents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및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006A
KR20070004006A KR1020067020466A KR20067020466A KR20070004006A KR 20070004006 A KR20070004006 A KR 20070004006A KR 1020067020466 A KR1020067020466 A KR 1020067020466A KR 20067020466 A KR20067020466 A KR 20067020466A KR 20070004006 A KR20070004006 A KR 20070004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element
article
absorbent article
disposable absorben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드보라 앤 바고
켄 케이 파텔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649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0400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0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n inhibiting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용품은 착용자의 배변 가리기 연습을 쉽게 하는 특징부를 포함한다. 습기 감지 부재가 배뇨시 착용자의 피부 상의 습기 감지를 제공한다. 용품의 신체측 표면을 볼 때 보일 수 있는 강조가 배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될 수 있으며, 배변 가리기 연습과 관련된 대화를 위한 시각적 참조와 화제를 제공함과 동시에 용품 내의 습기 감지 부재의 존재를 지시한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용품이 착용된 때 배변 연습용 바지와 유사한 외양을 제공하며 용품을 아래로 끌어내릴 필요 없이 용품의 내부를 쉽게 검사할 수 있게 하면서,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로서 또는 기저귀로서 용품을 구성, 적용 및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와의 조합에 의한 각각의 특징부의 상승적인 효과가 배변 가리기 연습에서의 용품의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및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FASTENABLE SIDE SEAMS AND A WETNESS SENSATION MEMBER}
본 발명은 기저귀, 배변 연습용 바지, 팬티형(pull-on) 기저귀, 요실금용 브리프, 요실금용 내의, 흡수성 삽입체, 기저귀 홀더와 라이너 등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에 적용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변 가리기 연습(urinary toilet training)에 사용하기에 특별히 적합한 일회용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현대의 일회용 흡수용품을 착용한 때, 아동은 일회 이상 배뇨한 후에도 건조한 피부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아동은 불편함을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못할 수도 있으며, 종종 자신이 배뇨했다는 것도 자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동이 자신의 "바지"에 배뇨한 후에 불편함을 느끼도록 하는 것은 자발적으로 소변을 참기 위한 학습에 도움을 주고/주거나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피부를 습윤 상태로 유지하고 그의 높은 통기성(breathability)에 의해 피부의 증발 냉각(evaporative cooling)을 촉진하여 더욱 불편하게 하는 천 소 재의 배변 연습용 바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천 소재의 배변 연습용 바지는 소변 봉쇄성(containment)이 약하여 종종 옷을 젖게 하며 주변, 예컨대 카펫, 가구 등을 젖게 한다.
일회용 흡수성 배변 연습용 바지는 착용자의 옷과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는 요구를 성공적으로 해결한다. 이러한 제품은 이 바지가 의복과 매우 유사한 외관을 갖기 때문에 특히 보호자에게 호감을 갖게 하며 배변 가리기 연습 과정에 유용하다. 아동은 일회용 흡수용품 제품과 유아를 동일시하며 흔히 유아로 취급되거나 유아로서 인정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배변 가리기 연습 나이의 아동은 흔히 유아용 일회용 흡수용품을 착용하는 것을 싫어하며, 대신에 성인용 속옷과 유사하게 보이는 배변 연습용 바지를 착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일회용 흡수용품으로부터 의복 또는 속옷에 더 유사한 배변 연습용 바지로의 전환은 배변 가리기 연습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일 수 있다.
현재의 배변 연습용 바지는 측부 시임(side seam)이 영구적으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벌의 바지처럼 입히는 데에는 전형적으로 한계가 있다. 그러나, 배변 가리기 연습의 관점에서, 측부 시임에서 개방되고 재체결될 수 있는 제품은 매우 유용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능력이 제품을 아래로 끌어내릴 필요 없이 제품의 내부를 쉽게 검사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호자는 아동에게 배변 가리기 연습의 목적을 상기시키기 위하여 아동에게 그 자신이 해야할 것을 설명하는 것 또는 아동의 현재의 활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확인하는 것 중 하나를 함과 동시에 젖은 상태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아동을 참여시키도록 하고 용품의 내부가 여전히 건조한 상태인 것을 확인한 때, 보호자는 일회용 흡수용품을 "유아처럼" 젖게 하지 않고 대신에 "큰 아이"처럼 행동한 것에 대해 아동을 칭찬할 수 있다. 보호자는 또한 내부가 건조한 것이 바람직하다는 개념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아동에게 용품의 내부를 관찰하고/하거나 만져보게 할 수 있다. 또한, 용품이 배뇨 시에 습기 감지를 제공하고 용품의 내부에서 가시적으로 강조되는 특징부를 포함한다면, 보호자는 배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내부를 검사할 때 가시적인 강조를 아동에게 지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배변 가리기 연습에서의 용품의 사용과 관련된 다른 특징부, 특히 습기 감지 특징부 및 가시적으로 강조된 특별한 특징부와의 조합으로 상당히 상승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가 배뇨로부터 초래되는 불편한 습기 감지를 느끼게 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배뇨가 일어났음에 대한 착용자의 자각을 향상시켜 소변 가리기 연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용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쉽게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이러한 습기 감지를 제공하는 특징부가 용품 내에 있다는 것을 가시적으로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의복과 유사한 외관의 배변 연습용 바지를 제공하고 접근을 위하여 용품을 아래로 끌어내릴 필요 없이 용품의 내부를 쉽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개요
착용자의 배변 가리기 연습을 쉽게 하는 특징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이 제공된다. 습기 감지 부재가 배뇨시 착용자의 피부 상의 습기 감지를 제공한다. 용품의 신체측 표면을 볼 때 보일 수 있는 강조가 배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될 수 있으며, 배변 가리기 연습과 관련된 대화를 위한 시각적 참조와 화제를 제공함과 동시에 용품 내의 습기 감지 부재의 존재를 지시한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용품이 착용된 때 배변 연습용 바지와 유사한 외양을 제공하며 용품을 아래로 끌어내릴 필요 없이 용품의 내부를 쉽게 검사할 수 있게 하면서,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로서 또는 기저귀로서 용품을 구성, 적용 및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와의 조합에 의한 각각의 특징부의 상승적인 효과가 배변 가리기 연습에서의 용품의 유용성을 향상시킨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데, 이는 기술되는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도면은 다른 요소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요소를 생략함으로써 단순화되었을 수도 있다. 일부 도면에서의 이러한 요소의 생략은, 대응하여 기술된 설명에서 명백하게 서술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도 특정 요소의 존재 또는 부재를 반드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회용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감지 부재의 단면도.
도 3a는 신체측 표면 상에 배치된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 3b는 습기 감지 부재의 층들을 도시하는, 도 3a에 도시된 일회용 흡수용품의 단면도.
도 4는 습기 감지 부재의 부착을 도시하는 팬티형 일회용 흡수용품의 사시도.
도 5a는 톱시트와 일체로 구성된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일회용 흡수용품의 단면도.
도 6a는 톱시트와 일체로 구성되며 종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종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긴 슬릿 개구가 그들 사이에 개재된 2개의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일회용 흡수용품의 단면도.
도 7a는 톱시트와 일체로 구성되며 톱시트 내의 Z형 절첩부 내에 배치된 2개의 습기 감지 부재를 가진 Z형으로 절첩된 톱시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일회용 흡수용품의 단면도.
도 8a는 차단 다리 커프를 갖고 이 차단 다리 커프와 일체로 구성된 습기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일회용 흡수용품의 단면도.
도 9a는 대안적인 형태의 차단 다리 커프를 갖고 이 차단 다리 커프와 일체로 구성된 습기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일회용 흡수용품의 단면도.
도 10은 이완되고 수축된 상태, 즉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 상태로 도시된, 예시적인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사시도로서, 착용자를 향해 내부로 마주하며 착용자와 접촉하는 용품(20)의 내부 부분이 상향으로 도시된 도면.
도 11은 유사하게 배향된 다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40)을 체결된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대안적인 형태의 부 체결 요소를 도시하는, 도 10 및 도 11의 도면과 유사하게 배향된 다른 사시도.
도 14는 개방된 상태로 도시된 대안적인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40)의 단면도.
도 15는 체결 상태로 도시된 도 14의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40)의 단면도.
도 16은 이완되고 수축된 상태, 즉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 상태로 도시된, 예시적인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사시도로서, 착용자를 향해 내부로 마주하며 착용자와 접촉하는 용품(20)의 내부 부분이 상향으로 도시된 도면.
정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하의 용어들은 이하의 의미를 갖는다.
"흡수용품"이라는 용어는 액체를 흡수하여 보유하는 기구를 지칭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로부터 배출된 각종 삼출물을 흡수하여 보유하도록 착용자의 신체와 마주하거나 근접하게 위치되는 기구를 지칭한다.
"일회용"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세탁하거나 아니면 흡수용품으로서 복구 또는 재사용되도록 의도되지 않은 흡수용품을 지칭하는데, 즉 이들은 1회 사용 후에 폐기되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퇴비화 또는 아니면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폐기되도록 의도된다.
"일체형"이라는 용어는 개별적인 홀더 및 라이너와 같이 별도의 조작을 요하는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통합된 독립체(coordinated entity)를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합체되는 별개의 부품들로 형성되는 흡수용품을 지칭한다.
"기저귀"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유아 및 요실금이 있는 사람에 의해 하부 몸통 둘레에 착용되며 그 다양한 부분이 착용자의 허리와 다리를 둘러싸도록 함께 체결되는 일반적인 시트의 형태를 취하는 흡수용품을 지칭한다.
"배변 연습용 바지"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유아 및 요실금이 있는 사람에 의해 하부 몸통 둘레에 착용되며 체결을 풀지 않고 착용자에게 적용되거나 착용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일반적인 한 벌의 짧은 바지의 형태를 취하는 흡수용품을 지칭한다.
"재체결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2개의 요소가 해제 가능하게 부착, 분리 및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변형 또는 파열 없이 이후에 해제 가능하게 재부착될 수 있는 특성을 지칭한다.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이라는 용어 및 이의 변형된 용어는 2개의 요소가 하나 또는 두 요소 모두에 가해지는 분리력이 없는 상태에서 연결되어 유지되는 경향을 갖고 이 요소들이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변형 또는 파열 없이 분리될 수 있도록 2개의 요소가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을 지칭한다. 요구되는 분리력은 흡수성 의복이 착용 중인 동안 겪게 되는 힘을 전형적으로 초과한다.
"배변 가리기 연습"(toilet training)이라는 용어는 자신의 소변 및 대변을 자발적으로 참을 수 있는 배변 자제력(continence)의 형성(development)을 지칭한다. 요실금이 있는 사람은 그들의 신체 배출물을 자발적으로 참을 수 없으며, 대신에 반사적으로 배뇨 및 배변한다. 예를 들면, 신생아는 대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배변 자제력의 형성과 동시에, 아동은 자발적으로 배뇨 및 배변하고 반사적인 배설을 중단하는 능력을 전형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반사적인 배설 대신에 이러한 배변 자제력 및 자발적인 배설의 형성은 아동을 연습시킴에 있어서 연상화(associative) 및 조건화(conditioning) 기술을 통해 보호자에 의해 촉진되고/되거나 안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배변 가리기 연습"이라는 용어는 배변 자제력 자체 및 배변 자제력과 연관된 자발적 배설 둘 모두를 위한 연습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또한, "배변 가리기 연습"이라는 용어는 "유아용 변기 사용 연습"(potty training)과 같은 뜻임에 유의한다.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용품의 최대 선형 치수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종방향의 ±45°내의 방향들을 포함한다.
"측방향" 또는 "횡방향"이라는 용어는 종방향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연장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측방향의 ±45°내의 방향들을 포함한다.
"x-y 평면"이라는 용어는 시트 재료의 길이와 폭에 의해 한정되는 시트 재료의 대체로 평면인 구조를 지칭하며, 시트 재료가 평평하든지 만곡되어 있든지와 무관하게 시트 재료의 2개의 주요 표면들 사이에 있게 된다.
"z-방향"이라는 용어는 시트 재료의 두께를 통과하고 x-y 평면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배치된"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와 일체형 구조로 특정 장소 또는 위치에 부착 및 위치된 것을 지칭한다.
"부착된"이라는 용어는 요소들과 이들의 구성 재료들을 함께 부착하는 데에 적합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체결, 접착, 접합 등으로 요소들이 연결 또는 일체화되는 것을 지칭한다. 접착제 접합, 압력 접합, 열 접합, 기계식 체결 등을 비롯하여 요소들을 함께 부착하기 위한 많은 적합한 방법이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부착 방법은 요소들을 함께 특정 영역에 대해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부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성"(cohesive)이라는 용어는 재료가 자신에게는 붙지만 다른 재료에는 임의의 유의한 정도로 붙지 않는 재료의 특성을 지칭한다.
"기단" 및 "말단"이라는 용어는 각각 상대적으로 구조의 중심에 가깝거나 중심으로부터 먼 요소의 위치를 지칭하는데, 예컨대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요소의 기단 에지는 동일한 종축에 대해 동일한 요소의 말단 에지가 위치하는 것보다 종축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
"내부"(interior) 및 "외부"(exterior)라는 용어는 각각 흡수용품이 착용된 때 착용자의 신체와 마주하거나 신체를 향해 위치되도록 된 요소의 위치 및 흡수용품 위로 착용되는 임의의 옷과 마주하거나 옷을 향해 위치되도록 된 요소의 위치를 지칭한다. "내부" 및 "외부"에 대한 동의어에는 각각 "안쪽"(inner) 및 "바깥쪽"(outer)뿐만 아니라 "내측"(inside) 및 "외측"(outside)이 포함된다. 또한, 흡수용품이 그의 내부가 상향이 되도록 배향된 때, 예컨대 흡수용품이 착용자를 그 위로 배치하기 위한 준비로 펼쳐진 때, 동의어에는 "상부"(upper) 및 "하부"(lower)와 "위"(top) 및 "아래"(bottom)가 각각 포함된다.
"수 투과성" 및 "수 불투과성"이라는 용어는 일회용 흡수용품의 의도된 용도의 관점에서 재료의 침투성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수 투과성"이라는 용어는 액체 상태의 물이 가해지는 압력 없이 그 두께를 통과하게 하는 기공, 개구 및/또는 상호연결된 빈 공간을 갖는 층 또는 층상 구조를 지칭한다. 반대로, "수 불투과성"이라는 용어는 액체 상태의 물이 가해지는 압력 없이 그 두께를 통과할 수 없는 층 또는 층상 구조를 지칭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수 불투과성인 층 또는 층상 구조는 수증기에 대해 투과성일 수도 있는데, 즉 "수증기 투과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수증기 투과성 층 또는 층상 구조는 본 기술 분야에서 "통기성"(breathable)으로 통상 알려져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수용품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물에 대한 투과성을 측정하는 통상의 방법은 정수압 시험(hydrostatic pressure test)이며, 이는 또한 정수두 시험(hydrostatic head test) 또는 간단히 "수두" 시험(hydrohead test)으로도 불린다. 수두 시험에 적합한 주지되어 있는 개괄적인 방법은 INDA(기존에는 국제 부직포 및 일회용품 협회(the International Nonwovens and Disposables Association)였고, 현재는 부직포 직물 산업 협회(The Association of the Nonwoven Fabrics Industry)임) 및 EDANA(유럽 일회용품 및 부직포 협회(European Disposables And Nonwovens Association))에 의해 승인된다.
"지연"이라는 용어는 액체 상태의 물의 유동을 방해 또는 방지하는 것을 지칭한다. "유동 제어 층"이라는 용어의 관계에서, 이 두 용어는 함께 층상 구조 내의 다양한 층들이 투과성일 수도 있지만, 이들이 액체 상태의 물 및 유사하게는 그 성질이 수성인 신체 폐기물이 그들 각각의 두께를 통과할 수 있는 각각의 유량 면에서 상이하다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모세관 채널을 포함하고 임의의 가해지는 압력 없이 액체 상태의 물이 그 두께를 통해 위킹(wick)되는 층은 수 투과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액체 상태의 물이 그러한 층의 두께를 통과할 수 있는 유량은 액체 상태의 물이 모세관 채널로서 작용하기에는 너무 큰 구멍들을 포함하는 층의 두께를 통과할 수 있는 유량보다는 낮을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모두 모세관 채널을 포함하고 임의의 가해지는 압력 없이 액체 상태의 물이 그 두께를 통해 위킹되는 2개의 층 모두가 수 투과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층들 중 하나의 층 내의 모세관 채널은 다른 층 내의 모세관 채널과 크기 면에서 상이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층 내의 모세관 채널보다 더 많을 수도 있어서, 하나의 층을 통한 액체 상태의 물의 위킹 유량은 다른 층을 통한 위킹 유량보다 클 수도 있다. 그러므로, 층상 구조에서, 유동 제어 층으로서 역할하는 하나의 층은, 다른 하나의 층이 유동 제어 층 없이 그 두께를 통해 액체 상태의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보다 큰 유량에 비해 층상 구조의 두께를 통한 액체 상태의 물의 통과를 지연시킬 수도 있다. 유동 제어 층이 수 불투과성인 경우, 유동 제어 층은 가해지는 압력 없이 그의 두께를 통한 액체 상태의 물의 통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즉 액체 상태의 물의 통과 방지는 "지연"이라는 용어의 의미 내에 포함된다.
"가시적인"이라는 용어는 보통의 실내 조명 또는 낮 동안의 자연광의 조건 하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성질을 지칭한다. "더 가시적" 또는 "덜 가시적"이게 되는 것은 대체로 일정한 또는 동일한 조명 조건 하에서 볼 때 현저한 정도로 가시성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시적인 강조"라는 용어는, 예컨대 채색, 색깔 또는 색조를 달리함으로써, 밝기, 어둡기 또는 명암 대비(contrast)를 달리함으로써, 그래픽 또는 솔리드(solid) 색상 형태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해 구별함으로써, 또는 현저한 가시적인 구별을 일으키도록 역할하는 임의의 다른 변화에 의해 대상이 그 주변으로부터 현저하게 두드러지도록 하는 대상의 가시적인 구별을 지칭한다.
"착색"(coloring)이라는 용어는 대상 또는 대상의 일부분 내에 및/또는 그 상에 색상들을 적용하거나 조합함으로써 생성된 효과를 지칭한다.
"채색"(coloration)이라는 용어는 특히 대상 또는 대상의 일부분을 가시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이를 가시적으로 구별하도록 사용될 때의 착색의 배합 또는 정도를 지칭한다.
"솔리드 착색"(solid coloring)이라는 용어는 불연속적인 선과 유사한 형태의 소정의 그래픽과 대비할 때 소정 영역의 끊이지 않은, 즉 중단되지 않은 착색을 지칭한다.
"그래픽"이라는 용어는 그림 형태의 그래픽 아트(graphic art) 또는 그래픽 표현(graphic representation)의 산물을 지칭한다.
"연상적인 상호 연관"이라는 용어는 가시적인 강조와 이 가시적인 강조와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되는 것 사이의 서로간의 또는 상호간의 관계를 확립하여, 연상, 즉 정신적인 연결 또는 결속이 이들 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각각의 가시적인 형태의 가시적인 강조와 흡수용품 내의 또는 그 상의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시키는 관점과, 가시적인 강조를 소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시키는 관점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된 그래픽들은 흡수용품을 착용하기 전에 흡수용품을 볼 때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에 대한 주의를 끌도록 협력하여 역할할 수도 있어, 흡수용품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등에서 흡수용품의 내부에 습기 감지 부재가 존재하고 있음에 대한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암시를 제공한다. 유사하게는, 건조함, 습기 또는 습기로부터의 보호와 같은 소변 가리기 연습과 관련된 화제에 대한 시각적인 참조를 제공하는 가시적인 강조는 소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에 가시적인 강조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시키도록 역할할 수도 있고, 이럼으로써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쉽게 가질 수 있게 한다.
"상호 작용식으로 서로 관련된", "상호 작용식으로 무관한", "주제와 관련된", "주제와 무관한" 및 "공통 줄거리와 관련된"이라는 용어는 2001년 10월 2일자로 올슨(Ol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297,424호, 2003년 10월 21일자로 올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635,797호, 및 2001년 10월 23일자로 카마로타(Cammarot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307,119호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갖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일회용 흡수용품(20)의 기본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도록 구조의 일부가 절개되고 착용자와 접촉하는 일회용 흡수용품(20)의 부분이 관찰자를 향하도록 펼쳐지고 수축되지 않은 상태, 즉 탄성에 기인한 수축이 없는 상태에 있는 예시적인 일회용 흡수용품(20)의 평면도이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은 종축(42)과 횡축(44)을 갖는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일 단부 부분은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제1 허리 영역(36)으로서 형성된다. 반대편의 단부 부분은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제2 허리 영역(38)으로서 형성된다. 허리 영역(36, 38)은 착용된 때 착용자의 허리를 에워싸는 일회용 흡수용품(20)의 부분들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허리 영역(36, 38)은 개선된 맞춤성(fit) 및 봉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허리 영역들이 착용자의 허리 둘레로 모아지도록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중간 부분은 제1 및 제2 허리 영역(36, 38)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랑이 영역(37)으로서 형성된다. 가랑이 영역(37)은 일회용 흡수용품(20)이 착용된 때 착용자의 다리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일회용 흡수용품(20)의 부분이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은 제1 허리 영역(36) 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허리 에지(136) 및 제2 허리 영역(38) 내의 종방향으로 대향하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허리 에지(138)를 갖는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은 제1 측부 에지(137) 및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측부 에지(139)를 가지며, 두 측부 에지 모두가 제1 허리 에지(136)와 제2 허리 에지(138)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허리 영역(36) 내의 제1 측부 에지(137)의 부분은 137a로 나타내며, 가랑이 영역(37) 내의 부분은 137b로 나타내고, 제2 허리 영역(38) 내의 부분은 137c로 나타낸다. 제2 측부 에지(139)의 대응하는 부분들은 각각 139a, 139b 및 139b로 나타낸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은 바람직하게는 수 투과성 톱시트(24), 수 불투과성 백시트(26), 및 톱시트(24)와 백시트(26) 사이에 싸인 흡수 코어(28)를 포함한다. 톱시트(24)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탄성화될 수도 있으며, 또는 톱시트(24)와 코어(28) 사이의 빈 공간을 제공하고/하거나 습기 감지 부재(50)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항하여 당겨지도록 단축될 수도 있다. 탄성화된 또는 단축된 톱시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구조가 1990년 1월 9일자로 데스마라이스(DesMarai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92,536호, 1991년 2월 5일자로 프리랜드(Freelan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90,147호, 1991년 8월 6일자로 앨런(Alle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37,416호, 및 1993년 12월 14일자로 프리랜드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69,775호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은 요구되는 맞춤성, 봉쇄성 및 미적 특징을 제공하도록 외부 다리 커프, 차단 다리 커프, 전방 및 후방 이어 패널(ear panel), 허리 캡 특징부(waist cap feature), 탄성체(elastic) 등과 같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특징부들은 본 기술 분야에 주지되어 있으며, 특히 미국 특허 제3,860,003호 및 미국 특허 제5,151,092호에 기술되어 있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저귀와 같은 용품을 적용하도록 허리 영역들을 측부에서 함께 체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한 벌의 팬티형 배변 연습용 바지와 같은 용품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40)을 포함한다.
일회용 흡수용품(20)은 습기 감지 부재를 포함한다. 습기 감지 부재를 위한 여러 가지의 적합한 구조가 2003년 9월 30일자로 로우(Roe) 등의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6,627,786호에 기술되어 있다. 예시적인 습기 감지 부재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습기 감지 부재(50)는 수 투과성 신체측 층(상부 층)(52) 및 이 수 투과성 층(52)과 마주보는 관계로 배치된 유동 제어 층(54)을 포함한다. 이 유동 제어 층은 액체 상태의 물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이지만 통기성을 갖도록 증기에 대해서는 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습기 감지 부재 및/또는 습기 감지 부재가 부착되는 층의 소정 부분은 습기 감지 부재가 탄성적으로 단축되거나, 상대적으로 외부에 배치되는 다른 층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 등에 의해서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소변이 배출되는 동안, 수 투과성 층(52)은 소변이 z-방향으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며, 또한 위킹을 통한 x-y 평면 내에서의 소변의 유동을 위한 매질을 제공한다. 유동 제어 층은 소변이 습기 감지 부재를 통하여 z-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습기 감지 부재의 젖은 영역을 확대시킨다. z-방향으로의 제한된 침투와 x-y 평면 내에서의 위킹의 조합에 의해, 소변은 흡수 코어 내로 흡수되기 전에 퍼져 나가서 넓은 영역을 효과적으로 적시고, 그럼으로써 착용자가 경험하는 습기 신호를 최대화한다.
본 발명의 습기 감지 부재에 사용하기 적합한 예시적인 수 투과성 층은 부직포, 폼(foam), 직포 재료 등을 포함한다. 수 투과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이다. 본 발명의 습기 감지 부재에 사용하기 적합한 예시적인 유동 제어 층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미공성 또는 통기성 필름, 기타 필름 및 소수성 부직포를 포함한다. 적합한 소수성 부직포는 SM(스펀본드 멜트블로운), SMS(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및 SMMS(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복합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수용품에 있어서, 가시적인 강조는 습기 감지 부재 또는 부재들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용품의 내부에 제공되고, 그럼으로써 용품의 착용자가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쉽게 갖게 된다. 이러한 가시적인 강조는 2003년 10월 30일자로 데이비스(Davis) 등의 명의로 출원되어 공히 계류중이며 공히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10/697,225호에 기술되어 있다. 비록 이러한 가시적인 강조가 없는 습기 감지 부재도 착용자에 대한 현저한 습기 신호를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충분하게 기능하지만, 흡수용품의 신체측 부분이 대체로 균일한 외양으로 제공되는 경우, 예컨대 흡수용품의 신체측 표면 상에 대체로 균일한 흰색의 외양이 제공되는 흡수용품에서 보호자는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매번 이용할 가능성을 간과하거나 잊을 수도 있다.
또한, 보호자가 착용자에게 소변 가리기 연습을 언급하기로 한다면, 이 가시적인 강조는 착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역할할 수 있고, 또는 보호자에 의해 지적되어 다가올 기회에 대한 설명을 구체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시적인 강조는 소변 가리기 연습에 관하여 보호자와 착용자 사이의 대화를 위한 화제를 제공할 수 있고, 유사하게는 착용자가 참조하는 지명 가능한 대상을 제공할 수 있어, 착용자와 화장실에 갈 필요에 대해 의사소통하거나 습기 감지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습기 신호에 대한 착용자의 인식을 개선하는 것에 대해 의사 소통하길 원하는 착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정신적인 과제를 상당히 단순화한다.
단순한 솔리드 착색 형태의 가시적인 강조도, 특히 색상 또는 착색된 형태에 대한 소정의 인식을 지닌 착용자와 함께 사용될 때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쉽게 가질 수 있도록 역할할 수 있다. 또한, 색상 또는 색상들 형태의 가시적인 강조가 색상들의 인식 및 색상들 사이의 차이를 가르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어서 관련 학습이 소변 가리기 연습 과정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습기 감지 부재가 흡수용품의 대체로 측방향으로의 중앙 영역으로 언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습기 감지 부재를 가시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착용자에 의해 달성되는 학습과 관련된 추가의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시적으로 강조된 습기 감지 부재는 각각의 발을 대응하는 다리 개구 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2개의 다리 개구를 우측 및 좌측 다리 개구로 구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2개의 다리 개구의 시각적인 분리를 위한 참조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종방향으로 배향된 가시적인 강조는 용품을 배향하기 위하여, 보호자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용품을 적용하기 전에 또는 착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이를 수행하기 전의 두 경우 모두를 위한 전후 방향에 대한 시각적인 참조로서 역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방향으로 배향된 시각적인 참조는 또한 화장실을 이용한 후 종방향 동작을 사용하여 스스로 닦아낼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데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무언가가 중앙 또는 "중간에" 있다는 것의 개념은 가시적인 강조에 대한 시각적 참조에 의해 배우고 학습될 수도 있으며, 그 후에 이러한 개념은 소변 배출원의 해부학적 위치 및 변기 상에 앉게 되는 대응하는 적절한 위치와 같은 관련 문제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및 유사한 방식에서,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대해 더 자각할 수 있고, 이는 소변 가리기 연습 경험을 향상 및 쉽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시적인 강조는 착용자가 소변 가리기 연습에 관여할 만큼 충분히 성숙했다는 암시를 통해 착용자의 자부심을 향상시키도록 역할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착용자가 화장실에 갈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에 성공하고 그 후 흡수용품을 아래로 내린 후에 용품 내부의 가시적으로 강조된 습기 감지 부재의 건조한 상태를 볼 때 향상될 수 있다.
가시적인 강조는 습기 감지 부재의 일 표면 또는 그 층들 중 하나의 층 상으로의 인쇄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솔리드 착색 또는 그래픽이 수 투과성 층 아래에 놓인 유동 제어 층의 표면 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접착제 또는 겔이 2개의 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의 표면 상으로 인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겔은 주변 영역과 상이하게 착색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 또는 겔은 착색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주변 영역과 동일한 색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구별되게 상승된 영역 또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및/또는 구별되게 함몰된 영역 또는 패턴으로 둘러쌈으로써 또한 가시적인 강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시적인 강조는 또한 습기 감지 부재의 하나 이상의 층을 착색된 재료로, 예컨대 착색된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질 층, 분산된 또는 매립된 착색제를 포함하는 모놀리식(monolithic) 층, 그의 원래 상태로 착색된 표백되지 않은 재료의 층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시적인 강조는 습기 감지 부재 또는 그 층들 중 하나의 층을 임프레싱(impressing) 또는 엠보싱(embossing)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습기 감지 부재의 임프레싱된, 엠보싱된 또는 접합된 부분은 습기 감지 부재의 존재 및 위치에 대한 가시적인 강조 외에 촉각적 감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승된 영역 또는 함몰된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한 상승 및 함몰된 영역들의 조합이 손에 의해 느껴질 수도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용품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착용자에 의해 느껴질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된 접착제 또는 겔에 의해 형성된 상승된 영역 또는 패턴은 이러한 촉각적 감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시적인 강조만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가시적인 강조와 이러한 촉각적 감지의 조합은 착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역할할 수 있으며, 또는 보호자에 의해 지적되어 다가올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에 대한 설명을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가시적인 강조는 습기 감지 부재의 하나 또는 두 층 모두 내에 구별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통합함으로써 또는 이들 층 중 하나의 층 내에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구별되게 배향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별되는 색상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용품 내의 그의 존재 및 그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강조하도록 유동 제어 재료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구별되게 두꺼운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2개의 층 중 하나의 층 내에 매립되고, 그럼으로써 구별되게 상승된 영역 또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습기 감지 부재를 둘러싸는 흡수용품의 구조의 부분이 하나의 색상을 갖는다면, 가시적인 강조는 다른 색상의 사용에 의해, 명암 대비(contrast)의 사용에 의해, 동일한 또는 유사한 색상의 상이한 패턴의 사용에 의해, 또는 습기 감지 부재와 둘러싸는 구조적 요소를 가시적으로 구별하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시적인 강조는 하나 초과의 색상, 하나 초과의 명암 대비 차이, 하나 초과의 패턴, 하나 초과의 그래픽, 하나 초과의 솔리드 착색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어, 단일 형태의 가시적인 강조에 대해 언급한 이러한 설명의 모든 부분은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고 그 역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시적인 강조는 개방된 또는 폐쇄된 기하학적 특징, 3차원 대상의 2차원적 표현, 통상 지명되는 또는 지명 가능한 형상 또는 대상의 표현, 놀이에 사용되는 인식 가능한 대상의 표현, 및/또는 테디 베어와 같이 착용자에게 알려져 있을 수도 있는 캐릭터, 아동용 텔레비전 쇼에 출연하는 캐릭터, 아동용 게임 또는 이야기책에 출연하는 캐릭터 등의 표현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시적인 강조가 다양한 그림, 대상 및/또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가시적인 강조의 다양한 요소들은 상호 작용식으로 서로 관련되며, 주제와 관련되고/되거나 공통 줄거리와 관련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작용식으로 무관하며, 주제와 무관하고/하거나 공통 줄거리와 무관할 수도 있다.
솔리드 착색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그래픽 윤곽에 의해 경계지어진 영역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채우거나, 이러한 그래픽 윤곽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음영으로서 나타나거나, 그 자체가 "채워진"(filled-in) 그래픽을 형성하거나, 또는 단순히 소정 영역을 중단 없이 점유, 예컨대 대응하는 길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 습기 감지 부재의 층의 전체 폭을 점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시적인 강조는 습기 감지 부재가 젖은 때 더욱 또는 덜 가시적이게 될 수도 있다. 또한, 가시적인 강조는 습기 감지 부재가 젖은 때 색상이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효과들 중 임의의 효과가 잉크 또는 염료, 또는 소변에 의해 젖은 때 화학적 반응을 겪거나 분산 또는 농축되는 기타 제제의 사용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젖은 때 더욱 또는 덜 가시적이게 될 수 있는 소위 "나타나는"(appearing) 또는 "사라지는"(disappearing) 습기 지시기와 같은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습기 지시기에 또는 젖은 때 색상이 변화할 수 있는 습기 지시기에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습기 지시 조성물이 이러한 형태의 가시적인 강조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흡수용품의 외부로부터 가시적인 습기 지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조적으로 배치되기 보다는, 습기 감지 부재의 가시적인 강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습기 지시 조성물은 흡수용품의 신체측 표면으로부터 가시적이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이한 배치에 의해 보호자는, 용품의 외부로부터 가시적인 습기 지시기만을 갖는 흡수용품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흡수용품을 사용할 때 소변 가리기 연습 과제에 대하여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습기 지시기의 변화는 누구나 볼 수 있는 반면, 내부 습기 감지 부재의 가시적인 강조의 임의의 변화는 보호자 또는 착용자가 흡수용품을 자세히 들여다보거나 이를 제거할 때까지 "사적으로"(private) 유지된다. 그러므로, 흡수용품의 임의의 젖음이 일어났는지의 여부는 그 자체가, 보호자와 착용자가 게임을 끝내는 데에 합의한 때에만 "비밀"(secret)이 드러나는 게임과 유사한 놀이적인 활동으로 초점이 맞춰질 수 있다. 착용자가 습기의 감지를 인지하거나 단지 "사적인" 표시의 상태를 확인하길 원한다면, 착용자는 단순히 흡수용품의 내부를 볼 수 있다. 가시적인 강조의 외양이 변화하였다면, 착용자는 화장실에 갈 것을 요청하는 상황으로 보호자의 주의를 끌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가시적인 강조는 "사적인" 표시로서 역할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임의의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습기 지시기의 외양이 변화하기 전에 그 외양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화장실에 가는 문제를 언급할 첫번째 사람이 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에게 시각적 및 촉각적 감지 둘 모두를 제공하는 것은 습기의 촉각적 감지를 강화하도록 역할할 수도 있으며, 이럼으로써 습기 감지 부재의 연습 효과를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습기 감지 및 가시적인 강조의 외양의 가시적인 변화 둘 모두에 의해 젖음이 지시되는 흡수용품은 착용자의 편에서 보다 빠른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비록 가시적인 강조의 외양이 보호자 또는 착용자가 흡수용품을 자세히 들여다보거나 이를 제거할 때까지 "사적으로" 유지되지만, 가시적인 강조는 흡수용품 내의 또는 그 상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흡수용품의 외부로부터 가시적인 표시와 함께 가시적인 형태로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는 변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는 흡수용품을 착용하고 있는 동안 외양이 변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는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습기 지시기일 수도 있다. 습기 감지 부재의 가시적인 강조를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의 가시적인 형태와 유사한 가시적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가 향상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보호자는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와 습기 감지 부재의 "사적인" 가시적인 강조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할 수 있고, 착용자에게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를 인지할 때마다 숨겨진 가시적인 강조를 기억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가시적인 강조의 외양이 젖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 실시예에서도,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 및 가시적인 강조의 각각의 가시적인 형태의 연상적인 상호 연관은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쉽게 가질 수 있도록 역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 및 가시적인 강조 둘 모두가 가시적인 형태의 유사한 그래픽들을 갖는다면,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는 착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역할할 수 있으며, 또는 보호자에 의해 지적되어 다가올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에 대한 설명을 구체화할 수 있다.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와 가시적인 강조의 각각의 가시적인 형태들의 이러한 연상적인 상호 연관은 각각의 가시적인 형태가 인식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관련될 수 있는 한 각각의 가시적인 형태가 유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시적인 형태들이 주제와 관련될 수도 있고/있거나 공통 줄거리와 관련될 수도 있고/있거나 상호 작용식으로 서로 관련될 수도 있다. 단순한 솔리드 착색 형태의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의 유사한 솔리드 착색 형태의 가시적인 강조와의 연상적인 상호 연관도, 특히 색상 또는 착색된 형태에 대한 소정의 인식을 지닌 착용자와 함께 사용될 때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쉽게 가질 수 있도록 역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시적인 강조는 임의의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와 연상적으로 무관할 수도 있다. 연상적인 상호 연관의 결여는 전체적일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가시적인 강조와 외부적으로 가시적인 표시의 각각의 가시적인 형태들은 주제와 무관하고, 공통 줄거리와 무관하고/하거나 상호 작용식으로 무관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다른 방식으로 여전히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될 수도 있다.
습기 감지 부재의 가시적인 강조의 가시적인 형태는 소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가시적인 강조의 가시적인 형태는, 예컨대 습기, 건조함, 습기로부터의 보호, 액체 및 물 등의 유동과 같은 소변 가리기 연습의 액체 관련 성질에 대한 시각적인 참조를 제공함으로써 소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소변 가리기 연습 기회를 쉽게 가질 수 있도록 역할할 수도 있다.
가시적인 강조는 태양, 좋은 날씨의 구름, 햇살 좋은 날 등을 도시함으로써 건조함을 강조할 수도 있고, 한편 습기는 물 웅덩이, 비를 뿌리는 구름 등의 도시에 의해 참조될 수도 있다. 습기로부터의 보호에 대한 시각적 참조는 우산, 비옷, 비모자, 오버슈즈(galosh), 해저, 또는 습윤 환경에서 건조하게 유지하는 개념을 착용자에게 연상시킬 수 있는 일부 다른 대상의 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소변 가리기 연습의 개념과 연상적으로 상호 연관된 이러한 임의의 가시적인 형태의 가시적인 강조에 있어서, 사람 형태 및/또는 인식 가능한 캐릭터가 가시적인 강조로 도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동은 무생물 대상과 함께 도시될 수도 있으며, 아동은 유아용 변기 의자 상에 앉아 있는 것으로 도시될 수도 있고/있거나 아동용 이야기책 또는 아동용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캐릭터가 유사한 자세로 도시될 수도 있는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습기 감지 부재는 다양한 형상으로 흡수용품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흡수용품은 하나의 습기 감지 부재 또는 복수의 습기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습기 감지 부재(들)는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는, 톱시트와 같은 요소 또는 웨브의 일부이거나 이에 부착된다. 습기 감지 부재는 용품의 길이의 절반 미만에 걸친 일회용 흡수용품의 부분에 대하여 연장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달리 용품의 길이의 절반 초과에 걸친 용품의 상당 부분에 대하여 연장할 수도 있다. 또한, 습기 감지 부재(들)는 바람직하게는 소변에 의해 젖게 될 가능성을 향상시키도록 흡수용품 내에 위치된다.
톱시트(24)와 함께 배치된 습기 감지 부재(50)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습기 감지 부재는 톱시트에 부착된 별개의 복합 부재이다. 습기 감지 부재는 수 투과성 신체측 층(52)과 이 신체측 층과 마주보는 관계로 배치된 유동 제어 층(54)을 포함한다. 가시적인 강조(200)는 도 3a에서 물결모양 선과 원의 예시적인 패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습기 감지 부재(50)는 탄성 특성을 가지며, 제1 허리 영역(36)에 부착된 제1 종방향 단부(70)와 제2 허리 영역(38)에 부착된 제2 종방향 단부(72)를 포함한다. 또한, 부재(50)의 중앙 부분(74)은 바람직하게는 부재를 안정화시켜 착용자에 대한 용품의 맞춤을 용이하게 하여, 배설물(bowel movement)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착용자의 피부와의 양호한 접촉을 보장하도록 가랑이 영역(37)에 부착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습기 감지 부재(50)의 유동 제어 층(54)은 톱시트(24)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톱시트(24)의 일부분이 습기 감지 부재(50)의 수 투과성 층(52)으로서 역할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톱시트(24)는 바람직하게는 습기 감지 부재(50)를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 상태로 편향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단축된다. 대안적으로, 이 실시예는 백시트보다 길이가 짧은 톱시트를 포함하되, 일회용 흡수용품이 착용자 둘레에 착용되었을 때 톱시트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 상태로 가압되도록 백시트의 종방향 단부가 톱시트의 종방향 단부에 인접하게 할 수도 있다. 가시적인 강조(200)는 도 5a에서 하트 형상의 예시적인 패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은 용품의 신체측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습기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습기 감지 부재를 제공하는 실시예의 일 예가 도 6a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유동 제어 층(54a, 54b)이 톱시트(24)의 저부면에 부착되어 2개의 습기 감지 부재(50a, 50b)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유동 제어 층(54a, 54b)은 톱시트가 습기 감지 부재의 수 투과성 층(52)으로서 역할하도록 톱시트와 흡수 코어(28) 사이에 배치된다. 2개의 유동 제어 층(54a, 54b)은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종방향 중심선(42)과 평행하고 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간격은 배뇨 중에 흡수용품의 누출을 초래할 수 있는 범람(flood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액체가 코어로 통과하도록 하는 동시에 충분한 액체가 습기 감지 부재를 형성하는 유동 제어 층을 향해 유동 및 위킹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유동 제어 층들 사이의 간격은 약 10 ㎜일 수 있지만, 약 5 ㎜ 내지 약 15 ㎜와 약 8 ㎜ 내지 약 12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가 단지 2개의 습기 감지 부재만을 갖고 있지만, 3개 이상의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다른 흡수용품의 실시예도 고려된다. 가시적인 강조(200)는 도 6a에서 타원 형상의 예시적인 패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제어 층들의 간격은 톱시트(24) 내에 긴 슬릿 개구(80)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긴 슬릿 개구(80)는 착용자로부터 배설물을 수용하여 이를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격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슬릿 개구(80)에 인접하게 위치된 탄성화된 영역(82a, 82b)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항문에 대한 슬릿 개구의 정렬을 유지한다. 탄성화된 영역은 또한 사용 중에 습기 감지 부재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습기 감지 부재를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긴 슬릿 개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탄성화된 톱시트가 2002년 11월 19일자로 로우 등의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6,482,191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습기 감지 부재의 유동 제어 층(54a, 54b)은 톱시트 내에 배치된 탄성화된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탄성적으로 단축될 수도 있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톱시트(24)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수 투과성 층(52)으로서 역할한다. 그러나, 유동 제어 층(54a, 54b)은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톱시트(24) 내에 형성된 평행하게 대향하여 마주하는 2개의 Z형 절첩부(90a, 90b) 내에 배치되어, 2개의 습기 감지 부재(50a, 50b)를 형성한다. Z형으로 절첩된 톱시트는 톱시트(24)의 종방향 에지를 따라 하부에 놓인 층에 부착될 수 있어, 톱시트의 Z형 절첩부들 사이의 부분은 자유롭게 부유될 수 있다.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탄성 요소(92a, 92b)는 Z형으로 절첩된 톱시트의 중앙 부분을 흡수 코어(28)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도록 유동 제어 층(54a, 54b)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 요소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제어 층(54a, 54b)의 외부 에지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는 유동 제어 층과 마주보는 관계로 배치될 수도 있다. Z형으로 절첩된 톱시트와 탄성 요소의 조합은 일회용 흡수용품이 느슨해지거나 착용자 둘레에 헐겁게 맞춰진 경우에 습기 감지 부재를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시킨다. 가시적인 강조(200)는 도 7a에서 별 형상의 예시적인 패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Z형 절첩부들 사이의 톱시트의 부분이 둔근 홈(gluteal groove) 내부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 7a 또는 도 7b에는 도시되지 않은 차단 다리 커프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Z형 절첩부들 사이의 간격은 약 65 ㎜일 수 있으며, 약 50 ㎜ 내지 약 90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Z형 절첩부들 사이의 톱시트 부분의 편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접착제, 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 또는 편향 조절을 위한 다른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1 허리 영역, 제2 허리 영역 및 가랑이 영역 내의 Z형 절첩부들 사이에 횡방향 접합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횡방향 접합에 의해 Z형으로 절첩된 부분이 톱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Z형 절첩부 사이의 부분은 하부 코어에 부착될 수 있다.
톱시트의 일부분이 습기 감지 부재의 층으로서 역할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차단 다리 커프와 같은 일회용 흡수용품의 다른 구성 요소가 이러한 층으로서 역할할 수도 있다. 차단 다리 커프는 수 투과성 또는 수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차단 다리 커프 재료는 습기 감지 부재의 층들 중 하나로서 역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단 다리 커프의 구조는 착용자의 다리 및/또는 가랑이 주름에 대한 습기의 감지를 제공하도록 습기 감지 부재를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 다리 커프가 습기 감지 부재의 층으로서 역할하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8a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회용 흡수용품(20)은 수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된 차단 다리 커프(100a, 100b)를 포함하며, 각각의 차단 다리 커프의 일부분이 각각의 습기 감지 부재의 유동 제어 층으로서 역할한다. 수 투과성 층(110)은 각각의 차단 다리 커프의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37)과 전방 허리 영역(36)의 길이로 연장한다. 수 투과성 층(110)은 배뇨 중에 젖게 될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종축(42)에 가장 가까운 커프의 부분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다리 커프(100a, 100b)는 탄성 요소(108a, 108b)를 포함하며, 이 탄성 요소는 다리 커프를 톱시트(24)로부터 멀리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시적인 강조(200)는 도 8a에서 경사진 선의 예시적인 패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차단 다리 커프가 습기 감지 부재의 층으로서 역할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9a와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단 다리 커프(100a, 100b)는 수 투과성 재료로 제조되며, 또한 그 밖에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배열된다. 그러나, 차단 다리 커프 재료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습기 감지 부재(150a, 150b)의 수 투과성 신체측 층으로서 역할하기 때문에, 유동 제어 층(54a, 54b)은 흡수 코어와 차단 다리 커프 재료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개별 수 투과성 층 사이에 위치된다. 가시적인 강조(200)는 도 9a에서 타원형 형상의 예시적인 패턴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습기 감지 부재의 실시예들은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유지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이루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습기 감지 부재의 신체측 부분은 사용 중에 습기 감지 부재를 정위치에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국소 접착제와 같은 신체 접착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신체 접착 조성물은 습기 감지 부재의 신체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도포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신체 접착 조성물 역시 습기 감지 부재의 신체측 층을 구성하는 재료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신체 접착 조성물은 선, 줄무늬, 점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패턴 또는 형상으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습기 감지 부재의 임의의 부분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신체 접착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4,231,369호, 제4,593,053호, 제4,699,146호, 제4,738,257호, 제5,726,250호, 제4,078,568호, 제4,140,115호, 제4,192,785호, 제4,393,080호, 제4,505,976호, 제4,551,490호, 제4,768,503호, 제5,614,586호 및 제5,674,275호와, 국제출원공개 WO 94/13235A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착용자의 피부에 해제가능하게 접착될 수 있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회용 흡수용품(20)은 기저귀와 같은 용품을 착용자의 신체 상으로 적용하도록 허리 영역들을 측부에서 함께 체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한 벌의 팬티형 배변 연습용 바지와 같은 용품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을 포함한다. 이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전술한 배변 가리기 연습에서의 용품의 사용과 관련된 상당한 상승적인 효과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효과를 제공한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용품이 착용자의 신체 상으로 적용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그 후 용품은 한 벌의 팬티형 배변 연습용 바지처럼 적용될 수 있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용품이 착용자의 신체 상으로 적용된 후에 용품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접근하도록 및/또는 착용하고 있는 동안 용품의 맞춤을 조절하도록 개방 및 재체결될 수 있다. 물론, 측부 시임은 또한, 용품을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의 형태로 유지하면서 제거를 위하여 용품을 다리와 발 상에서 아래로 끌어내리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폐기를 위하여 용품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또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시점에 앞서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의 형태로 용품을 예비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용품을 기저귀처럼 적용하기 위한 준비 과정으로 측부 시임을 개방하는 것에 대한 대안을 계속 제공하면서 이러한 예비 체결된 상태로 제공하는 것을 제조업자, 도매업자 및/또는 소매업자가 원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여러 유사한 일회용 흡수용품이 그들의 측부 시임을 체결함으로써 예비 형성될 수 있고, 그 후 운송과 후속하는 판매를 위하여 함께 포장될 수 있다. 포장은, 예컨대 밀봉된 필름 백 내부에 포함된 절첩된 용품의 스택(stack), 폐쇄된 판지 상자 내부의 절첩된 용품의 스택, 또는 폐쇄된 용기 내부에 포함된 다수의 용품의 임의의 형태와 같은 임의의 요구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각의 예비 체결된 용품을 패키지로부터 꺼내어 이를 사용하려고 준비할 때, 사용자는 측부 시임이 계속 체결되어 있는 상태, 즉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로 형성된 채로 적용할지, 또는 측부 시임을 개방하여 용품을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시킨 후에 측부 시임을 재체결함으로써 용품을 기저귀로서 적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패키지 내부의 용품이 예비 체결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에게는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을 가진 각각의 용품을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로서 적용하거나 이후에 측부 시임에서 체결되어야 하는 개방된 기저귀로서 적용하는 선택사양이 제공된다.
일부의 현존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은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을 갖는다. 그러나, 배변 가리기 연습 나이인 아동과 같은 일부의 보다 나이든 아동은 종래의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을 개방할 수 있어서 일회용 흡수용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아동은 고의로 용품을 제거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단순히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을 조작하여 우연하게 용품을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성인 보호자는 측부 시임을 자유자재로 개방 및 재체결할 수 있게 하면서 아동에 의한 측부 시임의 개방에 대항하여 보호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고/하거나 측부 시임의 개방을 종래의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의 개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어렵게 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40)의 일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 체결 요소(43)는 제2 허리 영역(38)에서 제1 측부 에지의 부분(137c)에 인접하게 일회용 흡수용품(20)의 내부에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주 체결 요소(43)는 제2 허리 영역에서 제2 측부 에지의 부분(139c)에 인접하게 일회용 흡수용품(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측부 에지의 부분(137c)은 폐쇄하여 체결하기 전 또는 재개방된 후와 같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반대편 측부 에지의 부분(139c)은 체결된, 즉 바지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허리 영역들이 함께 체결된 때 제2 허리 영역(38)이 제1 허리 영역(36) 위로 중첩된다. 대안적으로, 주 체결 요소(43)는 제1 허리 영역(36)에서 용품(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허리 영역들이 함께 체결된 때 제1 허리 영역(36)이 제2 허리 영역(38) 위로 중첩된다. 또한, 주 체결 요소(43)는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용품(2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주 체결 요소는 대향하는 허리 영역의 정합하는 표면에 대해 가압될 때 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임의의 형태로 그리고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 체결 요소는 부직포 시트 내에 섬유에 의해 형성된 루프(loop)와 결합하는 복수의 후크(hook)에 의한 것과 같이, 정합하는 표면과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계식 체결구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주 체결 요소는 정합하는 표면에 해제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제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 체결 요소는 또한 별도의 정합하는 체결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후크를 포함하는 기계식 주 체결 요소는 루프를 포함하는 별도의 정합하는 체결 요소와 결합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접착식 주 체결 요소는 양호한 접착을 위하여 특별하게 선택된 별도의 정합하는 체결 시트에 접착될 수도 있다. 또한 유사하게는, 점착성 주 체결 요소는 정합하는 점착성 체결 요소에 점착될 수도 있다. 각각의 체결 요소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파형(undulating)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체결 요소에 특정한 외양을 부여하도록 체결 요소의 면적을 최대로 또는 최소로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선택될 수 있어서, 용품이 특정한 방식으로 착용된 경우 등에서 체결 요소에 가해지는 응력과 힘을 분산시킨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의 다른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 체결 요소(43)는 제1 허리 영역에서 각각의 측부 에지의 부분(137a, 139a)에 인접하게 일회용 흡수용품(20)의 외부에 배치된다. 별도의 정합하는 체결 요소(45)가 제2 허리 영역(38)에서 각각의 측부 에지의 부분(137c, 139c)에 인접하게 용품(20)의 내부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또한, 부 체결 요소(46)가 주 체결 요소(43)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주 체결 요소 및 별도의 정합하는 체결 요소 모두가 제공된 경우, 일회용 흡수용품의 내부 및 외부에 대한 이들의 배치는 일반적으로 서로 바뀔 수 있는데, 즉 이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주 체결 요소가 내부에 배치되고 정합하는 체결 요소가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는, 제1 허리 영역과 제2 허리 영역에 대한 이들의 배치는 일반적으로 서로 바뀔 수 있는데, 즉 체결 요소들은 허리 영역들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체결된 때 제2 허리 영역(38)이 제1 허리 영역(36) 위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체결 요소들은 허리 영역들이 함께 체결된 때 제1 허리 영역(36)이 제2 허리 영역(38) 위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부 체결 요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체결 요소와 동일한 표면 상에서 주 체결 요소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정합하는 표면 상에 및/또는 별도의 정합하는 체결 요소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것처럼, 주 체결 요소(들)의 초기 배치(들)는, 대향하는 허리 영역들이 이들 사이에 체결 요소(들)를 개재시키도록 중첩된 형상으로 함께 체결될 수 있는 한 중요한 것은 아니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부 체결 요소는 허리 영역들의 중첩 부분을 인접한 주 체결 요소와 정합하는 체결 요소에 의해 형성된 해제 가능한 부착부에 인접하게 함께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 측부 시임(40) 내에 외부에서 중첩하는 측부 에지의 부분(137c)과 주 체결 요소(43) 사이에 배치된 때, 부 체결 요소는 주 체결 요소에 대한 직접적인 측방향으로의 접근을 제한하고/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일회용 흡수용품을 착용하고 있는 아동에 의한 측부 시임의 개방에 대항하여 보호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보호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 체결 요소는 주 체결 요소와 외부에서 중첩된 측부 에지 사이에 배치되는 것 외에도 주 체결 요소와 중첩될 수 있어, 손가락을 삽입하여 중첩(overlapping) 허리 영역과 피중첩(overlapped) 허리 영역을 헐겁게 떼어놓을 수 있는 체결 요소들 사이의 임의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간극을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부 체결 요소는 내부에서 중첩된 측부 에지와 주 체결 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즉 도 12에 도시된 부 체결 요소와 측방향 대칭적으로 반대편에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부 체결 요소는 주 체결 요소와 인접한 허리 에지 사이에 및/또는 주 체결 요소와 가랑이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체결된 측부 시임 내에 주 체결구에 대한 부 체결 요소의 이러한 종방향으로 인접한 배치는 단지 측방향으로 인접한 배치에 비해 주 체결구에 대한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부 체결 요소는 주 체결구에 측방향 및 종방향 모두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부 체결 요소(46)는 측부 시임이 체결된 때 각각의 외부에서 중첩하는 측부 에지 부분(137c), 인접한 허리 에지(136) 및 가랑이 영역(37)과 주 체결 요소 사이에 배치되도록 주 체결 요소(43)의 3개의 면 둘레로 연장한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부 체결 요소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나 초과의 불연속적인 부 체결 요소 및/또는 분리된 부 체결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것과 유사하게 측방향으로 인접하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불연속적인 부 체결구가 하나 이상의 종방향으로 인접하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불연속적인 부 체결구(들)와 조합하여 제공되어, 도 13의 연속적인 부 체결 요소에 의해 형성된 것과 유사한 전체적인 부 체결 요소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부 체결 요소는 주 체결 요소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 체결 요소는 상이한 재료들의 독특한 특성의 장점을 취하기 위하여 주 체결 요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계식 체결구가 일회용 흡수용품이 착용된 때 허리 영역들에 가해지는 후프력(hoop force)을 견디도록 체결된 때의 충분한 전단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 체결 요소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접착제가 대응하는 부 체결 요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기계식 체결구가 사실상 모든 전단력을 견디고 부 체결 요소에 가해지는 유일한 힘은 보호자가 주 체결 요소에 접근하길 원할 때 가해지는 박리력이기 때문이다. 부 체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후에 재체결될 수 있어서, 주 체결 요소가 개방되고 재체결된 후에 주 체결 요소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도록 계속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40)의 다른 예가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 체결 요소(43)는 제2 허리 영역(38)에서 제1 측부 에지의 부분(137c)에 인접하게 일회용 흡수용품(20)의 내부에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주 체결 요소(43)는 제2 허리 영역에서 제2 측부 에지의 부분(139c)에 인접하게 일회용 흡수용품(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부 체결 요소(46)는 각각의 주 체결 요소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들 부 체결 요소(46)는 허리 영역들을 제1 허리 영역(36)에서 제1 측부 에지의 부분(137a)에 인접하게 그리고 제1 허리 영역에서 제2 측부 에지의 부분(139a)에 인접하게 플랜지형 배열로 함께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 체결 요소(46)는 주 체결 요소(43)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허리 영역들을 플랜지형 배열로 함께 체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체결 요소는 또한, 허리 영역들이 주 체결 요소(43)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위치에서 허리 영역들이 중첩되고 허리 영역들이 부 체결 요소(46)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위치에서 허리 영역들이 플랜지 형상으로 배열되는,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40)을 형성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허리 영역들은 먼저 부 체결 요소(46)에 의해서만 함께 체결되며, 따라서 일회용 흡수용품은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로서 형성된다. 그 후, 용품이 다리 위로 끌어올려짐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적용된 후에, 주 체결 요소(43)가 용품을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주 체결 요소(43)는 피중첩 허리 영역 상의 임의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중첩 허리 영역은 대향하는 허리 영역 상의 임의의 선택된 거리에서 중첩될 수 있다. 중첩 거리는, 예컨대 헐겁거나, 꼭 끼는 등의 요구에 따라 일회용 흡수용품을 착용자 상으로 맞추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허리 영역(38)은 제1 허리 영역 내의 절첩부(48)를 필요한 폭으로 생성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 둘레로의 맞춤을 요구되는 꼭 끼임의 정도로 생성하는 거리로 제1 허리 영역(36) 상에서 중첩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중첩 허리 영역은 요구되는 만큼 꼭 끼게 조여진 후 주 체결 요소(43)에 의해 피중첩 허리 영역에 체결될 수 있어 이와 같이 달성된 꼭 끼임의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흡수용품은 의도된 크기의 착용자의 허리 둘레로의 맞춤이 비교적 헐겁게 되도록 부 체결 요소가 배치된 상태로 부 체결 요소가 체결되고 주 체결 요소는 개방된 상태로 포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은 착용자의 신체 상으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로서 용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적용한 후, 주 체결 요소는 소정 시간에 걸친 착용을 위한 요구되는 맞춤을 달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서, 제2 허리 영역(38)의 측부 에지의 부분(137c)은 허리 영역을 조여서 주 체결 요소(43)를 제1 허리 영역(36)에 체결하기 전 또는 재개방된 후와 같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반면 인접한 부 체결 요소(46)는 이미 체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반대편 측부 에지의 부분(139c)은 체결된 상태, 즉 주 체결 요소(43)와 부 체결 요소(46) 모두가 제1 허리 영역(36)과 제2 허리 영역(38)을 함께 체결한 상태로 바지 형상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부 체결 요소는 주 체결 요소용으로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상이한 재료들의 독특한 특성의 장점의 특성을 취하기 위하여 주 체결 요소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최소한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부 체결 요소는, 예컨대 일회용 흡수용품을 한 벌의 배변 연습용 바지로서 구성하고 조임 특징부 형태로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대향하는 허리 영역들을 이들 공통 측부 에지에 인접하게 함께 접합, 밀봉 또는 아니면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 체결 요소는 의도된 크기의 착용자의 허리 둘레로의 맞춤이 용품의 내부의 검사를 위하여 요구되는 정도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교적 헐겁게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 후, 재체결 가능한 주 체결 요소가 착용자 상의 요구되는 맞춤을 달성하도록 중첩 허리 영역을 조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용품의 내부를 검사하는 것이 요구될 때마다, 주 체결 요소는 체결이 풀릴 수 있고 이어서 검사가 완료된 후에 재체결될 수 있다. 또한, 허리 영역들을 함께 접합, 밀봉 또는 아니면 부착함으로써 형성된 부 체결 요소는 허리 영역들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예컨대 허리 개구의 크기를 확대하고/하거나 사용 후 용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체결이 풀릴 수 있도록 약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재체결 가능한 주 체결 요소는 허리 영역들을 함께 체결하는 데에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용품의 내부의 검사하기 위하여 및/또는 사용 후 용품의 제거를 위하여 마찬가지로 개방될 수 있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이들을 형성하는 체결 요소 및 이들의 형성하기 적합한 재료의 여러 형태가 2003년 3월 27일자로 올슨의 명의로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060794호에 기술되어 있다. 재체결 가능한 측부 체결구를 형성하고 제조 및 포장 중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공정이 2002년 8월 6일자로 하인델(Heindel) 등의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6,428,526호에 기술되어 있다. 여러 대안들 중에서, 이러한 측부 시임, 체결 요소, 재료 및 공정이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용품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나열 및/또는 참조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이에 대해 허여된 임의의 특허와, 외국 특허 출원의 임의의 대응 공보와, 모든 간행물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어떠한 문헌 또는 이들 문헌들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을 교시하거나 개시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승인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 및/또는 개별적인 특징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다른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들과 특징들의 모든 조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로 귀결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과 수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0)

  1. 종축, 신체측 표면, 제1 허리 영역 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허리 에지와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허리 영역 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허리 에지 사이에서 연장하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용품 측부 에지, 및 허리 영역들 사이의 가랑이 영역을 갖는, 착용자의 하부 몸통 둘레로의 착용을 위한 일회용 흡수용품으로서,
    백시트와,
    백시트에 부착된 톱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유동 제어 층과,
    백시트와 톱시트 중간에 배치되며 적어도 그의 일부분이 유동 제어 층과 백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와,
    대향하는 허리 영역들이 다리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용품 측부 에지에서 또는 이에 인접하게 함께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 여기서,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하나의 허리 영역 내에 배치되어 대향하는 허리 영역에 체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주 체결 요소를 포함함 - 을 포함하며,
    유동 제어 층은 착용자에 의해 일회용 흡수용품 내에 침착된 소변의 z 방향으로의 유동을 지연시키는 일회용 흡수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주 체결 요소는 기계식 체결구인 일회용 흡수용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주 체결 요소가 결합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정합하는 체결 요소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회용 흡수용품 내의 유동 제어 층의 존재를 지시하며 적어도 신체측 표면을 볼 때 보일 수 있는 가시적인 강조를 추가로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종축으로부터 이격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유동 제어 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허리 영역들의 개개의 부분을 주 체결 요소에 인접하게 함께 체결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부 체결 요소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일회용 흡수용품을 포함하는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일회용 흡수용품은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패키지.
  9. 제7항에 있어서,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은 대향하는 허리 영역들의 개개의 부분을 주 체결 요소에 인접하게 함께 체결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부 체결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며, 부 체결 요소는 체결되어 있고 주 체결 요소는 개방되어 있는 패키지.
  10. 제9항에 있어서,
    주 체결 요소는 기계식 체결구이며, 부 체결 요소는 접착제인 패키지.
KR1020067020466A 2004-04-01 2005-03-24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및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흡수용품 KR20070004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15,918 2004-04-01
US10/815,918 US20050222546A1 (en) 2004-04-01 2004-04-01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fastenable side seams and a wetness sensation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006A true KR20070004006A (ko) 2007-01-05

Family

ID=3496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466A KR20070004006A (ko) 2004-04-01 2005-03-24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및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흡수용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50222546A1 (ko)
EP (1) EP1763328A1 (ko)
JP (1) JP2007530228A (ko)
KR (1) KR20070004006A (ko)
CN (1) CN1937981A (ko)
AR (1) AR051535A1 (ko)
AU (1) AU2005231141A1 (ko)
BR (1) BRPI0509561A (ko)
CA (1) CA2561602A1 (ko)
WO (1) WO2005097026A1 (ko)
ZA (1) ZA2006080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952B1 (ko) * 2007-12-28 2015-06-15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일회용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8579A1 (en) 1998-12-18 2001-08-30 Walter Klemp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stretchable side waist regions
US6642427B2 (en) * 2001-05-14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temperature change element
US20070191797A1 (en) * 2006-02-10 2007-08-16 Roe Donald C Absorbent article with sensation member
US7767876B2 (en) * 2003-10-30 2010-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visibly highlighted wetness sensation member
US7887522B2 (en) 2005-03-18 2011-02-1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ull-on wearable article with informational image
US7806880B2 (en) 2005-03-18 2010-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ull-on wearable article with informational image
US8663184B2 (en) 2005-08-05 201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functional side panel
US7432413B2 (en) 2005-12-16 2008-10-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side panels with structurally, functionally and visually different regions
US20070233026A1 (en) * 2006-03-31 2007-10-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US8664467B2 (en) 2006-03-31 201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US8057450B2 (en) 2006-03-31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ensation member
US8491558B2 (en) 2006-03-31 2013-07-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egnated sensation material for toilet training
US7833211B2 (en) 2006-04-24 2010-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method of making, and absorbent article
CN101460125B (zh) 2006-06-09 2013-06-19 宝洁公司 拉伸层压体、制造方法及吸收制品
US7910797B2 (en) * 2006-09-18 2011-03-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ensation aspect
US20080086103A1 (en) * 2006-10-04 2008-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Kit including an absorbent article
US8858524B2 (en) * 2006-11-30 2014-10-14 First Quality Products, Inc. Skin friendly diaper
MX2009005684A (es) 2006-12-04 2009-06-08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que comprenden graficos.
US8497409B2 (en) * 2008-02-29 2013-07-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olfactory wetness signal
SG194521A1 (en) 2011-04-29 2013-12-30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with leg gasketing cuff
WO2013170433A1 (en) 2012-05-15 201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waist end
JP2015515921A (ja) 2012-05-15 2015-06-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有利な伸長及び製造性特性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パンツ並びに、その製造方法
BR112014028333A2 (pt) 2012-05-15 2018-05-29 Procter & Gamble artigos absorventes com elásticos em múltiplas camadas
JP2015515919A (ja) 2012-05-15 2015-06-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有利な伸張及び製造可能性特長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パンツ並びに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8734419B2 (en) 2012-09-14 2014-05-27 The Natural Baby Company, LLC Cloth training diaper
WO2014179429A1 (en) 2013-05-03 2014-1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tretch laminates
US9533067B2 (en) 2013-05-03 2017-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tretch laminates
JP6258468B2 (ja) 2013-05-03 2018-01-1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伸張性積層体を含む吸収性物品
CN105142588B (zh) 2013-05-03 2019-05-28 宝洁公司 包括拉伸层合体的吸收制品
US10716712B2 (en) 2013-06-20 2020-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activation-friendly laminates
EP3265307B1 (en) 2015-03-02 2019-0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s
KR102450994B1 (ko) 2015-03-02 2022-10-06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연신 라미네이트
EP3307220B2 (en) 2015-04-29 2023-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lt with treated inner surface
US20170056257A1 (en) 2015-08-27 2017-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lted structure
WO2017106153A2 (en) 2015-12-15 2017-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lted structure with tackifier-free adhesive
US20170246052A1 (en) 2016-02-25 2017-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CN109475436B (zh) 2016-08-12 2021-08-27 宝洁公司 用于装配带有不同粘结密度的用于吸收制品的弹性层压体的方法和设备
JP6857990B2 (ja) * 2016-09-29 2021-04-14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7486317B2 (ja) 2017-06-05 2024-05-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排泄物の可視化が改善された構成可能な吸収性物品
US11399992B2 (en) 2017-08-24 2022-08-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removable fastening members
US20200197240A1 (en) * 2018-12-19 2020-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printed region
JP7308276B2 (ja) 2019-02-21 2023-07-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完全に取り外し可能な締結部材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11944522B2 (en) 2019-07-01 2024-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ar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3325A (en) * 1934-10-27 1936-06-09 Jr George H Jackson Sanitary pad
US3934673A (en) * 1972-02-07 1976-01-27 Daniel Silverman Vibrator systems for generating elastic waves in the earth
US3794024A (en) * 1972-05-17 1974-02-26 Procter & Gamble Catamenial wetness indicator
US3860003B2 (en) * 1973-11-21 1990-06-19 Contractable side portions for disposable diaper
US4140115A (en) * 1973-12-03 1979-02-20 Johnson & Johns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for coating articles to be attached to skin
US3927673A (en) * 1974-08-12 1975-12-23 Colgate Palmolive Co Quilted diaper
US4022211A (en) * 1974-08-14 1977-05-10 Kimberly-Clark Corporation Wetness indicator for absorbent pads
US3934588A (en) * 1974-08-20 1976-01-27 Johnson & Johnson Disposable diaper having facing layer with patterned preferential flow areas
US4078568A (en) * 1976-10-12 1978-03-14 Northern Illinois Research, Inc. Plastic composition and method
US4106001A (en) * 1977-05-12 1978-08-08 Kurt Mahoney Moisture detector
GB1576522A (en) * 1977-05-24 1980-10-08 Colorplast International A S Sealing material for ostomy devices
US4192785A (en) * 1977-06-08 1980-03-11 E. R. Squibb & Sons, Inc. Ostomy adhesive
GB2046764B (en) * 1979-02-08 1983-04-20 Matburn Holdings Ltd Polymeric sealant compositions
US4393080A (en) * 1981-12-24 1983-07-12 E. R. Squibb & Sons, Inc. Adhesive compositions
US4699146A (en) * 1982-02-25 1987-10-13 Valleylab, Inc. Hydrophilic, elastomer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4505976A (en) * 1983-02-15 1985-03-19 Johnson & Johnson Products, Inc. Stoma seal adhesive
FR2542608B1 (fr) 1983-03-14 1986-12-12 Biotrol Sa Lab Serviette absorbante pour incontinence urinaire feminine
US4551490A (en) * 1983-06-27 1985-11-05 E. R. Squibb & Sons, Inc. Adhesive composition resistant to biological fluids
US4593053A (en) * 1984-12-07 1986-06-03 Medtronic, Inc.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biomedical adhesive composition
US4778459A (en) * 1985-03-08 1988-10-18 Fuisz Richard C High absorbency diaper with composite absorbent layer
US4657538A (en) * 1985-07-29 1987-04-14 Personal Products Company Panty liner with flow retarding layer
US4738257A (en) * 1986-06-11 1988-04-19 Hollister Incorporated Occlusive wound care dressing
JPH082365B2 (ja) 1987-06-08 1996-01-17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US4892536A (en) * 1988-09-02 199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strands
US4990147A (en) * 1988-09-02 1991-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liner for waste material isolation
US5037416A (en) * 1989-03-09 1991-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ally extensible topsheet
US5178139A (en) * 1990-03-05 1993-01-12 Stephen P. Angelillo Absorbent pad and thermal pack
US5151092A (en) * 1991-06-13 1992-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
DE4110973A1 (de) * 1991-04-05 1992-10-08 Haarmann & Reimer Gmbh Mittel mit physiologischem kuehleffekt und fuer diese mittel geeignete wirksame verbindungen
JP2849246B2 (ja) * 1991-08-28 1999-0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ニングパンツ
BE1005718A3 (fr) * 1992-03-10 1993-12-28 Solvay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une poudre microspheroidale a faible dispersite, poudre microspheroidale a faible dispersite ainsi obtenue, catalyseurs pour la polymerisation d'alpha-olefines et procede de polymerisation d'alpha-olefines.
US5269775A (en) * 1992-06-12 1993-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section topsheet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trisection topsheets
US5306504A (en) 1992-12-09 1994-04-26 Paper Manufactures Company Skin adhesive hydrogel, its preparation and uses
KR100355653B1 (ko) * 1993-06-28 2003-03-15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유체방향성 부여수단을 갖는 흡수용품
JP2580205Y2 (ja) * 1993-11-26 199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US5674275A (en) * 1994-04-06 1997-10-07 Graphic Controls Corporation Polyacrylate and polymethacrylate ester based hydrogel adhesives
US5614586A (en) * 1994-04-06 1997-03-25 Graphic Controls Corporation Polyacrylate and Polymethacrylate ester based hydrogel adhesives
US5728125A (en) * 1994-09-27 1998-03-17 Salinas; Maria Teresa Echeverria Menstrual detector
WO1996012459A2 (en) 1994-10-24 1996-05-02 The Dow Chemical Company Absorbent structure with fluid-impermeable patch
US5853403A (en) * 1994-10-25 1998-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tacting liquid control member
US5961761A (en) * 1994-11-07 1999-10-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of providing mechanical fasteners 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5649914A (en) * 1994-12-22 1997-07-22 Kimberly-Clark Corporation Toilet training aid
US5681298A (en) * 1994-12-22 1997-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id creating a temperature change
SE508206C2 (sv) * 1995-09-06 1998-09-14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för upptagande av kroppsvätskor
US5658268A (en) * 1995-10-31 1997-08-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nhanced wet signal response in absorbent articles
JP3343191B2 (ja) * 1996-07-02 2002-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US5798179A (en) * 1996-07-23 1998-08-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intable heat transfer material having cold release properties
JP3325486B2 (ja) * 1997-02-28 2002-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JP3340061B2 (ja) * 1997-09-29 2002-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ニングパンツ
JP3492171B2 (ja) 1997-11-28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パンツ
JP3751143B2 (ja) * 1998-02-24 2006-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パンツ
SG85108A1 (en) * 1998-03-23 2001-12-19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for prevention of sideward leak
US6160200A (en) * 1998-06-29 2000-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rectionally preferential waste passage member for use with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645190B1 (en) * 1999-11-22 2003-1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non-irritating refastenable seams
US6447497B1 (en) * 1999-11-22 2002-09-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hild resistant refastenable seams
US6307119B1 (en) * 1999-06-15 2001-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wetness indicating graphics incorporating a training zone
US6297424B1 (en) * 1999-06-15 2001-10-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wetness indicating graphics providing an interactive training aid
US6710221B1 (en) * 1999-06-15 2004-03-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incorporating color change graphics
US7059474B2 (en) * 1999-11-08 2006-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array of flexible articles
US6515194B2 (en) * 1999-12-23 2003-02-04 Ryan R. Neading Diaper having centrally-located chromatographic layer with peripherally-located wetness indicator
US6482191B1 (en) * 2000-10-23 2002-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ated topsheet with an elongate slit opening
US7264615B2 (en) * 2001-04-03 2007-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insert for use with an outer absorbent garment
US6642427B2 (en) * 2001-05-14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temperature change element
JP2003075722A (ja) * 2001-09-04 2003-03-12 Canon Inc 撮像光学系および画像入力装置
US6627786B2 (en) * 2001-11-26 2003-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wetness sensation member
US20030114807A1 (en) * 2001-12-14 2003-06-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726668B2 (en) * 2001-12-14 2004-04-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958432B2 (en) * 2001-12-14 2005-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2003190210A (ja) 2001-12-27 2003-07-08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7201744B2 (en) * 2001-12-28 2007-04-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US6951599B2 (en) 2002-01-22 2005-10-04 Applied Materials, Inc. Electropolishing of metallic interconnects
US7682349B2 (en) * 2003-08-01 2010-03-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er orientation for packaged garments having refastenable seams
US7767876B2 (en) 2003-10-30 2010-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visibly highlighted wetness sensation member
US20050148961A1 (en) * 2003-12-29 2005-07-07 Sosalla Paula M. Article featuring an interior graph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952B1 (ko) * 2007-12-28 2015-06-15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일회용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65034A1 (en) 2008-03-13
US20050222546A1 (en) 2005-10-06
WO2005097026A1 (en) 2005-10-20
JP2007530228A (ja) 2007-11-01
EP1763328A1 (en) 2007-03-21
CA2561602A1 (en) 2005-10-20
ZA200608038B (en) 2008-06-25
US7977528B2 (en) 2011-07-12
AR051535A1 (es) 2007-01-24
CN1937981A (zh) 2007-03-28
AU2005231141A1 (en) 2005-10-20
BRPI0509561A (pt)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4006A (ko) 재체결 가능한 측부 시임 및 습기 감지 부재를 갖는 일회용흡수용품
US10219956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dryness indicating graphic
JP4536729B2 (ja) 可視的に強調された湿潤感知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8568379B2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design field
CA2642131C (en) Absorbent article with sensation member
MXPA06011311A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refastenable side seams and a wetness sensation member
MX2008010153A (en) Absorbent article with sensa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