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538A -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패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패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538A
KR20060121538A KR1020050043776A KR20050043776A KR20060121538A KR 20060121538 A KR20060121538 A KR 20060121538A KR 1020050043776 A KR1020050043776 A KR 1020050043776A KR 20050043776 A KR20050043776 A KR 20050043776A KR 20060121538 A KR20060121538 A KR 20060121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dding
coated
polyester
micr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440B1 (ko
Inventor
전동식
전우진
이병기
박정환
정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롤
Priority to KR102005004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4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 D04H3/1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yarns or filaments made mechanically by need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filaments or yarns secured together by chemical or thermo-activatable bonding agents, e.g. adhesives, applied or incorporated in liquid or solid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Polyester) 마이크로 화이버(Microfiber) 줄모양 패딩(Padding)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실리콘(Silicon)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를 마련하는 단계와; 마이크로 화이버를 카딩(Carding)하는 단계와; 카딩된 마이크로 화이버를 웨브(Web)로 형성하는 단계와; 웨브를 줄모양의 니들 펀칭하는 단계와; 줄모양으로 니들 펀칭된 웨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퀼팅(Quilting) 및 본딩(Bonding)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제된 제품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의 몰림현상을 방지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및 그 제조방법{PADD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MADE OF POLYESTER MICROFIBER USING HEATING RO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10,20 : 표면처리층
30 : 중간 보온층 40 : 니들 패턴
본 발명은,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섬유나 오리털을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은 의류 및 침구류에 널리 사용된다.
종래에는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우수한 오리털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조류 독감 등으로 인하여 오리털 원료수급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일부 소비자들은 오리털로 이루어진 패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섬유나 오리털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서 석유화학제품을 소재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마이크로 화이버 미세 섬유 극세사(이하 '마이크로 화이버'라고 칭함)가 개발되었다.
실리콘이 도포된 마이크로 화이버는 그 굵기가 머리카락 100분의 1(직경 1,000분의 1mm) 이하이며 수축 가공한 첨단기술의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섬유로서 마치 오리털처럼 부드럽고 벌키성(Bulky; 탄성, 소생, 되살아남)이 우수하다.
이러한 벌키성과 부드러움을 가진 마이크로 화이버는 인간의 피부를 부드럽게 보호해 주는 차세대 섬유로 인식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패딩은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그 굵기가 가늘고 매끄러우면서 가벼워 약간의 바람에도 휘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웨브의 형성작업이 곤란하며, 특히 2차 봉제 작업 시 밀림현상이 발생하여 단순한 퀼팅작업 밖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봉제된 제품에 천연섬유나 오리털 대신에 솜 상태의 마이크로 화이버를 넣어 제품을 완성하였지만,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솜 상태의 마르크로 화이버가 제품 내에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퀼팅 및 본딩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제된 제품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의 몰림현상을 방지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 화이버의 삼출(섬유가 한 올씩 빠져 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를 사용한 줄모양 패딩에 있어서,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화이버를 카딩하는 단계와; 상기 카딩된 마이크로 화이버를 웨브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웨브를 줄모양으로 니들 펀칭하는 단계와; 상기 줄모양의 니들 펀칭된 상기 웨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웨브의 니들 펀칭시 니들의 간격을 10mm ∼ 500mm 까지 자유자재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웨브 내에 방(둘레를 재봉하여 작은 공간을 만드는 것)을 형성함과 동시에, 웨브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를 서로 얽히게 하여 마이크로 화이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웨브의 줄모양 니들 펀칭 작업 후, 상기 웨브에 바인더(Binder)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웨브의 박리를 방지하며, 특수 열처리를 행하여 상기 웨브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의 삼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Polyamide),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Polyurethan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화이버의 원료는 아크릴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이론(Nylon)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질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를 마련한다(S10).
다음, 마이크로 화이버를 개섬하여 카딩기에서 카딩한다(S20). 즉, 압축된 마이크로 화이버를 원활하게 풀어 솜 상태로 한 후, 솜 상태의 마이크로 화이버를 포를 형성하도록 일종의 빗질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어서, 카딩된 마이크로 화이버를 여러 겹으로 적층하여,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며 중량을 갖는 웨브를 형성한다(S30).
그리고, 웨브를 니들펀칭기를 이용하여 줄모양으로 니들 펀칭한다(S40). 니들 펀칭은 코(Barb)를 갖는 바늘을 이용하여 웨브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를 3차원적으로 서로 얽히게 할 뿐만 아니라 웨브 내에 방을 형성한다. 이에, 마이크로 화이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웨브의 니들 펀칭 줄간격은 봉재모양에 따라 10mm ∼ 500mm 간격으로 방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에 바인더를 도포한다(S50). 바인더를 웨브에 도포함으로써, 웨브의 박리를 방지하며, 웨브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의 삼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인더는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인더가 도포된 웨브를 고온 히팅롤이 장착된 캘린더(Calender)에 통과시켜, 웨브의 상부와 하부 표면을 열처리한다(S60). 이 때, 웨브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에 필름형상의 층이 형성되며, 웨브 내에 여러 겹으로 적층된 마이크로 화이버는 바인더에 의해 접착된다.
이어서,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이 열처리된 웨브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S70),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면서 표면처리층의 외부로 마이크로 화이버의 삼출이 없는 삼층구조(三層, Three Layer)의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1)이 완성된다.
즉,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1)은 웨브의 상부와 하부 표면에 필름형상의 표면처리층(10,20)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표면처리층(10,20) 사이에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가 여러 겹으로 적층되며 바인더가 도포되어 접착된 중간 보온층(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1)의 표면처리층(10,20)에는 니들 펀칭에 의한 줄모양의 니들 패턴(40)이 잔류하게 되고 원하는 형태의 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를 카딩한 후, 웨브를 형성하여 줄모양으로 니들 펀칭하고 니들 펀칭된 웨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열처리함으로써, 2차 봉제 작업시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봉제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특히 복잡한 퀼팅 및 본딩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봉제된 제품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의 몰림 현상을 방지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리털 대용 패딩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웨브에 바인더를 도포하여, 여러 겹으로 적층된 마이크로 화이버를 접착함으로써, 마이크로 화이버의 삼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퀼팅 및 본딩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봉제된 제품 내의 마이크로 화이버의 몰림현상을 방지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마이크로 화이버의 삼출을 방지할 수 있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7)

  1.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화이버를 카딩하는 단계와;
    상기 카딩된 마이크로 화이버를 웨브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웨브를 줄모양으로 니들 펀칭하는 단계와;
    상기 니들 펀칭된 상기 웨브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니들 펀칭시 니들의 간격을 10 mm ∼500 mm 간격의 방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니들 펀칭 후, 상기 웨브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 딩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화이버 원료는 아크릴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이론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도포된 웨브를 고온 히팅롤이 장착된 캘린더에 통과시켜, 웨브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열처리함으로써, 웨브의 표면에 필름형상의 층이 형성되며, 웨브 내에 여러 겹으로 적층된 마이크로 화이버는 바인더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의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이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이 도포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 패딩.
KR1020050043776A 2005-05-24 2005-05-24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패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671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76A KR100671440B1 (ko) 2005-05-24 2005-05-24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패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776A KR100671440B1 (ko) 2005-05-24 2005-05-24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패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538A true KR20060121538A (ko) 2006-11-29
KR100671440B1 KR100671440B1 (ko) 2007-01-19

Family

ID=3770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776A KR100671440B1 (ko) 2005-05-24 2005-05-24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패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71B1 (ko) * 2009-12-17 2013-06-19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고보온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906B1 (ko) * 2019-08-20 2020-01-16 이우홍 단열성 다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216Y1 (ko) * 1988-05-18 1990-08-11 김향진 스폰지대용 단섬유 패딩솜
KR910002713Y1 (ko) * 1988-06-27 1991-04-26 김형진 섬유절단물을 이용한 패딩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71B1 (ko) * 2009-12-17 2013-06-19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고보온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440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6267A1 (en) Nonwoven down batting
TWI814119B (zh) 複合非織造織物、非織造服裝製品及整理複合非織造織物的方法
KR100671440B1 (ko) 고온 히팅롤을 이용한 폴리에스터 마이크로 화이버 줄모양패딩 및 그 제조방법
CN102031702A (zh) 一种织物
KR101718728B1 (ko) 편물의 무늬 형성 방법 및 편물
US20230134953A1 (en) Cuttable knitted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08969A (ko) 재단이 가능한 니트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17721A (ko) 환편기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JP2017177532A (ja) 中綿
KR20160035657A (ko) 에어메시원단
JP3979624B2 (ja) レース状布地の製造方法
EP2127548A1 (en) Threadless quilt
JP2020015216A (ja) 積層体
TWI839655B (zh) 服裝製品及製造服裝製品的方法
TWI835401B (zh) 具有不同旦數的可回收的非對稱飾面的複合非織造織物及製造非對稱飾面的複合非織造織物的方法
JP7089317B1 (ja) シルク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9703A (ko) 이불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불솜
KR101392667B1 (ko)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JP4018735B1 (ja) 異なる繊維生地を一体化させた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70725U (ja) 嵩高性長繊維不織布
TW202412654A (zh) 具有有機矽塗層纖維的可回收的非對稱飾面的複合非織造織物及製造複合非織造織物的方法
JP3181169U (ja) マイヤー編み生地を用いた電気暖房器具
CN2179394Y (zh) 多层毛绒保暖材料
TW201038785A (en) Thermofusible textile fabric
KR20160119529A (ko) 이불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이불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