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425A - 인풋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인풋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425A
KR20220124425A KR1020210028002A KR20210028002A KR20220124425A KR 20220124425 A KR20220124425 A KR 20220124425A KR 1020210028002 A KR1020210028002 A KR 1020210028002A KR 20210028002 A KR20210028002 A KR 20210028002A KR 20220124425 A KR20220124425 A KR 20220124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cb assembly
input device
unit
naviga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석
Original Assignee
경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4425A/ko
Priority to PCT/KR2021/095089 priority patent/WO2022186463A1/ko
Priority to US18/255,577 priority patent/US20230421834A1/en
Publication of KR20220124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6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for quick navigation, e.g. through an EP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사용자가 콘텐츠 선택을 함에 있어서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풋 디바이스를 제시한다. 제시된 인풋 디바이스는 다수의 방향중에서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되는 네비게이션 키;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한 채로 회전 입력을 하기 위해 조작되는 터치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 입력 및 상기 터치부에서의 회전 입력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키와 상기 터치부는 적층구조로 상호 결합된다.

Description

인풋 디바이스{Input device}
본 발명은 인풋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V 등과 같은 A/V기기에 채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같은 인풋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방송 미디어 매체들이 제공하는 콘텐츠가 수없이 많아짐에 따라 사용자의 콘텐츠 선택에 편의를 주기 위해, 하나의 화면(예컨대, 넷플릭스(Netflix) 콘텐츠 화면, 유튜브(Youtube) 콘텐츠 화면 등) 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콘텐츠를 나열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20, 30))는 소정의 통신 방식(예컨대, IR통신방식, RF무선통신방식(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통해서 TV 등과 같은 A/V기기(10)를 직접 원격제어하거나 A/V기기(10)와 연결되어 있는 셋톱박스(도시 생략)를 통해 원격제어한다.
도 1은 종래의 미디어 콘텐츠 선택 제어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종래 A/V기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찾고자 할 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종래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할 때에는 왼쪽 키(22c), 오른쪽 키(22d), 상승 키(22a), 하강 키(22b)를 손가락으로 일일이 클릭(click)하면서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찾아야 하였다.
도 2는 종래의 영상 미디어 프레임 선택 제어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시청자가 영상 미디어 시청중에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찾고자 할 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종래에는 영상 미디어 시청중에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찾고자 할 때에는 되감기 키(32a) 또는 빨리감기 키(32b)를 손가락으로 일일이 클릭(click)하면서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찾아야 하였다.
이와 같이 미디어 매체를 컨트롤하는 종래의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들은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예컨대, 왼쪽 키(22c), 오른쪽 키(22d), 상승 키(22a), 하강 키(22b), 되감기 키(32a), 빨리감기 키(32b) 등)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키를 하나하나 누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찾고 선택하였으므로, 원하는 콘텐츠를 찾는데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사용자가 아무리 빨리 왼쪽 키(22c), 오른쪽 키(22d)를 동작시키더라도 IR 통신의 경우 대략 108msec(1초에 9번 누름) 이상의 속도로 동작시키는 것이 어렵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8442호(조이스틱내장형 핸드폰 및 TV리모트 컨트롤러)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35509호(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3661호(엣지 슬라이딩 UI가 적용된 스마트 리모트 컨트롤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콘텐츠 선택을 함에 있어서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풋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는, 다수의 방향중에서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되는 네비게이션 키;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한 채로 회전 입력을 하기 위해 조작되는 터치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 입력 및 상기 터치부에서의 회전 입력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키와 상기 터치부는 적층구조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 입력 및 상기 터치부의 회전 입력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행 또는 열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 간 선택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 또는 열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들을,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기 입력 주기에 따른 속도로 스크롤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를,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기 입력 주기에 따른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부의 회전 입력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의해 선택된 방향에만 근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렬 구조의 미디어 콘텐츠에서의 행 이동 또는 열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터치 및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이 패터닝된 터치 PCB 어셈블리; 및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의 상부에 적층되는 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재의 표면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발생하고 상기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절대좌표를 전기적 신호로서 상기 제어부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다수의 회전 감지용 채널이 패터닝된 채널부; 및 일측이 상기 채널부에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채널부와 상기 터치부재 사이에는 상기 채널부의 상부에 접착되는 제 1 접착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채널부의 하부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가 적층되되, 상기 채널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사이에는 상기 채널부의 하부에 접착되는 제 2 접착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를 매개로 하여 커버 바디의 수납공간부에 수납되고, 상기 터치부재는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및 상기 터치부재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바디의 하부에는 중앙에 돌기가 형성된 키패드가 설치되되, 확인 키가 상기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및 상기 터치부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는, 다수의 방향중에서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되는 네비게이션 키;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한 채로 회전 입력을 하기 위해 조작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터치 및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이 패터닝된 터치 PCB 어셈블리; 및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의 상부에 적층되는 터치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방식보다 미디어 콘텐츠 선택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영상 매체 시청시 되감기(REW) 기능 또는 빨리감기(FF) 기능을 빠르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디어 콘텐츠 선택 제어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영상 미디어 프레임 선택 제어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주요부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 바디와 터치 PCB 어셈블리 및 터치부재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PCB 어셈블리와 네비게이션 키 및 터치 PCB 어셈블리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PCB 어셈블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주요부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대상 기기(예컨대, TV 등과 같은 A/V기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는 도 3에서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7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는 확인 키(OK key)(74),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75), 및 터치부재(79)를 포함한다.
확인 키(74)는 리모트 컨트롤러(70)의 상면에 설치되되, 푸시(push) 버튼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확인 키(74)는 터치부재(79)의 중앙에 터치부재(79)와는 별개로 동작되게 설치될 수 있다. 확인 키(74)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에 의해 상하 운동할 수 있다.
확인 키(7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확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도 3에서는, 네비게이션 키(75) 및 터치부재(79)가 확인 키(74)를 에워싼 것처럼 형성되지만, 확인 키(74)는 네비게이션 키(75) 및 터치부재(79)와는 별개로 독립되게 동작한다.
터치부재(79)는 회전하지 않고 제자리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직접적으로 터치부재(79)를 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부재(79)에 손가락을 댄 채로 터치부재(79)상에서 손가락을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움직일 수 있다.
네비게이션 키(75)는 4방향(예컨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중에서 임의의 방향(지점)을 선택하고자 할 때 조작된다.
도 3에서는 네비게이션 키(75)가 마치 돌기형태로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터치부재(79)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육안으로는 볼 수가 없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3에서, 네비게이션 키(75)라고 지시선으로 표시한 4개의 지점은 네비게이션 키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4방향(예컨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의 지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네비게이션 키(75)라고 지시한 4개의 지점중에서 어느 한 지점을 누르게 되면(즉, 터치부재(79)에서 4개의 지점중에서 어느 한 지점을 누르게 되면) 4방향 중에서 그에 상응하는 해당 방향으로의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는 A/V기기(10) 또는 A/V기기(10)와 연결되는 셋톱박스(도시 생략)와 여러가지 통신 방식(예컨대, IR통신방식, RF무선통신방식(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기기(10)에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시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가 A/V기기(10)와 직접 IR 또는 RF 통신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셋톱박스와 A/V기기(10)가 연결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가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셋톱박스(도시 생략)와 직접 IR 또는 RF 통신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는 방향(예컨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선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에서 터치부재(79)와 네비게이션 키(75)는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지점중에서 어느 한 지점을 누름에 따라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행해진다. 그에 따라, 다음 행에 배치된 미디어 콘텐츠에게로 빠르고, 자유롭게, 직관적으로 이동제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영상 미디어 시청중에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찾고자 할 때에는 되감기 키 또는 빨리감기 키를 손가락으로 일일이 클릭(click)하면서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찾아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는 회전하지 않는 터치부재(79)에 손가락을 대고 손가락을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시켜(이동시켜) 영상 프레임의 재생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시청하기를 희망하는 영상 프레임의 위치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는 되감기(REW) 키(또는 좌(left) 키) 또는 빨리감기(FF) 키(또는 우(rigth) 키)를 일일이 클릭(click)하면서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찾을 수도 있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는 시청하고자 희망하는 미디어 콘텐츠 또는 영상 프레임의 위치를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 바디와 터치 PCB 어셈블리 및 터치부재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PCB 어셈블리와 네비게이션 키 및 터치 PCB 어셈블리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PCB 어셈블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는 메인 PCB 어셈블리(71)를 포함한다.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일면(예컨대, 상면)에는 커버 바디(cover body)(73)가 위치하는데, 절연 재질(예컨대, 고무 등)로 된 키패드(72)가 메인 PCB 어셈블리(71)와 커버 바디(73)의 사이에 개재된다.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중앙 및 그 주변에는 다수의 스위치(71a)가 상호 이격되어 설치된다.
키패드(72)의 중앙에는 돌기(72a)가 형성되고, 돌기(72a)에는 확인 키(74)가 끼워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확인 키(74)를 누르게 되면 돌기(72a)가 하방향으로 눌리어져서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중앙의 스위치에 접속될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 키(74)를 눌렀음을 제어부 등이 인지할 수 있다.
한편, 키패드(72)의 돌기(72a)의 주변에는 절연 재질(예컨대, 고무 등)로 감싸여진 다수의 액츄에이터(72b)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돌기(72a)는 커버 바디(73)의 중앙의 구멍(73a)에 대향된다.
다수의 액츄에이터(72b)는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중앙 주변의 스위치에 대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각각의 액츄에이터(72b)는 그에 상응하는 스위치에 접촉될 수 있게 대향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중앙 주변의 스위치 및 키패드(72)상의 액츄에이터(72b)는 각각 4개로 설정하였다. 서로 대향되는 스위치와 액츄에이터(72b)는 좌, 우, 상, 하의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중앙 주변의 스위치는 방향 감지용(또는 선택 지점 감지용) 스위치라고 할 수 있다.
즉,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중앙 주변의 스위치 및 키패드(72)상의 액츄에이터(72b)는 후술할 네비게이션 키(75)의 작동에 의해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지점중에서 선택된 지점(방향)이 어느 지점인지를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커버 바디(73)는 네비게이션 키(75), 터치 PCB 어셈블리(76), 및 터치부재(79)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부(73c)를 포함한다.
수납공간부(73c)의 중앙에는 확인 키(74)가 끼워져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천공된 원형의 구멍(73a)이 형성되고, 소정 폭의 안착부가 구멍(73a)의 가장자리에 연접하여 형성된다.
즉, 수납공간부(73c)의 안착부에는 네비게이션 키(75)가 먼저 안착되는데, 네비게이션 키(75)의 상부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터치 PCB 어셈블리(76)가 안착되고, 마지막으로 그 위에 터치부재(79)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부(73c)의 안착부에는 액츄에이터(72b)가 끼워지는 액츄에이터 끼움구멍(73b)이 형성된다.
키패드(72)를 매개로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일면(예컨대, 상면)에 커버 바디(73)를 위치시키면 키패드(72)의 액츄에이터(72b)가 커버 바디(73)의 액츄에이터 끼움구멍(73b)에 끼워지고, 액츄에이터(72b)의 일부(예컨대, 상부)가 액츄에이터 끼움구멍(73b)을 통해 상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방향으로 노출된 액츄에이터(72b)의 상단부는 네비게이션 키(75)의 저면과 접촉한다.
네비게이션 키(75)의 중앙에는 확인 키(74)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구멍(75a)이 형성된다.
네비게이션 키(75)의 상부에는 터치 PCB 어셈블리(76)를 매개로 터치부재(79)가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터치부재(79)의 4지점(상/하/좌/우)중 어느 한 지점을 누르면 가해진 힘은 네비게이션 키(75)의 해당 지점을 통해 그에 상응하는 액츄에이터(72b)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메인 PCB 어셈블리(71)에 형성된 다수의 스위치(71b) 중에서 동작된 액츄에이터(72b)에 대향된 스위치(71b)가 동작한다. 메인 PCB 어셈블리(71)는 동작한 스위치에서의 전기적 신호를 인지하고 전기적 처리를 행하여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신호(예컨대, 좌/우/상/하로의 이동 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예컨대, TV, A/V기기 등의 영상 매체 재생 기기)에게로 송신하게 된다.
도 8을 보면, 네비게이션 키(75)의 둘레(테두리)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터치 PCB 어셈블리(76)의 저면의 둘레(테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PCB 어셈블리(76)가 네비게이션 키(75)의 상부에 적층되므로, 이때 터치 PCB 어셈블리(76)의 저면의 걸림턱이 네비게이션 키(75)의 둘레의 오목한 홈에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네비게이션 키(75)의 상면에 접촉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회전 감지용 채널(90a ~ 90d)이 패터닝된 채널부(90) 및 메인 PCB 어셈블리(71)와의 접속을 위한 접힘가능한 케이블(76b)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76b)의 일측은 채널부(90)에 접속되고 타측은 메인 PCB 어셈블리(71)에 접속된다.
여기서, 케이블(76b)의 타측은 접착부재(78)의 구멍(78a)과 네비게이션 키(75)에 형성된 구멍(75b)과 커버 바디(73)에 형성된 구멍(73d)과 키패드(72)에 형성된 구멍(72c) 및 메인 PCB 어셈블리(71)에 형성된 구멍(71b)을 통해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도 9, 도 10 참조).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채널부(90) 및 채널부(90)의 일측에 연결된 케이블(76b)을 포함하는데, 채널부(9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 및 회전(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채널(90a ~ 90d)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각 채널(90a ~ 90d)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신체의 미세 정전기를 감지하여 채널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터치부재(79)가 터치 PCB 어셈블리(76)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사용자가 터치부재(79)의 임의의 표면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신체의 미세 정전기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채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부재(79)의 표면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을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즉, 이동)하게 되면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절대좌표를 인지하며, 절대좌표를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여 케이블(76b)을 통해 메인 PCB 어셈블리(71)(즉, 제어부)에게로 전달한다.
즉,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터치되어 있는 손가락이 회전(이동)함에 따른 정전용량 차이 값을 각도(θ°)로 연산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를 한바퀴 회전(360°)시 터치 PCB 어셈블리(76)의 채널부(90)는 몇 개의 섹터(Sector)로 나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θ°= 30°/12 Sector, θ°= 40°/9 Sector 등과 같이 나뉘어 질 수 있다. 섹터를 많이 형성할수록 터치가 민감(민첩)하게 동작할 수 있는 변수가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의 선택 및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채널부(90)는 도 11에서와 같이 도넛 형태로 형성되는데, 채널부(90) 중앙의 구멍(76a)은 확인 키(74)의 상부가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또한, 터치 PCB 어셈블리(76)의 채널부(90)의 상면에는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77)가 접착될 수 있고, 터치 PCB 어셈블리(76)의 채널부(90)의 저면에는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78)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접착부재(77, 78)의 중앙에는 확인 키(74)의 상부가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구멍(77a, 78a)이 형성된다.
터치부재(79)의 중앙에는 확인 키(74)의 상부가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구멍(79a)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부재(79)가 터치 PCB 어셈블리(76) 및 네비게이션 키(75)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터치 PCB 어셈블리(76) 및 네비게이션 키(75)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부재(79)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4지점(상/하/좌/우) 중에서 어느 한 지점을 선택(클릭)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 키(74)는 터치부재(79)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확인 키(74)를 누르면 단독으로 키패드(72)의 돌기(72a)가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 PCB 어셈블리(71)의 중앙의 스위치(71a)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메인 PCB 어셈블리(71)는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대상 기기(예컨대, TV, A/V기기 등의 영상 매체 재생 기기)에게로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층 구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모듈(부속품)의 두께로 인하여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커버 바디(73)에 수납공간부(73c)를 형성하고, 수납공간부(73c)에 네비게이션 키(75)와 터치 PCB 어셈블리(76)과 접착부재(77, 78) 및 터치부재(79)와 같은 모듈(부속품)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게 되면 각각의 모듈 두께를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7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케이블(76b)을 통해 메인 PCB 어셈블리(71)와 연결되고, 터치 PCB 어셈블리(76)의 상부에는 터치부재(79)가 배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부재(79)의 상면에 손가락을 대고 움직이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회전 방향(이동 방향)과 회전 속도(이동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터치부재(79)의 상면에 손가락을 대면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신체의 미세 정전기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채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부재(79)의 상면에 손가락을 댄 채로 손가락을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 터치 PCB 어셈블리(76)에서는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이를 이용하여 절대좌표로 인지하며 이를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여 케이블(76b)을 통해 메인 PCB 어셈블리(71)에게로 전달한다. 즉,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사용자가 터치부재(79)에 손가락을 대고 회전시킨 방향 및 속도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메인 PCB 어셈블리(71)에게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메인 PCB 어셈블리(71)는 회전 방향(이동 방향) 및 회전 속도(이동 속도)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인지하여 전기적 처리를 행한 후에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물론, 메인 PCB 어셈블리(71)는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할 것이다. 이때의 원격 제어신호는 하나의 행에 정렬되어진 미디어 콘텐츠들중에서 희망하는 미디어 콘텐츠까지의 스크롤 이동을 도 1과 비교하여 보면 보다 빠르게 하는 신호이거나, 희망하는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를 도 2와 비교하여 보면 보다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즉, 종래 IR 통신의 경우, 사용자가 아무리 빨리 Left/Right 키를 동작시키더라도(누르더라도) 108msec(대략 1초에 9번 누름) 이상의 속도로 동작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부재(79)에 손가락을 댄 채로 손가락을 회전(즉, 이동)시키게 되면 종래의 IR 통신 및 RF 통신의 경우보다 빠른 속도로 동작 신호(즉,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부재(79)에 손가락을 댄 채로 터치부재(79) 표면에서 일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키게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의 하나의 행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들중에서 희망하는 미디어 콘텐츠까지의 스크롤 이동을 종래 방식보다는 보다 빠르게 하거나,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를 종래 방식보다는 보다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소비자의 미디어 콘텐츠의 선택을 보다 빠르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표현하면 도 12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는 조작부(80), 방향 감지부(82), 회전 감지부(84), 통신부(86), 및 제어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0)는 네비게이션 키(75) 및 터치부(81)를 포함하고서, 방향 선택 및 회전(이동)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조작부(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하나의 행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거나, 상위 행 또는 하위 행에 배치된 미디어 콘텐츠로 이동시키거나,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를 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한 키입력을 행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키(7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방향(예컨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중에서 임의의 방향(즉, 지점)을 선택하고자 할 때 조작된다.
네비게이션 키(7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바디(73)의 수납공간부(73c)에 수납되고 액츄에이터(72b)에 접촉된다.
터치부(81)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컨대, 손가락)가 터치한 채로 회전 입력을 하고자 할 때 조작된다.
터치부(81)는 터치 PCB 어셈블리(76) 및 터치부재(79)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PCB 어셈블리(76) 및 터치부재(79)는 네비게이션 키(75)와 함께 적층 구조로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터치 PCB 어셈블리(76) 및 터치부재(79)는 적층 구조로 조립될 수 있고, 조립완료된 이후에는 최상부의 터치부재(79)만이 육안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볼 때에는 터치부재(79)만이 터치될 것이다. 또한, 외관상으로 볼 때에는 네비게이션 키(75)를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없고, 터치부재(79)에서 4지점(방향)중에서 어느 한 지점(방향)을 의미하는 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 좌/우/상/하 중에서 희망하는 지점(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80)는 네비게이션 키(75) 및 터치부(81) 이외로, 확인 키(74)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감지부(82)는 네비게이션 키(75)가 조작됨에 따라 어느 방향(예컨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중에서 어느 방향(즉, 지점))이 선택(클릭)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제로는 네비게이션 키(75)는 터치부재(79)의 하부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방향 감지부(82)는 터치부재(79)에서 어느 부위(지점)가 눌러지게 되면 해당 부위에 상응하는 방향이 어느 방향(예컨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중에서 어느 방향)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감지부(82)는 액츄에이터(72b) 및 스위치(71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84)는 터치부(81)에 터치한 채로 움직이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컨대, 손가락)의 회전 방향(이동 방향) 및 회전 속도(이동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부(81)의 터치부재(79)의 상면에 손가락을 댄 채로 손가락을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 터치 PCB 어셈블리(76)에서는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터치 PCB 어셈블리(76)는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절대좌표를 인지하며, 절대좌표를 전기적 신호로 처리하여 케이블(76b)을 통해 제어부(88)(메인 PCB 어셈블리(71)를 포함)에게로 전달한다. 제어부(88)는 터치 PCB 어셈블리(76)로부터의 데이터를 회전 감지부(84)에게로 전달하여 회전 감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그에 따라, 회전 감지부(84)는 터치 PCB 어셈블리(76)로부터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컨대, 손가락)의 회전 방향(이동 방향) 및 회전 속도(이동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방향 감지부(82)와 회전 감지부(84)를 편의상 각각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방향 및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의 유닛(이 경우, 방향 및 회전 감지부라고 할 수 있음)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방향 및 회전 감지부는 네비게이션 키(75)에 의해 선택된 방향(지점) 및 터치부(81)에 의한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86)는 방향 감지부(82) 및 회전 감지부(84)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88)에서 생성된 원격 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예컨대, TV 등의 영상 매체 재생 기기)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86)는 RF 통신 방식 또는 IR 통신 방식에 의해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8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풋 디바이스(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88)는 방향 감지부(82) 및 회전 감지부(84)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원격 제어신호를 통신부(86)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통신부(86)는 원격 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예컨대, TV, A/V기기 등의 영상 매체 재생 기기)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88)는 네비게이션 키(75)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 입력 및 터치부(81)의 회전 조작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8)는 네비게이션 키(75)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 입력 및 터치부(81)상에서의 회전 조작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영상 매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행 또는 열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 간 선택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8)는 터치부(81)상에서의 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영상 매체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 또는 열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들을 터치부(81)상에서의 회전 방향으로 스크롤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크롤 이동 속도는 터치부(81)상에서의 사용자 신체 일부의 이동 속도(즉, 회전 속도)에 따른 입력 주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8)는 터치부(81)상에서의 사용자 신체 일부의 이동 속도(즉, 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영상 매체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를, 터치부(81)상에서의 사용자 신체 일부의 이동 방향(즉, 회전 방향)에 대해 상기 입력 주기에 따른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88)는 터치부(81)상에서의 회전 조작 입력과는 독립적으로, 네비게이션 키(75)에 의해 선택된 방향(지점)에만 근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렬 구조의 미디어 콘텐츠에서의 행 이동 또는 열 이동을 더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88)는 메인 PCB 어셈블리(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8)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88)는 터치부(81)상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 및 회전(이동)을 근거로 생성된 회전 감지부(84)에서의 회전 감지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터치부(81)상에서 손가락을 빠르게 이동(회전)시켰다면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의 하나의 행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들이 빠른 입력 주기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빠르게 스크롤 이동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에 표시된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가 빠른 입력 주기에 의해 해당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된다.
즉, 제어부(88)는 터치부(81)상에서의 조작(터치 및 이동)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행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들의 이동 및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88)는 터치부(81)상에서의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속도(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의 입력 주기를 갖는 원격 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들을 사용자의 손가락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88)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속도(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속도의 입력 주기를 갖는 원격 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를 터치부(81)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8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에 표시된 행렬 구조의 미디어 콘텐츠에서 행 이동을 위해 네비게이션 키(75)가 조작되면(즉, 터치부재(79)에서 상(up) 또는 하(down)에 해당하는 지점(방향)의 위치가 눌리어지면) 해당 네비게이션 키(75)의 조작에 따른 방향 감지부(82)에서의 방향 감지에 근거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에 표시된 행렬 구조의 미디어 콘텐츠에서 행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제어부(88)는 터치부재(79)에서 좌(left) 또는 우(right)에 해당하는 지점(방향)의 위치가 눌리어지면 통상의 방식대로의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88)는 네비게이션 키(75) 입력에 의해 선택된 방향에만 근거하여서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렬 구조의 미디어 콘텐츠에서의 행 이동 또는 열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방향 감지부(82)와 회전 감지부(84)는 제어부(88)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88)는 조작부(80)에서의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방향 감지 및/또는 회전 감지를 수행한 후에 그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신호를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70 : 리모트 컨트롤러 71 : 메인 PCB 어셈블리
72 : 키패드 73 : 커버 바디
74 : 확인 키 75 ; 네비게이션 키
76 : 터치 PCB 어셈블리 77, 78 : 접착부재
79 : 터치부재 80 : 조작부
81 : 터치부 82 : 방향 감지부
84 : 회전 감지부 86 : 통신부
88 : 제어부 90 : 채널부

Claims (18)

  1. 다수의 방향중에서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되는 네비게이션 키;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한 채로 회전 입력을 하기 위해 조작되는 터치부; 및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 입력 및 상기 터치부에서의 회전 입력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 대상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키와 상기 터치부는 적층구조로 상호 결합된,
    인풋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 입력 및 상기 터치부의 회전 입력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행 또는 열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 간 선택 이동을 제어하는,
    인풋 디바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 또는 열에 정렬된 미디어 콘텐츠들을,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기 입력 주기에 따른 속도로 스크롤 이동시키는,
    인풋 디바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속도에 상응하는 입력 주기로 원격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 대상 기기에게로 송신함으로써 영상 프레임의 재생위치를, 상기 터치부상에서의 회전 방향에 대해 상기 입력 주기에 따른 속도로 이동시키는,
    인풋 디바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부의 회전 입력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의해 선택된 방향에만 근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행렬 구조의 미디어 콘텐츠에서의 행 이동 또는 열 이동을 제어하는,
    인풋 디바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터치 및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이 패터닝된 터치 PCB 어셈블리; 및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의 상부에 적층되는 터치부재;를 포함하는,
    인풋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재의 표면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발생하고 상기 각 채널별 정전용량 값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절대좌표를 전기적 신호로서 상기 제어부에게로 전달하는,
    인풋 디바이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다수의 회전 감지용 채널이 패터닝된 채널부; 및
    일측이 상기 채널부에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인풋 디바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와 상기 터치부재 사이에는 상기 채널부의 상부에 접착되는 제 1 접착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인풋 디바이스.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의 하부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가 적층되되,
    상기 채널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사이에는 상기 채널부의 하부에 접착되는 제 2 접착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인풋 디바이스.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를 매개로 하여 커버 바디의 수납공간부에 수납되고,
    상기 터치부재는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는,
    인풋 디바이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및 상기 터치부재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바디의 하부에는 중앙에 돌기가 형성된 키패드가 설치되되,
    확인 키가 상기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및 상기 터치부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노출된,
    인풋 디바이스.
  13. 다수의 방향중에서 어느 한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되는 네비게이션 키;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한 채로 회전 입력을 하기 위해 조작되는 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터치 및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채널이 패터닝된 터치 PCB 어셈블리; 및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의 상부에 적층되는 터치부재;를 포함하는,
    인풋 디바이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를 매개로 하여 커버 바디의 수납공간부에 수납되고,
    상기 터치부재는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납되는,
    인풋 디바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및 상기 터치부재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바디의 하부에는 중앙에 돌기가 형성된 키패드가 설치되되,
    확인 키가 상기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및 상기 터치부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노출된,
    인풋 디바이스.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PCB 어셈블리는,
    다수의 회전 감지용 채널이 패터닝된 채널부; 및
    일측이 상기 채널부에 접속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인풋 디바이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와 상기 터치부재 사이에는 상기 채널부의 상부에 접착되는 제 1 접착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인풋 디바이스.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의 하부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가 적층되되,
    상기 채널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키 사이에는 상기 채널부의 하부에 접착되는 제 2 접착부재가 추가로 설치되는,
    인풋 디바이스.
KR1020210028002A 2021-03-03 2021-03-03 인풋 디바이스 KR20220124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02A KR20220124425A (ko) 2021-03-03 2021-03-03 인풋 디바이스
PCT/KR2021/095089 WO2022186463A1 (ko) 2021-03-03 2021-11-03 인풋 디바이스
US18/255,577 US20230421834A1 (en) 2021-03-03 2021-11-03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02A KR20220124425A (ko) 2021-03-03 2021-03-03 인풋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25A true KR20220124425A (ko) 2022-09-14

Family

ID=8315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002A KR20220124425A (ko) 2021-03-03 2021-03-03 인풋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21834A1 (ko)
KR (1) KR20220124425A (ko)
WO (1) WO202218646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442A (ko) 2004-09-18 2004-10-16 김은경 조이스틱내장형 핸드폰 및 tv리모트 컨트롤러
KR20060135509A (ko) 2005-06-24 2006-12-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363661B1 (ko) 2012-04-09 2014-02-21 김득화 엣지 슬라이딩 ui가 적용된 스마트 리모트 컨트롤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5060B2 (en) * 2009-08-31 2013-02-26 Apple Inc. Handheld computing device
CN104220962B (zh) * 2012-01-09 2017-07-11 莫韦公司 利用触摸手势的手势仿真的设备的命令
KR20170074537A (ko) * 2015-12-22 2017-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0785441B2 (en) * 2016-03-07 2020-09-22 Sony Corporation Runn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on display device not having touch capability using remote controller having at least a touch sensitive surface
JP7224874B2 (ja) * 2018-11-29 2023-02-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442A (ko) 2004-09-18 2004-10-16 김은경 조이스틱내장형 핸드폰 및 tv리모트 컨트롤러
KR20060135509A (ko) 2005-06-24 2006-12-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리모트 컨트롤러 및 원격 제어 방법
KR101363661B1 (ko) 2012-04-09 2014-02-21 김득화 엣지 슬라이딩 ui가 적용된 스마트 리모트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463A1 (ko) 2022-09-09
US20230421834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6961A1 (en) Actuating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er
US7969411B2 (en) Operating panel
JP4710850B2 (ja) 電子機器
US7091998B2 (en) Image control system
CN101449230B (zh) 输入装置
US8471822B2 (en) Dual-sided track pad
US20090109183A1 (en) Remote Control of a Display
JP4179085B2 (ja) 電子機器
US20100201618A1 (en) User interface
US11770576B2 (en) Gri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CN112492365B (zh) 遥控器导航界面组件
US20240107101A1 (en) Input device
KR20220124425A (ko) 인풋 디바이스
KR10174166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49158B2 (en) Interactive,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device
JPH07325653A (ja) 情報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