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406A -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406A
KR20060119406A KR1020050042414A KR20050042414A KR20060119406A KR 20060119406 A KR20060119406 A KR 20060119406A KR 1020050042414 A KR1020050042414 A KR 1020050042414A KR 20050042414 A KR20050042414 A KR 20050042414A KR 20060119406 A KR20060119406 A KR 20060119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extract
butanol
fraction extract
he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152B1 (ko
Inventor
신현경
한영숙
임순성
김은정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5004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5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81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잎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식중독균에 대한 뛰어난 항균활성을 가지므로, 단독으로 항균제로 사용가능하며, 또 각종 항균제품의 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은행잎, 부탄올추출물, 항균 조성물, 6-히드록시키누렌산

Description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GINKO EXTRACT}
도 1은 실시예 3에 따른 은행잎 분획추출물에 대해 HPLC로 분석하여 얻은 그래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중독균에 항균활성을 갖는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각종 농산물이나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인들에는 유해 미생물 오염, 농약 등 화학물질 오염, 환경오염 등이 있고 이들 중 대장균(E.coli),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등 각종 유해 식중독균에 의한 오염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공식품 또는 농수산물 등이 대규모로 유통, 소비되는 추세에서 이들이 가공, 수송, 저장 중 비위 생적 처리로 인해 유해균에 의해 오염될 경우 이들의 증식에 의해 식중독 사고를 야기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열처리 및 저온처리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항균제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유독물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아 미생물, 동식물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천연항균소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은행잎 추출물은 1960년대부터 혈관확장, 혈류개선 및 치매개선을 목적으로 의약품으로 제조되어 현재 세계적으로 생산, 판매되는 대표적 천연물 의약품 및 식품소재이다. 은행잎 추출물의 이러한 생리적 효과는 이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와 테르펜류 화합물에 기인한 것이다.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는 말초신경의 확장과 신경전달물질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고, 테르펜류 화합물 중 빌로발리드와 징코라이드는 혈소판 활성화인자에 대한 강력한 길항작용으로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을 하여 전체적으로 혈류 개선 및 기억력 개선 등에 유효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은행잎 추출물이 항균효과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예전부터 알려져있어 은행잎으로부터 항균성분을 추출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즉, 은행과로부터 분리한 아나카딕산(anacardic acid)은 미코박테리움(Mycobacterim)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갖고(Adawadkar etal, Fitoterapia 52, 129-135, 1981), 은행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어위니아(Erwinia), 대장균(E.coli), 슈도모나스(Pseudomonas) 등에 항균작용을 가지며(Itokawaetal etal, Chem. Pharm Bull. 35(7), 3016-3020, 1987), 은행잎을 아세톤과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활성을 보고(Mourey etal, Plantes medicinales et phytotherapie. TomX1X4, 270-276, 1985)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70598호에 따르면 은행잎을 증류수 또는 알코올과 n-헵탄을 동량 사용하여 플라본글루코사이드가 2 내지 5%, 테르펜락톤이 0.01 내지 1%, 징쿠릭애시드가 3 내지 30%로 함유되어 있는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에 항균성과 살충성을 갖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은행잎 추출물 중 높은 효과를 보이는 항균성분을 동정하여 이를 대표적인 식품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시키기 위한 항균 조성물로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중독균에 대하여 항균성을 갖는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6-히드록시키누렌산을 포함하는 식중독균 에 대하여 항균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은행잎의 부탄올 추출물, n-헥산 분획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및 부탄올 분획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로서,
상기 n-헥산 분획추출물은 은행잎 메탄올 추출물에 n-헥산 수용액을 가하여 분획추출물한 것이고,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은 상기 n-헥산 분획추출물 중 수층에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분획추출한 것이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중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을 가하여 분획추출한 것이고,
상기 부탄올 분획추출물은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중 수층에 부탄올을 가하여 분획추출한 것인, 대장균, 살모넬라균, 스타필로코커스균 및 리스테리아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중독균에 항균활성을 갖는,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히드록시키누렌산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류용 세제, 식기용 세제, 식품용 세제, 및 가전제품용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정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스타필로코커스균 및 리스테리아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중독균에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은행잎의 부탄올 추출물, n-헥산 분획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및 부탄올 분획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탄올 추출물은 은행잎을 직접 부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다. 또한, 상기 은행잎의 분획추출물로서, n-헥산 분획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및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포함하며, 이들 분획추출물은 은행잎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분획추출물이다. 상기 분획추출물은 은행잎에 메탄올로 추출 이후에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한 후 각 용매별로 층분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매를 이용한 분획추출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가능하며, 예컨대 추출물, 이의 분쇄물 또는 분말에 물, 또는 유기용매 를 1: 1 내지 100 중량비로 가한 후, 추출액 또는 층분리된 분획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추출 및 층분리 온도는 4 내지 3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상기 추출액 및 분액은 이후 감압 여과 및 진공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6-히드록시키누렌산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며, 6-히드록시키누렌산은 상기 은행잎 추출물 및 분획추출물중에서 식중독 균에 대해 항 균활성을 갖는 성분을 분리하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26503364-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식중독균, 예를 들면 살모넬라균, 스타필로코커스균 또는 리스테리아균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식중독균의 예로는 대장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를 제공하며, 상기 세정제로는 의류용 세제, 식기세척제, 식품세정제, 가전제품 세척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이는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주방용품, 식품세척 등을 포함하여 각종 생활용품의 세척이나 항균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분말화하거나 과립화, 정제화, 액상화하는 방법으로 제형을 변경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포장하여 제품화하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그 형태와 적용목적,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 중 항균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성분이고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은행잎 부탄올 분획추출물의 제조
1-1: 메탄올 조추출물 제조
건조된 은행잎 분말 500g을 메탄올 5,000ml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6시간 동안 3회 반복하여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회전수 1,500rpm에서 고형분을 분리하여 제거하여 액상의 은행잎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액상성분을 45℃에서 감압농축한 결과 사용된 전체 건조은행잎에 대하여 약 25%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었다.
1-2: n-헥산 분획추출물
상기 메탄올 조추출물 100g에 n-헥산 수용액(n-헥산:물=1:1) 2,000ml을 이용하여 분별깔대기법으로 실온에서 6시간 추출하여 물과 헥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헥산층만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헥산 분획추출물로 이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리된 수층은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3: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상기 1-2에서 분리된 수층 1,000ml에 클로로포름 1,000m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여 클로로포름층과 수층 각각 약1,000ml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클로로포름층만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로 하여 이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리된 수층은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상기 1-3에서 분리된 수층 1,000ml에 에틸아세테이트 수용액 1,000m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 각각 약1,000ml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층만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로 하여 이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리된 수층은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1-5: 부탄올 분획추출물
상기 1-4에서 분리된 수층 1,000㎖에 부탄올 1,000㎖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여 부탄올층과 물층 각각 약1,000㎖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부탄올층만을 수득하여 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이를 부탄올 분획추출물로 하여 이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은행잎 부탄올추출물 제조
건조된 은행잎 분말 100g과 n-부탄올 1,000㎖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6시간 동안 3회 반복하여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로 고형분을 제거하고 액상성분을 얻은 후 상기 액상성분을 45℃에서 감압농축하여 부탄올 추출물 약 30g을 얻었다.
실시예 3: 6-히드록시키누렌산 동정
실시예 1로부터 얻은 부탄올 분획추출물로부터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실시하였다. 실리카겔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슬러리를 만들어 충전시킨 후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용매제를 이용하여 메탄올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용출하여 10ml씩 분획추출물을 분취하고 이 분획추출물을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분획추출물에 대하여 페이퍼 디스크 방법으로 항균성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이 높은 분획추출물을 합하여 NMR 분석 및 HPLC법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상기 HPLC는 크로멜레온 HPLC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속 1ml/min, 25℃, UV 254nm, 용리액으로는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개의 뚜렷한 주성분이 관찰되며, 하기 NMR 자료로부터 상기 주성분이 6-히드록시키누렌산으로 밝혀졌다.
1H NMR (400MHz, DMSO-d6): 6.62 (1H, s, H-3), 7.35 (1H, dd, J = 2.7, 8.8 Hz, H-7), 7.46 (1H, d, J = 2.7 Hz, H-5), 7.91 (1H, d, J = 8.9Hz, H-8); MF : C10H7NO4 EI-MS, m/z (rel. int.): 250 (100), 161 (90), 159 (74), 121 (28).
실험예 1: 항균력 실험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메탄올 추출물, 부탄올 분획추출물, 헥산 분획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을 이용하여 대장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스타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대하여 항균력을 검토하였다. 대두카제인소화한천배지(Tryptic soybean agar; TSA) 및 대두카제인소화액체배지(Tryptic soybean broth; TSB)를 사용하여 37℃에서 배양하면서 한천배지에서의 생육저해환의 크기나 액체배지에서의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MIC를 측정하기 위하여 TSB배지를 100㎕씩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각각의 추출물을 2배씩 희석하여 여러 농도로 조절한 액 100㎕을 가한 다음, 각각의 균의 최종 농도가 2X104 내지 1X105 CFU/㎖가 되도록 조정한 배양물 100㎕을 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6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혼탁이 발생하지 않는 시료농도로 MIC값을 결정하여 표 1과 같이 나타냈다.
추출물 MIC(㎕/㎖)
대장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메탄올 추출물 1,000 >1,000 1,000 >1,000
부탄올 분획추출물 62.5 62.5 31.3 62.5
헥산 분획추출물 500 1,000 1,000 500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 1,000 1,000 1,000
표 1에서 나타내 바와 같이, 은행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추출물 중에서 부탄올 분획추출물에서 4종의 식품유해군에 대하여 MIC가 31.6 내지 62.5㎕/㎖로 가장 양호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2: 부탄올 분획추출물의 식품에서의 항균실험
밥, 우유, 김치 각각 2g를 준비하고 이들 시료에 24시간 동안 활성화 시켜 2X103 CFU/㎖ 농도로 희석한 대장균,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배양액 100㎕을 가한 후, 각 시료에 50, 100, 200ppm 농도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행잎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넣고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 균의 선택배지로 총균수는 PCA배지(PLATE COUNT AGAR-Difco), E.coli는 VRBA배지(Violet Red Bile Agar-Difco), Salmonella는 XLD배지(XLD Agar-Difco), Staphylococcus는 MSA(Mannitol Salt Agar-Difco)배지, Listeria는 PALCAM(PALCAM Medium Base + Palcam Antimic Supplement-Difco)배지, 유산균은 MRS(de Man Rogosa and Sharpe Agar)배지를 사용하여 계수하여 항균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냈다.
식품 측정균 부탄올 분획추출물의 첨가농도
0 50ppm 100ppm 250ppm
총균수 >106 N N N
대장균 >106 N N N
살모넬라균 2.9X106 N N N
스타필로코커스균 N N N N
리스테리아균 2.0X103 N N N
우유 총균수 >106 N N N
대장균 >106 N N N
살모넬라균 3.7X103 N N N
스타필로코커스균 N N N N
리스테리아균 2.0X103 N N N
김치 총균수 >106 >106 >106 >106
유산균 >106 >106 >106 >106
대장균 1X100 N N N
살모넬라균 N N N N
스타필로코커스균 N N N N
리스테리아균 2.9X103 5.0X102 1.0X103 N
표 2에서 나타나듯이, 김치에서 유산균의 생육은 억제하지 않았으나 50ppm의 저농도에서도 리스테리아균을 제외하고 나머지 3종의 유해균을 사멸시켰음을 알 수 있다. 밥의 경우 50ppm을 첨가한 경우 모든균이 완전 사멸하였으며 우유에서도 50ppm 첨가시 모든균이 완전히 사멸하였다.
따라서 은행잎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50ppm이하의 저농도로 포함하는 경우에도 식품유해균을 효율적으로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탁월한 항균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실험예 3: 부탄올 분획추출물과 시판세제에의 항균실험
시판세제(퐁퐁, LG생활건강) 0.2% 희석액 900㎕에 유해균 배양물 2X109 CFU/㎖ 100㎕를 가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은행잎의 메탄올추출물, 부탄올 분획추출물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부탄올추출물을 각각 100ppm, 250ppm 되도록 가하여 5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TBA 배지에 도말하여 균수를 측정함으로써 식품유해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추출물 (사용농도) 대장균 살모넬라균 스타필로코커스균 리스테리아균
세제 대조구 3×106 5×106 3×106 2×107
메탄올 추출물 250ppm 2×105 5×105 3×105 3×105
부탄올 추출물 100ppm 250ppm 7×105 N 1×103 N 1×105 N 7×104 N
부탄올 분획추출물 100ppm 250ppm 8×100 N N N N N 1×100 N
상기 표 3에서, N은 생균없음을 나타낸다.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판세제만 첨가한 대조구에 비하여 메탄올추출물을 250ppm 첨가한 경우는 균들이 약간 감소하지만 부탄올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250ppm을 가하면 4종류의 균이 모두 사멸하였으며 100ppm을 가하는 경우 103 내지 105 CFU/㎖정도로 균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또한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첨가하는 경우 100ppm만을 첨가하는 경우에도 4종류의 유해균이 거의 사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탄올추출물 또는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세제에 첨가하거나 세척제에 포함하는 경우 식품유해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주방용 세제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비의 성분들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주방용 액체 세제를 제조하였다. 단위는 중량부이다.
구성요소 중량%
세제 A 30
안식향산 2
부탄올추출물 10
살리실산 2
구연산 2
소르빈산 2
에탄올 10
증류수 100 중량%까지
세제 A: 직쇄알킬벤젠황산염/알파올레핀술폰산염/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조성물(15:5:5)
본 발명은 은행잎의 부탄올 분획추출물 또는 부탄올추출물의 유효성분인 6-히드록시키누엔산이 대표적인 식품유해균들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뚜렷이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각종 위생제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은행잎의 부탄올 추출물, n-헥산 분획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및 부탄올 분획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로서,
    상기 n-헥산 분획추출물은 은행잎 메탄올 추출물에 n-헥산 수용액을 가하여 분획추출물한 것이고,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은 상기 n-헥산 분획추출물 중 수층에 클로로포름 가하여 분획추출한 것이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은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 중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분획추출한 것이고,
    상기 부탄올 분획추출물물은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중 수층에 부탄올을 가하여 분획추출한 것인, 대장균, 살모넬라균, 스타필로코커스균 및 리스테리아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중독균에 항균활성을 갖는,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6-히드록시키누렌산을 포함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
  3. 6-히드록시키누렌산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장균, 살모넬라균, 스타필로코커스균 및 리스테리아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중독균에 항균활성을 지닌 것인 항균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6-히드록시키누렌산은 은행잎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n-헥산 수용액, 클로로포름 수용액, 에틸아세테이트 수용액 및 부탄올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한 부탄올 분획추출물에 포함되는 항균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류용 세제, 식기용 세제, 식품용 세제, 및 가전제품용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세정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중 항균 조성물은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세정제.
KR1020050042414A 2005-05-20 2005-05-20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0783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414A KR100783152B1 (ko) 2005-05-20 2005-05-20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414A KR100783152B1 (ko) 2005-05-20 2005-05-20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406A true KR20060119406A (ko) 2006-11-24
KR100783152B1 KR100783152B1 (ko) 2007-12-07

Family

ID=3770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414A KR100783152B1 (ko) 2005-05-20 2005-05-20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967A (ko) * 2018-12-06 2020-06-16 (주)진셀팜 청호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 조성물
KR102406286B1 (ko) * 2021-12-23 2022-06-1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CN116139182A (zh) * 2022-11-28 2023-05-23 湖北诺克特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以莽草酸为特征的银杏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18B1 (ko) * 2011-12-27 2014-12-17 주식회사 제닉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1585A (ko) 2019-02-20 2020-08-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3929A (en) 1986-03-12 1988-06-2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Flavone glycoside
KR950008760B1 (ko) * 1991-12-21 1995-08-08 주식회사태평양 은행잎 플라보노이드 이합체의 안정화 방법
KR100331778B1 (ko) * 1999-09-13 2002-04-09 남봉길 은행잎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그의 추출장치
KR100415107B1 (ko) * 2001-03-02 2004-01-13 정형동 은행잎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558382B1 (ko) * 2002-04-03 2006-03-10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498228B1 (ko) * 2002-10-18 2005-07-01 학교법인조선대학교 은행잎 추출물 및 그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967A (ko) * 2018-12-06 2020-06-16 (주)진셀팜 청호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 조성물
KR102406286B1 (ko) * 2021-12-23 2022-06-1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CN116139182A (zh) * 2022-11-28 2023-05-23 湖北诺克特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以莽草酸为特征的银杏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52B1 (ko) 200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n et al.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on lipid oxidation and color of pork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l-Hashimi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Hibiscus sabdariffa L. extracts
Gortzi et al. Re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ymus spp. extracts before and after encapsulation in liposomes
Martínez-Tomé et al. Assess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offee brewed in three different ways from different origins
KR101636095B1 (ko) 항균제 및 항균 방법
Marmouzi et al. Functional compositi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oil and phenolics from Moroccan Pennisetum glaucum seeds
KR100783152B1 (ko)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Ganesan et 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armeliod lichens from Shevaroy hills of Eastern Ghats, India
Jam et al.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aqueous, ethanolic and methanolic extracts of areca nut fruit on selected bacteria
Zhang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phase extracts from bamboo shavings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arakoca et al. Phenolic compounds, b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nobrychis armena Boiss. & Huet flower and root extracts
Karm Investigation of active compound in clove (Syzygium aromaticum) extrac and compared with inhibitors of growth of some types of bacteria causing food poisoning
Acero-Ortega et al. Evaluation of phenylpropanoids in ten Capsicum annuum L. varieties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Listeria monocytogenes Murray, Webb and Swann Scott A
KR20110120394A (ko) 국화 꽃으로부터 추출된 항균 조성물
Negi et al. Control of foodborne pathogenic and spoilage bacteria by garcinol and garcinia indicaextract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Tang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iofilm activity of burdock (Arctium lappa L Asteraceae) leaf fraction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KR100509176B1 (ko)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Supriad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eagrass of Halodule uninervis in the coastal of Lampung
M Hamed et al.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production from Pocillopora verrucosa collected from Al-Hamraween, Red Sea, Egypt
KR101175693B1 (ko) 백작약 추출물, 육계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Saraya et al. Sappan wood extract used as preservative in chili paste
KR101211669B1 (ko)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aza et al. investigation of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hydro-alcoholic and aqueous extracts of L.
KR20150044193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보존제, 이의 제법 및 그 조성물
KR102147951B1 (ko) 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