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100A - 주조기 - Google Patents

주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100A
KR20070001100A KR1020067014783A KR20067014783A KR20070001100A KR 20070001100 A KR20070001100 A KR 20070001100A KR 1020067014783 A KR1020067014783 A KR 1020067014783A KR 20067014783 A KR20067014783 A KR 20067014783A KR 20070001100 A KR20070001100 A KR 20070001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 core
mold
casting machine
m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812B1 (ko
Inventor
히로시 요시이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22Moulds for peculiarly-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22D17/24Accessories for locating and holding core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4Low pressure casting, i.e. making use of pressures up to a few bars to fill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베이스부(12)와, 하부 금형(15)과, 제 1 슬라이드 코어(16)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17)와, 상부 금형을 구비한다. 제 1 슬라이드 코어(16)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17)를 개폐시키는 1개의 실린더[제 3 에어 실린더(25)]를 구비한다. 이 실린더는 베이스부(12)상에 위치하고 제 1 슬라이드 코어(16)의 외측에 제 1 슬라이드 코어(16)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실린더 본체(25b)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는 제 1 슬라이드 코어(16)에 접속된 피스톤 로드(25a)를 구비한다. 실린더 본체(25b)에 제 2 슬라이드 코어(17)를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제 1, 제 2 연결 부재(26, 28) 및 타이 바(27)]와, 제 1 슬라이드 코어(16)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전개 위치에서 규제하는 스톱퍼(29)를 구비한다.
주조기

Description

주조기{CASTING MACHINE}
본 발명은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를 가지는 주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용 엔진의 실린더 헤드는 저압 주조법에 의해 주조되어 있다. 이 저압 주조용 주조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1-57979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주조기는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하방에 도가니가 배치되어 이 도가니에 저류된 용탕을 가압해서 스토크(stalk)와 탕구(湯口) 컵을 통해 밀어 올리고, 하부 금형의 탕구에 공급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종래의 이 종류의 주조기에 있어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만으로는 성형할 수 없는 복잡한 형상의 주조물을 주조하는 경우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코어가 사용되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4개의 슬라이드 코어를 가지는 종래의 주조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동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금형 지지용의 베이스부를 나타내고, 2는 하부 금형, 3은 슬라이드 코어, 4는 슬라이드 코어(3)를 구동하기 위한 에어 실린더, 5는 슬라이드 코어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를 나타낸다.
하부 금형(2)은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1) 상에 도시되지 않은 지지 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코어(3)는 하부 금형(2)을 사방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도 6A에 도시한 금형 클램핑 위치(clamping position)와 도 6B에 도시한 금형 오프닝 위치(opening position)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부(1)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드 코어(3)는 외측의 단부면에 에어 실린더(4)의 피스톤 로드(4a)가 접속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4)는 슬라이드 코어(3) 마다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부(1)에 실린더 본체(4b)의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코어(3)를 구비한 주조기는 금형 부분의 각 측방에 슬라이드 코어 구동용의 에어 실린더(4)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조기 전체가 대형화되어, 넓은 설치 점유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1개의 베이스부 상에 복수 조의 금형을 배치하려고 하면 각 금형간에 각각의 에어 실린더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주조기는 한층 대형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한 주조기를 소형화함으로써 주조기의 설치 점유 공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조기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 상에 고정된 하부 금형과, 상기 베이스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슬라이드 코어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하부 금형 및 제 1, 제 2 슬라이드 코어 상에 금형 클램핑되어 이들 금형 부재와 협동해서 금형을 구성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 코어를 개폐시키는 1개의 실린더를 구비한 주조기로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의 외측에 그 축선 방향이 제 1 슬라이드 코어의 개폐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실린더 본체와,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에 접속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본체에 상기 제 2 슬라이드 코어를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전개(全開) 위치에서 규제하는 스톱퍼(stopper)를 구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조기는 실린더가 신장됨으로써 제 1 슬라이드 코어와 제 2 슬라이드 코어가 금형 클램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가 수축함으로써 양쪽 슬라이드 코어가 금형 오프닝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슬라이드 코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1개의 실린더에 의해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를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슬라이드 코어의 외측에는 실린더 배치용 점유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어 콤팩트한 주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실린더에 의해 2개의 슬라이드 코어의 구동을 행하기 때문에 실린더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배치용 공간이 불필요한 제 2 슬라이드 코어가 서로 인접하는 상태로 복수 조의 금형이 나열되므로, 금형끼리를 접근시킬 수 있어 좁은 설치 점유 공간에 복수 조의 금형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주조기를 소형화할 수 있어서 그 설치 점유 공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2개씩의 제 3 슬라이드 코어와 제 4 슬라이드 코어를 2개의 실린더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발명에 의하면 이들 슬라이드 코어를 각각 실린더에 의해 구동할 경우에 비해 실린더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조기의 설치 점유 공간을 좁힐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 조의 금형에 각각 상부 금형용 구동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비해 상부 금형용 구동 장치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조기의 설치 점유 공간을 좁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발명에 의하면 금형을 복수 조로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한 주조기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 조의 금형에 각각 용탕 공급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비해 용탕 공급 장치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조기의 설치 점유 공간을 좁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발명에 의하면 금형을 복수 조로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한 주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조기 하부 금형과 슬라이드 코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조기 하부 금형과 슬라이드 코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금형 클램핑 상태에서의 하부 금형과 슬라이드 코어를 도시하는 평면 도이다.
도 4는 금형 오프닝 상태에서의 하부 금형과 슬라이드 코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조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A는 4개의 슬라이드 코어를 가지는 종래의 주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동 도면은 금형 클램핑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4개의 슬라이드 코어를 가지는 종래의 주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동 도면은 금형 오프닝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주조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1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주조기이다. 이 주조기(11)는 1개의 베이스부(12) 상에 2조의 금형(13, 14)이 설치되어 있다. 각 금형(13, 14)은 베이스부(12)에 고정된 평면으로 볼 때 사각형상의 하부 금형(15)과, 이 하부 금형(15)을 사방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된 4개의 슬라이드 코어(16 ~ 19)와, 도시되지 않은 상부 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금형(13, 14)은 하부 금형(15)의 4측부에 슬라이드 코어(16 ~ 19)가 금형 클램핑된 상태(도 1참조)에 있어서, 이들 금형 부재 상에 상부 금형이 클램핑됨으로써 내부에 캐비티(20)가 폐쇄 공간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이들 2개의 금형(13, 14)은 도 1, 2의 좌우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이므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금형(13)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 도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금형(14)에 대해서는 좌측의 금형(13)과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 금형(15)은 탕구(도시되지 않음)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부(12)의 하방으로 배치된 도가니(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용탕이 공급된다. 베이스부(12)에 있어서의 하부 금형(15)의 네 구석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후술하는 제 1 ~ 제 4 슬라이드 코어(16 ~ 19)가 이동하는 방향을 규제함과 아울러 금형 클램핑시에 상부 금형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코너 포스트(21)가 입설(立設)되어 있다.
4개의 슬라이드 코어(16 ~ 19)는 4개의 코너 포스트(21, 21 …) 상호간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도 1에 도시한 금형 클램핑 위치와, 도 2에 도시한 금형 오프닝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 베이스부(1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 1 ~ 제 4 슬라이드 코어(16 ~ 1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 클램핑된 상태로 서로 인접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밀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슬라이드 코어(16 ~ 19) 중,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슬라이드 코어(16)와 제 2 슬라이드 코어(17)는 후술하는 개폐 장치(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제 3 슬라이드 코어(18)와 제 4 슬라이드 코어(19)는 이들 슬라이드 코어의 외측(금형 오프닝 방향 전방측)에 배치된 제 1, 제 2 에어 실린더(23, 24)의 피스톤 로드(23a, 24a)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제 2 에어 실린더(23, 24)는 축선 방향이 제 3,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의 개폐 방향(도 1, 2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베이스부(1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 1, 제 2 에어 실린더(23, 24)는 피스톤 로드(23a, 24a)가 실린더 본체(23b, 24b)로부터 제 3,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를 향해 돌출하는 상태로 베이스부(12)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 3 및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는 제 1 및 제 2 에어 실린더(23, 24)가 신장됨으로써 금형 클램핑된다(도 1 참조). 또한, 제 3 및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는 양쪽 에어 실린더(23, 24)가 수축됨으로써 금형 오프닝된다(도 2 참조).
개폐 장치(22)는 제 1 슬라이드 코어(16)의 외측(금형 오프닝 방향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1개의 제 3 에어 실린더(25)에 의해 제 1 슬라이드 코어(16)와 제 2 슬라이드 코어(17)를 구동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상술하면, 제 3 에어 실린더(25)는 축선 방향이 제 1, 제 2 슬라이드 코어(16, 17)의 개폐 방향(도 1, 2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베이스부(1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3 에어 실린더(25)는 피스톤 로드(25a)가 실린더 본체(25b)로부터 제 1 슬라이드 코어(16)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베이스부(12)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3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는 돌출측 단부에 제 1 슬라이드 코어(16)가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25b)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레일에 의해 베이스부(12) 상에 제 1, 제 2 슬라이드 코어(16, 17)의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에어 실린더(25)의 실린더 본체(25b)는 도 1,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결 부재(26)와, 이 제 1 연결 부재(26)의 양단부로부터 제 2 슬라이드 코어(17)측으로 제 1, 제 2 슬라이드 코어(16, 17)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타이 바(tie bar)(27, 27)와, 이들 타이 바(27)의 연설측(延設側)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부재(28)를 통해 제 2 슬라이드 코어(17)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연결 부재(26)와, 타이 바(27)와, 제 2 연결 부재(28)에 의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 말하는 연결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타이 바(27)는 단면 원형의 막대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가이드 포스트(21)를 관통하며, 이 가이드 포스트(21)에 축선 방향으로만 이동이 허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타이 바(27)는 제 3,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의 이동을 차단하는 일이 없도록 제 3,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가 이동하는 범위의 상방을 횡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타이 바(27)에 있어서의 제 1 연결 부재(26)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포스트(21)의 근방에는 제 1 슬라이드 코어(16)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전개 위치에서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2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톱퍼(29)는 제 1 슬라이드 코어(16)의 외측 단부면이 접촉함으로써 그 이동을 규제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고, 베이스부(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베이스부(12)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스톱퍼(29)는 제 1 연결 부재(26)의 내측 단부면과도 대향하 고, 이 제 1 연결 부재(26)의 금형 오프닝 방향(도 1, 2에 있어서는 우측)으로의 이동도 전개 위치에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금형(13)과 우측에 위치하는 금형(14)은 제 2 슬라이드 코어(17)가 서로 인접하는 상태로 베이스부(12)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쪽 금형(13, 14)끼리의 간격은 도 2에 도시한 금형 오프닝시에 제 2 연결 부재(28)의 이동량이 최대가 되는 상태로 양쪽 금형(13, 14)의 제 2 연결 부재(28)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주조기(11)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금형 클램핑 상태로부터 제 1 ~ 제 3 에어 실린더(23 ~ 25)를 수축시킴으로써 제 1 ~ 제 4 슬라이드 코어(16 ~ 19)가 개방된다. 또한, 이 주조기(11)에 있어서는 상기와는 반대로 제 1 ~ 제 3 에어 실린더(23 ~ 25)를 신장시킴으로써 제 1 ~ 제 4 슬라이드 코어(16 ~ 19)가 금형 클램핑된다. 상술하면, 제 1 에어 실린더(23)가 수축됨으로써 제 3 슬라이드 코어(18)가 도 1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동해서 개방되고, 제 2 에어 실린더(24)가 수축됨으로써 제 4 슬라이드 코어(19)가 도 1에 있어서 하측으로 이동해서 개방된다. 이들 제 3 및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를 폐쇄시키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에어 실린더(23, 24)를 신장시킴으로써 행한다.
한편, 이 주조기(11)에 있어서는 제 3 에어 실린더(25)가 수축됨으로써 제 1 슬라이드 코어(16)가 피스톤 로드(25a)와 함께 도 1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그 후 스톱퍼(29)에 접촉해서 전개 위치에 도달한다. 이렇게 되면, 이 주조기(11)에 있어서는 이 제 3 에어 실린더(25)의 실린더 본체(25b)가 도 1에 있어서 우측으 로 이동한다. 이 때, 실린더 본체(25b)에 제 1 및 제 2 연결 부재(26, 28)와 타이 바(27)를 통해 접속된 제 2 슬라이드 코어(17)도 실린더 본체(25b)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3 에어 실린더(25)의 수축이 진행하여 제 2 슬라이드 코어(17)가 전개 위치에 도달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26)가 스톱퍼(29)에 접촉하고, 제 2 슬라이드 코어(17)는 그 이상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정지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16, 17)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제 3 에어 실린더(25)를 신장시킴으로써 행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 3 에어 실린더(25)의 피스톤 로드(25a)가 전진함으로써 제 1 슬라이드 코어(16)가 하부 금형(15)을 향해 이동하고, 그 후 하부 금형(15)에 접촉해서 그 위치에 정지한다.
그리고, 이 제 3 에어 실린더(25)의 실린더 본체(25b)가 하부 금형(15)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 금형(15)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슬라이드 코어(17)가 하부 금형(15)을 향해 이동한다. 그 후, 제 2 슬라이드 코어(17)는 하부 금형(15)에 면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은 폐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그 위치(금형 클램핑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조기(11)는 실제로는 도 3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도 3 ~ 도 5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의해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3 ~ 도 5에 도시한 2조의 금형(13, 14)은 제 3 슬라이드 코어(18, 18)끼 리와 제 4 슬라이드 코어(19, 19)끼리가 각각 제 3 연결 부재(31)와 제 4 연결 부재(32)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31)는 제 1 에어 실린더(23)의 피스톤 로드(23a)에 접속되고, 제 4 연결 부재(32)는 제 2 에어 실린더(24)의 피스톤 로드(24a)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연결 부재(31)와 제 4 연결 부재(32)에 의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 말하는 연결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에어 실린더[제 1 에어 실린더(23)]에 의해 2개의 제 3 슬라이드 코어(18, 18)가 구동되고, 1개의 에어 실린더[제 2 에어 실린더(24)]에 의해 2개의 제 4 슬라이드 코어(19, 19)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3 슬라이드 코어(18, 18)를 1개의 제 1 에어 실린더(23)에 의해 구동하고, 2개의 제 4 슬라이드 코어(19, 19)를 1개의 제 2 에어 실린더(24)에 의해 구동하는 구조의 주조기(11)가 청구항 3에 의한 주조기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합계 4개의 제 3 및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를 각각 에어 실린더에 의해 구동할 경우에 비해 실린더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주조기(11)의 설치 점유 공간을 좁힐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 3 슬라이드 코어(18, 18)가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2개의 제 4 슬라이드 코어(19, 19)가 일체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포스트(21)가 금형 형성 부분의 네 구석이 되는 부위에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포스트(21)가 4개이기 때문에 개폐 장치(22)의 타이 바(27)는 제 1 슬라이드 코어(16)측의 단부만이 가이드 포스트(2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타이 바(27)는 좌측의 금형(13)에 있어서는 한쪽이 제 3 슬라이드 코어(18)의 하방에 배치되고, 다른쪽이 제 4 슬라이드 코어(1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금형(14)의 2개의 타이 바(27) 중 한쪽은 제 3 슬라이드 코어(18)의 상방에 배치되고, 다른쪽은 제 4 슬라이드 코어(19)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도 3, 4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금형(13)의 양쪽 타이 바(27)에 있어서의 제 2 연결 부재(28)측의 단부와, 동 도면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금형(14)의 양쪽 타이 바(27)에 있어서의 제 2 연결 부재(28)측의 단부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과 아울러, 이 구성에 의하면 양쪽 금형(13, 14)의 제 2 연결 부재(28)끼리를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제 3 에어 실린더(25)는 베이스부(12)에 레일(33)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부재(34)에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제 1 ~ 제 4 슬라이드 코어(16 ~ 19)의 근방에 설치된 부호(35)로 나타내는 것은 이들 슬라이드 코어를 베이스부(12)상에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다.
2조의 금형(13, 14)이 장착된 베이스부(12)의 하방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광로(36)와 도가니(37)를 가지는 용탕 공급 장치(38)가 설치되고, 베이스부(12)의 상방에는 구동 장치(39)에 의해 지지된 상부 금형(40, 40)이 위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부 금형(15, 15)은 베이스부(12)상에 고정된 지지 부재(12a)에 유지되어 있다.
용광로(36)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41)와, 이 본체(41)의 상부 개구 부분을 폐쇄하는 덮개(42)와, 용탕(43)을 저류하는 도가니(37)와, 덮개(42)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용탕(43)내에 침지(浸漬)된 스토크(4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용광로(36)의 본체(41)는 도가니(37)내의 용탕(43)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함과 아울러, 가압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이 가압 장치는 주조시에 불활성 가스를 본체(41)내에 공급해서 용탕(43)을 스토크(44)내로 압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조의 금형(13, 14)에 1개의 도가니(37)로부터 용탕(43)이 공급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상술하면, 이 실시형태에 의한 주조기(11)에 있어서 하부 금형(15)은 베이스부(12)상에 고정된 지지 부재(12a)에 유지되어 있다. 이 하부 금형(15)의 탕구(45)(도 5 참조)는 지지 부재(12a)에 지지된 탕구 컵(46)이 접속되고, 이 탕구 컵(46)을 통해 스토크(4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토크(44)와 탕구 컵(46)은 탕구(45) 마다[금형(13, 14)마다]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스토크(44)는 동일한 도가니(37)에 하단부가 침지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부(12)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 장치(39)는 베이스부(12)의 네 구석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타이 바(51)와, 이 타이 바(51)의 도중에 승강(昇降) 가능하게 유지된 플래튼(platen)(52)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52)은 도 3 ~ 도 5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금형(13)의 상부 금형(40)과, 동 도면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금형(14)의 상부 금형(40)을 지지하고,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승강된다. 도 5에 도시한 상부 금형(40)은 주조가 끝나서 금형이 오프닝된 후, 주조물(W)이 상부 금형(40)과 함께 하부 금형(15)으로부터 분리되어 주조물(W) 이 상부 금형(40)에 고착되어 있는 상태로 묘사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주조기(11)에 있어서는, 제 1 슬라이드 코어(16)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3 에어 실린더(25)에 의해 제 1 슬라이드 코어(16)와 제 2 슬라이드 코어(17)를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주조기(11)에 있어서는 제 2 슬라이드 코어(17)의 외측에는 에어 실린더를 배치하기 위한 점유 공간이 불필요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점유 공간에 다른 금형을 배치하고 있지만, 1조의 금형만을 가지도록 주조기를 형성할 경우에는 점유 공간 부분 만큼 종래의 주조기 보다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배치용의 점유 공간이 불필요한 제 2 슬라이드 코어(17)가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 조의 금형을 설치함으로써 금형끼리를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어 좁은 설치 점유 공간에 복수 조의 금형(13, 14)을 나열해서 배치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 ~ 도 5에 도시한 주조기(11)는 베이스부(12) 상에 위치하는 복수 조의 금형(13, 14)의 상부 금형(40)을 1개의 상부 금형용 구동 장치(39)에 의해 승강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주조기(11)는 복수 조의 금형(13, 14)에 각각 상부 금형용 구동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비해 상부 금형용 구동 장치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조기(11)의 설치 점유 공간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이 주조기(11)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형을 복수 조로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한 주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 ~ 도 5에 도시한 주조기(11)는 베이스부(12)상에 위치하는 복수 조의 금형(13, 14)에 1개의 용탕 공급 장치(38)로부터 용탕를 공급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주조기(11)에 의하면 복수 조의 금형(13, 14)에 각각 용탕 공급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비해 용탕 공급 장치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조기(11)의 설치 점유 공간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이 주조기(11)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금형을 복수 조로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콤팩트한 주조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주조기(11)에 있어서는 1개의 에어 실린더[제 3 에어 실린더(25)]에 의해 2개의 슬라이드 코어[제 1 슬라이드 코어(16)와 제 2 슬라이드 코어(17)]를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주조기(11)에 의하면 슬라이드 코어마다 에어 실린더를 설치할 경우에 비해 에어 실린더의 사용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주조기(11)에 있어서는 용탕 공급 장치(38)나 상부 금형용 구동 장치(39)를 2개의 금형(13, 14)에서 공유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3 ~ 도 5에 도시한 실시형태 이외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형을 4조,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田자형으로 나열해서 베이스부(12)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제 3,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와 그것을 구동하는 제 1, 제 2 에어 실린더(23, 24)에 제 1, 제 2 슬라이드 코어(16, 17)와 마찬가지의 구동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2조의 금형(13, 14)으로 이루어지는 금형 군(群)을 동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2개 나열해서 금형을 4조,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田자형으로 베이스부(12)상 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금형을 설치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금형(13)이 동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2조 나열되고, 다른쪽의 금형(14)이 동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2조 나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열된 4조의 금형(13, 14) 중, 田자의 상변(上邊)측에 위치하는 금형 군을 구성하는 금형(13, 14)의 제 1 에어 실린더(23)는 베이스부(12)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제 1 에어 실린더(23)의 실린더 본체(23b)는 제 4 슬라이드 코어(19)에 연결 부재를 통해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이 구성을 채용할 경우라도, 제 3 슬라이드 코어(18)를 전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도 베이스부(12)에 설치해둔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 1 에어 실린더(23)에 의해 제 3,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를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제 2 에어 실린더(24)가 불필요해진다.
한편, 田자의 하변(下邊)측에 위치하는 금형 군의 금형(13, 14)은 상변측에 위치하는 금형(13, 14)과는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한다. 즉, 이 하변측의 금형 군의 금형(13, 14)은 제 2 에어 실린더(24)에 의해 제 3, 제 4 슬라이드 코어(18, 19)를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제 1 에어 실린더(23)가 불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2개의 금형군끼리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주조기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4조의 금형(13, 14)을 장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엔진이나, 선박용 엔진이나, 기타 범용 엔진의 실린더 헤드 등의 부품을 주조하는 주조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 상에 고정된 하부 금형과; 상기 베이스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슬라이드 코어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하부 금형 및 제 1, 제 2 슬라이드 코어 상에 금형 클램핑되어 이들 금형 부재와 협동해서 금형을 구성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 코어를 개폐시키는 1개의 실린더를 구비한 주조기로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의 외측에 그 축선 방향이 제 1 슬라이드 코어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실린더 본체와,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에 접속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본체에 상기 제 2 슬라이드 코어를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코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전개 위치에서 규제하는 스톱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실린더를 가지는 금형을 1개의 베이스부 상에 복수 조로 구비하고, 이들 금형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코어와 서로 인접하도록 1개의 베이스부 상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코어를 가지는 금형을 2조 구비하고, 이들 금형 중 한쪽의 금형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3 슬라이드 코어 및 제 4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금형 중 다른쪽의 금형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3 슬라이드 코어 및 제 4 슬라이드 코어와, 이들 제 3 슬라이드 코어와 제 4 슬라이드 코어 중 상기 금형의 일측부에 위치하는 제 3 슬라이드 코어끼리를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금형의 타측부에 위치하는 제 4 슬라이드 코어끼리를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 3 슬라이드 코어끼리를 구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제 4 슬라이드 코어끼리를 구동하는 실린더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복수 조의 금형의 상부 금형을 승강시키는 1개의 상부 금형용 구동 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복수 조의 금형에 용탕을 공급하는 1개의 용탕 공급 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조기.
KR1020067014783A 2004-01-21 2005-01-20 주조기 KR101061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2890 2004-01-21
JP2004012890A JP4430412B2 (ja) 2004-01-21 2004-01-21 鋳造機
PCT/JP2005/000686 WO2005070591A1 (ja) 2004-01-21 2005-01-20 鋳造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100A true KR20070001100A (ko) 2007-01-03
KR101061812B1 KR101061812B1 (ko) 2011-09-05

Family

ID=3480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783A KR101061812B1 (ko) 2004-01-21 2005-01-20 주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430412B2 (ko)
KR (1) KR101061812B1 (ko)
CN (1) CN100384567C (ko)
BR (1) BRPI0506949B1 (ko)
TW (1) TW200534941A (ko)
WO (1) WO20050705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348A (ko) * 2018-07-13 2020-01-22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2 캐비티 주조기용 4 슬라이드 금형
KR102088703B1 (ko) * 2019-05-02 2020-03-13 주식회사 동서기공 알루미늄합금 주조성형을 위한 분할형 압탕중자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KR20210076338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삼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다이캐스팅 슬라이드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8947A1 (ja) 2006-12-01 2008-06-12 Sintokogio, Ltd. 鋳造方法、上鋳型組立体、および上鋳型に対する中子の固定方法
CN103862019B (zh) * 2014-04-02 2015-10-28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六开模模架
CN104117648B (zh) * 2014-06-25 2016-04-20 中冶连铸技术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多流多定尺连铸坯在线定尺称重系统
US10130990B2 (en) 2014-12-24 2018-11-20 Honda Motor Co., Ltd. Casting mold
CN107206472B (zh) * 2015-02-09 2019-03-2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铸造用模具
DE102015110133A1 (de) * 2015-06-24 2016-12-29 Martinrea Honsel Germany Gmbh Gießanordnung
KR101928218B1 (ko) * 2017-11-24 2019-02-26 유진금속공업(주) 중력 주조 머신에 설치되는 스핌 케이스 금형
KR101928219B1 (ko) * 2017-11-24 2019-02-26 유진금속공업(주) 중력 주조 머신에 설치되는 eps 메인 케이스 금형의 작동방법
AT521574B1 (de) * 2018-08-16 2021-11-15 Fill Gmbh Gieß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165A (ja) * 1985-12-09 1987-06-20 Honda Motor Co Ltd 金型装置
JPH0810448Y2 (ja) * 1990-08-31 1996-03-29 マツダ株式会社 鋳造用金型装置
CN2114522U (zh) * 1991-12-04 1992-09-02 山东活塞厂 倾转式铝活塞自动铸造机
JP3209052B2 (ja) * 1995-08-11 2001-09-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鋳造装置
JPH1015641A (ja) * 1996-07-05 1998-01-20 Suzuki Motor Corp 鋳造用金型装置
CN2472846Y (zh) * 2000-10-25 2002-01-23 王杰生 多工位活塞铸造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348A (ko) * 2018-07-13 2020-01-22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2 캐비티 주조기용 4 슬라이드 금형
KR102088703B1 (ko) * 2019-05-02 2020-03-13 주식회사 동서기공 알루미늄합금 주조성형을 위한 분할형 압탕중자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KR20210076338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삼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다이캐스팅 슬라이드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30412B2 (ja) 2010-03-10
TW200534941A (en) 2005-11-01
JP2005205437A (ja) 2005-08-04
KR101061812B1 (ko) 2011-09-05
WO2005070591A1 (ja) 2005-08-04
BRPI0506949B1 (pt) 2017-11-14
CN100384567C (zh) 2008-04-30
BRPI0506949A8 (pt) 2017-04-04
CN1909998A (zh) 2007-02-07
BRPI0506949A (pt) 200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812B1 (ko) 주조기
EP2135695B1 (en) Permanent mold casting machine and method for its use
EP1457302B1 (en) Insert molding die and method for molding a hollow component
US8047832B2 (en) Injection/stretch blow molding machine
JP5324284B2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865221B1 (ko)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에 대해 이동시키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주조 장치
KR960006777B1 (ko) 취입 금형(blow mold)의 체결장치
JP6596163B2 (ja) 鋳造機のロールギャップの測定装置
KR0167833B1 (ko) 베이스코어와 접착된 코어로부터 완전한 코어를 성형하는 방법
US7338279B2 (en) Air bag cover body forming apparatus
JP3153207B2 (ja) プラスチック注入装置
KR102360528B1 (ko)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및 블로우성형장치
JP5398290B2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14192753B (zh) 具有l型机架的锁模机构及无拉杆压铸机
JP6440973B2 (ja) 型開閉機構及び射出成形機
CN211413599U (zh) 一种固定座压铸模具
JP3538008B2 (ja) 横型締・縦射出ダイカストマシン
KR20110069649A (ko) 엔진 실린더헤드 hla 분해조립용 공구
CN218611637U (zh) 一种脱模机构
JPH05277704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鋳造方法および鋳造装置
JPH0349777Y2 (ko)
JPH0314542B2 (ko)
EP1038613B1 (en) A machine manufacturing pistons, for instan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73897U (ja) 油圧プレスのガイド
JPH05277703A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鋳造方法および鋳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