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509A -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509A
KR20060135509A KR1020060055334A KR20060055334A KR20060135509A KR 20060135509 A KR20060135509 A KR 20060135509A KR 1020060055334 A KR1020060055334 A KR 1020060055334A KR 20060055334 A KR20060055334 A KR 20060055334A KR 20060135509 A KR20060135509 A KR 20060135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unction
remote control
keys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나카무라
아키라 카츠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리모트 컨트롤러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복수의 키 중 한 종류의 키로서 상기 복수의 피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해 마련되며, 원격 제어할 피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복수의 펑션키와; 상기 복수의 펑션키를 개별적으로 조명시키는 키 조명부와; 및 상기 복수의 펑션키 중의 특정한 펑션키가 눌려진 경우에, 그 눌려진 펑션키를 상기 키 조명부에서 소정 시간 조명시키고, 조명하고 있는 동안 상기 조작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눌려진 펑션키에 대응하는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어느 펑션키도 조명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키가 조작되면, 미리 등록된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러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기기 조작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예를 도시하는 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예를 도시하는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타(他)카테고리 복귀 설정시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라스트 유지 설정(keep-last setting)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으로부터 라스트 유지 설정으로 변경하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라스트 유지 설정으로부터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으로 변경하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 도.
도 8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의 타카테고리 복귀처(destination of back-to-other-category)를 설정하는 타이밍 차트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모트 컨트롤러 11 : 조작부
11a 내지 11n : 키 12 : 송신부
13 : 발광부 14 : 키 조명부
15 : 마이크로컴퓨터 16 : 발진기
17 : 메모리 2 : 텔레비전 수상기
21 : 조작부 22 : 수광부
23 : 스피커 24 : 제 1의 입력 단자
25 : 제 2의 입력 단자 26 : 표시 패널
4 : DVD 레코더 41 : 수광부
5 : 비디오덱 51 : 수광부
100 : 기기 조작 시스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제어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에 마련된 수광부로의 적외선 전송에 적용하는데 알맞은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ethod)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 기기나, 오디오 기기 등을 원격 조정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적외선으로 무선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사용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선국 조작을 하는 경우,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설치된 숫자 키를 선택하여 누른다. 이 조작에 의해, 숫자 키마다 할당되어 있는 적외선의 원격 제어 신호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로 송신된다.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미리 원격 제어 신호와 대응하는 선국 포지션이 설정되어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적외선 신호를 기초로 방송국 채널이 전환되고, 선국 조작이 완료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나 AV(Audio Visual) 앰프 장치 등의 전자기기에 복수의 입력 단자를 설치하고, 이 입력 단자에 각종 레코더, 플레이어, 튜너 등의 외부 기기를 접속하고, 1대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각 기기를 원격 조작하도록 한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AV 앰프 장치뿐만 아니라, 접속한 외부 기기에 대해서도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조작 기기를 전환할 때에는, 유저는, 우선 텔레비전 수상기측의 입력 전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에 제 1의 입력 단자부터 제 4의 입력 단자까 지의 네 개의 입력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 1의 입력 단자는 DVD 레코더, 제 2의 입력 단자는 비디오덱 등과 같이 입력 단자를 상이한 외부 기기에 미리 대응시켜 둔다. 접속한 외부 기기를 선택할 때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입력을 전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에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 DVD(Digital Versatile Disk) 레코더, AV 앰프 장치 등의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조작되어야 할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전환 키가 구비되어 있다. 유저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입력을 전환한 후,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전환 키를 조작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드를 변경하고, 목적하는 기기를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중에, DVD를 재생하는 DVD 레코더 조작으로 전환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유저는, 우선 텔레비전 수상기에 접속하고 있는 DVD 레코더의 입력으로 전환하는 조작을 행한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전환 키를 DVD 레코더로 선택한다. 이렇게 하여, DVD 조작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 신호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해 적외선 송신된다. 그 결과, 유저가 DVD 레코더의 기록, 재생, 정지 등의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다른 전자기기로의 조작을 전환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전자기기의 선택 모드를 보존하는 것, 강제적으로 특정한 전자기기로 모드를 되돌리는 것, 슬라이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조작 전환을 인식하는 것, 임의의 다른 기기로의 전환 조작을 특정하고, 그 키가 미리 설정된 조닝(zoning)을 분간하여 사용하는 것 등의 기술이 있다.
일본 특개2001-204089호 공보와 그 도 1에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의 조작 코드를,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출력하는 기술에 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술이 공존하는 것은 없고, 유저는 각각의 사양에 맞추어서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야 하였다. 또한, 슬라이드 스위치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대해 원격 제어하는 경우에, 스위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이나 포지션 인식(표시)에서의 불편함, 스위치 자체의 내구성 등의 품질면에서의 문제가 있다. 또한, 조닝은 키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조작과는 거리가 멀다. 또한, 근래,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새로운 종류의 전자기기와의 접속 상황이나, 그 상품성을 활용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경우에, 간단하게 각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피제어 대상 기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모드 전환에 의해 전송 가능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피제어 대상 기기의 각각에 마련된 복수의 펑션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원격 제어해야 할 피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펑션키는 개별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illuminated). 복수의 펑션키 중의 특정한 펑션키가 눌려지는 경우에, 그 눌려진 펑션키는 소정 시간 동안 조명되고, 조명되고 있는 동안 조 작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눌려진 평션 키에 대응하는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된다. 또한, 어떠한 평션 키도 조명되지 않을 때에는, 예비등록된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원격 제어하는 전자기기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유저의 키 조작에 의해, 소정의 제어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외선 전송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의 원격 조정을 행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그 기기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실시예의 기기 조작 시스템의 구성예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 또는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2)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에서 수신한 방송파로부터 신호를 변환하고,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을 수상한다. 또한, 외부에 설치한 주변 기기로서, DVD 규격에 준거한 기록 매체인 광디스크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DVD 레코더(4)와, 비디오 테이프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덱(5)이 있다. 각각의 기기는, 비디오 및 오디오 재생 신호를 통과시키는 케이블을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2)에 설치된 제 1의 입력 단자(24) 및 제 2의 입력 단자(25)에 접속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텔레비전 수상기(2)에 DVD 레코더(4)와 비디오덱(5)을 접속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로 조작 가능하게 한 시스템을, 기기 조작 시스템(100)이라고 한다. 텔레비전 수상기(2)에는, 액정의 표시 패 널(26)과, 표시 패널(26)의 양측에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3)가 마련되어 있고, 텔레비전 방송을 수상하고, DVD 레코더(4) 및 비디오덱(5)으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을 행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2)에는, 선국, 음량 설정 등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21)가 마련되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조작 모드 전환을 통해 유저가 텔레비전 수상기(2)뿐만 아니라 DVD 레코더(4)와 비디오덱(5)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내부에 여러 키가 마련된 조작부(11)와,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는 발광부(13)를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의 내부 구성예와 외부 구성예, 및 처리의 상세에 관해 후술한다.
DVD 레코더(4)와 비디오덱(5)은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41, 51)를 각각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 상에는, 하기에 설명될 외부 기기의 조작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펑션키(11d 11e, 11f 및 11g)가 마련되고, 유저는 펑션키(11d 내지 11g)를 선택하여 조작될 외부 기기를 전환한다.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1)의 펑션키(11d)를 누르는 것에 의해, 조작 가능한 전자기기를 "DVD"로 전환하면,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1)를 이용하여 DVD 레코더(4)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2)에도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고, 광전 변환을 행하는 수광부(38)가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모트 컨트롤러(1)의 펑션키(11g)를 눌러 조작 가능한 전자기기를 "TV"로 전환하면, 텔레비전 수상기(2)의 채널, 음량을 조작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러(1)의 외부 구성예에 관해 도 2를 참조 하여 설명한다.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를 원격 조작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1)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 4각형 형상의 몸체로 성형되고, 발광 소자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는 발광부(13)를 구비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는 각종 조작 키를 포함하는 조작부(11)을 구비한다. 조작부(11)에는, 텔레비전 수상기(2)의 입력을 전환하는 입력 전환 키(1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피제어 대상 기기를 전환하는 펑션키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러(1)는, 피제어 대상 기기를 DVD 레코더(4)로 전환하는 펑션키(11d)인 "DVD", 비디오덱(5)으로 전환하는 펑션키(11e)인 "VTR", 앰프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전환하는 펑션키(11e)인 "AMP", 텔레비전 수상기(2)로 전환하는 펑션키(11f)인 "TV"가 준비되어 있다. 이들의 펑션키(11d 내지 11f)는, 반투명한 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각 키(11d 내지 11f)의 내부에는, 가시광을 발광하는 LED 등으로 구성되는 발광 소자(14d 내지 14f)가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14d 내지 14f)는, 후술하는 키 조명부(14)를 구성한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으로 전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는 "디지털", BS(Broadcasting Satellite) 방송으로 전환하는 "BS", CS(Communications Satellite) 방송으로 전환하는 "CS"를 포함하는 방송 전환 키(11i)가 준비되어 있다. 이들 전환 조작은 "텔레비전" 모드가 선택될 때 수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러(1)는, 펑션키(11d 내지 11g)를 전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 그 자체가 송신하는 원격 제어 신호의 피제어 대상 기기의 코드가 변경될 뿐만 아니 라, 텔레비전 수상기(2)의 입력을 전환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11)에는, "TV" 모드의 경우에 텔레비전 수상기(2)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TV 전원 키(11c)가 마련되어 있다. 이 TV 전원 키(11c)의 조작으로 송신되는 전원 제어용의 원격 제어 신호는, 피제어 대상 기기가 텔레비전 수상기(2)인 경우에, 텔레비전 수상기(2)의 전원의 상태를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변경시킨다. 마찬가지로, 조작부(11)에는, 펑션키(11d 내지 11g)로 전환된 피제어 대상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키(11b)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 키(11b)의 조작으로 송신되는 전원 제어용의 원격 제어 신호는, "DVD", "VTR", "AMP"의 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조작하는 전자기기의 전원의 상태를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변경시킨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에는, "1" 내지 "12"까지의 번호가 인자되고, 유저가 직접 눌러 선국을 행하는 텐키(ten-keys; 11h)가 다이렉트키(direct keys)로서 마련되어 있다. 텐키(11h)마다 연관된 코드의 원격 제어 신호를 텔레비전 수상기(2)에 송신하여 선국 포지션을 지정할 수 있다. 기기의 조작 모드가 텔레비전 수상기(2) 이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설정된 기기의 선국 포지션 지정용의 키로서 기능한다.
상하 좌우 방향의 화살표 키와, "엔커"키를 구비한 선택 키(11j)는, 텔레비전 수상기(2)의 표시 패널(26)에 기능, 컨텐츠 등의 메뉴를 표시시키고, 커서를 이동시켜서, 필요한 항목을 선택, 결정하는 조작이 가능하다. DVD 레코더(4), 비디오 덱(5)에 대해 "재생", "일시정지", "정지"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키(11k)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모드가 "DVD", "VTR"인 경우에 조작 가능해진다.
또한, 음량 조작용의 키로서 마련되어 있는 음소거 키(mute key)(11l)는, 텔레비전 수상기(2)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음량 키(11m)에도, 플러스키, 마이너스키가 구비되어 있고, 플러스키로 음량의 증대, 마이너스키로 음량의 감소 조작을 행한다. 또한, 채널 키(11n)에는, 플러스키, 마이너스키가 구비되어 있고, 플러스키로 선국 포지션의 업, 마이너스키로 선국 포지션의 다운 조작을 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러(1)의 내부 구성예에 관해 도 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에 의해, 조작부(11) 내의 각 키로부터 입력된 키 코드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내부 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15)에 공급된다. 메모리(17)에는,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한 RAM(Random Access Memory)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한, 메모리(17)에는, 예를 들면, 판독만 가능한 ROM(Read Only Memory)을 이용하여, 처리 프로그램, 파라미터, 조작 키에 대응하는 코드 등이 기억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5)는, 메모리(17)로부터 처리 프로그램 등을 판독하고, 일정한 클록을 공급하는 발진기(16)의 주파수에 의거하여 실행하고, 송신부(12)에 코드를 공급한다. 송신부(12)에서는, 공급되는 코드를 송신용으로 변조 처리하여, 그 변조된 송신 신호(원격 제어 신호)를 발광부(13) 내의 LED에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발광부(13)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2)의 수광부(34)에 대해 적외선 신호에 의한 원격 제어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러(1)는, 펑션키(11d 내지 11g)에 의한 모드의 전환시에 있어서, LED로 구성하는 키 조명부(14)를 발광시켜서, 펑션키를 소정 시간 발광시키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펑션키(11d 내지 11g)를 유저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높은 자기 조명식 키(self-illuminating keys)로 하고 있다. 펑션키의 발광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러(1)의 "타카테고리 복귀(back-to-other-category)"와 "라스트 유지"의 설정에 관해 도 4 및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에서는, 다른 펑션을 선택한 경우에 선택한 펑션키의 LED를 계속 점등하고, LED의 점등 중에만,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펑션키의 LED가 점등하지 않는 때는, 미리 설정한 모드로 전환한다. 즉, 다른 종류(카테고리)인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펑션키가 눌려진 후, 어떤 조건(예를 들면, 키 오프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다)에서 해제되면 강제적으로 미리 정한 전자기기의 펑션에 대응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설정인 것이다.
또한, "라스트 유지" 설정에서는, 사용시에 최후에 선택된 기기 모드를 유지하고, 다음에 눌려진 키는 그 기기 모드의 키로서 취급된다. 즉, 펑션 전환을 행한 후, 다음에 펑션 전환이 행하여지기까지의 사이, 그 기기 모드를 유지하도록 한 설정인 것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의 처리예에 관해 설명한다. 지금,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된 기기를 텔레비전 수상기(2)로 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의 모드를 "TV"로 한다. 그리고, 유저가 펑션키(11d)를 눌러, 리모트 컨트롤러(1)의 모드를 "DVD"로 전환하는 처리를 상정한다.
최초에, 모든 펑션키(11d 내지 11g)에 내장된 LED가 소등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스텝 ST1). 다음에, 유저는 조작부(11)에 마련된 어느 하나의 조작 키를 누른다(키 온한다)(스텝 ST2). 마이크로컴퓨터(15)는, 눌려진 키가 펑션키(11d 내지 11g) 이외의 조작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3).
눌려진 키가, 펑션키(11d 내지 11g) 이외의 조작 키라면,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에 의해 특정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11g)(본 실시예에서는 "TV")의 LED를 점등시킨다(스텝 ST4). 이 LED는 눌려진 조작 키를 떼는(키 오프)것으로 소등된다. 한편, 눌려진 키가 펑션키(11d)(본 실시예에서는 "DVD")인 경우, 이 키가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에 의해 특정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5). "타카테고리 복귀"로 설정한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라면, 스텝 ST4로 천이하여, "타카테고리 복귀"에 의해 설정된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11g)의 LED를 점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TV"키를 점등시킨다.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에 의해 특정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가 아니면, 눌려진 펑션키(11d)의 LED를 점등시킨다(스텝 ST6). 본 실시예에서는, "DVD"키를 점등시킨다. 그 후, 키 오프하여도, 소정 시간 내라면, 펑션키(11d)의 LED를 계속 점등시킨다.
그리고, 펑션키(11d)의 키 오프 후, 예를 들면 30초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7). 키 오프 후, 30초 경과하고 있으면, 펑션키(11d)의 LED를 소등시킨다(스텝 ST8). 30초 이내에 키 온한(스텝 ST9) 경우, 이 키가 펑션키(11d) 이외의 조작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10). 펑션키(11d) 이외의 조작 키를 키 온한 경우, 펑션키(11d)의 LED를 계속해서 점등시킨다(스텝 ST11). 본 실시예에서는, "DVD"키를 점등시킨다.
펑션키(11d 내지 11g)의 어느 하나의 키를 키 온한 경우, LED를 점등시키고 있는 펑션키(본 실시예에서는 "DVD")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12). 키 온한 키가, LED를 점등시키고 있는 펑션키(11d)인 경우는, 펑션키(11d)의 LED를 계속해서 점등시킨다(스텝 ST11). 본 실시예에서는, "DVD"키를 계속 점등시킨다 . 키 온한 키가, LED를 점등시키고 있는 펑션키가 아닌(예를 들면, "VTR"키) 경우는, 그 펑션키(11e)의 LED를 점등시킨다(스텝 ST6). 본 실시예에서는, "VTR"키를 점등시킨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라스트 유지" 설정의 처리예에 관해 설명한다. 지금, "라스트 유지"로 설정된 전자기기를 텔레비전 수상기(2)로 하고, 리모트 컨트롤러(1)의 모드를 "TV"로 한다. 그리고, "라스트 유지"로 설정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모드를 "DVD"로 전환하는 처리를 상정한다.
최초에, 모든 펑션키(11d 내지 11g)에 내장된 LED가 소등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스텝 ST21). 그리고, 유저는 조작부(11) 내의 어느 하나의 조작 키를 누른다(키 온한다)(스텝 ST22). 마이크로컴퓨터(15)는, 눌려진 키가 펑션키(11d 내지 11g) 이외의 조작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23).
눌려진 키가, 펑션키(11d 내지 11g) 이외의 조작 키라면, "라스트 유지" 설정에 의해 특정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11d)의 LED를 점등시킨다(스텝 ST24). 본 실시예에서는, "TV"키를 점등시킨다. 이 LED는 눌려진 조작 키를 떼는(키 오프)것으로 소등된다. 한편, 눌려진 키가 펑션키(11d)(본 실시예에서는 "DVD")인 경우, 선택한 펑션키(11d)의 LED를 점등시킨다(스텝 ST25). 이와 같이 하여, 펑션키(11d)는 라스트 유지 상태로 된다(스텝 ST26).
이와 같이 하여,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과 "라스트 유지" 설정에서의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러(1)의 "라스트 유지" 설정과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을 변경하는 예에 관해 도 6의 (A) 내지 (E) 및 도 7의 (A) 내지 (E)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상 동작 모드에서, 유저는, "(TV 전원 키)+(음량 마이너스키)+(채널 마이너스키)의 순차 3중 누름"의 설정을 행함에 의해, 펑션키 누름 후의 유지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설정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라스트 유지" 설정과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의 (A) 내지 (E)는,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으로부터 "라스트 유지" 설정으로 변경하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의 예이다. 도 6의 (A)는 TV 전원 키(11c)의 온/오프, 도 6의 (B)는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의 온/오프, 도 6의 (C)는 채널 키(11n)의 마이너스키의 온/오프, 도 6의 (D)는 펑션키의 LED의 점등/소등, 도 6의 (E)는 TV 전원 /키(11c)의 전원 코드의 송신의 온/오프에 관해 도시한다.
우선, 도 6의 (A)에서, TV 전원 키(11c)를 키 온한다. TV 전원 키(11c)는 계속 눌려진다. 동시에, 도 6의 (D)에서, 펑션키(11g)의 "TV"키의 LED가 점등한다. 또한, 도 6의 (E)에서, TV 전원 키(11c)의 코드(원격 제어 신호)가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2)로 송신된다.
다음에, 도 6의 (B)에서,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를 키 온한다.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를 키 온한 타이밍에서 TV 전원 키(11c)의 코드 송신은 정지되고, 펑션키(11d)의 "TV"키의 LED가 소등한다. 그리고,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는 계속 눌려진다. 다음에, 도 6의 (C)에서, 채널 키(11n)의 마이너스키를 키 온한다. 그리고, 채널 키(11n)의 마이너스키를 계속 누른다.
3종류의 키를 차례로 계속 누름으로써, 도 6의 (D)에서, 모든 펑션키(11d 내지 11g)("DVD", "VTR", "AMP", "TV")가 점등된다. 그리고, 키 온하고 있던 TV 전원 키(11c),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 채널 키(11n)의 마이너스키를 차례로 키 오프하면, 모든 펑션키(11d 내지 11g)의 키가 소등되고, 설정 변경이 완료된다.
도 7의 (A) 내지 (E)는, "라스트 유지" 설정으로부터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으로 변경하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의 예이다. 도 7의 (A) 내지 (E)의 각 항목은 도 6의 (A) 내지 (E)와 같은 키 및 코드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우선, 도 7의 (A)에서, TV 전원 키(11c)를 키 온한다. TV 전원 키(11c)는 계속 눌려진다. 동시에, 도 7의 (D)에서, 펑션키(11g)의 "TV"키의 LED가 점등한다. 또한, 도 7의 (E)에서, TV 전원 키(11c)의 코드(원격 제어 신호)가 리모트 컨트롤러(1)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2)로 송신된다.
다음에, 도 7의 (B)에서,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를 키 온한다.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의 키 온한 타이밍에서 TV 전원 키(11c)의 코드 송신은 정지되고, 펑션키(11g)의 "TV"키의 LED가 소등한다. 그리고,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는 계속 눌려진다. 다음에, 도 7의 (C)에서, 채널 키(11n)의 마이너스키를 키 온한다. 그리고, 채널 키(11n)의 마이너스키를 계속 누른다.
3종류의 키를 이 순서로 계속 누름으로써, 도 7의 (D)에서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에 의해 특정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11d)(본 실시예에서는, "DVD")가 점등된다. 그리고, 키 온하고 있던 TV 전원 키(11c), 음량 키(11m)의 마이너스키, 채널 키(11n)의 마이너스키를 차례로 키 오프하면,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에 의해 특정되는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펑션키가 소등되고, 설정 변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과 "라스트 유지"의 설정을 전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에,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의 복귀처를 설정하는 예를 도 8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복귀처로 지정된 펑션키(11d 내지 11g)의 어느 하나의 키, 도 8의 (B)는 음소거 키(11l)의 온/오프, 도 8의 (C)는 펑션키의 LED의 점등/소등을 나타낸다.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하에서, "(되돌리고 싶은 펑션키)+(음소거 키)의 순차적인 2중 누름"의 설정을 행함에 의해, "타카테고리 복귀"에 대한 복귀처를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강제적으로 어느 전자기기의 모드로 되돌리고 싶은지를 설 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금, "타카테고리 복귀"의 복귀처의 설정을 "TV"로부터 "DVD"로 변경하는 처리를 상정한다.
우선, 도 8의 (A)에서, 복귀처로 설정하는 펑션키(11d)(본 실시예에서는 "DVD")를 키 온한다. 이 때, 도 8의 (C)에서, 키 온된 펑션키(11d)의 LED가 점등한다. 그리고, 도 8의 (B)에서, 음소거 키(11l)를 키 온한다. 음소거 키(11l)를 키 온한 타이밍에서, 펑션키(11d)("DVD")의 LED가 소정 시간만큼 소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초간 소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펑션키(11d)("DVD")의 LED가 소등하고 2초 후, 모든 펑션키(11d 내지 11g)("DVD", "VTR", "AMP", "TV")가 점등한다. 그 후, 키 온된 펑션키(11d), 음소거 키(11l)의 순으로 키 오프한다. 음소거 키(11l)를 키 오프한 타이밍에서, 점등되는 펑션키는 모든 펑션키(11d 내지 11g)로부터 선택한 펑션키(11d)로 변하고, 다른 펑션키(11e 내지 11g)는 소등한다. 선택한 펑션키(11d)는 소정 시간만 점등한 후, 소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500밀리초간 소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타카테고리 복귀"의 복귀처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라스트 유지" 설정과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을 행할 수가 있음과 함께, 각각의 설정을 유저의 사용 상황에 따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라스트 유지" 설정을 행함으로써, 선택한 펑션키에 대응한 모드 설정을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모드에서의 조작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펑션키로 그때마다 전환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을 행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1)의 모드를 전환하였다고 하여도, 항상 소정의 모드 설정으로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스트 유지" 설정과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을 유저의 사용 상황에 따라 전환함으로써, 다른 종류의 전자기기와의 접속을 행한 경우에, 리모트 컨트롤러를 유저의 편의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저 자신이 설정한 내용이기 때문에, 오조작이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교체 구매, 증가 구매 등에 의해 전자기기의 사용 상황이 변한 경우에도, 리모트 컨트롤러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메모리에 RAM, ROM을 내장하도록 하였지만, 그 밖의 기억 매체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리모트 컨트롤러의 설정을 기억시켜 두고, 다른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 그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여, 판독함으로써 설정을 재차 행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라스트 유지" 설정과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을 사용 상황에 따라 전환할 때에, "(TV 전원 키)+(음량 마이너스키)+(채널 마이너스키)에 의한 순차적인 3중 누름"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이들의 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임의의 다른 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타카테고리 복귀"의 설정의 처리예에 있어서 "타카테고리 복귀" 설정의 모드를 "TV"로 하고, "DVD"로 전환하는 처리를 상정하였지만, 이 모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드로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라스트 유지" 설정의 처리예에 있어서, "라스트 유지"로 설정된 모드를 "TV"로 하고, "DVD"로 전환하는 처리를 상정하였지만, 이 모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드로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타카테고리 복귀"의 복귀처가 되는 전자기기의 설정을 "TV"로부터 "DVD"로 변경하도록 하였지만, 이 설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복귀처가 되는 전자기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타카테고리 복귀"의 복귀처를 설정할 때에, "(되돌리고 싶은 펑션키)+(음소거 키)의 순차적인 2중 누름"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이들의 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키를 설정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되돌리고 싶은 펑션키)+(음소거 키)의 순차적인 2중 누름"을 행하면, 2초간의 펑션키 소등 상태로부터 모든 펑션키를 점등시키고, 음소거 키를 키 오프하는 것에 의해 선택한 펑션키를 500밀리초간만 점등시키도록 하였지만, 점등/소등 시간에 대해서도 임의로 정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펑션키의 점등 패턴에 대해서도 소정 회수만큼 점멸시키거나, 복수의 색으로 점등시키거나 하여 유저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의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입력과 설정 모드의 대응 테이블을, 제 1의 입력에서 DVD 레코더, 제 2의 입력에서 비디오덱으로 하였지만, 이 설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 1의 입력에 비디오덱(5)을 접속하는 등 다양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의 입력을 준비하여 필요하게 되는 접속 기기를 각각 설정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2)에 대한 입력 전환 조작을, 리모트 컨트롤러(1)의 입력 전환 키(11a)를 눌러 수행하도록 하였지만, 표시 패널(26)에 입력 전환 메뉴를 표시시키고, 선택 키(11j)로 입력을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에 "입력 1", "입력 2", …라는 입력 키를 마련하고, 유저가 입력 키를 눌러 입력 전환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2)에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마련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근래, 다양한 전자기기가 새롭게 제안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경유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함으로써 최신의 전자기기에도 접속을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다양한 주변 기기를 접속한 기기 조작 시스템에 적용하였지만, 음성 신호(오디오 신호)의 입력을 전환하여, 그 전환된 음성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앰프 장치에 CD(Compact Disk) 재생 장치, 튜너 등을 접속하는 경우의 조작 시스템용의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컴퓨터 장치에 프린터 장치, 스토리지 장치 등의 주변 기기를 접속하고, 1대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이들의 주변 기기를 포함하여 일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 "CD", "TUNER" 등의 펑션키를 새롭게 마련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조작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적용하였지만, 그 밖의 신호 방식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통신 케이블에 의해 유선 접속한 리모트 컨트롤러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2005년 6월 24일자로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8527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와 그 등가의 범위 내에서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인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대해, 수정, 조합, 부분 조합, 및 변경등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제어하는 전자기기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마다 다른 사용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고,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의 키가 상부에 배치되고, 조작시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할당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피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며, 모드 전환에 의해 복수의 피제어 기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중 한 종류의 키로서 상기 복수의 피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해 마련되며, 원격 제어할 피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는 복수의 펑션키와;
    상기 복수의 펑션키를 개별적으로 조명시키는 키 조명부와;
    상기 복수의 펑션키 중의 특정한 펑션키가 눌려진 경우에, 그 눌려진 펑션키를 상기 키 조명부에서 소정 시간 조명시키고, 조명하고 있는 동안 상기 조작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눌려진 펑션키에 대응하는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어느 펑션키도 조명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키가 조작되면, 미리 등록된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출력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다른 펑션키가 눌려질 때까지, 마지막으로 눌려진 펑션키 에 대응하는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3.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복수의 키의 각각에 할당된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피제어 대상 기기를 원격 제어하며, 모드 전환에 의해 복수의 피제어 대상 기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 중 한 종류의 키로서 상기 복수의 피제어 대상 기기 각각에 대해 마련된 복수의 펑션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원격 제어할 피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 가능으로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펑션키를 개별적으로 조명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펑션키 중 특정한 펑션키가 눌려진 경우에, 눌려진 펑션키가 소정 시간 조명하도록 하고, 조명하고 있는 동안 상기 조작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눌려진 펑션키에 대응하는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어느 펑션키도 조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키가 조작되면, 미리 등록된 피제어 대상 기기용의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KR1020060055334A 2005-06-24 2006-06-20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KR20060135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5277A JP4238848B2 (ja) 2005-06-24 2005-06-24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JPJP-P-2005-00185277 2005-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509A true KR20060135509A (ko) 2006-12-29

Family

ID=3756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334A KR20060135509A (ko) 2005-06-24 2006-06-20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4248B2 (ko)
JP (1) JP4238848B2 (ko)
KR (1) KR20060135509A (ko)
CN (1) CN1885925B (ko)
MY (1) MY1436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35A (ko) 2020-12-03 2022-06-10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KR20220124425A (ko) 2021-03-03 2022-09-14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2407B2 (en) * 2006-02-21 2010-08-2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Smart remote control
KR100955316B1 (ko) * 2007-12-15 2010-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멀티모달 융합장치 및 방법
US8082455B2 (en) * 2008-03-27 2011-12-2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e of remote control electronics
US9520743B2 (en) * 2008-03-27 2016-12-13 Echostar Technologies L.L.C.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remote control electronics
US8009054B2 (en) 2008-04-16 2011-08-3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low battery detection threshold of a remote control
US7907060B2 (en) * 2008-05-08 2011-03-1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placement of a battery in a remote control
US20090303097A1 (en) * 2008-06-09 2009-12-1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 operational mode of a remote control
US8305249B2 (en) * 2008-07-18 2012-11-06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s
US8134475B2 (en) * 2009-03-16 2012-03-13 Echostar Technologies L.L.C. Backlighting remote controls
JP5233887B2 (ja) * 2009-07-21 2013-07-10 株式会社リコー 入力キー制御装置、入力キー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R2956757B1 (fr) * 2010-02-25 2012-09-21 Somfy Sas Affectation de scenarios a des boutons de commande.
JP5259750B2 (ja) 2011-01-31 2013-08-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発光部点灯制御方法
WO2013098992A1 (ja) * 2011-12-28 2013-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10429961B2 (en) * 2012-05-25 2019-10-01 Nintendo Co., Ltd. Controll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0115809A1 (ja) * 2018-12-04 2020-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家電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接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7503A1 (en) * 1992-04-13 1993-10-14 Lester Wayne Dunaway Multimodal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electrically alterable keypad designations
JP2001204089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リモコン装置
JP2002315080A (ja) * 2001-04-18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
US20050002170A1 (en) * 2003-07-01 2005-01-06 Jacobs Neal Kenneth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keypad back lighting light pipe
JP4051022B2 (ja) * 2003-11-13 2008-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035A (ko) 2020-12-03 2022-06-10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KR20220124425A (ko) 2021-03-03 2022-09-14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5925B (zh) 2010-12-29
JP2007006252A (ja) 2007-01-11
CN1885925A (zh) 2006-12-27
US7474248B2 (en) 2009-01-06
US20060290559A1 (en) 2006-12-28
MY143683A (en) 2011-06-30
JP4238848B2 (ja)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5509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US7821377B2 (en) Remote controller, equipment operation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US5576773A (en) Television receiver which controls the program reserve in a VCR
US7324168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US8031056B2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US5438325A (en)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an audio-video comb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7038738B2 (en) Remote-controllable media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peripheral devices using the same
US20050151886A1 (en) Remote controller
US20020180894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CN101345831A (zh) 接收机以及配备有该接收机的接收系统
JP2007013930A (ja)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方法
JP2007013929A (ja) 遠隔制御遠隔制御装置、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遠隔制御方法
JP2521895B2 (ja) リモコン送信器およびプリプログラムキ―設定方法
JP200223800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5198036A (ja) リモコン装置
KR200311654Y1 (ko) 단축 기능을 구비한 텔레비전 리모콘 장치.
GB2317762A (en) TV receiver with means for time control of viewing and of recording on a separate VCR
JPH1125240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353798A (ja) リモコン送信器
KR20050106849A (ko) 통합 리모콘의 제어 기기 판별 방법 및 그 장치
JPH05145924A (ja) Catvホームターミナル用リモコン送信機
KR20000020264A (ko) 비디오 카세트 녹화기
KR19990035609A (ko) 오에스디를 이용한 원격조정기 세팅장치
JPH09284737A (ja) Catvコンバータ用リモコン装置
JPH0564258A (ja) 遠隔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