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310A -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310A
KR20060119310A KR1020050042062A KR20050042062A KR20060119310A KR 20060119310 A KR20060119310 A KR 20060119310A KR 1020050042062 A KR1020050042062 A KR 1020050042062A KR 20050042062 A KR20050042062 A KR 20050042062A KR 20060119310 A KR20060119310 A KR 20060119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hielding
support member
sli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411B1 (ko
Inventor
김선호
이송익
이기형
이대중
손석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411B1/ko
Priority to EP06009467A priority patent/EP1726897A2/en
Priority to CNA2006100827132A priority patent/CN1867238A/zh
Publication of KR2006011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REFRIGERATOR HAVING DISPLA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지지부재 및 차폐유닛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냉장고의 지지부재 및 차폐유닛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를 분리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차폐유닛의 작동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분리된 후의 지지부재 및 차폐유닛의 작동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차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3 : 본체
4 : 디스플레이 8 : 도어
10 : 디스플레이수용부 13 : 차폐부재가이드
15 : 지지부재가이드 16 : 제어부
17 : 감지센서 18 : 조작부
20 : 지지부재 23 : 지지슬라이더
28 : 탄성부재 30 : 차폐유닛
31 : 차폐부재 33 : 차폐슬라이더
41 : 구동부 43 : 구동모터
47 : 피니언기어 51 : 연결부재
54 : 차폐슬라이더가이드 57 : 지지슬라이더가이드
61 : 연결부재가이드 63 : 회전축지지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지지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고 보존하기 위한 기능뿐만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한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냉장고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인터넷 등과 같은 부가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가 한국특허출원 10-2003-0063256호의 냉장고용 터치스크린 착탈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용 터치스크린 착탈장치는 터치스크린이 수납되는 거치대와, 터치스크린이 수납된 거치대를 수 용가능하게 마련된 하우징과, 거치대가 전후방향으로 회동운동하도록 토크를 부여하는 전동모터와, 전동모터를 기동시키는 누름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냉장고의 터치스크린 착탈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터치스크린이 거치대에 수납되어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스위치를 가압하면 거치대가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런후, 사용자가 다시 누름스위치를 가압하면 터치스크린이 분리된 거치대가 후방으로 회전하여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터치스크린을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거치대를 하우징에 수용시키기 위해 다시 누름스위치를 가압해야 하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터치스크린이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면 하우징에 터치스크린의 수용 공간에 해당되는 홈이 존재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분리된 경우에도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하측에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 동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차폐부재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차폐부재가이드에 안내되는 차폐슬라이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가 상기 차폐부재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차폐슬라이더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의 이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차폐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경사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평행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슬라이더가 상기 평행가이드부 및 상기 경사가이드부에 각각 안내될 때 상기 지지슬라이더는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랙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연결포트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연결포트와 결합가능하게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 및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도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개구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차폐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차폐부재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차폐부재가이드에 안내 되는 차폐슬라이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가 상기 차폐부재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차폐슬라이더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의 이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차폐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경사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평행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랙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에 착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수용하는 차폐부재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차폐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 및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랙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미도시)을 형성하는 본체(3)와, 본체(3)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8)와,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4)와, 디스플레이(4)를 수용하도록 도어(8)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수용부(10)와, 디스플레이(4)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수용부(10)를 차단할 수 있도록 차폐부재(31)를 갖는 차폐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참조).
본체(3)는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냉동실 및 냉장실과 같은 전술한 저장실(미도시)과, 저장실(미도시)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본체(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DE BY SIDE 방식으로 마련된다. 본체(3)의 저장실(미도시)은 좌우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도어(8)에 의해 개폐된다.
디스플레이(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LCD패널과 같은 평판디스플레이패널(5)과, 평판디스플레이패널(5)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미도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에는 정보입력이나 정보선택을 위해 조작버튼(6)과, 후술할 지지부재(20)의 커넥터(22)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포트(7)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4)에는 연결포트(7)에 의해 공급된 전원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배터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평판디스플레이패널(5)은 정보입력 등이 용이하도록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에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데이터송수신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4)는 인터넷 등이 가능하게 된다.
연결포트(7)는 지지부재(20)의 커넥터(22)와 연결되어 전원뿐만 아니라 화상신호와 같은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수용부(10)는 도어(8)에 디스플레이(4)를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되며, 디스플레이(4)를 수용하도록 개구부(11)를 갖는다. 디스플레이수용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재(31)를 수용하도록 전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는 차폐부재(31)를 안내하도록 차폐부재가이드(13)가 마련되며, 지지부재(20)를 안내하도록 지지부재가이드(15)가 마련된다.
차폐부재가이드(13)는 차폐부재(31)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양측에 복수개로 마련된다(도 3참조). 차폐부재가이드(13)는 후술할 차폐부재(31)의 차폐슬라이더(33)를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관통된다. 차폐부재가이드(13)는 본 발명의 일예로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양측에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도 3참조).
지지부재가이드(15)는 지지부재(20)를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도 록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하부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도 3참조). 지지부재가이드(15)는 후술할 지지부재(20)의 지지슬라이더(23)를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관통될 수 있다. 차폐부재가이드(13)는 본 발명의 일예로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하부영역 양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도 3참조).
이에, 차폐부재(31)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 수용되어 차폐부재가이드(13)에 안내되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지지부재(20)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하측에 수용되어 지지부재가이드(15)에 안내되어 회동가능하게 된다(도 9 및 도 12참조).
지지부재(20)는 디스플레이(4)가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디스플레이수용부(10)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도 9 및 도 12참조). 지지부재(20)는 디스플레이(4)의 하부영역을 수용하도록 마련된 수용지지부(21)와, 디스플레이(4)가 수용지지부(21)에 수용될 때 디스플레이(4)의 연결포트(7)와 연결가능하게 수용지지부(21)에 마련된 커넥터(22)를 포함한다(도 3참조). 지지부재(20)에는 지지부재가이드(15)에 안내되는 지지슬라이더(23)와, 지지부재(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25)이 마련된다(도 3참조). 지지부재(20)는 후술할 구동부(41)에 의해 수용위치와 분리위치 간을 이동하게 된다. 지지부재(20)에는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8)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를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41)를 구동하는 제어부(16)가 마련된다(도 2참조).
지지슬라이더(23)는 지지부재(20)의 양측에서 돌출된다(도 3참조). 지지슬 라이더(23)는 지지부재(20)가 수용위치와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구동부(41)에 의해 이동하는 후술할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에 안내된다(도 6 및 도 9참조).
힌지축(25)은 수용지지부(21)의 하측에 수용지지부(21)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도 3참조). 힌지축(25)의 양단부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힌지축지지부(2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축(25)의 일측에는 힌지축(25)과 일체로 회동하는 탄성부재가압부(24)가 마련된다.
탄성부재(28)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마련된다. 탄성부재(28)의 일측은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탄성부재지지부(26)에 지지되며, 타측은 탄성부재가압부(24)가 지지된다(도 3 및 도 5참조). 탄성부재(28)는 지지부재(20)를 상시 수용위치로 위치하도록 탄성부재가압부(24)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탄성부재(28)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지지슬라이더(23)가 지지슬라이더가이드(54)에 의해 안내되면 지지부재(20)는 수용위치에서 분리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탄성부재가압부(24)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하부영역에 마련된 스토퍼(27)에 의해 회동을 제한받게 된다. 이에, 지지부재(20)는 수용위치에서 회동을 정지할 수 있다(도 6참조).
제어부(16)는 지지부재(20)로부터 디스플레이(4)가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지지부재(20)가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동하도록 구동부(41)를 구동한다. 제어부(16)는 지지부재(20)에 디스플레이(4)가 지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지지부재(20)가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동하도록 구동부(41)를 구동할 수도 있다. 제어부(16)는 지지부재(20)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로부터 이탈 및 장 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7)를 포함한다(도 2 및 도 3참조). 제어부(16)는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 및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구동부(41)를 제어하는 조작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및 도 2참조).
감지센서(17)는 수용지지부(21)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지지부재(20)를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41)를 제어한다. 그리고, 감지센서(17)는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에 지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지지부재(20)를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동부(4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를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시키면 감지센서(17)에 의해 지지부재(20)는 자동적으로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를 지지부재(20)에 장착하면 감지센서(17)에 의해 지지부재(20)는 자동적으로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조작부(18)는 사용자에 조작가능하게 도어(8)에 마련된다(도 1 및 도 2참조). 조작부(18)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에서 분리위치로 회전하도록 구동부(41)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디스플레이(4)가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8)를 가압하면, 지지부재(20)가 수용위치에서 분리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조작부(18)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차폐부재(31)를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부(4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차폐유닛(30)은 전술한 차폐부재(31)와, 차폐부재(31) 및 지지부재(20)를 구 동하기 위한 구동부(41)와, 차폐부재(31) 및 지지부재(20)를 구동부(41)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연결부재(51)를 포함한다(도 3참조).
차폐부재(31)는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개구부(1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개구부(11)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한다(도 9 및 도 12참조). 차폐부재(31)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 수용가능하도록 판형상으로 마련된다. 차폐부재(31)의 양측에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차폐부재가이드(13)에 수용되어 안내되도록 돌출된 차폐슬라이더(33)가 마련된다(도 3참조).
차폐슬라이더(33)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차폐부재가이드(13)에 대응하여 차폐부재(31)의 양측에 한 쌍씩 마련된다(도 3참조). 차폐슬라이더(33)는 후술할 연결부재(51)의 차폐슬라이더가이드(54)에 안내되어 차폐부재(31)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구동부(41)는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 및 분리위치 간을 이동시키며, 차폐부재(31)를 개방위치 및 차단위치 간을 이동시킨다. 그러나, 지지부재(20)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차폐부재(31)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동부(41)는 구동모터(43)와, 구동모터(43)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47)를 포함한다(도 3참조).
구동모터(43)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일측에 지지된다. 피니언기어(47)는 후술할 한 쌍의 연결부재(5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된다. 각 피니언기어(47)는 회전축(45)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43)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구동모 터(43) 및 회전축(45)은 회전축지지대(63)에 의해 지지된다(도 3참조).
연결부재(51)는 긴 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도 3참조). 연결부재(51)는 구동부(41)에 의해 차폐슬라이더(33)가 차폐부재가이드(13)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부(41) 및 차폐슬라이더(33)와 연결된다. 연결부재(51)는 구동부(41)에 의해 차폐부재(31)의 이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연결부재(51)에는 연결부재(51)의 이동에 의해 차폐슬라이더(33)를 안내하는 차폐슬라이더가이드(54)가 마련된다(도 3참조). 연결부재(51)에는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와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구동부(41)에 의해 이동하여 지지슬라이더(23)를 안내하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가 마련된다(도 3참조). 연결부재(51)에는 피니언기어(47)와 맞물림 결합하는 랙기어부(52)가 마련된다. 연결부재(51)는 디스플레이수용부(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연결부재가이드(61)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부(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도 5, 도 8 및 도 11참조).
차폐슬라이더가이드(54)는 차폐슬라이더(33)를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연결부재(51)의 판면에 길게 함몰 형성된다. 차폐슬라이더가이드(54)는 연결부재(51)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가이드부(56)와, 연결부재(51)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평행가이드부(55)를 포함한다(도 3참조).
평행가이드부(55)는 경사가이드부(56)의 상측에 경사가이드부(56)와 연통되게 마련되어 차폐슬라이더(33)를 수용하여 안내한다(도 3참조). 평행가이드부(55)가 차폐슬라이더(33)를 안내하는 동안은 차폐부재(31)는 이동하지 않으며, 다만 지 지슬라이더(23)가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에 의해 이동하여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에서 분리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6 및 도 9참조).
경사가이드부(56)는 평행가이드부(55)의 하측에 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차폐슬라이더(33)를 수용하여 안내한다(도 3참조). 경사가이드부(56)가 차폐슬라이더(33)를 안내하는 동안은 차폐부재(31)가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게 되며, 지지슬라이더(23)가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에 의해 이동하여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와 분리위치 간을 이동시키게 된다(도 9 및 도 12참조).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는 차폐슬라이더(33)를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연결부재(51)의 판면에 함몰 형성된다(도 3참조).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는 차폐슬라이더가이드(54)의 하측에 마련되어 차폐슬라이더(33)를 안내하게 된다.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지지가이드부(58)와, 제1지지가이드부(58)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제2지지가이드부(59)를 포함한다(도 3참조).
제1지지가이드부(58)는 제2지지가이드부(59)의 상측에 제2지지가이드부(59)와 연통되게 마련되어 지지슬라이더(23)를 수용하여 안내한다. 제1지지가이드부(58)는 평행가이드부(55)가 차폐슬라이더(33)를 안내하는 동안은 지지슬라이더(23)를 안내하여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에서 분리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도 6 및 도 9참조).
제2지지가이드부(59)는 제1지지가이드부(58)의 하측에 마련되어 지지슬라이더(23)를 수용하여 안내한다. 제2지지가이드부(59)는 경사가이드부(56)가 차폐슬 라이더(33)를 안내하는 동안은 지지슬라이더(23)를 안내하여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와 분리위치 간을 이동시키게 된다(도 9 및 도 12참조). 그리고, 탄성부재(28)가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하므로 지지슬라이더(23)는 제1 및 제2지지가이드부(59)의 후방면을 접촉하면 이동하게 된다(도 9 및 도 12참조). 그리고, 연결부재(51)가 더 승강하게 되면 지지슬라이더(23)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의 하측으로 이탈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지지부재(20)는 탄성부재(28)에 의해 수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도 12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의 지지부재(20) 및 차폐부재(31)가 작동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12는 지지부재(20) 및 차폐부재(31)의 작동을 자세히 도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4)를 삭제하였다.
우선, 디스플레이(4)를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시키기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수용위치에 위치하며, 차폐부재(31)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20)에는 디스플레이(4)가 장착되나, 도 4 내지 도 6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4)를 생략한다. 이때, 차폐부재(31)의 차폐슬라이더(33)는 연결부재(51)의 차폐슬라이더가이드(54)의 제일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지지부재(20)의 지지슬라이더(23)는 연결부재(51)의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의 제일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도 6참조).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18)를 가압하게 되면, 구동모터(43)가 작동하여 피 니언기어(47)를 회전시키며, 피니언기어(47)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47)와 맞물린 랙기어부(52) 및 연결부재(51)가 상승하게 된다(도 7 내지 도 9참조). 이때, 구동모터(43)는 차폐슬라이더(33)가 평행가이드부(55) 만을 이동하도록 연결부재(51)를 상승시키게 된다(도 9참조). 그러면, 차폐부재(31)는 그대로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의 지지슬라이더(23)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의 제1지지가이드부(58)를 따라 이동하여 지지부재(20)가 수용위치에서 분리위치로 회동하게 된다(도 7 내지 도 9참조). 이에,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지지부재(20)에 수용된 디스플레이(4)를 잡아 들어올려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되는 순간, 지지부재(20)에 마련된 제어부(16)의 감지센서(17)가 디스플레이(4)의 이탈을 감지하여 구동부(41)를 작동한다. 감지센서(17)에 의한 구동부(41)가 구동되어 연결부재(51)를 더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지지부재(20)는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전하며, 차폐부재(31)는 개방위치에서 차단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 10 내지 도 12참조). 이 경우, 차폐부재(31)의 차폐슬라이더(33)는 차폐슬라이더가이드(54)의 경사가이드부(56)에 안내되어 차폐부재가이드(13)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차폐부재(31)는 개방위치에서 차단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 12참조). 그리고, 지지부재(20)의 지지슬라이더(23)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57)의 제2지지가이드부(59)에 안내되며 탄성부재(28)에 가압되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지지부재(20)는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동하게 된다(도 12참조).
그리고, 디스플레이(4)를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 장착시키기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수용위치에 위치하며, 차폐부재(31)는 차단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8)를 가압한다. 그러면, 구동부(41)가 구동하여 연결부재(51)를 하향이동 시킨다. 이때, 구동부(4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를 수용위치에서 분리위치로 이동시키며, 차폐부재(31)를 차단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분리위치로 이동된 지지부재(20)에 디스플레이(4)를 장착하게 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에 지지되는 순간, 지지부재(20)에 마련된 제어부(16)의 감지센서(17)가 디스플레이(4)의 장착을 감지하여 구동부(41)를 작동한다. 감지센서(17)에 의한 구동부(41)가 구동되어 연결부재(51)를 더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지지부재(20)는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회전된다. 이에, 디스플레이(4)는 냉장고(1)의 도어(8)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4)가 디스플레이수용부(10)에 장착되는 과정은 전술한 분리과정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를 디스플레이수용부(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4)를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 및 장착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지지부재(20)를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디스플레이(4)가 지지부재(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수용부(10)를 차단할 수 있도록 차폐부재(31)를 마련함으로 냉장고(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20) 및 차폐부 재(31)를 하나의 구동부(41)로 구동시킴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차폐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재(131)는 디스플레이수용부(110)의 개구부(11)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재(131)는 디스플레이수용부(110)의 개구부(1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디스플레이수용부(110)의 개구부(11)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러나, 차폐부재(131)는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차폐부재(131)의 배면에는 구동모터(미도시)와 피니언기어(147)에 의해 차폐부재(131)를 이동시키도록 랙기어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용부(110)의 일측에는 차폐부재(131)를 수용하는 차폐부재수용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수용부(110)의 후방은 수용위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4)를 지지하도록 밀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수용부(110)에는 차폐부재(131)를 이동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차폐가이드(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차폐부재수용부(133)는 디스플레이수용부(11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조작부(18) 혹은 지지부재(20)에 마련된 감지센서(미도시) 등에 의해 피니언기어(147)를 회전시켜 차폐부재(131)를 개방위치와 차단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지지부재로부터 분리 혹은 장착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지지부재를 분리위치에서 수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수용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차폐부재를 마련함으로 냉장고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 및 차폐부재를 하나의 구동부로 구동시킴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3)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하측에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차폐부재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차폐부재가이드에 안내되는 차폐슬라이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가 상기 차폐부재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차폐슬라이더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의 이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차폐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경사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평행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된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지지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슬라이더가 상기 평행가이드부 및 상기 경사가이드부에 각각 안내될 때 상기 지지슬라이더는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연결포트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연결포트와 결합가능하게 커넥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이탈 및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도어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개구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수 용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개방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차폐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차폐부재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차폐부재가이드에 안내되는 차폐슬라이더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가 상기 차폐부재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차폐슬라이더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의 이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차폐슬라이더를 안내하는 차폐슬라이더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슬라이더가이드는 상기 경사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평행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에 착탈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회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수용하는 차폐부재수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는 상기 차폐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차폐가이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에 수용된 수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로부터 이탈된 분리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수용위치 및 상기 분리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수용부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차단위치 간을 이동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 및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수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마련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림 결합하는 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042062A 2005-05-19 2005-05-19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KR10068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62A KR100683411B1 (ko) 2005-05-19 2005-05-19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EP06009467A EP1726897A2 (en) 2005-05-19 2006-05-08 Storage compartment with display support
CNA2006100827132A CN1867238A (zh) 2005-05-19 2006-05-18 具有显示器支撑的储藏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62A KR100683411B1 (ko) 2005-05-19 2005-05-19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10A true KR20060119310A (ko) 2006-11-24
KR100683411B1 KR100683411B1 (ko) 2007-02-20

Family

ID=3679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062A KR100683411B1 (ko) 2005-05-19 2005-05-19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726897A2 (ko)
KR (1) KR100683411B1 (ko)
CN (1) CN186723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58B1 (ko) * 2006-12-18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25770B1 (ko) * 2006-12-18 2013-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84155B1 (ko) * 2006-12-15 201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137967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986B1 (ko) 2007-06-01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072A (ko) * 2003-03-10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50026245A (ko) * 2003-09-09 2005-03-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인터넷 냉장고용 터치스크린 착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155B1 (ko) * 2006-12-15 2014-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18358B1 (ko) * 2006-12-18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25770B1 (ko) * 2006-12-18 2013-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137967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411B1 (ko) 2007-02-20
CN1867238A (zh) 2006-11-22
EP1726897A2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1220A1 (en) Storage compartment with display support
KR100683411B1 (ko) 디스플레이를 갖는 냉장고
US7625052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ntainer moving system
EP1617159B1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US8668289B2 (e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542435B1 (en) Slid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81921A (ko) 냉장고
CN110425273B (zh) 一种电子换档器
CN111867311B (zh) 电子设备
CN103292550B (zh) 冰箱抽屉门自动开启装置
CN111884670B (zh) 电子设备
US2013032939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7161386B (zh) 曲面玻璃真空内贴合机器
CN205172289U (zh) 一种指纹头可伸缩的保险箱门板
KR100415816B1 (ko) 냉장고
CN217705202U (zh) 一种便携式打印机
JP2008041222A (ja) 電子機器装置
CN220624546U (zh) 具有翻转把手的门体结构、冰箱
WO2009028131A1 (ja) 冷蔵庫
EP2792908A1 (en) Rotating body assembly structure
CN215729993U (zh) 一种微型智能售货机
KR20070027839A (ko) 냉장고
CN219360893U (zh) 一种绳索驱动式车载冰箱
CN220133730U (zh) 一种汽车遥控钥匙
JP2009076751A (ja) パネ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