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043A - 가시광 송수신기 부착 휴대전화 단말 - Google Patents

가시광 송수신기 부착 휴대전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043A
KR20060128043A KR1020067020803A KR20067020803A KR20060128043A KR 20060128043 A KR20060128043 A KR 20060128043A KR 1020067020803 A KR1020067020803 A KR 1020067020803A KR 20067020803 A KR20067020803 A KR 20067020803A KR 20060128043 A KR20060128043 A KR 20060128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light
light emitting
portable telephone
communication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나카가와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나카가와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나카가와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06012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3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7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nfrared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축의 어긋남을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에 있어서의 근거리용의 상호 접속을 제공한다.
2개의 휴대전화 단말(130,140)에는, 가시광 수광부(131)와 가시광 발광부(132), 가시광 수광부(141)와 가시광 발광부(142)가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시광 발광부(132)와 가시광 수광부(141), 가시광 발광부(142)와 가시광 수광부(131)를 서로 마주 보게 함으로써, 휴대전화끼리 근거리의 가시광 통신을 실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신에 사용하는 가시광을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축의 어긋남이이 없이 정확하게 2개의 장치를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시광 발광부(131,141)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충분히 강한 빛을 발광할 수 있어, 데이터로 변조된 가시광을 발생할 수 있는 레이저나 SLD(Super Luminescent Diode) 등을 이용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시광 송수신기 부착 휴대전화 단말{PORTABLE TELEPHONE TERMINAL WITH VISIBLE LIGHT TRANSMITTER/RECEIVER}
휴대전화는, 오늘날 일본의 산업을 지지하는 큰 요소이다. 일본에서는 현재 7000만개나 휴대전화 단말이 이용되고 있다. 휴대전화의 단말은 단순히 전화기능에 머물지 않고, 적외선 독해장치를 가지거나, 카메라를 가지며, 화상을 찍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상 인식도 한다. 또한, RF-ID 태그를 가지게 되었다. 휴대전화단말을 가지면, 신용카드의 기능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신분증명서의 기능마저 가지게 되는 것이다. 1990년대 컴퓨터의 시장 위치를 휴대단말이 빼앗을 기세이다.
그러나, 현재의 휴대전화 단말의 통신 방법은, 전파에 의해서 기지국과 연결되거나, 또는 적외선에 의해서 가까운 장치와 연결되거나 하는 것이다. 도 1에, 적외선에 의해서, 같은 적외선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가진 가까운 휴대전화 단말과 접속하고, 전파에 의해서 기지국과 접속하고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휴대단말(20)은, 휴대단말(10)과 적외선 접속하고 있음과 동시에, 기지국(30)과 전파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휴대전화단말의 적외선에 의한 인터페이스는, 지향성이 강한 적외선이 LED (Light Emission Diode)에 의해 만들어지고, 수광부에서는 포토다이오드(PD)에 의 해 적외선이 전기신호로 바뀐다. 적외선에 의한 접속은, 근거리의 장치에 정보를 보내거나, 또는 정보를 받는 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PC(Personal Computer)에도 넓게 보급되어 있는 접속방법이지만, 그다지 이용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적외선의 지향성이 강하여, 축의 어긋남(송신의 빛의 축과 수신의 빛의 축이 어긋나는 것)을 일으키기 쉽다. 게다가, 어긋남이 발생하여도, 적외선 자체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깨닫지 못하고, 수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적외선 접속은 염가이므로 많은 기기에 이용되지만, 이용되는 비율은 낮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적외선에 의한 접속에서는 수정하는 것이 어려웠던, 휴대전화 단말에 있어서의 축의 어긋남을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는 근거리용의 상호접속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나란히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 가시광 수광부와 가시광 발광부를 구비하여, 가시광 통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이다.
상기 가시광 발광부는, 지향성이 강한 가시광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상술의 본 발명의 구성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빛을 보고서, 축의 어긋남이 없이 정확히 2개의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광축이 어긋나 있으면 수정도 용이하다.
[도 1] 종래의 적외선 통신에서, 상호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휴대전화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시광 통신을 실시하는 휴대전화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가시광 통신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휴대전화 단말로부터 발광하는 빛을, 레이저·포인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2개의 휴대전화단말(130,140)에는,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가시광 수광부(131)와 가시광 발광부(132), 가시광 수광부(141)와 가시광 발광부(142)가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시광 발광부(131,141)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충분히 강한 빛을 발광할 수가 있고, 데이터로 변조된 가시광을 발생할 수 있는 레이저나 SLD(Super Luminescent Diode) 등을 이용하고 있다. SLD (Super Luminescent Diode)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높은 휘도와 LED의 낮은 가간섭 성(coherence:可干涉性)을 함께 가진 발광소자이다. 또, SLD에서는, 렌즈계에 의해 충분한 지향성을 얻고 있다. 이러한 가시광을 이용함으로써, 눈을 볼 수 있음에 의해, 축의 어긋남을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외선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통신 거리를 상당히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레이저를 이용하면, 통상의 LED에 비해 고속의 변조가 가능하고, Gbps 이상의 변조도 가능하다. 근거리, 예를 들어서 몇 m라면, 강한 지향성 때문에 거리감쇠는 거의 없고, 멀티 패스도 없으므로, 몇Gbps의 초고속 전송도 가능하고, 유선접속과 같은 극히 짧은 시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도 3에는, 휴대전화 단말(130) 내의 가시광 통신에 관련하는 부분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가시광 수광부(131)에서 수광하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136)에서 복조하여 데이터가 되고, 처리부(137)에서 처리된다. 또한, 처리부 (137)로부터의 데이터는, 변조부(135)에서 변조되어, 가시광 발광부(132)에서 가시광으로 변환된다. 휴대전화 단말(130)에는, 통상 존재하고 있는 전파를 위한 송수신부(138)나 안테나(139) 등도 있지만, 그 이외의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전화 단말(130,1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시광 발광부 (132)와 가시광 수광부(141), 가시광 발광부(142)와 가시광 수광부(31)를 서로 마주 보게 함으로써, 휴대전화끼리 근거리의 가시광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통신에 사용하는 가시광을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축의 어긋남이 없이 정확하게 2개의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통신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시광의 광축이 어긋나 통신이 성립되지 않으면, 눈으로 볼 수 있어 광축 의 어긋남의 수정도 용이하다.
도 4는, 휴대전화의 가시광 발광부(132)로부터의 지향성이 강한 가시광을 이용하여, 레이저·포인터로서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충분히 강하게, 지향성이 있는 가시광을 통신으로 이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도 가능하다.
가시광 통신은, 도 2에 나타내는 휴대전화 단말(130,140) 상호의 통신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와 휴대전화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에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 등에 붙여지는 광고에 가시광의 수광부와 발광부를 형성하여, 가시광 통신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에, 광고측으로부터 광고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지향성이 강한 가시광을 통신에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광고가 있다 하더라도, 목적한 광고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고와 휴대전화 단말과의 거리가 떨어져 있어도 충분히 정보를 받아들일 수도 있다.
광고측의 가시광 통신이 통신망에도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전화 단말측으로부터 광고측으로 강한 지향성의 가시광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신하여, 예를 들면 상품 등을 주문할 수도 있다.

Claims (2)

  1. 나란히 동일 방향으로 설치된 가시광 수광부와 가시광 발광부를 구비하여, 가시광 통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
  2. 상기 가시광 발광부는, 지향성이 강한 가시광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
KR1020067020803A 2004-03-09 2005-03-04 가시광 송수신기 부착 휴대전화 단말 KR20060128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66402 2004-03-09
JP2004066402A JP2005260380A (ja) 2004-03-09 2004-03-09 可視光送受信機付き携帯電話端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043A true KR20060128043A (ko) 2006-12-13

Family

ID=3491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803A KR20060128043A (ko) 2004-03-09 2005-03-04 가시광 송수신기 부착 휴대전화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81739A1 (ko)
EP (1) EP1724951A4 (ko)
JP (1) JP2005260380A (ko)
KR (1) KR20060128043A (ko)
CN (1) CN1930806A (ko)
TW (1) TW200618504A (ko)
WO (1) WO2005086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7120B2 (en) 2009-09-24 2013-04-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xtile-typeinterface devices for optical communication in wearable compu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9872B2 (ja) 2005-11-04 2012-0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機器、可視光通信方法、および回路モジュール
KR100636053B1 (ko) 2005-11-21 2006-10-23 한국광기술원 가시광 통신장치
JP4337814B2 (ja) 2005-12-27 2009-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可視光通信装置、可視光通信システム、可視光通信方法及び可視光通信プログラム
JP2007312204A (ja) * 2006-05-19 2007-11-29 Fujifilm Corp 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装置
KR100856194B1 (ko) * 2006-11-30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KR100866184B1 (ko) 2007-01-29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분할 병렬 가시광 통신에서 가시광 색상 불균형 보정방법 및 장치
US7917034B2 (en) * 2007-04-13 2011-03-29 Motorola Mobility, Inc. Synchronization and processing of secure information via optically transmitted data
US20080253202A1 (en) * 2007-04-13 2008-10-16 Motorola, Inc. Communicating Information Using an Existing Light Source of an Electronic Device
US7974536B2 (en) 2007-09-06 2011-07-05 Motorola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configuring and authenticating data communication links
JP2009153117A (ja) * 2007-11-28 2009-07-09 Fujikura Ltd 可視光通信モジュール
US8297829B2 (en) * 2009-01-13 2012-10-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device with illumination
CN102148641A (zh) * 2011-02-25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之间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GB2491128A (en) * 2011-05-23 2012-11-28 Jenton Internat Ltd Transferring information by scanning a variable optical code
DE102012219335A1 (de) * 2012-10-23 2014-04-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drahtlosen Datenübertragung
US8942564B2 (en) * 2012-11-07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using visible light signals and/or radio signals
US20140187295A1 (en) * 2013-01-03 2014-07-03 Mukesh Kumar Electronic Device Case Capable of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CN103338071A (zh) * 2013-06-08 2013-10-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近距离通信装置及方法
CN103546213A (zh) * 2013-10-16 2014-01-29 深圳市宏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光通信传输方法及系统
CN104660331A (zh) * 2013-11-18 2015-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的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终端
CN103763031A (zh) * 2014-01-27 2014-04-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采用可见光实现通信的无辐射通信终端和通信系统
CN105763255B (zh) * 2014-12-17 2018-04-17 Tcl集团股份有限公司 应用于智能终端的通信连接建立方法、智能终端和服务器
CN104869252A (zh) * 2015-05-19 2015-08-26 广州大学 一种基于LiFi的超高速数据传输移动终端
WO2019093464A1 (ja) * 2017-11-13 2019-05-1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通信装置
CN107911163A (zh) * 2017-12-18 2018-04-13 长春光客科技有限公司 厘米级近距离吉比特无线光通信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8802A (ja) * 1997-05-02 1998-11-17 Nissan Motor Co Ltd 移動電話保持装置及び移動電話機
JP2000201216A (ja) * 1999-01-04 2000-07-18 Mitsugi Ogino 光線による通信機能を持つ電話機
US6556965B1 (en) * 1999-03-24 2003-04-29 Legerity, Inc. Wired and cordless telephone systems with extended frequency range
DE19941678B4 (de) * 1999-09-01 2004-07-15 Infineon Technologies Ag Kommunikationssystem mit Kommunikationsnetz und Informationsempfänger und einzelner Informationsempfänger
JP2001345929A (ja) * 2000-06-06 2001-12-14 Nec Shizuoka Ltd 携帯電話とオプション機器との接続方法
FI112749B (fi) * 2000-06-16 2003-12-31 Nokia Corp Menetelmä matkaviestimen optisen tiedonsiirron toteuttamiseksi, tiedonsiirtoelementti ja matkaviestimen teline
US20030078036A1 (en) * 2001-10-19 2003-04-24 Yuan-Jung Chang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stalling software by wireless identif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7120B2 (en) 2009-09-24 2013-04-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xtile-typeinterface devices for optical communication in wearable compu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4951A1 (en) 2006-11-22
CN1930806A (zh) 2007-03-14
TW200618504A (en) 2006-06-01
WO2005086388A1 (ja) 2005-09-15
JP2005260380A (ja) 2005-09-22
US20070281739A1 (en) 2007-12-06
EP1724951A4 (en)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8043A (ko) 가시광 송수신기 부착 휴대전화 단말
US9118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communication using a retro-reflector
US8005366B2 (en) Reconnection method in peripheral interface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8706815B2 (en) Mobile multi-network communications device
US820438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CN104038284A (zh) 一种可见光通信的系统及方法
CN203933634U (zh) 一种可见光通信的装置
WO2015097490A1 (en) Display having an integrated camera
US20160277107A1 (en) Nonradiativ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visible light for communication
CN201717938U (zh) 一种便携通信装置
EP4160263A1 (en) Terminal device and infrared light transmission method
US20210226702A1 (en) Vlc data forwarding between wearable device and host device
CN111835416B (zh) 电子设备之间的通信系统、方法以及电子设备
CN112153184B (zh) 移动终端
CN112671467B (zh) 一种光通信识别装置
US20090195357A1 (en) Active transmission architecture without battery and application
CN105553570A (zh) 一种基于水下可见光通信的传输系统
KR101270334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N106712845B (zh) 基于rsoa的高速可放大逆向调制反射模块及实现方法
JP2005101853A (ja) 光送信装置および光無線装置
Fan et al. Design of wireless optical access system using LED based android mobile
JP3372630B2 (ja) 携帯用通信機
AU752876B2 (en) A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JP2012157039A (ja) 可視光通信装置
KR101162289B1 (ko) 반사경 광학계를 사용하는 fso 시스템에서 단일 광학계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 장치 및 통신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