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667B1 -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667B1
KR101392667B1 KR1020130015123A KR20130015123A KR101392667B1 KR 101392667 B1 KR101392667 B1 KR 101392667B1 KR 1020130015123 A KR1020130015123 A KR 1020130015123A KR 20130015123 A KR20130015123 A KR 20130015123A KR 101392667 B1 KR101392667 B1 KR 10139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fabric
thread
sew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정
박희주
Original Assignee
박희주
이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주, 이희정 filed Critical 박희주
Priority to KR102013001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4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input of recorded information, e.g. on perforated t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그램 입력단계와, 열에 의해 수축변형되는 변형성 자수실로 밑실 또는 윗실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및 자수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자수형성단계와, 상기 원단에 열을 가하여 그 자수된 모양에 입체감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가열단계와, 보온재를 준비하는 보온재 준비단계와, 수축된 원단을 잡아당긴 상태로 보온재와 겹치도록 한 후, 원단과 보온재를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단계; 및 볼륨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온재를 포함한 방한의류에 입체자수는 물론 볼륨감까지 간편하게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sewing method for clothing having}
본 발명은,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을 가지는 자수사로 입체자수를 놓은 원단과 방한용 보온제를 함께 재봉하여 풍부한 볼륨감을 가지는 입체자수를 방한 의류를 제작하는 봉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한 의류는 추위를 막기 위해 사용한다. 방한 의류는 그 내부에 보온재를 포함한다. 보온재로는 솜, 오리털, 스폰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방한 의류에는 고급 의류에서 사용되는 '자수'가 종종 사용된다. '자수'는, 일반적으로 옷감이나 헝겊 따위에 여러 가지의 색실로 그림, 글자, 무늬 따위를 수놓는 일이나, 그 놓여 진 수를 의미한다. 색실은 실, 원사 및 자수실 등으로 불린다. 자수는,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각종 의류 등의 여러 용품에 놓여 진다.
자수가 놓인 방한 의류를 만들기 위한 종래기술은, 통상의 방식으로 자수를 놓은 원단을 준비하고, 그 원단의 하측면에 솜, 오리털 등을 포함한 보온재를 놓고, 함께 재봉하여 것이 전부이다.
그런데, 내부에 오리털 등의 보온재가 포함된 의류의 경우, 소비자는 보온재로 인해 볼록하게 돌출된 부피감 또는 볼륨감이 느껴지는 의류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이러한 볼륨감을 주기 위해서 특별한 방법은 없으며, 단지 보온재를 넣은 주머니에 오리털 등을 촘촘히 채우거나, 혹은 고밀도의 스폰지 등을 사용하고, 다수의 재봉선을 만들어 재봉선 들 사이의 공간이 볼록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전부이다.
또한, 자수가 의류에 있어서, 자수에 입체감을 원하는 경우가 있다. 즉, 일반적인 자수는 평평한 원단에, 색실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늬를 수놓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원단에 놓여 진 평면적인 형상이 아닌, 입체적인 형상의 자수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입체적인 형상의 자수라 함은, 원단과 자수가 하나의 평면에 존재하지 않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것으로 족하다. 따라서, 입체적인 형상의 자수에 대비되는 기존의 평면 형상의 자수라 하면, 원단과 자수가 수학적인 의미로 하나의 평면상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느낌을 주는 자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원단에 입체적인 자수를 형성시키는 방법은, 별도로 입체적인 형상을 제작하여 원단의 자수가 놓여진 부분 중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거나, 또는 아래 제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997-0065818호 개시된 바와 같이, 원단과 패드를 겹치고 자수를 놓은 후, 패드를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돌출된 자수를 얻는 방법이 전부였다. 이러한 종래의 입체 자수 방법은, 원단에 놓여 진 자수가 원단으로부터 단순히 돌출되어 있는 것이어서 그 형상이 단순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종래기술에는, 입체적인 자수를 구비할 뿐 아니라 내부에 보온재를 구비하고, 볼륨감이나 부피감을 가지는 방한 의류를 제조할 수 있는 봉제방법이 없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7-0065818
본 발명은, 상술한 입체 자수 및 방한 의류 제조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의 자수 및 보온재를 포함할 뿐 아니라 풍부한 볼륨감을 구비한 방한의류를 제조할 수 있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하는 모양을 프로그램화하여 자동 자수기에 입력하는 프로그램 입력단계와, 밑실과 윗실을 준비하되 밑실과 윗실 중 적어도 하나는 열을 가하면 형상이 수축변형되는 성질을 가진 변형성 자수실로 준비하는 밑실 및 윗실 준비단계 및 원단을 상기 자동 자수기의 작업대에 위치시키고, 자수작업을 실시하는 자수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자수형성단계; 상기 원단에 상기 자수된 변형성 자수실이 수축변형될 수 있도록 열을 가하여, 그 자수된 모양에 입체감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가열단계;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솜 및 스폰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평평한 형태의 보온재를 준비하는 보온재 준비단계; 상기 가열단계에서 가해진 열로 인해 수축변형된 자수실에 의해 수축된 원단을 잡아당긴 상태로 상기 보온재와 겹치도록 한 후, 상기 자수가 놓여진 자수선을 따라 상기 원단과 상기 보온재를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단계; 및 상기 재봉단계에서 원단을 잡아당기고 있는 힘을 제거하여, 다시 원단이 수축되도록 하여, 수축되는 원단과 함께 상기 보온재도 수축되면서 볼록한 볼륨감이 형성을 형성시키는 볼륨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에 의하면, 입체적인 자수형상을 구비하고, 보온재 내장하며, 풍부한 볼륨감을 갖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을 가지는 자수실에 의해, 입체자수의 독특함과 함께 자연스럽고 풍부한 볼륨감을 가지는 방한 의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입체적인 자수형상을 구비한 원단을 포함한 방한 의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입체 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자동자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컴퓨터 자동 자수기를 예시한 사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자수형성단계 및 가열단계를 거친 후 입체 무늬가 형성된 원단을 예시한 사진과,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진,
도 5와 도 6은, 도 1의 보온재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과 도 8은, 도 1의 재봉단계 및 볼륨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도 8의 Ⅸ-Ⅸ에 따른 개념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작된 입체 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의 예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봉제방법은, 외측면에는 입체자수가 놓여 지고, 내부에는 보온재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볼록한 볼륨감이 있는 방한 의류를 제조하는 봉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방한 의류'라고 하면, 방한용 점퍼와 같은 '옷'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람이 추위를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이면, 그 명칭에 무관하게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즉 방한 의류에는, 방한용 코트, 방한용 바지, 방한용 목도리, 이불, 침낭 등과 같이 것들이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통상의 자동자수기를 예시한 사진이다. 자동 자수기는 컴퓨터를 내장하고 있어서, 컴퓨터 자동 자수기라고도 불린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입체자수가 놓여진 원단(30)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다.
본 실시예의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은, 자수형성단계, 가열단계, 보온재 준비단계, 재봉단계 및 볼륨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수형성단계는, 밑실과 윗실을 사용하는 컴퓨터 자동 자수기를 이용하여, 원단에 다양한 형상의 자수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자수형성단계는, 다시, 프로그램 입력단계와, 밑실 및 윗실 준비단계 및 자수수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로그램 입력단계는, 사용자가 원단에 자수하기를 원하는 모양을 프로그램화하여 자동 자수기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특정한 모양을 프로그램화 하여 자동 자수기에 입력하는 방법은, 통상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 자수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컴퓨터를 구비하여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 자동 자수기(10)이다. 자동 자수기(10)의 상부에는, 다양한 색상의 윗실이 각각 감긴 윗실 감김부들이 구비된다.
윗실 감김부의 아래에 작업대(20)가 구비되어 있다. 작업대(20)에는 원단(30)이 올려진다. 작업대(20)의 아래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밑실이 감긴 밑실 감김부가 구비된다.
상기 밑실 및 윗실 준비단계는, 밑실과 윗실 중 어느 하나를, 열을 가하면 형상이 수축변형되는 성질을 가진 변형성 자수실로 준비한다. 밑실을 변형성자수실로 준비하는 경우, 윗실은 통상의 실로 준비한다, 이렇게 하면 양자는 서로 다른 장력을 지니게 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윗실을 자수실로 준비하고, 밑실을 통상의 실로 준비할 수도 있다.
'변형성 자수실'은, 열을 가하면 수축변형되는 성질을 가진 자수실이다. 다만 수축변형된 후에도 탄성의 성질은 잃지 않는다. 따라서 수축변형된 후에 잡아 당기면 다시 잡아당기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한다. 밑실과 윗실을 준비한다는 의미는, 밑실 감김부와 윗실 감김부에 변형성 자수실을 감아 자동 자수기의 해당 위치에 장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변형성 자수실은, 열을 가하면 수축변형되는 성질의 고무재질의 고무사이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고무사라고 칭하는 변형성 자수실은, 중심부분의 코어와 그 코어를 감싸는 외측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코어는 우레탄재질로 되어 있다. 코어는 고무사의 중심부분에 배치되어 길게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외측부분은, 폴리에스텔 재질의 섬유사가 코어를 감싸고 있는 부분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윗실과 밑실을 모두 자수실로 준비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윗실과 밑실의 성질, 즉 재질, 직경 등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모두 변형성 자수실인 밑실과 윗실은, 열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가 서로 다른 것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각각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듯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가열단계를 거치면서 다양한 형상의 입체 모양이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자수수행단계는, 원단(30)을 자동 자수기(10)의 작업대(20)에 위치시키고, 자수작업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자수는, 원단에 밑실과 윗실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 무늬가 생성되도록,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된 것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통상의 자수와 마찬가지로, 윗실 감김부에 감긴 각 실은, 그 아래에 마련된 바늘의 바늘귀에 끼어져 있다. 바늘이 작업대에 올려진 원단을 위아래로 관통하며 왕복하게 되면, 윗실과 밑실은 서로 엮여져 원단에 자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자수형성단계는, 종래의 자동 자수 장치에 의한 자수와 비교하면, 밑실과 윗실 중 어느 하나가,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을 가하면 형상이 변하는 성질을 가진 변형성 자수실(40)로 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며, 이를 제외한 단계별 수행하는 방식들은 종래와 유사하다.
자수형성단계가 수행된 후에 가열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가열단계는, 자수가 놓여진 원단에, 자수된 변형성 자수실(40)이 변형될 수 있도록 열을 가하여, 그 자수된 모양에 입체감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원단에 자수된 부분이 일부만 차지하는 경우, 자수된 부분에만 가열하여도 무방하다.
가열하는 열의 온도는, 변형성 자수실의 성질에 따라 사전 결정된 온도로 적절하게 선택되어 진다. 가열하는 열의 온도는 변형되는 정도를 관찰하며 정하여질 수도 있다.
상기 가열하는 방식은, 원단의 종류, 원단의 크기 및 변형성 자수실의 종류, 자수된 부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의 경우, 가열단계는 다리미에서 발생하는 스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가열단계는, 자수가 놓여 진 원단을 가열된 롤(roll)에 접촉되면서 진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가열단계는, 가열된 물체에 원단의 자수된 부분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열단계를 거치게 되면, 자수가 놓여진 원단의 고무사가 열을 받아 수축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에 의해 자수된 원단에는 입체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도 3에는, 가열단계를 거친 후, 특정한 패턴으로 입체감을 가지된 원단(30)의 사진이 예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이 확대된 사진이다. 사진을 보면, 본 발명에 의해, 원단에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입체적인 모양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보온재 준비단계가 수행된다. 다만, 보온재 준비단계는,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솜 및 스폰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평평한 형태의 보온재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보온재 준비단계는, 반드시 자수형성단계 및 가열단계를 수행한 후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보온재는,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온재는,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중 어느 한가지의 털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2종류 이상의 털을 섞어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보온재가 양털과 낙타털 중 어느 한 종류인 경우, 이러한 보온재나일론 또는 폴리 재질의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주머니의 내부에 담겨져 구비되고, 주머니의 외측모서부에는, 오버로크(overlock; 휘갑치기) 방식으로 꿰매어진다.
도 5는, 보온재(6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합성섬유(62, 64)의 천을 배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합성섬유(62, 64)가 도 6과 같이, 그 사이에 보온재(60)를 포함하고, 모서리부분이 상호 바느질된 상태를 주머니라고 칭한다.
특히, 양털 이나 낙타털을 보온재로 사용하는 경우, 합성섬유(62, 64)의 모서리부에는 일렬의 단순 바느질 뿐 아니라, 사방의 모서리부에는 휘갑치기, 일명 '오버로크(63)'가 되어 있다. 양털이나 낙타털은 작고 여리기 때문에 오버로크(63)가 되어 있지 않으면, 외측부분에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볼륨감과 방한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자수형성단계에 있어서, 자수수행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원단의 하측면에 상대적으로 얇은 보조보온재를 겹치고 나서 자수수행단계가 수행된다. 보조보온재(65; 도 9참조)는,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솜 및 스폰지 중 어느 하나 이거나, 이들 중에서 두개 이상을 혼합하여 얇고 평평하게 마치 천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재봉단계와 볼륨형성단계가 수행된다. 재봉단계는, 자수형성단계, 가열단계 및 보온재 준비단계가 모두 수행된 후에 수행된다.
재봉단계는, 상술한 가열단계에서 가해진 열로 인해 수축변형된 자수실에 의해 수축된 원단을 잡아당긴 상태로 보온재와 겹치도록 한 후, 자수가 놓아진 다수의 자수선을 따라 원단과 보온재를 동시에 재봉하는 단계이다.
즉, 도 7를 참조하면, 가열단계를 거친 원단(30)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사람의 손이나 기계의 힘에 의해 당겨진다. 도 7은 원단이 당겨진 상태를 표시한다. 당겨진 상태에서 준비된 보온재가 그 당겨진 원단(30)의 아래에 상호 겹치도록 배치된다. 상호 겹친 후, 원단(30)의 자수가 놓여진 자수선(70)를 따라 원단(30)과 보온재를 동시에 재봉한다. '자수선'은 원단에 놓여진 자수에 의해 선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즉 수축변형된 자수실의 영향으로 수축변형된 원단(30)을 사방으로 잡아 당기고, 당겨진 상태에서 준비된 보온재를 겹친 후, 원단에 자수선을 따라 원단과 보온재를 동시에 봉재(바느질) 하는 것이다. 동시에 봉재하는 것은, 자수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여러번 수행된다. 봉재단계에 있어서, 자수가 놓여진 부분 중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자수선에 봉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수선을 따라 봉재한 후에는 볼륨형성단계가 수행된다.
볼륨 형성단계는, 재봉단계가 수행한 후에 원단을 잡아당기고 있는 힘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즉, 재봉단계의 수행 중 원단을 잡아당기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원단은 탄성변형되었던 자수실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단이 수축된다. 이때, 원단에 재봉된 보온재도 수축되는 효과가 생기면서,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8에는 도 7의 상태에서 잡아당기고 있는 힘을 제거한 상태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비교하여, 자수선(70)들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어 있고, 중심부분에 위치한 마름모 형태의 자수형상의 폭이 좁아 졌다. 도 8의 단면을 도시한 도 9를 참조하면, 가장 위에 입체 자수가 구비된 원단(30)이 있고, 그 바로 아래에 보조보온재(65)가 구비되고, 그 아래로 보온재(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자수선(70)을 따라 재봉되어 있다. 자수선(70)들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보온재(60)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볼록하게 볼륨감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볼륨감은, 잡아당겨있는 상태에서 자수선(70)들이 봉재되고, 잡아당겨있던 힘이 제거되면, 자수실의 복원력에 의해 자수선(70)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형성된다.
도 10에는 상술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의류의 하나의 예로 겨울용 코트가 예시되어 있다. 한편, 도 5 내지 8에는 원당 등의 형태가 사각형인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설명하기 위함이며 실제에서는 의류의 패턴 형상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을 받으면 형상이 수축변형되는 성질을 가진 변형성 자수실로 원단에 자수하고 난 후, 그 원단에 열을 가하고, 그리고 그 원단을 잡아당긴 상태로 보온재를 겹쳐서 재봉하고 다시 잡아단긴 힘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적 형상의 자수를 원단에 간단히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온재를 포함한 상태에서 풍부한 볼륨감을 주는 것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종래에 비해 특별한 느낌을 주는 입체적 형상의 자수를 원단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간단하게 풍부한 볼륨감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변형성 자수실을 재질과 직경 등을 다양하게 하고, 밑실과 윗실을 서로 같게 하거나 다르게 하는 등의 변화를 주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입체 자수를 얻을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독특한 입체자수를 표현할 수 있으며, 양털이나 낙타털과 같은 보온재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볼록한 볼륨감까지 구비하도록 하여, 방한성은 물론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컴퓨터 자동 자수 장치 20 ... 작업대
30 ... 원단 40 ... 자수실
50 ... 의류 60 ... 보온재
65 ... 보조보온재 70 ... 자수선

Claims (8)

  1. 원하는 모양을 프로그램화하여 자동 자수기에 입력하는 프로그램 입력단계와, 밑실과 윗실을 준비하되 밑실과 윗실 중 적어도 하나는 열을 가하면 형상이 수축변형되는 성질을 가진 변형성 자수실로 준비하는 밑실 및 윗실 준비단계 및 원단을 상기 자동 자수기의 작업대에 위치시키고, 자수작업을 실시하는 자수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자수형성단계;
    상기 원단에 상기 자수된 변형성 자수실이 수축변형될 수 있도록 열을 가하여, 그 자수된 모양에 입체감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가열단계;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솜 및 스폰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평평한 형태의 보온재를 준비하는 보온재 준비단계;
    상기 가열단계에서 가해진 열로 인해 수축변형된 자수실에 의해 수축된 원단을 잡아당긴 상태로 상기 보온재와 겹치도록 한 후, 상기 자수가 놓여진 자수선을 따라 상기 원단과 상기 보온재를 동시에 재봉하는 재봉단계; 및
    상기 재봉단계에서 원단을 잡아당기고 있는 힘을 제거하여, 다시 원단이 수축되도록 하여, 수축되는 원단과 함께 상기 보온재도 수축되면서 볼록한 볼륨감이 형성을 형성시키는 볼륨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성 자수실은, 열에 의해 수축되는 고무재질의 고무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성 자수실은, 중심부분의 코어와 그 코어를 감싸는 외측부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는 우레탄재질이고, 상기 외측부분은 폴리에스텔재질의 섬유사로서 상기 코어를 감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과 밑실은 모두 변형성 자수실로 구비되되, 열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가 서로 다른 것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각각의 직경은 서로 다른 것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다리미에서 발생하는 스팀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자수수행단계를 거친 원단이 가열된 롤(roll)에 접촉되면서 진행되는 것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자수수행단계를 거친 원단이 가열된 물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 준비단계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는,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 준비단계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는, 양털과 낙타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나일론 또는 폴리 재질의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주머니의 내부에 담겨져 구비되고, 상기 주머니의 외측모서부에는, 오버로크(overlock; 휘갑치기) 방식으로 꿰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수수행단계에 있어서,
    원단의 하측면에는 양털, 낙타털, 오리털, 거위털, 솜 및 스폰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평평한 형태의 보조보온재를 겹친 상태에서 자수작업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 의류 봉제방법.
KR1020130015123A 2013-02-13 2013-02-13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KR10139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23A KR101392667B1 (ko) 2013-02-13 2013-02-13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23A KR101392667B1 (ko) 2013-02-13 2013-02-13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667B1 true KR101392667B1 (ko) 2014-05-27

Family

ID=5089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123A KR101392667B1 (ko) 2013-02-13 2013-02-13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6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280U (ko) * 1989-08-25 1991-04-12
JPH0347627U (ko) * 1989-09-06 1991-05-02
JP2000199175A (ja) 1999-01-07 2000-07-18 Kosugi Senshoku Kk 凹凸シワを有する生地の製造方法
KR200307911Y1 (ko) 2002-11-30 2003-03-26 강구철 누비직물의 테두리단 및 테두리단 봉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280U (ko) * 1989-08-25 1991-04-12
JPH0347627U (ko) * 1989-09-06 1991-05-02
JP2000199175A (ja) 1999-01-07 2000-07-18 Kosugi Senshoku Kk 凹凸シワを有する生地の製造方法
KR200307911Y1 (ko) 2002-11-30 2003-03-26 강구철 누비직물의 테두리단 및 테두리단 봉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165B1 (en) Method of making convexities and/or concavities on cloths of a garment
EP2998423B1 (en) 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ven fabric
US4665851A (en) Method of assembling textiles
KR101718728B1 (ko) 편물의 무늬 형성 방법 및 편물
KR101392667B1 (ko)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JP3108694B1 (ja) 布地に凹凸を有する衣服およびその衣服のための布地
KR100351508B1 (ko) 불규칙한 모양의 주름이 형성된 원단 및 의류의 제조방법
US20060207077A1 (en) Method of producing and a chenille-like textured type yarn, trim, and fabric
KR102594027B1 (ko) 안솜이 들어간 방한구
KR101294826B1 (ko) 자동 자수기를 이용한 입체 자수 방법
KR101171376B1 (ko) 모피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실과 이 모피실을 이용한 편물
Lawler et al. Textiles technology
KR100389282B1 (ko) 패딩주름의류 및 패딩주름원단의 제조방법
USRE33215E (en) Method of assembling textiles
CN205688126U (zh) 垫子
KR20180120929A (ko) 2중 수축 원단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원단
Fischer Sewing for fashion designers
KR101399255B1 (ko) 실크 오간자 표면의 가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생산한 실크 오간자
JP2019094582A (ja) 編紐地
JP6548278B1 (ja) 織物の縁取縫製方法及び織物の縫製品
Colton Reader's Digest complete guide to needlework
JP2015218426A (ja) 織布および織布の製造方法
Ahteck Electronic Embedded Lace: A Sampler of Functional Interactive Tatting Techniques and Circuits
JP3117205U (ja) 縫着構造体並びにこの縫着構造体を備える被服及び布製身の回り品
KR200222924Y1 (ko) 주름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