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194B1 -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194B1
KR100856194B1 KR1020060120151A KR20060120151A KR100856194B1 KR 100856194 B1 KR100856194 B1 KR 100856194B1 KR 1020060120151 A KR1020060120151 A KR 1020060120151A KR 20060120151 A KR20060120151 A KR 20060120151A KR 100856194 B1 KR100856194 B1 KR 10085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light
ligh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lin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506A (ko
Inventor
신동재
정대광
신홍석
이경우
박성범
현유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194B1/ko
Priority to US11/998,286 priority patent/US20080131140A1/en
Publication of KR2008004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3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탐색하는 과정과,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과정 및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통신 링크가 성립되기 전에 통신 링크 형성을 사용자가 쉽게 할 수 있으며, 가시광 통신 장치 간에 현재 어떤 상태의 통신이 수행 중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링크, 가시광, 인터페이스.

Description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Method For Communication Link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도 1 은 종래의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 과정에 대한 흐름도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1 : 제1적외선 통신 장치 102 : 제2적외선 통신 장치
103 : 적외선 송신기 104 : 적외선 수신기
110 : 적외선 연결 200 : 제1가시광 통신 장치
210 : 제어부 212 : 가시광 통신 송신부
214 : 가시광 통신 수신부 222 : 펄수 생성부
224 : 펄수 복구부 232 : 변조부
234 : 복조부 240 : 메모리부
300 : 제2가시광 통신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링크가 성립되기 전에 통신 링크 형성을 사용자가 쉽게 할 수 있으며, 가시광 통신 장치 간에 현재 어떤 상태의 통신이 수행 중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LED (light emitting diode)의 발광 효율이 개선되고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휴대기기, 디스플레이, 자동차, 신호등, 광고판 등의 특수 조명 시장뿐만 아니라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일반 조명 시장에서도 LED가 보편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백색 LED의 발광 효율은 이미 백열등을 추월하였으며 형광등보다도 우수한 제품들이 출현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RF 대역 주파수 고갈, 여러 무선 통신 기술 간의 혼선 가능성, 통신의 보안성 요구 증대, 4G 무선 기술의 초고속 유비쿼터스 통신 환경 도래 등으로 인하여 RF 기술과 상호 보안적인 광무선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가시광 LED를 이용한 가시광 무선통신에 대한 연구가 여러 기업 및 연구소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
핸드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용 기기, 디지털 카메라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소형 가전 제품의 경우 적외선을 기반으로 하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을 장착해서 기기간 통신을 하는 Peripheral interface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관련 제품도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 있다. 블루투스(bluetooth)나 지그비(zigbee) 등의 RF(radio frequency) 통신과 달리 적외선 무선 통신은 기기간 혼선이 없고 보안이 확실하며 저전력으로 구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주로 개개의제1 및 제2적외선 통신 장치(101, 102) 간의 통신(PtoP : Peerto Peer)에 사용되 며, 각각의 적외선 통신 단말기(101, 102)는 적외선 송신을 위한 LED(Light Emiiting Diode)와 광 변조부로 이루어진 송신부(Transmitter), PD(Photo Diode)와 복조부로 이루어진 수신부(Receiver)를 포함하는 적외선 송수신기(103, 104)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적외선 송수신기(101, 102)간을 마주보게 하여 적외선 연결(110)을 형성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적외선 통신을 위해서는 적외선 송수신기(103, 104)를 새로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게다가 적외선 통신은 그 속도가 수 Mbps로 컨텐츠 전송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를 서로 마주 보게해야 적외선 연결(110)이 이루어지는 어려움이 있다. 현재 표준 단체에서 지정하는 송신기의 Beam divergence는 30도이다. 이 각도에서 벗어나면 적외선을 이용한 통신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
도 2는 종래의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적외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1. Irda Activation(적외선 통신활성화), 2. Device Discovery(외부 적외선 통신장치 탐색), 3. Negotiation(통신 방식 결정), 4. Connection(연결), 5. Data Transfer(데이터 전송), 6. Disconnection(연결 해제), 7. Irda DeActivation(적외선 통신 해제)의 과정들과 같이 1~7의 과정을 거쳐서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보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1~7에 대한 과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제1적외선 통신 장 치(101)는 사용자가 적외선 통신의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정렬할 때 적외선이 불연속적 시간 간격(Time delay)을 두고 출력되어 주변에 적외선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즉 제2적외선 통신 장치(102)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게 된다. 이렇게 불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적외선은 사용자가 통신 링크를 정렬하는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적외선 통신 장치를 대략적으로 지향하여 통신 링크를 정렬하게 된다.
이렇게 종래의 적외선 통신의 경우 통신 링크가 성립하기 전에는 적외선이 송신되지 않으며, 적외선 통신 장치들의 탐색, 탐색 이후 두 장치 간(101, 102)에 링크 연결 과정 또는 두 장치 간(101, 102)에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중간에 링크가 끊어져도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앞으로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가시광선을 이용한 방식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적외선 IrDA 모듈 대신 기술 측면과 가격 측면에서 큰 발전을 하고 있는 가시광 LED를 사용하여 기기간 통신을 하는 방법 또한 제안되고 있다. 가시광 LED를 Peripheral interface 통신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신 경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통신 보안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신 경로의 정렬이 쉬우므로 기존의 적외선 통신보다 광의 확산각을 줄일 수 있어서 고속 통신이나 저전력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 LED를 이용하는 무선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에서 통신 링크가 성립되기 전에 통신 링크 형성 여부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 록 하고, 정상적인 통신 링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현재 어떤 상태의 통신이 수행 중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 정렬하기 위해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3과정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 정렬하기 위해 가시광 신호를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2과정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 과,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 정렬하기 위해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3과정과,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가시광 통시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제4과정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 정렬하기 위해 가시광 신호를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2과정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으로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제어부(210),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와 가시광 통신 수신부(214), 펄스 생성부(222) 및 펄스 복구부(224), 변조부(232), 복조부(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10)는 가시광 통신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210)는 가시광 통신 모드 수행 시 통신 링크가 성립되기 전에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에서 미리 설정된 350~700nm의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0.1sec 이하)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현재 상태가 데이터 통신 중인 상태이면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에서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응답(ACK)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가시광 통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부(240)에 저장한다.
우선,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펄스 생성부(222)는 전송을 위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변조부(232)로 출력한다. 그러면, 변조부(232)는 입력되는 펄스 신호를 가시광 통신에 적합한 신호로 변조하여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로 출력한다.
이때,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는 제어부(2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가 시광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는 350~70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원으로 LD(Laser Diode),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이들의 집합(Array)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다음으로, 가시광 통신 장치(200)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 신호가 가시광 통신 수신부(214)로 입력되면, 가시광 통신 수신부(214)는 입력된 가시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가시광 통신 수신부(214)는 외부에 빛이 입력되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PD : Photo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조부(234)는 입력받은 전기 신호를 가시광 통신 방식에 따른 데이터로 복조한 후 펄스 복구부(224)로 출력한다. 그러면, 펄스 복구부(224)는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복구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의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가시광 통신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에서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한다(S40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측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300)를 데이터가 없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여 탐색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의 통신 링크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0.1sec 이하)으로 출력한다(S410).
이후 사용자가 가시광의 위치와 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를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정렬한다(S420).
이와 같이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 정렬을 완료하면,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한다(S43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부터 통신 링크를 요청받은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는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정렬된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S440). 또한,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지원되는 각종 통신 방식 중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 최적 버전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 300)는 결정된 통신 방식으로 서로 연결을 수행한다(S450).
이후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 상호 연결되면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데이터 전송 시작 명령메시지를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작 명령메시지를 전송하고 나서 보내고자하는 여러 개의 데이터들을 차례대로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는 데이터 전송 시작 명령메시지에 의해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와의 연결을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여러 개의 데이터들을 계속해서 수신하게 된다.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여러 개의 데이터들을 모두 전송하고 나면 데이터 종료 명령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전송 종료 명령메시지를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는 데이터 전송 종료 명령메시지에 따라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가은 데이터 전송 종료 메시지를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하고 나서,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가시광 통신 모드를 해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에서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한다(S60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측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가 성립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불연속적 시간 간격(0.1sec 이하)으로 출력한다(S610).
이후 사용자가 가시광의 위치와 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를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정렬한다(S62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부터 통신 링크를 요청받은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는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 전송하며,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정렬된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S630).
또한,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지원되는 각종 통신 방식 중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 최적 버전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 300)는 결정된 통신 방식으로 서로 연결을 수행한다(S640).
이후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 상호 연결되면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데이터를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한다(S650).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에서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한다(S70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측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데이터가 없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하여 탐색한다. 다시 말하자면,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와의 통신 링크를 정렬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0.1sec 이하)으로 출력한다(S710).
이와 같이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의 탐색을 완료하면,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가시광 신호를 출력한다(S72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부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한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통신 링크를 정렬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0.1sec 이하)으로 출력한다(S730).
이후 사용자가 가시광의 위치와 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와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의 양방향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정렬한다(S74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부터 통신 링크를 요청받은 제2가시광 통신 장 치(300)는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 전송하며, 사용자에 의해 정렬된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와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의 통신 링크가 설정된다(S750).
그리고 제1 및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 300)는 설정된 통신 링크로 서로 연결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S760).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간의 통신 링크 연결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에서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가시광 통신 송신부(212)에 전원을 인가하여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한다(S80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측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가 성립되기 전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불연속적 시간 간격(0.1sec 이하)으로 출력한다(S810).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로부터 통신 링크를 요청받은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는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으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통신 링크를 정렬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불연속적 시간 간격(0.1sec 이하)으로 출력한다(S820).
이후 사용자가 가시광의 위치와 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와 제2가시광 통신 장치(300)의 양방향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정렬한다(S830).
사용자에 의해 정렬된 제1가시광 통신 장치(200)와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의 통신 링크가 설정된다(S840). 그리고 제1 및 제2가시광 통신 장치(200, 300)는 설정된 통신 링크로 서로 연결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S850).
이에 가시광 LED를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통신으로 이용하는 경우 가시광 통신 장치들(200, 300) 간의 통신 링크 연결이 쉬우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감적 효과로 인해 적외선 통신보다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가시광 LED를 이용하는 무선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에서 통신 링크가 성립되기 전에 통신 링크 연결이 쉬우며, 현재 어떤 상태의 통신이 수행 중인지에 대하여 시감적 효과로 인해 적외선 통신보 다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정렬을 유도하기 위해 통신에 사용할 가시광 대역 파장의 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3과정;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시 광의 위치와 범위를 확인하여 정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 데이터 전송 시작을 알리는 데이터 전송 시작 명령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과정과;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제6과정과;
    상기 데이터들의 전송이 완료됨에 따라 데이터 전송 종료를 알리는 데이터 전송 종료메시지를 전송하는 제7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메시지 전송 후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명령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시작 명령메시지에 따라 상기 연결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종료 명령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종료 명령메시지에 따라 상기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신호는 350nm~70nm의 파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9.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정렬을 유도하기 위해 통신에 사용할 가시광 대역 파장의 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2과정과;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시광의 위치와 범위를 확인하여 정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신호는 350nm~70nm의 파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2.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정렬을 유도하기 위해 통신에 사용할 가시광 대역 파장의 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제2과정과;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3과정과;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가시광 통시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는 제4과정;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을 수신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시광의 위치와 범위를 확인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의 통신 링크를 정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신호는 350nm~70nm의 파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6.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가시광 통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1과정과;
    상기 통신 링크의 설정 전에, 사용자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와의 정렬을 유도하기 위해 통신에 사용할 가시광 대역 파장의 광 신호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통신 링크를 요청하는 제2과정과; 및
    상기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의 응답으로 미리 설정된 가시광 신호를 불연속적 시간 간격으로 출력하여 통신 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시광의 위치와 범위를 확인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와 다른 가시광 통신 장치의 통신 링크를 정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신호는 350nm~70nm의 파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KR1020060120151A 2006-11-30 2006-11-30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KR100856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51A KR100856194B1 (ko) 2006-11-30 2006-11-30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US11/998,286 US20080131140A1 (en) 2006-11-30 2007-11-29 Method for communication link connec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51A KR100856194B1 (ko) 2006-11-30 2006-11-30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506A KR20080049506A (ko) 2008-06-04
KR100856194B1 true KR100856194B1 (ko) 2008-09-03

Family

ID=3947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151A KR100856194B1 (ko) 2006-11-30 2006-11-30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31140A1 (ko)
KR (1) KR100856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375B1 (ko) * 2007-07-20 2014-03-20 한국과학기술원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무선 랜 시스템에서 모바일 노드의상태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161176B2 (ja) * 2008-09-26 2013-03-13 太陽誘電株式会社 可視光通信用送信機及び可視光通信システム
US8521034B2 (en) * 2009-02-20 2013-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and channel selection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530096B1 (ko) * 2009-04-30 2015-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무선 랜에서 상향 링크 상태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709348B1 (ko) * 2009-05-08 201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량에 따른 가시적인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US9948392B2 (en) 2009-05-08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sible signal according to amount of data transmission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8620154B2 (en) * 2009-07-31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fast and energy-efficient light recovery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system
US8391720B2 (en) 2009-08-04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providing intuitive inform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321704B1 (ko) * 2009-08-04 2013-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관 정보를 제공하는 가시광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5583999B2 (ja) 2010-03-24 2014-09-03 太陽誘電株式会社 可視光通信用送信機及び可視光通信システム
JP5399975B2 (ja) 2010-05-14 2014-01-29 太陽誘電株式会社 可視光通信用受信機、可視光通信システム、及び可視光通信方法
KR101329877B1 (ko) * 2010-08-19 2013-11-15 주식회사 팬택 가시광 통신 기반의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9031619B2 (en) * 2010-09-30 2015-05-12 Nokia Corporation Visual indication of active speech reception
US20120321321A1 (en) * 2011-06-14 2012-12-20 Scott Riesebosch Methods of communication utilizing an led lamp
US8334898B1 (en) 2011-07-26 2012-12-18 Byte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maging device for the reception of digital pulse recognition information
US8416290B2 (en) 2011-07-26 2013-04-09 Byte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pulse recognition demodulation
US9723676B2 (en) 2011-07-26 2017-08-01 Abl Ip Holding Llc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beacon light source for use in a light based positioning system
US9287976B2 (en) 2011-07-26 2016-03-15 Abl Ip Holding Llc Independent beacon based light position system
US9418115B2 (en) 2011-07-26 2016-08-16 Abl Ip Holding Llc Location-based mobile services and applications
US8248467B1 (en) 2011-07-26 2012-08-21 ByteLight, Inc. Light positioning system using digital pulse recognition
US9787397B2 (en) 2011-07-26 2017-10-10 Abl Ip Holding Llc Self identifying modulated light source
US9444547B2 (en) 2011-07-26 2016-09-13 Abl Ip Holding Llc Self-identifying one-way authentication method using optical signals
US9705600B1 (en) 2013-06-05 2017-07-11 Abl Ip Holding Llc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 communication
JP6184776B2 (ja) * 2013-07-04 2017-08-23 ローム株式会社 可視光通信システム
US9509402B2 (en) 2013-11-25 2016-11-29 Abl Ip Hold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via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RF communication devices and modulated beacon light sources
US10291329B2 (en) * 2013-12-20 2019-05-14 Infineon Technologies Ag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ime-of-flight ranging devices
CN105897968A (zh) * 2016-05-31 2016-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6953691B (zh) * 2017-04-20 2020-02-28 上海第二工业大学 一种上下行时分复用的可见光全双工通信系统及方法
US10438105B2 (en) 2017-06-27 2019-10-08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Electronic label
DE102018217148A1 (de) * 2018-10-08 2020-04-09 Osram Gmbh Beleuchtungssystem mit vlc-datenübertragung und verfahren
CN112672121B (zh) * 2019-10-16 2023-02-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投屏系统、移动终端及控制方法和投影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102A (ko) * 2004-11-08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512A (en) * 1998-01-23 2000-08-15 Motorola, Inc. Method for adjusting the power level of an infrared signal
JP3884862B2 (ja) * 1998-04-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
JP4057468B2 (ja) * 2003-06-03 2008-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伝送機構を備えた照明装置
US20050078961A1 (en) * 2003-10-10 2005-04-14 Chi-Luen Wang System for transmitting signals in free space and method thereof
JP2005260380A (ja) * 2004-03-09 2005-09-22 Nakagawa Kenkyusho:Kk 可視光送受信機付き携帯電話端末
JP4803385B2 (ja) * 2004-08-05 2011-10-2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空間光通信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空間光通信システム
US8051182B2 (en) * 2005-01-28 2011-11-01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circuit
US7583899B2 (en) * 2005-08-05 2009-09-01 Panasonic Corporation Space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spac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8082368B2 (en) * 2006-04-21 2011-12-20 Infortrend Technology, Inc. Display device for indicating connection statuses of a communication channel provided between two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20080085741A1 (en) * 2006-10-10 2008-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102A (ko) * 2004-11-08 200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1140A1 (en) 2008-06-05
KR20080049506A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194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통신 링크 연결방법
KR10136816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에서 재접속방법
KR101375015B1 (ko) 가시광 통신에서 가시성을 유지한 통신 링크 장치 및 방법
JP4653828B2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及び可視光通信装置
US79745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onfiguring and authenticating data communication links
KR101524873B1 (ko) 가시광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91184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communication using a retro-reflector
KR100617679B1 (ko)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무선 단말기
CN103368645B (zh) 室内无线光高速双向通信系统
US201100699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isibility frame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KR10081029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KR100876725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무선 랜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 연결방법
KR20090043059A (ko) 무선 광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CN105959061A (zh) Led到led的半双工通信系统
KR20090008894A (ko) 가시광 통신에서 통신 링크의 정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Sharma et al. Implementation of a simple Li-Fi based system
Deicke et al.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to eco-system
US894225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while supporting scalability in communication system
EP1062736B1 (en) Network-communications link
KR100790181B1 (ko) 조명광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601236A (zh) 一种基于反射原理的可见光通讯系统及方法
CN111669223A (zh) 一种基于LoRa和可见光通信的数据传输系统
KR20120011361A (ko)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O'Brien et 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and other developments in optical wireless
KR20120028781A (ko)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