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976A - 제초제로 유용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아닐라이드유도체 - Google Patents

제초제로 유용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아닐라이드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976A
KR20060132976A KR1020067020415A KR20067020415A KR20060132976A KR 20060132976 A KR20060132976 A KR 20060132976A KR 1020067020415 A KR1020067020415 A KR 1020067020415A KR 20067020415 A KR20067020415 A KR 20067020415A KR 20060132976 A KR20060132976 A KR 2006013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compounds
herbicides
herbi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9483B1 (ko
Inventor
고이치 아라키
사치오 구도
요시타카 사토
게이지 엔도
신이치 시라쿠라
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6013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52Two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I의 신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마이드 유도체.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내는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마이드 유도체, 및 논 잡초용 제초제로서의 그의 용도:
화학식 I
Figure 112006071519610-PCT00032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Y는 CH 또는 N을 나타내고,
R1은 수소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는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초제로 유용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아닐라이드 유도체{DIFLUOROMETHANESULFONYL ANILIDE DERIVATIVES USEFUL AS HERBICIDES}
본 발명은 신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마이드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초제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정 설폰아마이드 유도체가 제초제로서 활성을 나타냄은 이미 알려져 왔다(예를 들면, WO 93/09099 호, WO 96/41799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60562/1999 호 및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44546/2000 호).
제초제를 개발하는데 있어, 현행 제초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잡초, 예를 들면, SU 내성 잡초(설포닐유레아 내성 잡초)를 방제하는 문제가 최근 중요한 문제중 하나로 취급되어 왔다. 이러한 내성 잡초 및 다른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를 단일 성분으로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밝혀졌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Y는 CH 또는 N을 나타내고,
R1은 수소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는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a)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및 경우에 따라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b) R1 및 R2가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는 경우,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및 경우에 따라 산 촉매의 존재하에 산화제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c)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가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는 경우,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착화합물 또는 보레인 착물과 반응시키는 방법 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2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3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4
상기 식에서,
X, Y, R1 및 R2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마이드 유도체는 강한 제초제 활성을 나타낸다.
화학식 I의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마이드 유도체가 개념적으로는 WO 96/41799 호에 기술된 화학식의 화합물들에 포함되지만,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기 참고문헌에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신규 화합물이다. 그리고,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예기치않게 WO 96/41799 호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유사한 구조의 공지된 화합물들과 비교하여 대단히 강한 제초제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특히 논 잡초에 대해 현저하게 탁월한 제초제 활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WO 96/41799 호에 기술되지 않은 생물 효과인, 설포닐유레아 내성 잡초에 대한 탁월한 제초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마이드 유도체는 논 잡초용 제초제로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은 플루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르 또는 염소를 나타낸다.
전술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바람직하게, X는 플루오르 또는 염소를 나타내고, Y는 CH 또는 N을 나타내고, R1은 수소를 나타내며, R2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는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 (a)는, 예를 들면, 출발 물질로서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및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 반응식으로 예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5
전술한 제조 방법(b)는, 예를 들면,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고 산화크로뮴(VI)을 산화제로 사용하는 경우, 하기 반응식으로 예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6
전술한 제조 방법(c)는, 예를 들면,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고 붕수소화나트륨을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착화합물로 사용하는 경우, 하기 반응식으로 예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7
전술한 제조 방법 (a)에서 출발 물질로 사용된 화학식 II의 화합물에서 R1 및 R2가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은 WO 96/41799 호에 기술된 공지된 화합물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상기 참고문헌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화학식 II의 화합물에서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가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화합물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60562/1999 호에 기술된 공지된 화합물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상기 참고문헌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화학식 II에서 R1 및 R2가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을 금속 수소화물 착화합물, 예를 들면, 붕수소화나트륨, 수소화 리튬 알루미늄 등과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화학식 II의 화합물에서 R1 및 R2가 둘 다 수소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화합물은 WO 96/41799 호에 기술된 공지된 화합물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상기 문헌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염화 니켈(II)의 존재하에 환원제, 예를 들면, 붕수소화 나트륨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라니 니켈과 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8
상기 식에서, X 및 Y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전술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에는 전술한 특허 문헌들에 기술된 공지된 화합물들이 포함되며, 예를 들면, 상기 문헌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 (a)에서 출발 물질로 사용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다음을 들 수 있다: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아닐린,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아닐린,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아닐린,
2-요오도-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아닐린,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요오도-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아닐린,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아닐린,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아닐린,
2-요오도-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아닐린,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메틸]아닐린,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메틸]아닐린,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메틸]아닐린,
2-요오도-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메틸]아닐린,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요오도-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카보닐]아닐린,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카보닐]아닐린,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카보닐]아닐린,
2-요오도-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카보닐]아닐린 등.
전술한 제조 방법(b)에 출발 물질로 사용된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전술한 제조 방법 (a)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일부에 상응하며,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 다음을 들 수 있다: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등.
전술한 제조 방법(b)에서 전술한 화학식 Ib 화합물의 산화에 사용된 산화제로서, 예를 들면, 산화 크로뮴(VI),이산화망간, 이산화셀레늄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c)에서 출발 물질로 사용된 화학식 Ic의 화합물은 전술한 제조 방법 (a) 또는 (b)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일부에 상응하며, 그의 구체적인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2-브로모-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2-요오도-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등.
전술한 제조 방법(c)에서 화학식 Ic 화합물의 수소화에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착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붕수소화나트륨, 수소화 리튬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레인 착물로는, 예를 들면, 다이메틸 설파이드 보레인, 피리딘-보레인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 (a)의 반응은 적절한 희석제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 기 경우에 사용되는 희석제의 예로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염소화되거나 되지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펜테인, 헥세인, 사이클로헥세인,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폼, 사염화탄소, 1,2-다이클로로에테인, 클로로벤젠, 다이클로로벤젠 등; 에테르, 예를 들면, 에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아이소프로필 에테르, 뷰틸 에테르, 다이옥세인, 다이메톡시에테인(DM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테르(DGM) 등;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MEK), 메틸 아이소프로필 케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MIBK) 등; 나이트릴, 예를 들면, 아세토나이트릴, 프로피오나이트릴 등; 에스터,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등; 염기, 예를 들면, 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a)는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산 결합제로는, 무기 염기로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 금속의 수소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중탄산염 등, 예를 들면, 수소화나트륨, 수소화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 무기 알칼리 금속 아마이드, 예를 들면, 리튬 아마이드, 나트륨 아마이드, 칼륨 아마이드 등; 유기 염기로서, 3급 아민, 다이알킬아미노아닐린 및 피리딘, 예를 들면, 트라이에틸아민, 1,1,4,4-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TMEDA), N,N-다이메틸아닐린, N,N-다이에틸아닐린, 피리딘,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 1,4-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DABCO),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크-7-엔(DBU)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a)는 실질적으로 광범위한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약 -100 내지 약 60 ℃, 특히 약 -80 내지 약 4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정상 압력에서 수행하지만, 선택적으로 승압 또는 감압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조 방법 (a)를 수행할 때, 목적 화합물은, 예를 들면, 1 내지 5 몰의 피리딘의 존재하에서 1 내지 5 몰의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클로라이드를 희석제, 예를 들면, 다이클로로메테인 중의 화학식 II의 화합물 1 몰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b)의 반응은 적절한 희석제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사용되는 희석제의 예로는 물;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염소화되거나 되지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헥세인, 사이클로헥세인, 리그로인, 톨루엔, 자일렌,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폼, 사염화탄소, 1,2-다이클로로에테인, 클로로벤젠 등; 에테르, 예를 들면, 에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아이소프로필 에테르, 뷰틸 에테르, 다이옥세인, 다이메톡시에테인(DM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테르(DGM) 등;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MEK), 메틸 아이소프로필 케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MIBK) 등; 나이트릴, 예를 들면, 아세토나이트릴, 프로피오나이트릴, 아크릴로나이트릴 등; 에스터,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등; 산 아마이드, 예를 들면,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 N-메틸피롤리돈,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헥사메틸 포스포릭 트라이아마이드(HMPA) 등; 설 폰 및 설폭사이드, 예를 들면,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 설폴레인 등; 염기, 예를 들면, 피리딘 등; 산, 예를 들면, 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b)는 산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산 촉매의 예로는 무기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브롬화수소산, 아황산수소나트륨 등; 유기산, 예를 들면, 폼산,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메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b)는 실질적으로 광범위한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약 -100 내지 약 150 ℃, 특히 약 20 내지 약 12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정상 압력에서 수행하지만, 선택적으로 승압 또는 감압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조 방법(b)를 수행할 때, 목적 화합물은, 예를 들면, 1 내지 10 몰의 산화크로뮴(VI)을 희석제, 예를 들면, 아세트산 중의 화학식 Ib의 화합물 1 몰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c)의 반응은 적절한 희석제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사용되는 희석제의 예로는 물;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염소화되거나 되지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펜테인, 헥세인, 사이클로헥세인,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벤젠, 톨루엔, 자일렌,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폼, 사염화탄소, 1,2-다이클로로에테인, 클로로벤젠, 다이클로로벤젠 등; 에테르, 예를 들면, 에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아이소프로필 에테르, 뷰틸 에테르, 다이옥세인, 다이메톡시에테인(DM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틸 에테 르(DGM) 등; 나이트릴, 예를 들면, 아세토나이트릴, 프로피오나이트릴 등; 알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뷰탄올, 에틸렌 글라이콜 등; 에스터,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등; 산 아마이드, 예를 들면,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 N-메틸피롤리돈,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헥사메틸 포스포릭 트라이아마이드(HMPA) 등; 설폰 및 설폭사이드, 예를 들면,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 설폴레인 등; 염기, 예를 들면, 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c)는 실질적으로 광범위한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약 -100 내지 약 60 ℃, 특히 약 -80 내지 약 4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정상 압력에서 수행하지만, 선택적으로 승압 또는 감압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조 방법(c)를 수행할 때, 목적 화합물은, 예를 들면, 0.25 내지 2 몰의 붕수소화나트륨을 희석제, 예를 들면, 메탄올 중의 화학식 III의 화합물 1 몰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모든 식물 및 식물 부위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식물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야생 식물 또는 농작물(천연 농작물 포함)과 같은 모든 식물 및 식물 개체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농작물은 유전자도입 식물을 포함하고 식물 육종가 권리에 의해 보호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은 재배종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식물 육종 및 최적화 방법에 의해, 또는 생명공학 및 재조합 방법에 의해,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식물 부위는 땅 위 및 아래의 식물의 모든 부위 및 기관들, 예를 들면, 새싹, 잎, 꽃 및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언급할 수 있는 예는 잎, 침엽, 꽃자루, 줄기, 꽃, 자실체, 열매, 씨, 뿌리, 괴경 및 근경이다. 식물 부위는 또한 수확한 물질, 및 영양 및 생식 번식 물질, 예를 들면, 삽목, 괴경, 근경, 분지 및 씨를 포함한다.
식물 및 식물 부위를 본 발명에 따라 활성 화합물로 처리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통상적인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침지, 분무, 증발, 연막, 흩뿌리기, 도장, 및 번식 물질의 경우, 특히 씨의 경우, 또한 하나 이상의 코팅을 적용하여, 화합물이 식물 주변, 환경 또는 저장 장소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은 특히 논 잡초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방제될 수 있는 논 잡초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다음 속에 속하는 쌍떡잎 식물: 폴리고넘(Polygonum), 로리파(Rorippa), 로탈라(Rotala), 린더니아(Rindernia), 바이덴스(Bidens), 도파트리움(Dopatrium), 에클립타(Eclipta), 엘라틴(Elatine), 그라티올라(Gratiola), 루드비기아(Ludwigia), 오에난테(Oenanthe), 라눈큘러스(Ranunculus), 데이노스테마(Deinostema) 등.
다음 속에 속하는 외떡잎 식물: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 파니컴(Panicum), 포아(Poa), 사이페루스(Cyperus), 모노코리아(Monochoria), 핌브리스틸리스(Fimbristylis), 사기타리아(Sagittaria), 엘레오카리스(Eleocharis), 사이르퍼 스(Scirpus), 알리스마(Alisma), 아네일레마(Aneilema), 블리약사(Blyxa), 에리오카울론(Eriocaulon), 포타모게톤(Potamogeton) 등.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은 특히, 예를 들면, 하기의 대표적인 논 잡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라틴어 식물 명칭
쌍떡잎 식물: 로탈라 인디카 코엔(Rotala indica Koehne), 린더니아 프로컴벤스 필콕스(Lindernia procumbens Philcox), 린더니아 듀비아 엘. 펜.(Lindernia dubia L. Penn.), 린더니아 앙구스티폴리아(Lindernia angustifolia), 루드비기아 프로스트라타 록스버그(Ludwigia prostrata Roxburgh), 포타모게톤 디스틴크터스 에이. 벤(Potamogeton distunctus A. Benn), 엘라틴 트라이안드라 슈크(Elatine triandra Schk), 오에난테 자바니카(Oenanthe javanica).
외떡잎 식물: 에키노클로아 오라이지콜라 바싱(Echinochloa oryzicola Vasing), 엘레오카리스 아시큘라리스 엘.(Eleocharis acicularis L.), 엘레오카리스 큐로구와이 오휘(Eleocharis Kuroguwai Ohwi), 사이페루스 디포미스 엘.(Cyperus difformis L.), 사이페루스 세로티누스 로트보엘(Cyperus serotinus Rottboel), 사이르퍼스 준코이데스 록스버그(Scirpus juncoides Roxburgh), 모노코리아 바기날리스 프레슬(Monochoria vaginalis Presl), 사기타리아 피그메아 미크(Sagittaria pygmaea Miq), 알리스마 카날리큘라텀 에이. 비알. 에트 보우체(Alisma canaliculatum A. Br. Et Bouche), 사기타리아 트라이폴리아(Sagittaria trifolia), 모노코리아 코르사코비(Monochoria korsakowii).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면, 설포닐유레아 유형 제초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전술한 잡초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의 용도는 상기 종류의 잡초에 대한 용도로 제한되지 않고, 유사한 방식으로 설포닐유레아 유형 제초제 내성 잡초 이외의 다른 종류의 논 잡초 및 다른 잡초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실제 적용시 통상적인 제형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 형태로서, 예를 들면, 용액, 습윤 분말, 유화액, 현탁액, 분말, 수분산성 과립, 정제, 과립, 유화현탁액 농축물, 중합체 물질중의 마이크로캡슐, 점보 제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자체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활성 화합물을 증량제, 즉, 액체 또는 고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및 선택적으로 표면활성제, 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발포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체 희석제 또는 담체로서, 예를 들면, 방향족 탄화수소(예를 들면, 자일렌, 톨루엔, 알킬나프탈렌 등), 염소화 방향족 또는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예를 들면, 클로로벤젠, 에틸렌 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 지방족 탄화수소[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세인 등 또는 파라핀(예를 들면, 광유 분획 등)], 알콜(예를 들면, 뷰탄올, 글라이콜 등) 및 그의 에테르, 에스터 등, 케톤(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이소뷰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등), 매우 극성인 용매(예를 들면,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등), 물 등을 들 수 있 다. 물을 증량제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유기 용매를 보조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고체 희석제 또는 담체로서, 예를 들면, 분쇄된 천연 광물(예를 들면, 카올린, 점토, 활석, 초크, 석영, 애타펄자이트, 몬모릴로나이트, 규조토 등), 분쇄된 합성 광물(예를 들면, 고도로 분산된 규산,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과립용 고체 담체로는, 파쇄 암석 및 분할 암석(예를 들면,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백운암 등), 무기 및 유기 곡물가루의 합성 과립, 유기 물질 입자(예를 들면, 톱밥, 야자각, 옥수수속, 담배줄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유화제 및/또는 발포제로서, 예를 들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알콜 에테르(예를 들면, 알킬아릴 폴리글라이콜 에테르,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아릴설포네이트 등)], 알부민 가수분해 생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로는, 예를 들면, 리그닌 설파이트 폐액, 메틸 셀룰로스 등이 포함된다.
증점제도 또한 제형(분말, 과립, 유화성 농축물)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로서,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천연 및 합성 중합체(예를 들면, 아라비아 고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등)를 들 수 있다.
착색제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무기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 산화티타늄, 프러시안 블루 등), 알리자린 색소, 아조 색소 또는 금속 프탈로시아닌 색소와 같은 유기 색소, 및 또한 미량 영양소, 예를 들면,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아연 등과 같은 금속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을 일반적으로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은 자체로 또는 그의 제형 형태로 잡초 방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은 또한 공지된 제초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공지된 제초제와 혼합된 제초제 조성물은 최종 제형 형태로 미리 제조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을 사용할 때 탱크 혼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혼합 제초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초제로는, 예를 들면, 전형적인 예로서 속명으로 나타낸 하기의 제초제들을 들 수 있다:
아세트아마이드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프레틸라클로르, 뷰타클로르, 테닐클로르, 알라클로르 등;
아마이드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클로메프로프, 에토벤자니드 등;
벤조퓨란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벤퓨레세이트 등;
인단다이온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인다노판 등;
피라졸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피라졸레이트, 벤조페나프, 피라즈옥시펜 등;
옥사지논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옥사지클로메폰 등;
설포닐유레아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벤설퓨론-메틸, 아짐설퓨론, 이마조설퓨론, 피라조설퓨론-에틸, 사이클로설파뮤론, 에톡시설퓨론, 할로설퓨론-메틸 등;
티오카바메이트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티오벤카브, 몰리네이트, 피리뷰티카브 등;
트라이아진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다이메타메트린, 시메트린 등;
트라이아졸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카펜스트롤 등;
퀴놀린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퀸클로락 등;
아이소옥사졸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아이소옥사플루톨 등;
다이티오포스페이트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아닐로포스 등;
옥시아세트아마이드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메페나세트, 플루페나세트 등;
테트라졸리논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펜트라자마이드 등;
다이카복시이미드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펜트옥사존 등;
옥사다이아졸론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옥사다이알길, 옥사다이아존 등;
트라이온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설코트라이온, 벤조바이사이클론 등;
페녹시프로피오네이트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사이할로포프-뷰틸 등;
벤조산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피리미노바크-메틸, 비스피리바크-나트륨 등;
다이페닐 에테르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클로메톡시닐, 옥시플루오르펜 등;
피리딘 다이카보티오에이트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다이티오피르 등;
페녹시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MCPA, MCPB 등;
유레아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다임론, 큐밀루론 등;
나프탈렌다이온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퀴노클라민 등;
아이소옥사졸리디논 유형 제초제: 예를 들면, 클로마존 등.
상기 언급한 활성 화합물은 영국 농작물 보호 의회(British Crop Protect Council)에서 2000년에 발표한 "농약 매뉴얼(Pesticide Manual)"에 기재된 공지된 제초제들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을 독성완화제와 혼합하는 경우, 혼합에 의해 식물독성이 감소되며 보다 광범위한 잡초 방제 스펙트럼이 제공되고 선택적 제초제로서의 적용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독성완화제로서, 예를 들면, 속명 또는 개발 코드로 나타낸 하기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AD-67, BAS-145138, 베녹사코르, 클로퀸토세트-멕실, 사이오메트리닐, 2,4-D, DKA-24, 다이클로르미드, 다임론, 펜클로림, 펜클로라졸-에틸, 플루라졸, 플럭소페님, 아이소옥사디펜-에틸, 메펜피르-다이에틸, MG-191, 나프탈산 무수물, 옥사베트리닐, PPG-1292, R-29148 등.
상기 언급한 독성완화제도 또한 영국 농작물 보호 의회에서 2000년에 발표한 "농약 매뉴얼"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독성완화제를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상기 언급한 제초제로 이루어진 혼합 제초제 조성물과 더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혼합에 의해 세포독성이 감소되며 보다 광범위한 잡초 방제 스펙트럼에 제공되고 선택적 제초제로서의 적용이 확장될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공지된 제초제 및/또는 독성완화제로 이루어진 혼합 제초제 조성물의 일부는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화합물은 그대로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바로 사용가능한 용액, 유화성 농축물, 정제, 현탁액, 분말, 페이스 트 또는 과립과 같은 제형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추가 희석에 의해 제조된 사용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살수, 분무, 분사, 과립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은 식물 발아 전 및 후의 임의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파종전에 토양중에 혼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활성 화합물의 적용량은 실질적인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양은 기본적으로 목적하는 효과의 성질에 따라 상이하다. 제초제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헥타르 당 활성 화합물 약 0.0001 내지 약 4 ㎏,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3 ㎏ 범위의 적용량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식물 부위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야생 식물 종 및 재배종, 또는 이종교배 또는 원형질 융합과 같은 통상적인 생물 육종에 의해 수득된 식물, 및 그의 부위를 처리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서, 경우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유전학적으로 변형된 유기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과 함께 유전 공학처리에 의해 수득된 유전자도입 식물 및 재배종 및 그의 부위를 처리한다. "부위" 또는 "식물의 부위" 또는 "식물 부위"란 용어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특히 바람직하게, 각 경우에 상업적으로 시판하거나 또는 사용중인 재배종 식물을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한다. 재배종은 특정 성질("특성")을 가지며 통상적인 육종, 돌연변이유발 또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수득된 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들은 변종, 생물형 또는 유전자형일 수 있다.
식물 종 또는 재배종, 그들의 서식지 및 성장 조건(토양, 기후, 생장 기간, 영양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처리는 또한 초부가("상승")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또한 다른 농약 활성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물질 및 조성물의 감소된 적용률 및/또는 활성 스펙트럼의 확대 및/또는 활성의 증가, 보다 우수한 식물 성장, 고온 또는 저온에 대한 증가된 내성,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 함량에 대한 증가된 내성, 증가된 개화 성능, 보다 이른 수확, 가속화된 화농, 보다 높은 수확율, 수확 산물의 보다 우수한 품질 및/또는 보다 높은 영양적 가치, 수확 산물의 보다 우수한 저장 안정성 및/또는 가공성이 실질적으로 예상된 효과를 초과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 유전자도입 식물 또는 재배종(즉, 유전 공학처리에 의해 수득된 것들)은 유전적 변형에서 상기 식물들에 특히 유리한 유용한 성질("특성")을 부가하는 유전 물질을 수용한 모든 식물을 포함한다. 상기 성질의 예로는 보다 우수한 식물 성장, 고온 또는 저온에 대한 증가된 내성,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 함량에 대한 증가된 내성, 증가된 개화 성능, 보다 이른 수확, 가속화된 화농, 보다 높은 수확율, 수확 산물의 보다 우수한 품질 및/또는 보다 높은 영양적 가치, 수확 산물의 보다 우수한 저장 안정성 및/또는 가공성이다. 상기 성질들중 또 다른 특히 강조된 예는 동물 및 미생물 유해물, 예를 들면, 곤충, 진드기, 식물병원 진균,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의 보다 우수한 방어력, 및 또한 특정 제초제 활성 화합물에 대한 식물의 증가된 내성이다. 언급할 수 있는 유전자도입 식물의 예는 중요한 농작물, 예를 들면, 곡물(밀, 벼), 옥수 수, 대두, 감자, 목화, 평지 기름 및 또한 열매 식물(사과, 배, 감귤 및 포도 열매를 갖는)이며, 옥수수, 대두, 감자, 목화 및 평지 기름이 특히 강조된다. 강조되는 특성은 특히, 식물에서 생성된 독소, 특히 바실러스 터린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로부터 얻은 유전 물질(예를 들면, 유전자 CryIA(a), CryIA(b), CryIA(c), CryIIA, CryIIIA, CryIIIB2, Cry9c, Cry2Ab, Cry3Bb 및 CryIF 및 또한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식물(이하에서 "Bt 식물"로 칭한다)에서 생성된 독소에 의한 곤충에 대한 식물의 증가된 방어력이다. 또한 특히 강조되는 특성은 전신 획득 저항성(SAR), 시스테민, 파이토알렉신, 식물면역활성제(elicitor) 및 내성 유전자에 의한 진균, 세균 및 바이러스 및 상응하게 발현된 단백질 및 독소에 대한 식물의 증가된 방어력이다. 더욱 특히 강조되는 특성은 특정 제초제 활성 화합물, 예를 들면, 이미다졸리논, 설포닐유레아, 글라이포세이트 또는 포스피노트리신(예를 들면, "PAT" 유전자)에 대한 식물의 증가된 내성이다. 문제의 목적하는 특성을 부가하는 유전자는 또한 유전자도입 식물중에 서로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Bt 식물"의 예는 일드 가드(YIELD GARD, 등록상표)(예를 들면, 옥수수, 목화, 대두), 녹아웃(KnockOut, 등록상표)(예를 들면, 옥수수), 스타링크(StarLink, 등록상표)(예를 들면, 옥수수), 볼가드(Bollgard, 등록상표), 뉴코튼(Nucotn, 등록상표)(목화) 및 뉴리프(NewLeaf, 등록상표)(감자)라는 상표명하에 판매되는 옥수수 변종, 목화 변종, 대두 변종 및 감자 변종이다. 언급할 수 있는 제초제-내성 식물의 예는 라운드업 레디(Roundup Ready, 등록상표)(글라이포세이트에 대한 내성, 예를 들면, 옥수수, 목화, 대두), 리버티 링크(Liberty Link, 등록상표)(포스피노트 리신에 대한 내성, 예를 들면, 평지 기름), IMI(등록상표)(이미다졸리논에 대한 내성) 및 STS(등록상표)(설포닐유레아에 대한 내성, 예를 들면, 옥수수)라는 상표명하에 판매되는 옥수수 변종, 목화 변종 및 대두 변종이다. 언급할 수 있는 제초제-내성 식물(제초제 내성에 대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육종된 식물)로는 클리어필드(Clearfield, 등록상표)(예를 들면, 옥수수)라는 명칭으로 판매되는 변종들이 포함된다. 물론, 상기 설명은 또한 상기 유전적 특성들 또는 아직 개발될 유전적 특성을 갖는 재배종에도 적용되며, 이들 식물은 미래에 개발되고/되거나 판매될 것이다.
열거된 식물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활성 화합물 혼합물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으며, 이때 잡초의 효과적인 방제 이외에, 유전자도입 식물 또는 식물 재배종에서의 상기 언급한 상승 효과가 일어난다. 활성 화합물 또는 혼합물에 대해 상기 언급한 바람직한 범위는 또한 이들 식물의 처리에도 적용된다. 본원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화합물 또는 혼합물로 식물을 처리하는 것이 특히 강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 화합물의 제조 및 적용의 더욱 구체적인 예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떤 방식으로도 이들 실시예로만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합성예 1
Figure 112006071519610-PCT00009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1.6 g(5.28 밀리몰)을 다이클로로메테인(13 ㎖)에 용해시키고 피리딘 0.91 g(11.46 밀리몰)을 거기에 가하였다. 용액을 -5 ℃로 냉각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2 ㎖) 중의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클로라이드 1.73 g(11.46 밀리몰)의 용액을 거기에 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4 일간 교반하고, 물을 첨가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1N 염산 및 물로 세척하였다. 건조후에, 다이클로로메테인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수득된 유성 물질을 용출제로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세인의 1:3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하는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0.94 g(수율 42%)을 연황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3.99(6H, s), 4.97(1H, d), 5.99(1H, s), 6.13(1H, d), 6.61(1H, t), 7.07-7.13(1H, m), 7.23-7.29(1H, m), 7.51-7.53(1H, m), 10.57(1H, br).
합성예 2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0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아닐린 1.54 g(5.51 밀리몰)을 다이클로로메테인(12 ㎖)에 용해시키고 피리딘 0.87 g(11.01 밀리몰)을 거기에 가하였다. 용액을 -5 ℃로 냉각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2 ㎖) 중의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클로라이드 1.66 g(11.01 밀리몰)의 용액을 거기에 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4 일간 교반하고, 물을 첨가한 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에, 다이클로로메테인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수득된 유성 물질로부터 용출제로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세인의 1:6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목적하는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1.2 g(수율 55%)을 백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3.94(6H, s), 4.30(2H, s), 5.92(1H, s), 6.74(1H, t), 7.18-7.21(1H, m), 7.33-7.38(2H, m), 11.09(1H, br).
하기 화합물을 상기 언급한 합성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1H-NMR(300MHz, CDCl3)δ4.05(6H, s), 4.22(2H, s), 6.56(1H, t), 7.07-7.28(3H, m), 10.16(1H, s).
합성예 3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1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0.4 g(1.02 밀리몰)을 아세트산(6 ㎖)에 용해시키고 산화크로뮴(VI) 0.31 g(3.05 밀리몰)을 거기에 가하였다. 용액을 30 ℃로 냉각하고 6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12 시간동안 더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물로 희석하고 다이에틸 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였다. 건조후에, 다이에틸 에테르를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수득된 유성 물질로부터 용출제로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세인의 1:3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목적하는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0.28 g(수율 67%)을 백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3.93(6H, s), 6.19(1H, s), 6.34(1H, t), 7.37-7.43(1H, m), 7.63-7.6 9(2H, m).
하기 화합물을 상기 언급한 합성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트라이아진-2-일)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1H-NMR(300MHz, CDCl3)δ4.10(6H, s), 6.48(1H, t), 7.36(1H, m), 7.45(1H, t), 7.55(1H, d), 9.08(1H, s).
합성예 4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2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0.83 g(2.04 밀리몰)을 메탄올(30 ㎖)에 용해시키고, 5 ℃로 냉각한 후 붕수소화나트륨 0.15 g(4.07 밀리몰)을 교반하면서 거기에 가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수득된 결정을 물 및 다이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시트르산으로 중화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3회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에, 다이클로로메테인을 감압하에 증류시켜 목적하는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N-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닐라이드 0.79 g(수율 95%)을 백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3.99(6H, s), 4.99(1H, br), 5.99(1H, s), 6.24(1H, s), 6.76(1H, t), 7.27-7.30(1H, m), 7.39-7.42(1H, m), 7.64-7.67(1H, m), 10.62(1H, br).
상기 언급한 합성예 1 내지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된 화합물들을, 합성예 1 내지 4에서 합성된 화합물과 함께 하기 표 1에 나타내고, 그들의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3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4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5
참고예 1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6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카보닐]아닐린 2.68 g(9.67 밀리몰)을 메탄올(80 ㎖)에 용해시키고, 5 ℃로 냉각한 후 붕수소화나트륨 0.73 g(19.33 밀리몰)을 교반하면서 거기에 가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수득된 결정을 물 및 다이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3회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에, 다이클로로메테인을 감압하에 증류시켜 목적하는 2-플루오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하이드록시메틸]아닐린 2.66 g(수율 98%)을 백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3.94(6H, s), 4.74(3H, m), 5.84(1H, d), 5.94(1H, s), 6.66-6.73(1H, m), 6.88-6.95(1H, m), 7.13-7.15(1H, m).
참고예 2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7
2-클로로-6-[1-(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1-메틸티오메틸]아닐린 0.6 g(1.84 밀리몰) 및 0.88 g(3.68 밀리몰)의 염화니켈(II) 육수화물의 메탄올 용액 10 ㎖에 0.28 g(7.37 밀리몰)의 붕수소화나트륨을 0 내지 10 ℃에서 가하고,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증류한 후, 수성 암모니아 및 다이클로로메테인을 가하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3회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에, 다이클로로메테인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수득된 결정을 n-헥세인으로 세척하여 목적하는 2-클로로-6-[(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메틸]아닐린 0.48 g(수율 93%)을 백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3.91(6H, s), 4.01(2H, s), 5.18(2H, s), 5.81(1H, s), 6.62-6.67(1H, m), 7.14-7.17(2H, m).
참고예 3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8
2-클로로아닐린 5.2 g(26.0 밀리몰)을 다이클로로메테인(200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70 ℃로 냉각하였다. 냉각된 용액에 3급-뷰틸 하이포클로라이트 2.82 g(26.0 밀리몰)의 다이클로로메테인(10 ㎖) 용액을 적가하고, 용액을 -70 ℃에서 10 분간 교반하였다. 수득된 반응 용액에 2-메틸티오메틸-4,6-다이메톡시피리미딘 3.38 g(26.0 밀리몰)의 다이클로로메테인(20 ㎖) 용액을 적가하고 용액을 -70 ℃에서 40 분간 교반하였다. 수득된 반응 용액에 28% 나트륨 메톡사이드 메탄올 용액(9 ㎖)을 가하고 실온이 될 때까지 용액을 교반하였다. 물을 반응 용액에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수층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2회 더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에, 다이클로로메테인을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수득된 유성 물질로부터 용출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세인의 1:8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클로로-6-[1-(4,6-다이메톡시피리미딘-2-일)-1-메틸티오메틸]아닐린 7.00 g(수율 83%)을 유성 물질로서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2.04(3H, s), 3.93(6H, s), 5.07(1H, br), 5.14(1H, s), 5.90(1H, s), 6.67(1H, t), 7.19(1H, dd), 7.42(1H, dd).
비교 화합물
C-1
Figure 112006071519610-PCT00019
(C-1은 WO 96/41799 호에 개시된 유사 화합물이다)
C-2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0
(C-2는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44546/2000 호에 개시된 유사 화합물이다)
시험예 1
논 잡초에 대한 제초제 효과에 대한 시험
활성 화합물의 제형의 제조
담체: DMF 5 중량부, 유화제: 벤질옥시 폴리글라이콜 에테르 1 중량부
1 중량부의 활성 화합물을 상기 언급한 양의 담체 및 유화제와 혼합하여 활성 화합물의 제형을 유화성 농축물로 수득하였다. 규정된 양의 제형을 물로 희석하였다.
온실에서, 사이르퍼스 준코이데스 록스버그(Scirpus juncoides Roxburgh), 모노코리아 바기날리스 프레슬(Monochoria vaginalis Presl), 일년생 활엽 잡초(린더니아 프로컴벤스 필콕스(Lindernia procumbens Philcox), 로탈라 인디카 코엔(Rotala indica Koehne), 엘라틴 트라이안드라 슈크(Elatine triandra Schk), 암마니아 멀티플로라 록스브(Ammannia multiflora Roxb) 등), 사이페루스 세로티누스 로트보엘(Cyperus serotinus Rottboel)의 씨 또는 괴경을 논 흙으로 채운 500 ㎝2의 화분에 접종하였다. 그 다음, 물을 약 2 내지 3 ㎝의 깊이까지 부었다. 접종한지 5 일 및 13 일 후에, 전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각 활성 화합물의 제형의 희석 용액을 물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처리후에 3 ㎝의 물 깊이를 유지하고, 처리한지 3 주후에 제초제 효과를 검사하였다.
제초제 효과는 완전히 죽은 경우 100%로, 제초제 효과가 없는 경우 0%로 등급을 정했다. 80%보다 높은 제초제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제초제로서 실용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특정 예로서 화합물 번호 1, 3, 11 및 17 및 비교 화합물 C-1에 의한 연구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1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2
시험예 2
논 잡초에 대한 잔류 효과에 대한 시험
온실에서, 1000 ㎝2의 화분에 논 흙을 채우고 물을 약 2 내지 3 ㎝의 깊이까지 부었다. 전술한 시험예 1의 규정된 희석 용액을 물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처리하고 규정된 시간 후에(처리 직후, 처리후 1 주, 2 주, 3 주, 4 주, 5 주, 6 주 및 7 주), 사이르퍼스 준코이데스 록스버그, 모노코리아 바기날리스 프레슬, 일년생 활엽 잡초(린더니아 프로컴벤스 필콕스, 로탈라 인디카 코엔, 엘라틴 트라이안드라 슈크, 암마니아 멀티플로라 록스브 등), 사이페루스 세로티누스 로트보엘사기타리아 피그메아 미크(Sagittaria pygmaea Miq.)의 씨 또는 괴경을 접종하였다. 접종한지 3 주후에 각각의 제초제 효과를 검사하였다.
잔류 효과의 평가는, 제초제 효과 평가를 전술한 시험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한 후, 80%보다 높은 제초제 효과를 유지하는 기간(주 수)으로 나타내었다.
특정 예로서 화합물 번호 1 및 11, 및 비교 화합물 C-1 및 C-2에 의한 연구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3
시험예 3
설포닐유레아 내성 잡초에 대한 제초제 효과에 대한 시험
온실에서, 사이르퍼스 준코이데스 록스버그(홋카이도의 이와미자와 지역에서 수집), 린더니아 프로컴벤스 필콕스(사이타마현의 카조 지역에서 수집), 린더니아 프로컴벤스 필콕스(히로시마현의 히가시-히로시마 지역에서 수집), 엘라틴 트라이안드라 슈크(사이타마현의 카조 지역에서 수집)(이들은 모두 설포닐유레아 내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의 씨를 논 흙을 채운 20 ㎝2 컵에 접종하였다. 그 다음, 물을 약 2 내지 3 ㎝ 깊이로 부었다. 각각의 잡초가 나오기 시작할 때, 전술한 시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각 활성 화합물의 제형의 규정된 희석 용액을 물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처리후에, 3 ㎝의 물 깊이를 유지하고 처리하고 3 주후에 제초제 효과를 검사하였다. 제초제 효과의 평가는 전술한 시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80%보다 높은 제초제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제초제로서 실용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상이한 지역에서 성장한 식물의 제초제 내성을 포함하여 생물학적 성질이 상이할 수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이한 두 지역에서 수집한 설포닐유레아 내성 린더니아 프로컴벤스 필콕스를 본 시험에 사용하였다. 특정 예로서 화합물 번호 1, 3, 11 및 17 및 비교 화합물 C-1에 의한 연구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4
시험예 4
이식 벼에 대한 식물독성에 대한 시험
이식된 벼에 대한 식물독성은 2 ㎝의 통상적인 깊이보다 더 얕은 식재 깊이하에 논에서 벼 손상을 야기하는 제초제에 대해 엄격한 조건을 모방하는 조건하에서 평가하였다. 온실에서, 2 내지 2.5 엽-단계의 벼(니폰베어(Nipponbare) 변종)를 논 흙으로 채운 1000 ㎝2의 화분에서 3가지 상이한 깊이로 이식하였다. 그 다음, 물을 약 2 내지 약 3 ㎝ 깊이로 부었다. 이식한지 5 일 후에, 전술한 시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각 활성 화합물의 제형의 규정된 희석 용액을 물의 표면에 적용하였다. 처리후에, 3 ㎝의 물 깊이를 유지하고, 처리하고 3 주후에 벼 손상을 검사하였다. 벼 손상은 완전히 죽은 경우 100%로, 손상이 없는 경우 0%로 등급을 정했다. 20% 미만의 손상을 나타내는 경우, 벼 제초제로서 실용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특정 예로서 화합물 번호 11 및 비교 화합물 C-1 및 C-2에 의한 연구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5
시험예 5
직접-파종 벼에 대한 식물독성 및 논 잡초에 대한 제초제 효과에 대한 시험
온실에서, 사이르퍼스 준코이데스 록스버그, 모노코리아 바기날리스 프레슬, 사이페루스 디포미스 엘.(Cyperus difformis L.), 일년생 활엽 잡초(린더니아 프로컴벤스 필콕스, 로탈라 인디카 코엔, 엘라틴 트라이안드라 슈크, 암마니아 멀티플로라 록스브 등) 및 벼(니폰베어 변종 및 RD-23)를 논 흙으로 채운 500 ㎝2의 화분에 접종하였다. 그 다음, 물을 약 0 내지 약 0.5 ㎝ 깊이로 부어 습윤 조건이 되게 하였다. 벼의 2-엽 단계에서, 전술한 시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각 활성 화합물의 제형의 규정된 희석 용액을 식물이 있는 화분위에 분무하였다. 처리 2 일 후에, 3 ㎝의 물 깊이를 유지하고, 처리한지 3 주 및 2 주후에 제초제 효과 및 벼 손상을 각각 검사하였다. 제초제 효과 및 벼 손상은 완전히 죽은 경우 100%로, 효과나 손상이 없는 경우 0%로 등급을 정했다. 80%보다 높은 제초제 효과 및 20% 미만의 손상을 나타내는 경우, 벼 제초제로서 실용적인 것으로 평가한다. 특정 예로서 화합물 번호 3 및 11 및 비교 화합물 C-2에 의한 연구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6
제형예 1(과립)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1(0.4 부), 벤토나이트(몬모릴로나이트)(39.6 부), 활석(58 부) 및 리그닌설포네이트염(2 부)의 혼합물에 물(25 부)을 가하고, 잘 반죽하고, 압출 과립화기에 의해 10 내지 40 메쉬의 과립으로 제조하고, 40 내지 5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2(과립)
0.2 내지 2 ㎜ 범위의 입자 직경 분포를 갖는 점토 광물 입자(99.8 부)를 회전 혼합기에 넣었다. 혼합기를 회전시키면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1(0.2 부)을 액체 희석제와 함께 분무하고 균일하게 습윤시키고 40 내지 5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3(유화성 농축물)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1(30 부), 자일렌(55 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8 부) 및 칼슘 알킬벤젠설포네이트(7 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화성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4(습윤성 분말)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1(15 부), 백 카본(수화 무정형 산화규소 미분) 및 분말 점토의 혼합물(1:5)(80 부),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2 부) 및 나트륨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말린-축합물(3 부)를 분말로 혼합하여 습윤성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5(수분산성 과립)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1(20 부), 나트륨 리그닌설포네이트(30 부), 벤토나이트(15 부) 및 소성 규조토 분말(35 부)을 잘 혼합하고 물을 가하고 0.3 ㎜ 스크린으로 압출시키고 건조하여 수분산성 과립을 수득하였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아마이드 유도체:
    화학식 I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7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Y는 CH 또는 N을 나타내고,
    R1은 수소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는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X가 플루오르 또는 염소를 나타내고, Y가 CH 또는 N을 나타내고,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가 수소 또는 하이드록시를 나타내거나, 또는 R1 및 R2가 그들이 결합된 탄 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3. (a)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및 경우에 따라, 산 결합제의 존재하에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b) R1 및 R2가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C=O를 형성하는 경우,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및 경우에 따라, 산 촉매의 존재하에 산화제와 반응시키거나, 또는
    (c) R1이 수소를 나타내고 R2가 하이드록시를 나타내는 경우,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알칼리 금속 수소화물 착화합물 또는 보레인 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8
    화학식 II
    Figure 112006071519610-PCT00029
    화학식 Ib
    Figure 112006071519610-PCT00030
    화학식 Ic
    Figure 112006071519610-PCT00031
    상기 식에서,
    X, Y, R1 및 R2는 제 1 항에서와 같이 정의된다.
  4.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5. 하나 이상의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논 잡초 및/또는 그 서식지에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
  6. 논 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7.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증량제 및/또는 표면활성제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67020415A 2004-04-01 2005-03-19 제초제로 유용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아닐라이드유도체 KR101169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9197 2004-04-01
JPJP-P-2004-00109197 2004-04-01
JPJP-P-2004-00214777 2004-07-22
JP2004214777 2004-07-22
JPJP-P-2004-00355616 2004-12-08
JP2004355616A JP2006056870A (ja) 2004-04-01 2004-12-08 ジフルオロメタン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及び除草剤
PCT/EP2005/002952 WO2005096818A1 (en) 2004-04-01 2005-03-19 Difluoromethanesulfonyl anilide derivatives useful as herbic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976A true KR20060132976A (ko) 2006-12-22
KR101169483B1 KR101169483B1 (ko) 2012-07-27

Family

ID=3496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415A KR101169483B1 (ko) 2004-04-01 2005-03-19 제초제로 유용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아닐라이드유도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482308B2 (ko)
EP (1) EP1750510B1 (ko)
JP (2) JP2006056870A (ko)
KR (1) KR101169483B1 (ko)
AR (1) AR048448A1 (ko)
AT (1) ATE370655T1 (ko)
AU (1) AU2005230239B2 (ko)
BR (1) BRPI0509403B1 (ko)
CR (1) CR8662A (ko)
DE (1) DE602005002139D1 (ko)
EC (1) ECSP066889A (ko)
ES (1) ES2288740T3 (ko)
WO (1) WO2005096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6871A (ja) 2004-07-23 2006-03-02 Bayer Cropscience Ag スルホンアニリド類の農園芸用殺菌剤としての利用
JP2007106745A (ja) * 2005-09-16 2007-04-26 Bayer Cropscience Ag スルホンアニリド類の除草剤としての利用
JP2007186460A (ja) * 2006-01-13 2007-07-26 Bayer Cropscience Kk 水田用除草剤組成物
JP5030476B2 (ja) 2006-06-01 2012-09-19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混合除草組成物
JP2008201693A (ja) * 2007-02-19 2008-09-04 Bayer Cropscience Ag 水田用混合除草剤組成物
JP2009046418A (ja) * 2007-08-20 2009-03-05 Bayer Cropscience Ag スルホンアニリド類の除草剤としての利用
DE102008037625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8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 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7A1 (de) *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9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30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31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0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 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4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2A1 (de) 2008-08-14 2010-02-25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1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26A1 (de) *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DE102008037632A1 (de) 2008-08-14 2010-02-1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 mit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en
SI3284346T1 (sl) 2010-10-15 2021-11-30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Uporaba herbicidov zaviralcev ALS za zatiranje neželene vegetacije v rastlinah Beta vulgaris, ki so tolerantne na herbicide zaviralce ALS
DE102010042786A1 (de) 2010-10-22 2012-04-26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 Kombination mit einem Dimethoxytriazinyl-substituierten Difluormethansulfonylanilid
JP5801404B2 (ja) 2010-10-22 2015-10-28 バイエル・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ジメトキシトリアジニル置換ジフルオロメタンスルホニルアニリドを含む除草剤の組み合わせ
US8969553B2 (en) 2010-12-21 2015-03-03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Method for producing N-sulfonyl-substituted oxindoles
TWI531566B (zh) 2010-12-21 2016-05-01 拜耳農業科學股份有限公司 製備2-(三羰基)磺醯替苯胺類的方法
KR101950252B1 (ko) * 2011-02-04 2019-02-20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미노페닐피리미디닐알코올 유도체의 제조 방법 및 그 합성 중간체
EA029716B1 (ru) 2011-05-04 2018-05-31 Байер Интеллектчуал Проперти Гмбх Применение гербицидов ингибиторов als для борьбы с нежелательными растениями среди растений brassica, таких как b. napus, толерантных к гербицидам ингибиторов als
US9686994B2 (en) 2012-12-13 2017-06-27 Bayer Cropscience Ag Use of ALS inhibitor herbicides for control of unwanted vegetation in ALS inhibitor herbicide tolerant beta vulgaris plants
CN105325426A (zh) * 2015-10-29 2016-02-17 北京燕化永乐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除草组合物
US20190387739A1 (en) 2016-12-07 2019-12-26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Herbicidal combination containing triafamone and indaziflam
CA3234200A1 (en) 2021-10-15 2023-04-20 Olaf Czarnecki Als inhibitor herbicide tolerant beta vulgaris mutan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44220C2 (uk) * 1991-11-07 2002-02-15 Агрево Юк Лімітед Сульфонаміди,що мають гербіцидну активність,спосіб їх одержання, гербіцидна композиція та спосіб боротьби з бур'янами
DE19521355A1 (de) * 1995-06-12 1996-12-19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Sulfonam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JPH1160562A (ja) * 1997-06-11 1999-03-02 Kumiai Chem Ind Co Ltd スルホンアニリド誘導体及び除草剤
RU2225861C2 (ru) * 1998-07-29 2004-03-20 Ихара Кемикал Индастри Ко., Лтд. Производные ди- или трифторметансульфониланилида,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промежуточные продукты и гербициды
JP3632947B2 (ja) * 1998-07-29 2005-03-30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ジフルオロメタンスルホニルアニリド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JP2006056871A (ja) * 2004-07-23 2006-03-02 Bayer Cropscience Ag スルホンアニリド類の農園芸用殺菌剤としての利用
JP2007106745A (ja) * 2005-09-16 2007-04-26 Bayer Cropscience Ag スルホンアニリド類の除草剤としての利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02139D1 (de) 2007-10-04
US20080312084A1 (en) 2008-12-18
EP1750510B1 (en) 2007-08-22
ECSP066889A (es) 2006-11-24
JP2006056870A (ja) 2006-03-02
AU2005230239B2 (en) 2010-09-30
BRPI0509403A (pt) 2007-08-28
JP4847952B2 (ja) 2011-12-28
ATE370655T1 (de) 2007-09-15
KR101169483B1 (ko) 2012-07-27
AU2005230239A1 (en) 2005-10-20
US7482308B2 (en) 2009-01-27
CR8662A (es) 2008-02-28
JP2007530613A (ja) 2007-11-01
WO2005096818A1 (en) 2005-10-20
US7829703B2 (en) 2010-11-09
AR048448A1 (es) 2006-04-26
EP1750510A1 (en) 2007-02-14
BRPI0509403B1 (pt) 2014-04-22
ES2288740T3 (es) 2008-01-16
US20070197390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483B1 (ko) 제초제로 유용한 다이플루오로메테인설포닐 아닐라이드유도체
TWI382816B (zh) 磺醯苯胺類在充當除草劑上之用途
JP3505195B2 (ja) テトラゾリノン類の水田用除草剤としての利用
WO2005000824A1 (en) Lazolidine derivatives as herbicidal agents
KR20100050512A (ko) 설폰아닐리드 화합물의 제초제로서의 용도
JPH09512256A (ja) N−シアノアリール窒素複素環
CA2078811C (en) Sulphonylaminocarbonyltriazolinones having two substituents bonded via oxygen
DE4228000A1 (de) 3-Aryl-triazin-2,4-dione
JP3571751B2 (ja) テトラゾリノン類の水田用除草剤としての利用
KR100432337B1 (ko) 제초활성테트라졸리논
KR20030011372A (ko) 신규한 테트라졸 유도체
CN100411515C (zh) 用作除草剂的二氟甲基磺酰替苯胺衍生物
KR100418077B1 (ko) N-시아노아릴질소헤테로사이클
JPH08311048A (ja) テトラゾリノン類及びその水田用除草剤としての利用
JPH06263747A (ja) ヘテロアリールオキシアセトアミ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