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585A -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585A
KR20200101585A KR1020190019591A KR20190019591A KR20200101585A KR 20200101585 A KR20200101585 A KR 20200101585A KR 1020190019591 A KR1020190019591 A KR 1020190019591A KR 20190019591 A KR20190019591 A KR 20190019591A KR 20200101585 A KR20200101585 A KR 20200101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kgo
flower
biloba
flow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서채원
김한빈
류민주
김승범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585A/ko
Publication of KR20200101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585A/ko
Priority to KR1020210136905A priority patent/KR10233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나무 꽃(Ginko biloba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은행나무 꽃 추출물이 우수한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항진균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은행나무의 꽃을 활용함으로써 은행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은행으로 인한 악취나 도로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Ginko biloba flower}
본 발명은 은행나무 꽃(Ginko biloba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은행나무(Ginkgo biloba)는 은행나무과(Ginkgo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중생대 이후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는 종으로, 살아있는 화석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은행나무는 단풍이 아름답고 병충해가 거의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점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서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은행나무의 껍질이 두껍고 코르크질이 많아 화재에 강하여 방화수로도 이용된다.
그러나 은행나무의 열매인 은행이 떨어지는 시기에는 은행의 악취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고, 바닥에 떨어진 은행으로 인해 도로 환경에도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은행나무를 가로수로 심을 경우에 은행을 맺는 암나무를 대신하여 수나무를 심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나무의 암, 수를 구별하는 방법은 수나무에만 존재하는 유전자인 SCAR-GBM를 분석하는 것으로, 유전자 분석을 위한 추가 비용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에 존재하는 암나무에 대한 해결 방법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은행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은행이 떨어지기 전에 은행나무를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은행나무는 지금까지 부위별로 수많은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과실에는 징골(ginkgol), 빌로볼(bilobol) 및 징코린산(ginkgolic acid)이, 종자에는 시아노제네틱 글리코사이드(cyanogenetic glycoside) 및 4-O-메틸피리독신(4-O-methylpyridoxine)이, 심재는 D-세사민(D-sesamin) 및 빌로바논(bilobanone)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화분으로부터는 쿠마린산(coumaric acid),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도코사놀(docosanol), 스테롤(sterol)류 등의 성분이 분리 확인되었다. 은행잎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화합물과 테르펜(terpene)계 화합물(빌로바라이드(bilobalide), 징코라이드(ginkgolide) A, B, C, M 및 J), 폴리페놀(polyphenol),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등, 100여종의 화합물이 분리 보고 되었다(Tang, W., et al., 1992). 특히나, 은행잎 추출물이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며, 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은행나무의 열매가 맺히기 전에 은행나무의 새순 또는 꽃을 채취하고, 이를 이용해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은행나무 새순 또는 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은행나무 꽃 추출물이 우수한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은행나무의 꽃을 활용함으로써 은행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은행으로 인한 악취나 도로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783152호 및 제0519844호에는 은행잎 추출물의 항균, 항곰팡이 효과가 기재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54327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8-0073818호에는 은행나무 열매의 외피 추출물 또는 분쇄가루의 항균 및 살균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 및 이의 항진균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비특허선행문헌인 Mazzanti, G., et al., (2000)에는 은행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한 분획물의 항균 활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각 분획물에 따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의 종류 및 항균 활성 농도가 크게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비특허선행문헌인 Ibrahim, M.P., et al., (2016)에는 은행잎 추출물인 EGb761의 항균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EGb761은 아세톤과 물을 이용한 추출 과정, 지방 친화성분의 제거, 활성물질 강화, 폴리페놀 성분 제거 등의 복합한 추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은행잎 추출물로,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에 비해 그 제조 과정이 복잡하며,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EGb761의 항균 활성이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에 비해 2배 정도 낮았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들로부터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의 우수한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진균 효과는 전혀 예측할 수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0783152호,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2007. 11. 3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0519844호,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탕 마무리용 바이오바름재, 2005. 09. 29.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0543279호, 섬유용 천연 항박테리아(Antibacterial) 및 항균(Antifungal)제의 추출 및 응용, 2006. 01. 06.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18-0073818호, 은행 외피 분쇄가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행 외피 분쇄가루 및 그를 이용하여 항균력과 살균력을 상승시킨 방제용 약제, 2018. 07. 03. 공개.
Ibrahim, M.P.,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bacterial/Antifungal Activi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IOSR Journal of Pharmacy and Biological Sciences, 11(1), 43-49, 2016. Mazzanti, G., et al., Antimicrobial investigation of semipurified fractions of Ginkgo biloba leav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 83-88, 2000. Tang, W., et al.,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Springer-Verlag, Berlin, 555-565, 1992.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나무 꽃(Ginko biloba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나무 꽃을 이용함으로써 은행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은행으로 인한 악취나 도로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은행나무 꽃(Ginko biloba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은 은행나무 꽃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에틸아세테이트(diethyl acetat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헥산(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진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칸디다 알비칸스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감염성 아토피 피부염, 주부 습진 또는 기저귀 발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은행나무 꽃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에틸아세테이트(diethyl acetat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헥산(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균(fungi)"은 곰팡이, 효모, 버섯을 포함한 미생물군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진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트로피칼리스(C. tropocalis), 칸디다 크루세이(C. krusei), 칸디다 글라브라타(C. glabrata)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칸디다 알비칸스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감염성 아토피성 피부염, 주부 습진 및 기저귀 발진의 원인 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진균의 감염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칸디다 알비칸스 감염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칸디다 알비칸스 감염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은 감염성 아토피 피부염, 주부 습진 또는 기저귀 발진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용 투여제, 스프레이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또는 외용제로 제형화 된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겔제, 연고제, 크림제 또는 외용제로 제형화 된 약학 조성물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로 제형화 된 약학 조성물이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의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및 피부 도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소독용 조성물은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 활성이다.
상기 소독용 조성물은 액제, 정제, 과립제, 산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은행나무 꽃(Ginko biloba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은행나무 꽃 추출물이 우수한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항진균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고, 은행나무의 꽃을 활용함으로써 은행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은행으로 인한 악취나 도로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이 디스크 어세이를 이용한 은행나무 꽃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은행나무 꽃 및 새순 추출물 제조>
3~4월경에, 은행나무의 암나무로부터 꽃 및 새순을 채취하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세척한 은행나무의 꽃과 새순을 하루 동안 동결 건조시킨 후, 건조된 꽃 및 새순을 빻아서 분말화 하였다. 분말화 된 은행나무 꽃 1.1g 또는 새순 5g에 100% 메탄올 100㎖을 가하고 30℃에서 교반기에 넣고 5일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어 은행나무 꽃 또는 새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항균 효과 확인>
실시예 2-1.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은행나무 꽃 추출물 또는 새순 추출물을 균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MIC)를 확인하기 위해 영양 배지(nutrient broth, NB)를 이용하여 액체 분석(liquid assay)을 수행하였다. 균으로는 그람 음성균(gram negative bacteria)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을, 그람 양성균(gram positive baceteria)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진균(fungi)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를 이용하였다.
영양 배지(nutrient broth; 0.5% peptone, 0.3% beef extract) 10㎖에 상기 실시예 1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 또는 새순 추출물을 0, 0.01, 0.02, 0.04, 0.08, 0.16, 0.3, 0.5, 1, 1.5, 2g씩 처리하고, 상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칸디다 알비칸스 현탁액을 10㎕씩 접종한 후, 30℃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균이 성장함에 따라 배지가 탁해지는 정도를 관찰하였고, 각 균에 대한 MIC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MIC(㎎/㎖)
은행나무 꽃 추출물 은행나무 새순 추출물
황색포도상구균 16 > 200
대장균 50 > 200
칸디다 알비칸스 8 > 20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은행나무 꽃 추출물이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알비칸스 및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나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은행나무 새순 추출물은 300㎎/㎖ 이상의 농도에서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알비칸스 및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및 새순 추출물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더욱이, 은행나무 꽃 추출물이 새순 추출물에 비해 항균 활성이 현저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2. 은행나무 꽃 추출물의 항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항균 활성이 확인된 은행나무 꽃 추출물의 항균 활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종이 디스크 어세이(paper disc assay)를 수행하였다.
종이 디스크에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흡수시켰다. 구체적으로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1㎖의 증류수에 황색포도상구균 처리용에는 16㎎, 대장균 처리용에는 50㎎, 칸디다 알비칸스 처리용에는 8㎎이 되도록 녹인 후, 0.1㎖씩을 종이 디스크에 흡수시켰고, 대조군으로는 증류수 40㎕를, 양성대조군으로는 30㎍/㎖ 농도의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 TMP; 항생제)과 니스타틴(Nystatin; 항진균제)을 각각 20㎕씩을 흡수시켰다. 한천배지(0.5% peptone 5g, 0.3% beef extract, 1.5% agar)에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또는 칸디다 알비칸스 현탁액 100㎕씩을 각각 도말하고, 핀셋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준비해 놓은 종이 디스크를 각 균을 도말한 한천 배지에 올려놓은 후,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균의 생육이 억제되어 나타나는 클리어 존(clear zone, inhibition zone)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여주듯이, 은행나무 꽃 추출물은 칸디다 알비칸스가 도말된 배지에서 종이 디스크 주위로 클리어 존이 나타나는 반면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서는 클리어 존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이 칸디다 알비칸스, 즉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은행나무 꽃(Ginko biloba flow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 꽃 추출물은 은행나무 꽃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에틸아세테이트(diethyl acetat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헥산(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균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진균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칸디다 알비칸스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감염성 아토피 피부염, 주부 습진 또는 기저귀 발진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독용 조성물.
KR1020190019591A 2019-02-20 2019-02-20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20200101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91A KR20200101585A (ko) 2019-02-20 2019-02-20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0210136905A KR102339423B1 (ko) 2019-02-20 2021-10-14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91A KR20200101585A (ko) 2019-02-20 2019-02-20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905A Division KR102339423B1 (ko) 2019-02-20 2021-10-14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85A true KR20200101585A (ko) 2020-08-28

Family

ID=722920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591A KR20200101585A (ko) 2019-02-20 2019-02-20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0210136905A KR102339423B1 (ko) 2019-02-20 2021-10-14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905A KR102339423B1 (ko) 2019-02-20 2021-10-14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0158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844B1 (ko) 2004-01-30 2005-10-06 정구현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탕 마무리용 바이오바름재
KR100783152B1 (ko) 2005-05-20 2007-12-07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073818A (ko) 2016-12-23 2018-07-03 이용순 은행 외피 분쇄가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행 외피 분쇄가루 및 그를 이용하여 항균력과 살균력을 상승시킨 방제용 약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3883B2 (ja) * 1996-10-04 2004-10-06 株式会社ノエビア 抗菌性低刺激化粧料
KR20030097364A (ko) * 2002-06-20 2003-12-31 최순화 항균성 물질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섬유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844B1 (ko) 2004-01-30 2005-10-06 정구현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건축물 바탕 마무리용 바이오바름재
KR100783152B1 (ko) 2005-05-20 2007-12-07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073818A (ko) 2016-12-23 2018-07-03 이용순 은행 외피 분쇄가루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행 외피 분쇄가루 및 그를 이용하여 항균력과 살균력을 상승시킨 방제용 약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brahim, M.P.,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bacterial/Antifungal Activi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IOSR Journal of Pharmacy and Biological Sciences, 11(1), 43-49, 2016.
Mazzanti, G., et al., Antimicrobial investigation of semipurified fractions of Ginkgo biloba leav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 83-88, 2000.
Tang, W., et al.,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Springer-Verlag, Berlin, 555-565, 1992.
한국등록특허 제0543279호, 섬유용 천연 항박테리아(Antibacterial) 및 항균(Antifungal)제의 추출 및 응용, 2006. 01. 06. 등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423B1 (ko) 2021-12-13
KR20210128962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lam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our medicinally important plants in Bangladesh
Ashafa et al. Screening the root extracts from Biden pilosa L. var. radiata (Asteraceae) for antimicrobial potentials
Khan et al. Pharmacological importance of Clerodendrum genus: a current review
Meela et al. Acetone leaf extracts of seven invasive weeds have promising activity against eight important plant fungal pathogens
Peni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arinari curatellifolia stem extract
Khan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y of Tamarix dioica Roxb. leaves
Lalli et al.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South African Pelargonium (Geraniaceae) species
Bharath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of Ocimum sanctum, Azadirachta indica and Phyllanthus amarus against clinical Pathogens
Tauchen et al. The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Edelweiss: A review
Bekheet et al. Antifungal effects of Ficus sycomorus and Pergularia tomentosa aqueous extracts on some organs in Bufo regularis treated with Aspergillus niger
Majali et al. Antimicrobial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Moringa peregrine-MINIREVIEW
Chokki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Momordica charantia L. and Morinda lucida Benth extracts from Benin
Bessam et al. Evaluation of the antibacterial and antifongigal activity of different extract of flavonoïques Silybum marianum L
Ngonda et al. Evaluation of Malawian Vernonia glabra (Steetz) Vatke leaf and Securidaca longepedunculata (Fresen) root extracts for antimicrobial activities
Sikder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screening of four reputed Bangladeshi medicinal plants
Oyedeji et al. Biocidal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leaf extracts of Annona muricata (Linn.)
Kuźma et al. Abietane diterpenoids from Salvia sclarea transformed roots as growth inhibitors of pathogenic Acanthamoeba spp.
Aboh et al. Preliminary studies on Luffa cylindrica: Comparative phytochemical and antimicrobial screening of the fresh and dried aerial parts
Yasotha et al. PHYTOCHEMICAL AND ANTIMICROBIAL POTENTIAL OF SEED AND BARK EXTRACTS OF SWIETENIA MAHAGONI (L.) JACQ.
KR102339423B1 (ko)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Babajide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biological activity studies of five South African indigenous medicinal plants
Okhale et al. Effects of semisynthetic modification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yl acetate extract of Mitracarpus villosus (Sw.) DC aerial part
Masika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two flavonoids isolated from Schotia latifolia
Amjad et al. Potential activity of the Anthemis gayana leaves on fungi
Pratap Chandran et al.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Thespesia populnea leaf extracts against human pathog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