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339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339A
KR20060121339A KR1020050043432A KR20050043432A KR20060121339A KR 20060121339 A KR20060121339 A KR 20060121339A KR 1020050043432 A KR1020050043432 A KR 1020050043432A KR 20050043432 A KR20050043432 A KR 20050043432A KR 20060121339 A KR20060121339 A KR 20060121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fixing unit
hea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정흥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339A/ko
Priority to US11/325,315 priority patent/US20060269314A1/en
Publication of KR2006012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본체; 본체의 상측 내벽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기록재에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 정착유닛 및 본체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정착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열 차단 부재; 본체의 상측 내벽과 열 차단 부재의 사이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와 정착유닛으로부터 과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열차단부재에 형성된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정착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기와, 외부 공기와의 온도차를 해소하여 열 차단 부재에 습기가 맺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정착유닛, 열 차단막, 결로방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정착열 차단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95644호에 개시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정착열 차단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구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선 Ⅴ-Ⅴ를 따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을 따른 정착열 차단구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1 : 본체 101b : 공기 흡입구
101c : 공기 배기구 101e : 본체 상면
170 : 정착기 210 : 열차단부재
211 : 턱 215 : 공기순환통로
215a : 관통홀 213 : 가이드부
230 : 흡입팬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는 예컨대, 감광드럼으로 되는 상담지체와, 감광드럼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정전잠상형성유닛과,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을 현상해서 현상제상을 가시화하는 현상유닛과, 감광드럼상의 현상제상을 중간전사벨트 또는 인쇄매체상에 전사하는 전사유닛과, 전사유닛을 통해 인쇄매체상에 전사된 화상을 고열로 가열 압착하여 영구적으로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이 채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정전 잠상의 형성, 현상, 전사, 정착의 화상 형성을 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최근 소형화 추세에 따라 본체 내에서 각 유닛 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정착유닛의 정착 열이 다른 화상 형성용 유닛에 영향을 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착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차단하는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95644호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95644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종래의 정착열 차단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 본체(미도시)내의 정착유닛(18)과 클리닝유닛(15) 등의 다른 화상 형성용 유닛 사이에 통풍 덕트(34)가 설치된다. 통풍 덕트(34)에는 복수의 홀(42)이 형성된다. 따라서, 통기팬(39)을 작동시키면 홀(42)을 통해 정착유닛(18)으로부터 정착된 정착열이 통풍 덕트(34)의 내부로 흡입된 후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유닛(18)으로부터 발생하는 정착열 때문에 정착유닛의 위치가 중요하게 고려되며, 최근에는 대부분 본체의 상측으로 위치시켜 본체와 근접되게 사용하고 있다.
도 2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을 따라 정착유닛(18)이 본체(101)와 근접된 위치로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정착유닛(18)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정착유닛(18)을 본체(10)와 근접되게 설치할 경우 정착유닛(18)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본체(10)로 전달되어 본체(10)가 변형되거나,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본체(10)와 정착유닛(18)의 사이에 열차단부재(30)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그 열차단부재(30)에 의해 정착유닛(18)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본체(1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열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열차단부재(30) 및 본체(10)와의 사이에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공기 흐름을 만들어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흐름을 만들어줄 때 정착유닛(18)이 설치된 쪽과, 외부 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열차단부재(30)에 습기가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습기가 맺혀 물방울이 생기면, 그 물방울이 정착유닛(18)쪽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기록재(P)에 전사된 화상이 젖어 화상 불량을 일으키는 문 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물방울이 떨어질 경우 기기 내부에 내장된 회로 부품 등 습기에 민감한 부분들이 고장이 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단부재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해소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록재에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 및 상기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열차단부재 사이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과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열차단부재에 형성된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순환통로는 상기 열차단부재 전체 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팬은 상기 공기 흡입구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면,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본 체; 상기 본체의 상측 내벽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기록재에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 및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재; 상기 본체의 상측 내벽과 상기 열차단부재의 사이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과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열차단부재에 형성된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순환통로는 상기 열차단부재 전체 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기구는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팬은 상기 공기 흡입구측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차단부재는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추가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로서, 전사벨트를 통해 기록재가 이송되면서 전사동작이 실시되는 화상형성 장치를 예로 들은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1)의 내부에 4개의 색상(Black, Cyan, Magenta, Yellow)별 상 형성 유닛(110)이 구비된다. 상 형성 유닛(110)은 감광체(111), 대전 롤러(113), 현상 롤러(115) 및 현상제 케이스(117) 등으로 구성된다.
감광체(111)는 대전 롤러(113)에 의해 표면이 일정 전위로 대전된다. 이와 같이 표면이 일정 전위로 대전되어 있는 감광체(111)상에 광 주사 유닛(105)을 통해 소정의 광 예컨대 레이저 빔이 주사되면 감광체(111)상에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11)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115)에 의해 전달되는 현상제를 통해 가시화상으로 현상된다.
전사유닛(130)은 감광체(111)와 접촉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131), 벨트(1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133a ~ 133d)들 및 벨트(131)의 내부에 설치되며 감광체(111)와 대응하도록 설치된 전사 롤러(135)들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먼저, 현상 롤러(115)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통해 감광체(101)의 정전 잠상이 가시상으로 현상되면, 기록재(103)는 벨트(131)를 통해 이송되고, 이송되는 기록재(103)에는 전사 롤러(135)들을 통해 컬러 화상이 중첩 전사됨으로써 완전한 컬러 화상이 구현된다.
급지유닛(150)은 기록재(103)를 벨트(131) 및 전사 롤러(135)들 사이로 공급하며, 다수매의 기록재(103)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151), 급지 카세트(151)의 기록재(103)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153), 픽업된 기록재(103)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155)들을 포함한다.
정착유닛(170)은 벨트(131) 및 전사 롤러(135)들의 사이를 경유하여 나온 기록재(103)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컬러 화상이 기록재(103)에 정착되도록 한다. 정착유닛(170)은 가열 롤러(171) 및 가압 롤러(173)로 구성된다.
이어서, 기록재(103)는 배지 롤러(161)에 의해 이송된 후 배지구(101a)를 통해 본체(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 정착유닛(170)을 통해 발생한 고온의 열이 본체(10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 및 그 열차단부재에 습기가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구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 Ⅴ-Ⅴ를 따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을 따른 정착열 차단구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1)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본체(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101b)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101b)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본체(101)의 상면에는 공기 배기구(101c)가 형성된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체(101)의 상면(101e)과 정착유닛(170)의 사이에는 열 차단 부재(210)가 설치된다. 열 차단 부재(210)는 본체(101)의 상면(101e)과 소정의 간격(d)을 유지시키도록 가장자리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턱(211)이 형성된다.
또한, 공기 흡입구(101b)가 형성된 본체(101)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흡입팬(230)이 설치되고, 열 차단 부재(210)에는 흡입팬(23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본체(101)의 상면 및 열 차단 부재(210)의 사이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213)가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열 차단 부재(210)에는 공기순환통로(215)가 형성된다. 공기순환통로(215))는 열 차단 부재(210)의 전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215a)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착유닛(170)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열은 열 차단 부재(210) 및 본체(101)의 상면(101e) 및 열 차단 부재(210)의 사이를 흐르는 공기층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본체(101)가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서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해소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1)의 상면(101e) 및 열 차단 부재(210)의 사이를 흐르는 공기 중 일부는 열 차단 부재(210)에 형성된 관통홀(215a)을 통해 정착 유닛(170)측으로 하강하고, 정착유닛(170)으로부터 발생한 열기는 관통홀(215a)을 통해 상승하여 공기 순환이 일어난다. 따라서, 열 차단 부재(210)는 공기 온도차가 해소되어 그 표면에 습기가 맺히는 결로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열 차단 부재(210)가 정착유닛(170)의 상측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체(101)와 근접된 위치로 설치되어 정착유닛(170)의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모든 위치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를 따르면, 열 차단 부재에 외부 공기 및 정착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기순환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열 차단 부재에 습기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착 유닛을 통해 기록재에 정착된 화상이 젖어 화상 불량이 발생하 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록재에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 및 상기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상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열차단부재 사이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과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열차단부재에 형성된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통로는 상기 열차단부재 전체 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상기 공기 흡입구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기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 내벽에 근접되게 설치되며 기록재에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 및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발생된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재;
    상기 본체의 상측 내벽과 상기 열차단부재의 사이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와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과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열차단부재에 형성된 공기순환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통로는 상기 열차단부재 전체 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기구는 상기 공급 흡입구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상기 공기 흡입구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부재는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턱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추가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043432A 2005-05-24 2005-05-24 화상 형성 장치 KR20060121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432A KR20060121339A (ko) 2005-05-24 2005-05-24 화상 형성 장치
US11/325,315 US20060269314A1 (en) 2005-05-24 2006-01-05 Heat blocking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432A KR20060121339A (ko) 2005-05-24 2005-05-24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339A true KR20060121339A (ko) 2006-11-29

Family

ID=3746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432A KR20060121339A (ko) 2005-05-24 2005-05-24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69314A1 (ko)
KR (1) KR200601213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26B1 (ko) * 2007-06-11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9030B2 (ja) * 2006-02-20 2011-06-22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2011107222A (ja) * 2009-11-12 2011-06-02 Fuji Xerox Co Ltd 断熱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5506071B1 (ja) * 2013-07-23 2014-05-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93143B2 (ja) * 2016-01-25 2020-05-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80584B2 (ja) * 2017-05-23 2020-11-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040016A (ja) * 2017-08-24 2019-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ァン支持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7064852B2 (ja) * 2017-11-30 2022-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36B1 (ko) * 2003-07-03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26B1 (ko) * 2007-06-11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8200115B2 (en) 2007-06-11 2012-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xternal air circulation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69314A1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1339A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367250B1 (ko) 세척부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
US71942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ols an image forming cartridge
US88314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22327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1014248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207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15198A (ja) 送風システム
JP2006337589A (ja) 画像形成装置
US82001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xternal air circulation chamber
JP408617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7024238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54676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057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6937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578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87602A (ja) 画像形成装置
US116933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an to suck air through a gap between exterior covers
JP4608332B2 (ja) 画像形成装置
JP7472504B2 (ja) 画像形成装置
JP4251034B2 (ja) 画像形成装置
JP4278767B2 (ja) 記録装置
CN219392475U (zh) 图像形成设备
JP5413803B2 (ja) 画像形成装置
JP4558426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