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630A -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 Google Patents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630A
KR20060128630A KR1020060031062A KR20060031062A KR20060128630A KR 20060128630 A KR20060128630 A KR 20060128630A KR 1020060031062 A KR1020060031062 A KR 1020060031062A KR 20060031062 A KR20060031062 A KR 20060031062A KR 20060128630 A KR20060128630 A KR 20060128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ch
support
base frame
shaft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046B1 (ko
Inventor
유헤이 시오쿠라
유타가 나가노
유타가 미우라
순스게 오구
Original Assignee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베드나 진찰대 등의 앙와대(仰臥臺)의 측부의 끝으로부터 적절하게 떨어진 위치에 지주부재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지지하고, 지주부재에, 그립이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의 앙와대(仰臥臺) 장착형 도움장치(介助裝置)의 종래의 것으로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의 격납이 번거롭거나, 연설용 부재로서의 연결 조절 막대를 기부(基部) 프레임에, 덜컹거림 없이 연결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여, 덜컹거림 없이 연결하고자 하면, 착탈에 손이 많이 가는 구조가 되어 버리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앙와대(1)의 기부 프레임(2)의 길이부재(4)에 연설용 부재(7)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설용 부재를 앙와대의 측부에 연설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의 타단에 지주부재(18)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지주부재에 도움부재(31)를 지지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앙와대, 기부 프레임, 연설용 부재, 지주부재, 감합통

Description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Assistive device attached to lying furniture such as a 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의 구성요소를 확산도적으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사용상태로 한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확대도.
도 4는 도 2의 구성의 오목부의 일부 단면 확대도.
도 5는 다른 오목부를 확대하여 각 구성요소를 확산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사용상태로 한 오목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각 구성요소를, 반대의 위치에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용상태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의 사용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에 있어서, 연설용 부재와 지주부재를 앙와대의 기부 프레임으로부터 뺀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에 있 어서, 연설용 부재로부터 지주부재를 뺀 상태의 확산도적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앙와대(베드, 진찰대 등) 2 : 기부 프레임
3 : 상부 4 : 길이부재
5 : 결합부재(감합 통) 6 : 개구부
7 : 연설용 부재 8 : 지지 막대
9 : 클램프장치 10 : 조작 레버
11 : 회동축 12 : 축부재
13 : 지지봉 14 : 제 1 협지부재
15 : 제 2 협지부재 16 : 결합 구멍
17 : 돌출부 18 : 지주부재
19 : 지지 막대 20 : 감합 통
21 : 개구부 22 : 클램프장치
23 : 회동축 24 : 조작 레버
25 : 축부재 26 : 봉
27 : 결합 돌출부 28 : 연결용 판
29 : 후크형 결합부 30 : 지지부
31 : 도움부재 32 : 그립부
33 : 종형 편평 지지봉 34 : 가동 협지판
35 : 클램프장치 36 : 조작 레버
37 : 회동축 38 : 축부재
39 : 봉 40 : 결합 돌출부
41 : 연결용 부재 42 : 각 파이프부재
43 : 결합부 44 : 장착 구멍
45 : 결합부재
[특허문헌1] 특허 제2965145호 공보
[특허문헌2] 특허 제2965146호 공보
[특허문헌3] 특허 제2965148호 공보
[특허문헌4] 특허 제3035859호 공보
본 발명은, 베드나 진찰대 등의 앙와대(仰臥臺)의 측부의 끝으로부터 적절하게 떨어진 위치에 지주부재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지지하고, 지주부재에, 그립이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의 앙와대(仰臥臺) 장착형 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드의 사용자가, 베드에 올라가고 내려올 때에, 신체의 유지를 용이하고 확 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움장치가 종래부터 각종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움장치의 하나의 형식으로서, 앙와대의 측부의 끝으로부터 적절하게 떨어진 위치에 지주부재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지지하고, 지주부재에, 그립이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의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가 있고, 이러한 형식의 도움장치는, 지주부재를 베드의 기부 프레임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봉을 마루와 천장의 사이에서 버텨 지지하는 형식의 것보다도 설치의 자유도가 높고, 더구나 지주부재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형식의 도움장치의 종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 내지 4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우선,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은,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움수단으로서의 복수의 폴(a; 폴)을 세워 설치한 상태로 지지한 지주부재(b)의 기부(c)에, 베드측부로부터의 연설(延設)용의 부재로서 연결 조절 막대(d)의 일단을 장착하고, 이 연결 조절 막대(d)의 타단을, 연결수단(e)으로부터, 베드(f)의 기부 프레임(g)의 직교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이다. 연결수단(e)은, 상측 부재(h)와 하측 부재(i)와, 이들을 연결하는 볼트(도시 생략)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부재(h)와 하측 부재(i)에 의해 기부 프레임(g)과 연결 조절 막대(d)를 직교상태로 협지하는 구성이다.
다음에 특허문헌2에 기재된 것은, 특허문헌1과 대강 같은 구성이지만, 폴은 한 쌍의 것을 베드의 폭방향에 배치한 구성이다.
다음에 특허문헌3에 기재된 것은, 특허문헌1 또는 2와 같이 베드의 기부 프 레임에 연결하는 연결 조절 막대를, 1개의 봉으로서 구성하고, 그 단부에 폴을 세워 설치하고, 이것에 연질(軟質)의 그립을 장착시키거나, 장환(長環)형의 도움(介助) 파이프를 장착하는 구성이다.
또 특허문헌4는, 특허문헌3과는 달리, 연결 조절 막대는 병치한 한 쌍의 봉으로서 구성하고, 이들의 단부에 한 쌍의 폴을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이들의 상단을 일체로 구성하여, 폴에 장환형의 도움 파이프를 장착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베드 장착형 도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1. 연결 조절 막대와 폴 또는 지주부재는 착탈을 할 수 없거나, 또는 착탈에 손이 많이 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들을 일체로 격납할 필요가 있어, 큰 격납 스페이스가 필요하고, 번거롭기도 하다.
2. 연설용 부재로서의 연결 조절 막대를 기부 프레임에, 덜컹거림 없이 연결하는 것이 비교적 곤란하고, 덜컹거림 없이 연결하고자 하면, 착탈에 손이 많이 가는 구조가 되어 버린다.
3. 연결 조절 막대의 단부 또는 연결 조절 막대의 연장상에 장착한 지주부재의 기부에 폴이 세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폴 또는 그것에 장착한 장환형의 도움 파이프를 사용할 때에, 연결 조절 막대가 발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앙와대(仰臥臺)의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에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설용 부재를 앙와대의 측부에 연설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의 타단에 지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지주부재에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앙와대의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에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설용 부재를 앙와대의 측부에 연설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의 타단 가로측에 지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지주부재에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의 전방에 지지 막대를 돌출 설치하고, 기부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 막대를 감합하는 감합 통을 설치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와 길이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한 구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감합 통은,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에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한 구성, 또는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각도를 갖게 하여 설치한 구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기부 프레임은, 앙와대의 길이방향에 병치한 길이부재와, 이들을 결합하는 폭방향의 결합부재로 구성하는 것으 로 하고, 감합 통은 결합부재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감합 통은, 앙와대의 양쪽의 측부측에서 연설용 부재의 지지 막대를 감합 가능하게 기부 프레임에 설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항의 클램프장치는,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와, 조작 레버의 회동축보다도 떨어진 위치에서, 이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축부재와, 이 축부재에 돌출 설치한 지지봉과, 지지봉의 선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한 제 1 협지부재와,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의 하부 전방으로 돌출 설치한 제 2 협지부재로 구성하고, 제 2 협지부재의 앞측에 결합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 협지부재에,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축부재에 대하여 오버센터 토글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범위를 설정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지주부재의 하단측의 가로방향에 지지 막대를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의 타단측에, 연설용 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상기 지지 막대를 감합하는 감합 통을 설치하는 동시에, 지주부재와 연설용 부재를 고정하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항의 클램프장치는, 연설용 부재의 타단측의 상측에, 연설용 부재의 길이방향의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 와, 조작 레버의 회동축보다도 떨어진 위치에서, 이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축부재와, 축부재에 돌출 설치한 봉과, 봉의 선단에 설치한 결합 돌출부와, 지주부재의 하단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연결용 판과, 이 연결용 판의 상부에 설치한 후크형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축부재에 대하여 오버센터 토글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범위를 설정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전항의 조작 레버의 회동축을 연설용 부재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시켜 좌우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는 일단을 앙와대의 기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길이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앙와대의 측부에 연설하는 연설용 부재와, 이 연설용 부재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세워 설치시키고, 그 상부측에 도움부재의 장착부를 구성한 지주부재로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설용 부재를 기부 프레임으로부터 빼는 동시에 지주부재를 연설용 부재로부터 빼어 격납할 수 있어, 격납을 작은 스페이스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주부재를 연설용 부재의 단부 가로측에 연결하는 것에서는, 연설용 부재를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설한 경우에도, 연설용 부재로부터 어긋나 배치되어, 사용시의 발의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스페이스는 필수는 아니고, 지주부재는 연설용 부재의 단부의 상측에 연결할 수 있다.
연설용 부재를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적절한 각 도를 갖고 연설함으로써, 지주부재를 연설용 부재의 단부 가로측에 연결하지 않고, 사용시에 있어서의 발을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설용 부재와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의 연결은,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의 전방으로 돌출 설치한 지지 막대를 기부 프레임에 설치한 감합 통체에 감합한 상태로 클램프장치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장치이어도 견고하게 연결을 할 수 있고, 덜컹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감합 통체는, 앙와대의 양쪽의 측부측에 있어서 연설용 부재의 지지막대를 감합 가능하게 기부 프레임에 설치하면, 앙와대의 양쪽의 측부의 어느 측에나 지주부재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지주부재를 연설용 부재의 단부 가로측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지주부재의 일단측의 전방으로 돌출 설치한 지지막대를, 연설용 부재에 설치한 감합 통체에 감합한 상태로 클램프장치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장치이어도 견고하게 연결을 할 수 있고, 덜컹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클램프장치는, 연설용 부재의 단부의 양쪽의 옆측에서 연결을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고, 연설용 부재에 대한 지주부재의 배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클램프장치로서는, 오버센터 토글기구를 이용한 것으로 하면, 용이한 조작으로 확실하게 연결을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들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의 구성요소를 확산도적으로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또한 도 2는 각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사용상태로 한 전체 사시도이다.
부호 1은 베드나 진찰대 등의 앙와대를 도시하는 것이고, 2는 기부 프레임, 3은 기부 프레임(2)의 위쪽에 적절한 승강 기구, 도시하는 경우에는 팬터그래프(pantograph)식 승강 기구를 통해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 상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앙와대(1)는 적절한 구성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부 프레임(2)은, 앙와대의 길이방향에 병치한 한 쌍의 길이부재(4)와, 이들을 결합하는 폭방향의 결합부재(5)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이 중, 도면 중 부호를 붙인 결합부재(5), 도면에 있어서는 2개의 결합부재는 통으로서 구성하고, 양단을 길이부재(4)의 외측면으로 개구시켜, 후기 감합 통을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개구부를 부호 6으로 도시한다.
다음에 부호 7은 연설용 부재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연설용 부재(7)는, 가늘고 긴 프레임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연설용 부재(7)의 일단측의 전방에는, 상술한 결합부재 겸용의 감합 통(5) 내에 감합 가능한 지지 막대(8)를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7)와 길이부재(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프장치(9)를 설치하고 있다.
그래서 다음에, 클램프장치(9)의 도시예를, 오목부를 확대한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클램프장치(9)는, 연설용 부재(7)의 일단측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10)와, 조작 레버(10)의 회동축(11)보다도 떨어진 위치에서, 이 회동축(11)과 평행한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축부재(12)와, 이 축부재(12)에 돌출 설치한 지지봉(13)과, 지지봉(13)의 선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한 제 1 협지부재(14)와, 연설용 부재(7)의 일단측의 하부 전방으로 돌출 설치한 제 2 협지부재(15)로 구성하고, 제 2 협지부재(15)의 앞측에 결합 구멍(16)을 설치하는 동시에, 제 1 협지부재(14)에, 결합 구멍(16)에 결합하는 돌출부(17)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10)는, 상기 축부재(12)에 대하여 오버센터 토글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범위를 설정한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0)를 위쪽으로 회동시키고, 축부재(12), 따라서 제 1 협지부재(1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위쪽으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로, 연설용 부재(7)를 눌러, 전방의 지지 막대(8)를 감합 통(5) 내에 감합하고, 제 2 협지부재(15)를 기부 프레임(2)의 길이부재(4)의 하측에 넣는 동시에, 제 1 협지부재(14)는 길이부재(4)의 상측을 넘기고, 이어서 그 하부의 돌출부(17)를 제 2 협지부재(15)의 결합 구멍(16)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로 조작 레버(10)를 아래쪽으로 회동하면, 축부재(12)가 점차로 당겨지기 때문에, 제 2 협지부재(15)와 결합하고 있는 제 1 협지부재(14)는, 길이부재(4)에 압접하고, 따라서 제 1 부재(14)와 연설용 부재(7)의 전면에 의해서 길이부 재(4)를 협지하게 된다. 이어서 더욱 조작 레버(10)를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지지봉(13)이 회동축(11)의 아래쪽으로 이행하면, 소위 오버센터 토글작용이 생겨, 조작 레버(10)는 아래 쪽에 대한 회동 한계 위치에 유지되고, 따라서, 제 1 협지부재(14)와 연설용 부재(7)의 전면에 의한 길이부재(4)의 협지상태도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설용 부재(7)와 기부 프레임(2)의 길이부재(4)의 연결을, 연설용 부재(7)의 일단측의 전방으로 돌출 설치한 지지 막대(8)를, 기부 프레임(2)에 설치한 감합 통(5)에 감합한 상태로 클램프장치(9)에 의해 행하기 때문에, 착탈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연결을 할 수 있고, 덜컹거림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 도 2 및 이들의 오목부를 확대한 도 5, 도 6, 도 7에 있어서, 부호 1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지주 부재이고, 이 지주 부재(18)의 하단측의 가로방향에 지지 막대(19)를 돌출 설치하고 있고, 또한 연설용 부재(7)의 타단측에는, 연설용 부재(7)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상기 지지 막대(19)를 감합하는 감합 통(20)을 설치하고 있고, 이 감합 통(20)은 양단을 연설용 부재(7)의 측면에 개구시키고 있다. 개구부를 부호 21로 도시한다.
그리고, 연설용 부재(7)와 지주부재(18)에는,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클램프장치(22)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도시하는 클램프장치의 도시예를 나타내면, 클램프장치(22)는, 연설용 부재(7)의 타단측의 상측에, 연설용 부재(7)의 길이방향의 회동축(23)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24)와, 조작 레버(24)의 회동축(23)보다도 떨어진 위치에서, 이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축부재(25)와, 축부재(25)에 돌출 설치한 봉(26)과, 봉(26)의 선단에 설치한 결합 돌출부(27)로 이루어지는 연설용 부재(7)측의 구성요소와, 지주부재(18)의 하단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연결용 판(28)과, 이 연결용 판(28)의 상부에 설치한 후크형 결합부(29)로 이루어지는 지주부재(18)측의 구성요소로 구성하고 있고, 상기 조작 레버(24)는, 상기 축부재(25)에 대하여 오버센터 토글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범위를 설정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지주부재(18)를 연설용 부재(7)의 측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방의 지지 막대(19)를, 연설용 부재(7)측의 감합 통(20) 내에 감합하는 동시에, 연결용 판(28)을 연설용 부재(7)의 상측에 도달하게 한다. 이 이동에 있어서, 조작 레버(24)는 지주부재(18) 방향으로 회동 상승시키고, 봉(26), 그리고 결합 돌출부(27)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두고, 연결용 판(28)이 연설용 부재(7)의 상측에 도달하게 하였을 때에, 결합 돌출부(27)를 후크형 결합부(29)보다도 지주부재(18)측에 도달하게 한다.
이 상태로 조작 레버(24)를 아래쪽으로 회동하면, 축부재(25), 따라서 봉(26) 및 결합 돌출부(27)가 지주부재(18)측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우선, 결합 돌출부(27)가 후크형 결합부(29)에 결합한다. 또 조작 레버(24)를 아래쪽으로 회동하면, 결합 돌출부(27)가 후크형 결합부(29)를 더욱 잡아 당기기 때문에, 지주부재(18)의 연결용 판(28)측의 면과, 연설용 부재(7)의 측부의 면이 압접하게 된다. 이어서 또 조작 레버(24)를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봉(26)이 회동축(23)의 아래쪽으로 이행하면, 소위 오버센터 토글작용이 생기고, 조작 레버(24)는 아래 쪽에 대한 회동 한계 위치에 유지되며, 따라서, 지주부재(18)의 연결용 판(28)측의 면과, 연설용 부재(7)의 측부의 면과의 압접상태도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지주부재(18)와 연설용 부재(7)의 연결을, 지주부재(18)의 하단측의 가로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지지 막대(19)를, 연설용 부재(7)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한 감합 통(20)에 감합한 상태로 클램프장치(22)에 의해서 행하기 때문에, 착탈이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연결을 할 수 있고, 덜컹거림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램프장치(22)의 조작 레버(24)의 회동축(23)을 연설용 부재(7)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시켜 좌우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감합 통(20)의 개구부(21)를 연설용 부재(7)의 양측부에 설치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주부재(18)를, 도 2 또는 도 6과는 반대측에 연설용 부재(7)에 연결할 수 있고,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합 통(5)의 개구부(6)를 앙와대(1)의 양쪽의 측부에 구성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앙와대(1)의 양쪽의 측부의 어느쪽의 측에도 연설용 부재(7)를 연결할 수 있고, 따라서 이 어떤 측에나 지주부재(18)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 감합 통(5)은 기부 프레임(2)에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설치하면, 각각을 이용하여 연설용 부재(7)를 연결하여, 지주부재(18)를 다른 위치에 세워 설치 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개시한 동작에 의해, 연설용 부재(7)의 일단측을 기부 프레임(2)의 길이부재(4)에 연결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7)의 타단측에 지주부재(18)를 연결함으로써, 지주부재(18)를, 앙와대(1)의 측부의 끝으로부터 적절하게 떨어진 위치에 지주부재(18)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부재(18)에 설치한 지지부(30)에, 그립이나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절한 도움부재(31)를 지지함으로써, 앙와대(1)의 사용자가, 앙와대(1)에 대하여 올라가고 내려올 때에, 도움부재(31)를 사용하여 신체의 유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램프장치(9, 22)는, 오버센터 토글 기구를 이용한 구성이지만, 이들의 클램프장치(9, 22)는, 기타,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한 구성이면 캠(cam) 등을 사용한 구성이나, 조임 나사를 사용한 구성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주부재(18)와 연설용 부재(7)의 연결과 연설용 부재(7)와 지주부재(18)의 연결의 적어도 한쪽 측은, 클램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다음에, 지지부(30) 및 도움부재(31)의, 도시한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도움부재(31)는 여러가지의 형태에서의 파지(把持)가 가능한 프레임형의 그립부(32)의 하측 가로방향에 종형 편평 지지봉(33)을 설치한 구성이다. 그리고 지지부(30)는 종형 편평 지지봉(33)을 가로방향에 협지하는 구성으로, 전방에 개폐 가능한 가동 협지판(34)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가동 협지판(34)을 닫고 종형 편평 지지봉(33)을 협지하기 위한 클램프장치(35)를 설치하고 있다. 이 클램프장치(35)는, 상술한 클램프장치(22)와 같은 구성이고, 즉,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36) 와, 조작 레버(36)의 회동축(37)보다도 떨어진 위치에서, 이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축부재(38)와, 축부재(38)에 돌출 설치한 봉(39)과, 봉(39)의 선단에 설치한 결합 돌출부(40)로 구성하는 동시에, 가동 협지판(34)에 결합 돌출부(40)의 결합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가동 협지판(34)을 연 상태로 종형 편평 지지봉(33)을 지지부(30)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하고, 그 후, 클램프장치(35)로 가동 협지판(34)을 종형 편평 지지봉(33)에 압접함으로써, 도움부재(31)를 조절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지주부재(18)는, 적절한 승강 기구를 이용하여, 도움부재(31)의 지지부(30)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기구의 예로서, 소위 가스 스프링(gas spring)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과 그 위치에서의 고정을 무단계로 할 수 있는 기구나, 전동식, 스프링식, 나사식 등의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9는 사용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10은 연설용 부재와 지주부재를 앙와대의 기부 프레임으로부터 뺀 상태의 사시도, 또한 도 11은 연설용 부재로부터 지주부재를 뺀 상태의 확산도적 사시도이다. 또,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지주부재(18)는 연설용 부재(7)의 단부의 가로측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연설용 부재(7)의 타단의 상측에 연결한다. 즉, 부호 41은 지주부재(18)의 하부에 장착한 연결용 부재이고, 이 연결용 부재(41)는, 연설용 부재(7)의 타단을 구성하는 병치한 각(角) 파이프부재(42)의 각각에 상측으로부터 결합하는 결합부(43)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결합부(43)와 각 파이프부재(42)의 각각에 대응하는 장착 구멍(44)을 설치한 구성이고, 이들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설치볼트 등에 의해 조임 연결하는 구성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설용 부재(7)의 일단측의 전방에, 앙와대(1)의 기부 프레임(2)의 길이부재(4)의 상하에 결합하는 결합부재(45)를 설치하고, 제 1 실시형태보다도 더욱 견고하게 연결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연설용 부재를 앙와대의 측부에,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연설하고 있지만, 연설용 부재는 상술한 대로,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를 갖게 하여 연설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기 때문에, 산업상의 이용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본 발명의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는, 일단을 앙와대의 기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길이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앙와대의 측부에 연설하는 연설용 부재와, 이 연설용 부재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세워 설치시키고, 그 상부측에 도움부재의 설치부를 구성한 지주부재로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설용 부재를 기부 프레임으로부터 빼는 동시에, 지주부재를 연설용 부재로 부터 빼어 격납할 수 있고, 격납을 작은 스페이스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지주부재를 연설용 부재의 단부 가로측에 연결하는 것에서는, 연설용 부재를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연설한 경우에도, 연설용 부재로부터 어긋나 배치되어, 사용시의 발을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스페이스는 필수가 아니라, 지주부재는 연설용 부재의 단부의 상측에 연결할 수 있다.
3. 연설용 부재를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적절한 각도를 갖게 하여 연설함으로써, 지주부재를 연설용 부재의 단부 가로측에 연결하지 않고, 사용시에 있어서의 발을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4. 연설용 부재와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의 연결 및 지주부재와 연설용 부재의 연결을, 지지 막대를 감합 통에 감합한 상태로 클램프장치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장치이어도 견고하게 연결을 할 수 있고, 덜컹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5. 감합 통은, 앙와대의 양쪽의 측부측에서 지지 막대를 감합 가능하게 기부 프레임에 설치하면, 앙와대의 양쪽의 측부의 어느쪽의 측에도 지주부재를 세워 설치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6. 지주부재는, 연설용 부재의 단부의 양쪽의 가로측에서 연결을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고, 연설용 부재에 대한 지주부재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7. 오버센터 토글 기구를 이용한 클램프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한 조작으 로 확실한 연결을 할 수 있다.

Claims (11)

  1. 앙와대(仰臥臺)의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에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설용 부재를 앙와대의 측부에 연설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의 타단에 지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지주부재에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2. 앙와대의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에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연설용 부재를 앙와대의 측부에 연설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의 타단 가로측에 지주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지주부재에 도움부재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의 전방에 지지 막대를 돌출 설치하고, 기부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 막대를 감합하는 감합 통을 설치하는 동시에, 연설용 부재와 길이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감합 통은, 기부 프레임의 길이부재에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감합 통은, 기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각도를 갖게 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기부 프레임은, 앙와대의 길이방향에 병치한 길이부재와, 이들을 결합하는 폭방향의 결합부재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감합 통은 결합부재를 겸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합 통은, 앙와대의 양쪽의 측부측에서 연설용 부재의 지지 막대를 감합 가능하게 길이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클램프장치는,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와, 조작 레버의 회동축보다도 떨어진 위치에서, 이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축부재와, 이 축부재에 돌출 설치한 지지봉과, 지지봉의 선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한 제 1 협지부재와, 연설용 부재의 일단측의 하부 전방으로 돌출 설치한 제 2 협지부재로 구성하고, 제 2 협지부재의 앞측에 결합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1 협지부재에, 결합 구멍에 결합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축부재에 대하여 오버센터 토글(toggle)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범위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지주부재의 하단측의 가로방향에 지지 막대를 돌출 설치하고, 연설용 부재의 타단측에, 연설용 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상기 지지 막대를 감합하는 감합 통을 설치하는 동시에, 지주부재와 연설용 부재를 고정하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클램프장치는, 연설용 부재의 타단측의 상측에, 연설용 부재의 길이방향의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와, 조작 레버의 회동축보다도 떨어진 위치에서, 이 회동축과 평행한 회동축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축부재와, 축부재에 돌출 설치한 봉과, 봉의 선단에 설치한 결합 돌출부와, 지주부재의 하단측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 설치한 연결용 판과, 이 연결용 판의 상부에 설치한 후크형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축부재에 대하여 오버센터 토글 기구를 구성하도록 회동 범위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회동축을 연설용 부재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시켜 좌우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KR1020060031062A 2005-06-10 2006-04-05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KR101218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71619 2005-06-10
JP2005171619A JP4565560B2 (ja) 2005-06-10 2005-06-10 仰臥台取付型介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630A true KR20060128630A (ko) 2006-12-14
KR101218046B1 KR101218046B1 (ko) 2013-01-18

Family

ID=3750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62A KR101218046B1 (ko) 2005-06-10 2006-04-05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65560B2 (ko)
KR (1) KR101218046B1 (ko)
CN (1) CN1875903A (ko)
TW (1) TW2007019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1935B2 (ja) * 2013-10-11 2018-01-1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介助装置
JP6261936B2 (ja) * 2013-10-11 2018-01-1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仰臥台取付型介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142Y2 (ko) * 1990-05-22 1993-08-24
JP3340277B2 (ja) * 1994-04-11 2002-11-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病弱者リフト装置
JP2914497B2 (ja) * 1996-12-06 1999-06-2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床部昇降機能を備えたベッドに追従する介助手段
JP3553891B2 (ja) * 2001-02-02 2004-08-1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等における小物置兼用介助手段
JP3786589B2 (ja) * 2001-07-24 2006-06-14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046B1 (ko) 2013-01-18
JP2006341017A (ja) 2006-12-21
CN1875903A (zh) 2006-12-13
JP4565560B2 (ja) 2010-10-20
TW200701971A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046B1 (ko) 앙와대 장착형 도움장치
CN111973370B (zh) 一种移位机夹抱装置及工作方法和应用
JP4565643B2 (ja) 支柱取付型介助装置
JPH08192691A (ja) 車輛用荷台の固定装置
JP2005083538A (ja) 機器類支持用ポールのクランプ装置
CN210389231U (zh) 一种工业机器人复合夹具
JP4107804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3126149A (ja) ストレッチャー
JP2970806B1 (ja) ベッド等における格納型側柵
JP5415835B2 (ja) 口腔内吸引装置の吸引管の保持装置
CN218471581U (zh) 一种教学用可滑动鼓身的鼓架
CN213157125U (zh) 一种轮椅跨脚锁定机构
JP3940809B2 (ja) クランプ機構
KR200379961Y1 (ko) 진찰용 의자의 높이조절장치
CN213851658U (zh) 一种骨科护理用牵引架
JP2002078758A (ja) ベッド
KR20110137146A (ko) 다기능 의료용 테이블
JP2001054530A (ja) 介護用おむつ交換補助器
US2930566A (en) Adjustable bed clamps for therapeutic devices
JP2018118403A (ja) 型枠固定構造
CN2609533Y (zh) 手动病椅
JPH1014728A (ja) 支持台
JPH064102B2 (ja) 室内運動器
JP2007205453A (ja) 傘支持装置
JPH0724013A (ja) 介助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