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245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245A
KR20060131245A KR1020050051529A KR20050051529A KR20060131245A KR 20060131245 A KR20060131245 A KR 20060131245A KR 1020050051529 A KR1020050051529 A KR 1020050051529A KR 20050051529 A KR20050051529 A KR 20050051529A KR 20060131245 A KR20060131245 A KR 20060131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s
pad
display device
driving
driving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허명구
안병재
김성만
김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1245A/ko
Publication of KR2006013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표시장치는 제1 기판 및 ACF를 이용하여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구동칩을 구비한다. 제1 기판은 데이터 라인의 단부에 구비되어 구동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패드들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신호 라인은 어느 하나의 패드와 구동칩간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나머지 패드와 구동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구동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구동칩과 패드들간의 접촉 불량 때문에 비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드, 구동칩, 이방성 도전 필름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 및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동칩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패드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 기판 200 : 제2 기판
300 : 액정층 400 : 구동칩
450 : 게이트 구동회로 500 : 연성회로기판
600 : 이방성 도전 필름 700 :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과 대향하여 결합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패널을 구비한다. 제1 기판은 게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라인, 및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다.
게이트 라인의 단부에는 게이트 패드부가 형성되고, 게이트 패드부는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회로가 연결된다. 데이터 라인의 단부에는 데이터 패드부가 형성되고, 데이터 패드부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회로가 연결된다.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는 칩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기판 상에 실장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칩으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패드부와 게이트 구동회로의 사이 및 데이터 패드부와 데이터 구동회로의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하, ACF)이 개재된다. ACF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를 제1 기판 상에 부착하는 접착 물질 및 접착 물질 내에 분산되어 도전성을 갖는 도전 입자들로 이루어진다.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는 소정의 압력과 온도를 이용한 두 번의 접합 공정을 통해 제1 기판 상에 실장된다. 접합 공정은 ACF를 패드부들의 상부에 부착하고, 구동회로들을 ACF 상에 배치한 후, 구동회로들을 ACF측으로 가압하여 제1 기판 상에 부착한다.
구동회로들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도전 입자들이 패드부들과 구동회로들 사이에 구비되지 못하고, 패드부들의 외측으로 밀려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 입자들이 패드부들 상에 구비되지 못하면 구동회로들과 패드부들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기기 때문에, 게이트 신호나 데이터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액정표시패널은 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수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기판, 신호 라인,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패드 및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신호 라인은 기판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패드들은 신호 라인과 연결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구동부는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패드들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신호라인은 어느 하나의 패드가 구동부와의 전기적 연결이 끊기더라도 나머지 패드를 이용하여 구동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는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 및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7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LP), 상기 액정표시패널(LP)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칩(400),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회로(450) 및 상기 구동칩(400)으로 각종 신호를 제공하는 연성회로기판(5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LP)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PA)을 둘러싼 비표시 영역(PA)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패널(LP)은 제1 기판(100), 상기 제1 기판(100)과 마주하는 제2 기판(200) 및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과의 사이에 구비된 액정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100)의 상기 구동칩(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 라인들(DL),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라인들(GL),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120), 게이트 절연막(130),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 상에 구비된 보호막(140) 및 상기 TFT(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150)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투명 기판(110)상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치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구동칩(400)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상기 제1 투명 기판(110)상에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450)로부터 상기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 시 영역(DA)으로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TFT(120)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구비되고, 스위치 소자로서 동작한다. 상기 TFT(120)는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어 신호 전압을 상기 화소 전극(150)으로 인가하고, 차단한다. 상기 제1 기판(100)은 상기 TFT(120)를 다수 구비하고, 상기 TFT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들 별로 구비된다.
상기 TFT(120)는 상기 제1 투명 기판(110) 상에 구비된 게이트 전극(121), 상기 게이트 전극(121)의 상부에 구비된 액티브 층(122), 상기 액티브 층(122)의 상부에 구비된 오믹 콘택층(123) 및 상기 오믹 콘택층(123) 상에 구비된 소오스 및 드레인 전극(124, 125)을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21)은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증착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21)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21)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네오디뮴(AlNd)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 크롬(Cr), 몰리브덴(Mo)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121)은 단일막으로 형성되나 이중막 또는 삼중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21)이 형서된 상기 제1 투명 기판(110)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은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 이하, PECVD) 방법에 의해 증착되며, 약 4500Å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티브층(122)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 상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121)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믹 콘택층(123)은 상기 액티브층(122)의 상면에 구비되고, n+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믹 콘택층(123)은 중앙부가 제거되어 상기 액티브 층(122)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채널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소오스 전극(124)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125)은 상기 채널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소오스 전극(124)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소오스 전극(124) 및 상기 드레인 전극(125)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된다. 상기 소오스 전극(124)은 상기 소오스 전극(124) 및 상기 드레인 전극(125)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네오디뮴(AlNd)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 크롬(Cr), 몰리브덴(Mo)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전극(124) 및 상기 드레인 전극(125)은 단일막으로 형성되나, 이중막 또는 삼중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TFT(120)가 형성된 상기 제1 투명 기판(110) 상에는 상기 TFT(120)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보호막(140)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막(140)의 상부에는 상기 화소 전극(150)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막(140)은 상기 표시 영역(DA)에서 상기 드레인 전극(125)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일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제1 콘택홀(CH1)을 갖는다.
상기 화소 전극(150)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이하, ITO) 또 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이하, IZO)와 같은 투명성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소 전극(150)은 상기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기판(200)은 상기 제1 기판(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기판(200)은 제2 투명 기판(210), 상기 제2 투명 기판(210) 상에 구비된 컬러필터 층(220) 및 상기 컬러필터 층(220) 상에 구비된 공통 전극(230)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필터 층(220)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LP)의 배면에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소정의 색을 발현한다.
상기 공통 전극(230)은 상기 액정층(300)으로 공통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층(300)은 상기 화소 전극(150)과 상기 공통 전극(230)과의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1 기판(100)의 소오스측에는 상기 구동칩(400)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500)이 구비되고, 게이트측에는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45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칩(400)은 데이터 라인용 칩과 게이트 라인용 칩으로 분리된 두 개 이상의 칩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을 통합한 하나의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450)는 상기 TFT(120)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상기 TFT(12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450)는 상기 구동칩(40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PA)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450)가 상기 구동칩(400)에 내장되는 경우, 상기 구동칩(400)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로 상기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500)은 상기 구동칩(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칩(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칩(4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500)은 제어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나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등이 실장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동칩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PA)에는 상기 각 데이터 라인들(DL)의 단부에 형성된 패드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패드부(160)는 상기 게이트 절연막(130) 상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부(160)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막(140)이 구비된다.
상기 패드부(160)는 제1 패드(161) 및 상기 제1 패드(161)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패드(162)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60)는 두 개의 패드들(161, 162)로 이루어지나, 상기 패드부(160)는 두 개 이상의 패드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61, 162)의 폭은 상기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61, 162)은 하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61, 162)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나,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판(100)에서 패드부들이 형성된 영역은 제1 내지 제4 패드 영역들(P1, P2, P3, P4)로 구획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패드 영역들(P1, P2, P3, P4) 상기 제1 방향(D1)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패드 영역(P1)에는 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2 패드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패드 영역(P2)에는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1 패드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3 패드 영역(P3)에는 상기 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1 패드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4 패드 영역(P4)에는 상기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2 패드들이 구비된다.
예컨대, 두 번째 및 네 번째 데이터 라인들(DL2, DL4)과 연결된 패드부들은상기 제1 패드 영역(P1)에 제2 패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3 패드 영역(P3)에 제1 패드들이 구비된다. 첫 번째 및 세 번째 데이터 라인들(DL1, DL3)과 연결된 패드부들은 상기 제2 패드 영역(P2)에 제1 패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4 패드 영역(P4)에 제2 패드들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비표시 영역(PA)에서 상기 보호막(140)은 상기 패드부(160)를 부분적으로 노출하도록 일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제2 콘택홀(CH2)을 갖는다.
상기 제1 기판(100)은 상기 비표시 영역(PA)에서 상기 보호막(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 전극(1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투명 전극(170)은 각 패드부들과 대 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2 콘택홀(CH2)을 통해 상기 패드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투명 전극(170)은 상기 화소 전극(15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소 전극(150)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소 전극(150)과 함께 형성된다.
상기 패드부들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칩(400)이 실장된다. 상기 구동칩(400)은 배면에는 상기 패드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단자들(410)을 구비한다. 상기 출력 단자들(410)은 상기 패드부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게이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 단자들(410)은 제1 패드들 및 제2 패드들과 대응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출력 단자는 하나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출력 단자들(410)은 하나의 출력 단자와 하나의 패드부(1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패드부들과 대응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700)는 상기 구동칩(400)과 상기 패드부들과의 사이에 개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하, ACF)(6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ACF(600)는 접착성을 갖는 접착 물질(610) 및 상기 접착 물질(610) 내에 분산된 도전 입자들(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 물질(610)은 상기 구동칩(400)을 상기 제1 기판(100)에 부착하고, 상기 도전 입자들(620)은 상기 출력 단자들(410)과 상기 패드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구동칩(400)을 상기 제1 기판(100) 상에 실장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제1 기판(100)의 상기 패드부들이 형성된 영역에 상기 ACF(600)를 부착한다. 상기 ACF(600) 상에 상기 구동칩(400)을 올려놓은 후, 상기 구동칩(400)을 상기 약 1 메가파스칼(megapascal : 이하, ㎫) 정도의 압력과 약 80℃ 정도의 온도로 약 0.8초 동안 가압하여 1차 접합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1차 접합 공정은 상기 구동칩(400)의 위치 등이 바르게 설정되었는가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구동칩(400)을 상기 제1 기판(100)에 완전히 부착하지는 않는다. 상기 1차 접합 공정 후, 상기 구동칩(400)을 약 60㎫ 정도의 압력과 약 205℃ 정도의 온도로 약 5초 동안 가압하여 2차 접합 공정을 진행한다. 이로써, 상기 구동칩(400)은 상기 제1 기판(100) 상에 부착된다.
상기 1차 및 2차 접합 공정 과정에서 상기 구동칩(400)이 가압되면, 상기 도전 입자들(620)이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61, 162)을 눌러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61, 162) 상에 압흔(M)이 남는다. 각 패드들 별로 상기 압흔이 있어야 상기 구동칩(400)과 각 패드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패드(161, 162)와 상기 구동칩(400)의 출력 단자 사이에 상기 도전 입자들(620)이 배치되어야 상기 패드(161, 162)와 상기 구동칩(4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1차 및 2차 접합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이나 상기 액정표시장치(700)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61, 162) 상의 도전 입자들이 상기 제1 패드(161) 또는 상기 제2 패드(162)의 외측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패드(161, 162)와 상기 구동칩(400)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드부(160)는 종래와 달리 두 개 이상의 패드들(161, 162)로 이루어지고, 각 패드들(161, 162)은 서로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칩(400)과의 전기적으로 연결 또한 분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부(160)는 상기 도전 입자들이 유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61, 162) 중 어느 하나의 패드와 상기 구동칩(400)간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나머지 패드가 상기 구동칩(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칩(4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700)는 구동칩(400)과 패드들간의 접촉 불량 때문에 비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패드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패드부(180)는 제1 패드(181) 및 상기 제1 패드(181)로부터 상기 제2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패드(18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81, 182)의 폭은 상기 데이터 라인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81, 182)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나,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판(100)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81, 182)과 연결된 제1 및 제2 서브 라인들(SL1, SL2)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1 서브 라인(SL1)은 상기 제2 서브 라인(SL2)과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라인들(SL1, SL2)은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81, 182) 중 어느 하나의 패드와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의 패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 라인은 상기 패드부(160)와의 연결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81, 182)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3 패드(18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3 패드(183)는 상기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고, 연결된 데이터 라인 및 상기 서브 라인들(SL1, SL2)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81, 182)과 연결된다. 상기 제3 패드(183)의 폭은 상기 데이터 라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패드들(181, 182)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80)는 하나의 제3 패드(183)를 구비하나, 상기 제3 패드(183)를 다수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판(100)에서 패드부들이 형성된 영역은 제1 내지 제4 패드 영역들(P1, P2, P3, P4)로 구획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패드 영역들(P1, P2, P3, P4) 상기 제1 방향(D1)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패드 영역(P1)에는 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3 패드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패드 영역(P2)에는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및 2 패드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3 패드 영역(P3)에는 상기 짝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1 및 제2 패드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4 패드 영역(P4)에는 상기 홀수 번째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제3 패드들이 구비된다.
예컨대, 두 번째 및 네 번째 데이터 라인들(DL2, DL4)과 연결된 패드부들은상기 제1 패드 영역(P1)에 제3 패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3 패드 영역(P3)에 제1 및 제2 패드들이 구비된다. 첫 번째 및 세 번째 데이터 라인들(DL1, DL3)과 연결된 패드부들은 상기 제2 패드 영역(P2)에 제1 및 제2 패드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4 패드 영역(P4)에 제3 패드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드부(180)는 종래와 달리 두 개 이상의 패드들(181, 182, 183)로 이루어지고, 각 패드들(181, 182, 183)은 서로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칩(400)(도 2 참조)과의 전기적으로 연결 또한 분산된다.
이에 따라, 상기 ACF(600)(도 2 참조)의 도전 입자들이 유동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패드들(181, 182, 183) 중 어느 하나의 패드와 상기 구동칩(400)간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나머지 패드가 상기 구동칩(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칩(4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700)는 구동칩(400)과 패드들간의 접촉 불량 때문에 비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장치는 제1 기판 및 ACF를 이용하여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구동칩을 구비하고, 제1 기판은 데이터 라인의 단부에 구비되어 구동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를 포함한다. 패드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패드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동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분산된다.
따라서, 패드부는 어느 하나의 패드와 구동칩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기더라도 나머지 패드와 구동칩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구동칩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구동칩과 패드들간의 접촉 불량 때문에 비정상적인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
    상기 신호 라인과 연결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패드들; 및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패드들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들은 제1 및 제2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패드와 연결된 서브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구동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들은 하나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은 상기 출력 단자를 다수 구비하고, 상기 출력 단자들은 상기 패드들과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상기 패드들 상에 고정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50051529A 2005-06-15 2005-06-15 표시장치 KR20060131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29A KR20060131245A (ko) 2005-06-15 2005-06-15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29A KR20060131245A (ko) 2005-06-15 2005-06-15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245A true KR20060131245A (ko) 2006-12-20

Family

ID=3781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529A KR20060131245A (ko) 2005-06-15 2005-06-15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12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2803B2 (en) 2015-01-14 2016-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2803B2 (en) 2015-01-14 2016-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19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05755B2 (ja) 表示基板及びそ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7796228B2 (en) Displ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218098B2 (en) Display panel with an electrostatic protection member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3009884B1 (en) Flat pane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KR20070062005A (ko) 연성회로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어셈블리
KR10172849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60442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US964545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1424093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検査方法
JP2007024963A (ja) 液晶表示装置
KR101365118B1 (ko) 표시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060158577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093573A (ko) 어레이 기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2730A (ko) 표시장치
KR101127960B1 (ko) 타일링 기술을 이용한 대화면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1969569B1 (ko) 액정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146533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갖는 액정 표시패널
KR20080013163A (ko) 마스크, 이를 이용한 표시기판 및 표시기판 제조 방법
US20070132931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KR20070081734A (ko) 광학 보상용 복굴절 액정 표시 패널
KR20060131245A (ko) 표시장치
KR101189155B1 (ko)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30026072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4123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