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439A -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439A
KR20060122439A KR1020050044919A KR20050044919A KR20060122439A KR 20060122439 A KR20060122439 A KR 20060122439A KR 1020050044919 A KR1020050044919 A KR 1020050044919A KR 20050044919 A KR20050044919 A KR 20050044919A KR 20060122439 A KR20060122439 A KR 2006012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extract
helicobacter pylori
urease
epigallocatec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605B1 (ko
Inventor
서영준
강대경
이정상
박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바이오시스템
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바이오시스템, 서영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바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05004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60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urease)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녹차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항균 효과 및 우레아제 저해 효과를 나타내므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암, 위궤양, 위염 등 각종 위장관련 질병의 치료 및 예방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위염과 같은 위장 질환의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음료, 건강 기능식품 등의 기능성 식품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가축의 분뇨에서 우레아제 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개선제로서도 응용할 수 있다.
녹차, 폴리페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Description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The extract of Green Tea having inhibition activity for urease of Helicobacter pylori and the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thereof}
도 1은 우레아의 우레아제-매개 가수분해 작용을 나타낸 반응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녹차 폴리페놀 분획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3a는 인도페놀 방법에 의한 측정결과이고, 도 3b는 페놀레드 방법에 의한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돼지의 분뇨에서 우레아제 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1983년에 호주의 마샬(Marshall)과 워렌(Warren)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위염 및 위궤양 환자의 위점막 생검조식으로부터 그람음성의 만곡형 간균으로 관찰되어, B형 만성위염과 위십이지장 궤양을 유발시키며 위암발생의 일차적 결정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강력은 요소 분해효소인 우레아제(urease)를 분비하여 위액내의 요소(H2NCONH2, urea) 1 분자를 가수분해하여 2분자의 암모니아(NH3)를 형성한다(도 1). 우레아제가 인체 위장관 표피 세포에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을 감염시키고, 콜로니화(colonization)를 돕는 것에 대한 밀접한 관련성이 보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우레아제를 불활성시킨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주는 위점막세포에서 콜로니화하지 못하며, 우레아제 활성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콜로니화에 필수적이라는 보고가 있으며(Eaton K.A., et al., Infect Immun., 59, pp2470-2475, 1991),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는 위액내 pH를 증가시키고, 위 점액층을 손상시키며(Sidebotham R.L., et al., J. Clin. Pathol., 44, pp52-57, 1991), 암모니아 자체가 위점액층 세포의 산소 소비와 미토콘드리아의 ATP 생성을 저해하고(Tsujii M., et al., Gastroenterology, 102, pp1881-1888, 1992), 궁극적으로 암모니아는 모노클로로아민(monochloroamine)을 형성하여 반응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하기 때문에 세포 손상을 유발하여 만성염증을 일으키고, 나아가 DNA 손상을 일으켜 암발생 과정을 촉진시킨다는 보고가 있다(Hahm K.B., et al., Am. J. Gastroenterol., 92, pp1853-1857, 1997).
상기와 같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활성을 저해하기 위해 항생제 요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제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백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병원성에 특이적인 표적인자(antigen)로 알려진 우레아제, VacA, CagA 및 뉴트로필-활성 단백질(neutrophil-activating protein; NAP)과 같은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억제자의 탐색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녹차(綠茶, Thea sinensis L.)는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茶葉)을 사용해서 만든 차로서 잎을 따서 증기로 찌거나 뜨거운 바람으로 산화효소를 비활성화시킨 다음 말린 것이다. 녹차를 처음으로 생산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곳은 중국과 인도이다. 그 후 일본, 실론, 자바, 수마트라 등 아시아 각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중국에 이어 일본이 녹차 생산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녹차에는 정유가 약 0.006%가 있는데 이소부틸알데히드, 이소발레릴알데히드, 메틸에틸아세토알데히드, 길초산, 살리실산메틸, 벤질알코올, 리날로올 등이 함유되어 있다(문관심, 약초의 성분과 이용, p473-474, 1984).
또한, 찻잎에는 차 탄닌이라는 폴리페놀류와 이러한 폴리페놀류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인 폴리페놀 옥시다제(polyphenol oxidase)가 함유되어 있다. 녹차의 주요 폴리페놀 성분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 3-갈레이트((-)-epicatechin 3-galate; ECG) 및 (-)-에피갈로카테킨 3-O-갈레이트((-)-epigallocatechin 3-O- gallate; EGCG)이며, 이러한 녹차 폴리페놀은 화학물질 및 빛에 의한 피부암 발생을 억제하며 이는 주로 녹차의 항산화효과에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녹차 추출물이 위장에 상재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지니거나 항우레아제 활성을 지닌다는 구체적인 보고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우레아제 활성 억제효과를 갖는 녹차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물,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페놀 성분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 3-갈레이트((-)-epicatechin 3-galate; ECG) 및 (-)-에피갈로카테킨 3-O-갈레이트((-)-epigallocatechin 3-O-gallate; EGC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폴리페놀 성분은 건조 녹차잎을 20 ~ 40% 에탄올을 가하여 60 ~ 70℃에서 6 ~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다공성 수지 칼럼을 이용하여 전개시킨 70% 에탄올 전개액을 회수하여 감압 농축하여 추출한 다음,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 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녹차를 완전건조한 후 건조중량에 대하여 약 1배 내지 30배의 물,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20 배의 에탄올을 가하여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95℃, 4~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조추출물을 감압 농축 또는 진공농축시킨 후 생성된 고형분을 희석한다. 그 후, 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분배추출, 바람직하게는 XAD 다공성 수지 칼럼을 이용하여 증류수, 30% 에탄올, 70% 에탄올 순으로 추출한 다음, 70% 에탄올 전개액을 회수하여 다시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휘발시켜 에탄올이 제거된 고형 농축물을 얻은 후, 이온교환 수지칼럼을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로부터 카페인을 제거하여 건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험에 사용한 녹차 폴리페놀은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녹차 추출물을 1% 수용액으로 만든 후, 이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리한 다음,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 3-갈레이트((-)-epicatechin 3-galate; ECG) 및 (-)-에피갈로카테킨 3-O-갈레이트((-)-epigallocatechin 3-O-gallate; EGCG) 분획을 포함하는 폴리페놀 분획물을 정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녹차 폴리페놀은 폴리페놀이 98% 이상이고, 그 중에 카테킨이 80%, EGCG가 60% 이상이 함유되어 있다(도 2).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된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녹차 추출물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항균활성 및 우레아제 활성 저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종균협회 부설 한국미생물보존센타에서 분양받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수탁번호 KCCM 41351)를 사용한다. 우레아제 활성 억제는 인도페놀 방법(Indophenil method) 및 페놀레드 방법(Phenol red method)을 사용하여 스크리닝(screening)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녹차 추출물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우레아제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암, 위궤양, 위염 등 각종 위장관련 질병의 치료 및 예방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가축의 분뇨에서 우레아제 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개선제로서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녹차 추출물은 위장 질환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에 본 발명의 상기 녹차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20 내지 7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위장 질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음료, 환제, 정제 또는 상기 성분을 건조 분말화하여 충진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고, 음료 조성물에는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녹차 추출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 시험예 및 표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 실시예, 시험예 및 표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차 추출물 및 폴리페놀 분획의 수득
건조된 녹차잎에 30% 에탄올을 가하여 60 ~ 70℃로 가온하여 온도를 유지하면서 6 ~ 8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추출액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여액을 냉각하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에탄올이 제거된 여액을 고형분 5% 농도로 희석한 후, 앰버라이트(Amberlite) XAD-2 또는 XAD-7 다공성 수지 칼럼을 이용하여 증류수, 30% 에탄올, 70% 에탄올 순으로 전개하였다. 이후, 70% 에탄올 전개액을 회수, 다시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을 휘발시켰다. 에탄올이 제거된 농축물을 고형분 5%가 되도록 희석한 후 이온 교환 수지 컬럼을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로부터 카페인을 제거하였다. 증류수로 전개된 용액을 감압 농축한 후 분말 형태로 분무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분리된 녹차 추출물을 1% 수용액으로 만든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의 지연시간(retension time)에 따라 분리한 후, 98% 이상의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 3-갈레이트((-)-epicatechin 3-galate; ECG) 및 (-)-에피갈로카테킨 3-O-갈레이트((-)-epigallocatechin 3-O-gallate; EGCG)를 함유하는 폴리페놀 분획물을 정제하였다(도 2 참조).
성분 지연시간
카페인 1.957
EGC 3.782
EC 5.675
EGCG 11.905
ECG 20.240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에는 폴리페놀이 98% 이상이고, 그 중에 카테킨이 80%, EGCG가 60% 이상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한 항균활성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녹차 폴리페놀 분획에 의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생육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KCCM 41351을 0.9% 생리식염수에 109 cfu/㎖이 되도록 현탁시킨 후, 멸균증류수로 10배 희석하여 균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을 각각 100㎍/㎖, 500㎍/㎖, 1,000㎍/㎖ 및 2,000㎍/㎖의 농도로 첨가하여 멸균한 100 mM 인산완충용액(pH 7) 9㎖에, 상기 균주 희석액 1㎖를 첨가하여 30분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멸균 생리식염수로 연속 희석하였다. 상기 희석액 0.1㎖을 콜럼비아 혈액 한천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72시간 동안 미호기성 상태에서 배양한 후, 콜로니수로부터 생존균수를 계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상기 녹차 폴리페놀 분획을 포함하지 않은 인산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차 폴리페놀 분획의 농도가 100㎍/㎖인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약 210배의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2,000㎍/㎖의 농도에서는 거의 모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주가 사멸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녹차 폴리페놀 분획의 농도 생균수 (cfu/㎖)
대조군 7.8 x 106
100 ㎍/㎖ 37.5 x 104
500 ㎍/㎖ 21 x 103
1,000 ㎍/㎖ 2.9 x 102
2,000 ㎍/㎖ 10 미만
시험예 2.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 저해활성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생산된 녹차 폴리페놀 분획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인도페놀 방법을 사용하였다(Fawcett J.K. and Scott J.E., J. Clin. Pathol., 13, pp156-159, 1960; Chaney A.L. and Marbach E.P., Clin. Clem., 8, pp130-132, 1962).
상기 방법의 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우레아(H2NC=ONH2) 1 분자와 물(H2O) 1 분자가 우레아제(urease)에 의해 암모니아(NH3) 2 분자와 이산화탄소 1 분자로 바뀐다. 여기서 발생한 암모니아(NH3)는 소듐 니트로프루시드(sodium nitroprusside)(Na2Fe[CN]5NO) 촉매에 의해 페놀 2 분자와 알칼라인 하이포아염소산(alkaline hypochlorite)과 반응해서 인도페놀(indophenol) 1 분자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반응에 의해 생성된 인도페놀은 암모니아의 양과 정비례하므로, 파란색을 나타내는 인도페놀을 570 nm에서 흡광도를 재면 발생한 암모니아의 양을 환산할 수 있는 정량적인 방법이 된다.
구체적으로, 우레아제 용액(Urease solution)(100 unit/15 ㎖) 50 ㎕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시료를 최종농도가 1, 10, 100, 1000 μM이 되도록 2 ㎕씩 첨가하였다. 천천히 교반하면서 잘 혼합한 다음, 반응 튜브를 37℃ 수조에 넣고 우레아가 가수분해되어 암모니아가 될 수 있도록 10분간 방치해 두었다.
이후, 페놀 니트로프루시드(Sigma, Cat. No. 535-30) 200 ㎕를 상기 튜브에 첨가한 다음, 다시 알칼라인 하이포아염소산 용액 (Sigma, Cat. No. 640-3) 20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증류수 1.0 ㎖을 첨가한 후, 잘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각 시료를 100 ㎕씩 취해 96 웰(well)에 담아 ELISA 리더기(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우레아제 억제자(urease inhibitor)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은 0.1, 0.5, 1.0, 2.0 mg/ml 용량 모두에서 100 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3a). 여기서 100 이상의 수치를 보이는 것은 반응의 수단(vehicle)을 공란(blank)으로 선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공란 이하의 흡광도가 관찰된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3.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 저해활성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생산된 녹차 폴리페놀 분획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우레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페놀레드 방법을 사용하였다(Uesato S. et al., Chem Pharm Bull., 50, pp1280-1282, 2002; Kobashi K. et al., Biochem Biophys Acta, 65, pp380-383, 1962).
상기 시험예 2의 인도페놀 방법은 암모니아 흡착 효과를 가진 물질도 위양성(false positive)으로 나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페놀레드 방법은 암모니아 생성의 의한 pH의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즉, 지시약 페놀레드를 첨가한 1M Tris-HCl 완충액 (pH 6.8)에 우레아제와 우레아제 억제 후보물질(urease inhibitor candidate)을 반응시켜, 우레아제가 우레아를 암모늄 이온으로 전환시켜 증가하는 pH 값을 560 nm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우레아제를 0.1 유닛/㎕로 희석하여 20 ㎕ (2 유닛)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100 ㎕씩을 준비한 후, DDW(distilled deionized water) 380 ㎕씩 첨가하여 부피를 0.5 ㎖로 맞추었다. 우레아제 용액(2% urea in 0.1M Tris-HCl pH 6.8) 0.5 ㎖을 상기 용액에 첨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교배하면서 인큐베이션(incubation) 하였다. 이후, 각 시료에 대하여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를 우레아제 억제자(urease inhibitor)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상기 시험예 2 및 3의 우레아제 저해활성에 대한 스크리닝 방법에는 장단점이 있으므로, 두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하였으며, 실험은 우레아제 억제자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세토히드록사민산(acetohydroxamic acid; AHA)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농도별로 n을 3 이상 실험하여 얻는 결과를 평균과 표준오차 내어 그 결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분획물 2 mg/ml 용량에서 90.33 ± 0.01에 이르는 최대의 우레아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돼지 분뇨에서 우레아제 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생성 억제
상기 실시예 1 에서 생산된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이 돼지 분뇨미생물이 생성하는 우레아제 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하기의 실험은 경기도 이천소재의 돼지농장에서 수행하였다. 실험돈사는 700두의 육성돈(생후 100일)을 사육하며 면적은 200평 규모였다. 암모니아 측정방법은 가스측정기(GasTec Model GV-100, Japan)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제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생성된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 100g을 1ℓ의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1ℓ의 제제를 물 100ℓ에 희석한 후에 고압분무기를 이용하여 돈사내부에 살포하였으며, 제제의 살포는 3일에서 4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암모니아 측정은 실험전에 일주일간 3회, 실험돈사내 3곳에서 측정하였으며 제제 살포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제를 돈사 내부에 살포할 경우, 살포 다음날부터 3일간 돈사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가 50-70%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3-4일 간격으로 제제를 3회 반복 살포할 경우에 암모니아가 50% 이상 감소하여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예 4는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가축분뇨 및 축사에 사용할 경우에 분뇨내에 우레이즈 활성을 저하시켜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축산 환경개선제로도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녹차 폴리페놀 분획물 1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은 헬리 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항균 효과 및 우레아제 저해 효과 를 나타내므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암, 위궤양, 위염 등 각종 위장관련 질병의 치료 및 예방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위염과 같은 위장 질환의 개선에 효과적인 기능성 음료, 건강 기능식품 등의 기능성 식품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가축의 분뇨에서 우레아제 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개선제로서도 응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성분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 3-갈레이트((-)-epicatechin 3-galate; ECG) 및 (-)-에피갈로카테킨 3-O-갈레이트((-)-epigallocatechin 3-O-gallate; EGCG)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성분은 건조 녹차잎을 20 ~ 40% 에탄올을 가하여 60 ~ 70℃에서 6 ~ 8시간 동안 추출한 후, 다공성 수지 칼럼을 이용하여 전개시킨 70% 에탄올 전개액을 회수하여 감압 농축하여 추출한 다음,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 추출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 기능식품.
KR1020050044919A 2005-05-27 2005-05-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10067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919A KR100673605B1 (ko) 2005-05-27 2005-05-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919A KR100673605B1 (ko) 2005-05-27 2005-05-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439A true KR20060122439A (ko) 2006-11-30
KR100673605B1 KR100673605B1 (ko) 2007-01-24

Family

ID=3770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919A KR100673605B1 (ko) 2005-05-27 2005-05-27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60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43B1 (ko) * 2006-11-10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씨에프코리아 메밀추출물 함유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0851962B1 (ko) * 2006-11-13 2008-08-12 주식회사 케이씨에프코리아 포도씨 추출물 함유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LT5720B (lt) 2009-08-12 2011-04-26 Inovativo Biomedicinas Technologiju Institūts, Sia Maistinis vaisių-uogų produktas, pasižymintis priešmikrobiniu poveikiu prieš helicobacter pylori
CN102503925A (zh) * 2011-11-07 2012-06-20 吉首大学 黄烯(异黄烯)类尿素酶抑制剂及其合成和用途
KR101327541B1 (ko) * 2012-01-20 2013-11-08 매일유업주식회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KR101327218B1 (ko) * 2012-01-20 2013-11-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2142707A (zh) * 2020-10-20 2020-12-29 成都华高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表儿茶素生产制备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97A (ko) 2016-12-02 2018-06-12 (주)아모레퍼시픽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생육 저해용 조성물
KR102499774B1 (ko) 2017-10-26 2023-02-15 주식회사 보락 녹차 잔사를 포함하는 타정용 부형제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녹차 타블렛의 제조방법
KR102102680B1 (ko) 2018-10-10 2020-04-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wl-1 균주 배양액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85900B1 (ko) * 2018-10-10 2020-03-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wl-1 균주 배양액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919B2 (ja) * 1991-11-25 2000-01-24 太陽化学株式会社 胃炎,胃または十二指腸潰瘍防止組成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43B1 (ko) * 2006-11-10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씨에프코리아 메밀추출물 함유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0851962B1 (ko) * 2006-11-13 2008-08-12 주식회사 케이씨에프코리아 포도씨 추출물 함유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LT5720B (lt) 2009-08-12 2011-04-26 Inovativo Biomedicinas Technologiju Institūts, Sia Maistinis vaisių-uogų produktas, pasižymintis priešmikrobiniu poveikiu prieš helicobacter pylori
CN102503925A (zh) * 2011-11-07 2012-06-20 吉首大学 黄烯(异黄烯)类尿素酶抑制剂及其合成和用途
KR101327541B1 (ko) * 2012-01-20 2013-11-08 매일유업주식회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KR101327218B1 (ko) * 2012-01-20 2013-11-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2142707A (zh) * 2020-10-20 2020-12-29 成都华高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表儿茶素生产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605B1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60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우레아제 활성 저해능을 지닌 녹차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101968894B1 (ko)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43882A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에 항균능을 갖는 뽕잎추출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101910791B1 (ko) 스포리치아과 미생물의 용도
KR10139432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nu 9169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20070016253A (ko)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s1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84223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질 세정용 조성물
US9492489B2 (en) Uses of hibiscus, in particular pharmaceutical uses
KR10164007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라이체니포미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10117491A (ko)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102331485B1 (ko) 블라우티아 웩슬러래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KR102331486B1 (ko)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튬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KR20170079572A (ko) 펜에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peitc)의 함량을 강화시킨 채소 발효조성물
KR20110117540A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102331484B1 (ko) 블라우티아 마실리엔시스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KR20180120933A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브로컬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대장염 예방, 치료 또는 개선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1644607B1 (ko)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102102680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rwl-1 균주 배양액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63597A (ko)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생육 저해용 조성물
KR100851962B1 (ko) 포도씨 추출물 함유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CN111265446A (zh) 一种鱼腥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98869B1 (ko)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선택적 항균 용도
KR102213300B1 (ko)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균주 및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30057911A (ko) 천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
KR100545156B1 (ko) 세균성 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