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639A -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 Google Patents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639A
KR20060118639A KR1020050040623A KR20050040623A KR20060118639A KR 20060118639 A KR20060118639 A KR 20060118639A KR 1020050040623 A KR1020050040623 A KR 1020050040623A KR 20050040623 A KR20050040623 A KR 20050040623A KR 20060118639 A KR20060118639 A KR 2006011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sun
visor
switching means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614B1 (ko
Inventor
송환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61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3Contacts actuated by axial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60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no contacts
    • H01H19/62Contacts actuated by radial cams
    • H01H19/623Adjustable c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 바이저가 루프 패널로부터 펼쳐진 상태가 될 경우에만 선 바이저 조명등이 켜질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되는 선 바이저 동작감지 스위칭 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 바이저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 바이저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선 바이저의 일측에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이 형성되고, 선 바이저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러 커버의 동작에 의해서 스위칭 동작되는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은,
선 바이저의 프레임을 루프 패널에 힌지결합시키는 피봇 암의 외측단 도중에 형성된 캠과; 상기한 캠과 대응동작되도록 상측부재의 도중이 산형상으로 소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장착되도록 상기 상측부재의 일단에서 연속형성되는 측면부재가 형성되고, 부재의 전체형상이 대략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측면부재의 하단에서 절곡된 후 연속해서 하측부재가 형성되는 접점 플레이트와; 상기한 상측부재의 외측단과 단락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단자와; 상기한 하측부재의 외측단과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 바이저, 조명등, 피봇 암, 접점 플레이트

Description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Switching apparatus of the sun-visor lamp}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피봇 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접점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의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5는 선 바이저 조명등이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반적인 선 바이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루프 패널 12 : 선 바이저 장착공간
14 : 선 바이저 조명등 20 : 선 바이저
21 : 프레임 22 : 피복
23 : 미러 24 : 미러 커버
25 : 레일 26 : 커넥터
27 : 1차 와이어링 30 :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
50 :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 51 : 피봇 암
52 : 캠 60 : 접점 플레이트
61 : 상측부재 62 : 하측부재
63 : 측면부재 64 : 1차접점부
65 : 2차접점부 70 : 상부단자
72 : 하부단자 80 : 장착홈
본 발명은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 바이저가 루프 패널로부터 펼쳐진 상태가 될 경우에만 선 바이저 조명등이 켜질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되는 선 바이저 동작감지 스위칭 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 바이저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 바이저는 운전자 및 승객이 전방에서 가해지는 빛으로부터 눈부심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운전자 및 승객에게 거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 패널의 전방 하측에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는 선 바이저가 장착되는 위치를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차량의 루프 패널(10)의 전방 양측에는 각각 운전자와 옆 승객의 위한 선 바이저(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선 바이저 장착공간(12)이 선 바이저(20)의 두께 정도로 함몰된 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선 바이저 장착공간(12)에는 선 바이저를 펼쳤을 경우에 해당 좌석을 향하여 조명될 수 있도록 하는 선 바이저 조명등(14)이 마련된다.
도 6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 바이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선 바이저(20)의 프레임(21)은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고, 그 프레임(21)의 외측은 쿠션을 지닌 에폭시 수지재의 피복(22)으로 씌워진다.
그리고 선 바이저(20)를 펼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승객이 거울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전방면에는 미러(23)가 구비된다. 이 미러(23)의 전방에는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서 거울이 노출되거나 숨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러 커버(24)가 형성된다. 미러 커버(24)는 좌우방향으로 레일(25)을 따라서 슬라이딩 동작되면서 미러(23)의 노출상태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선 바이저 조명등(14)을 사용자의 임의로 온/오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운전자나 승객이 선 바이저 조명등(14)을 점등시키기 위해서 도 7에서와 같이, 선 바이저(20)에 구비된 미러 커버(24)를 동작시키게 되면 선 바이저 조명등(14)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프레임(21) 내측에 마련된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30)이 동작되어 선 바이저 조명등(14)이 점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선 바이저 조명등(14)은 운전자 또는 승객이 선 바이저(20)를 펼쳤을 경우에만 점등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 바이저(20)를 루프 패널(10)에 힌지결합하는 피봇 암(41)의 일측에는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4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40)은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피봇 암(41)의 일단에 가동접점(43)이 조립되기 위한 접점지지구(42)가 끼워진다. 접점지지구(42)의 양측에는 가동접점(43)이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홈(42a)이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호형상을 이루는 가동접점(43)의 양측 끝단에는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훅형상의 고리(43a)가 구비된다. 가동접점(43)이 조립된 상태의 접점지지구(42)의 일단이 피봇 암(41)의 외측단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감 캡(44)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피봇 암(41)에 일체로 형성된 가동접점(43)과 접하기 위한 고정접점(45)이 상기 피봇 암(41)의 일단이 노출되는 프레임(21)의 도중에 고정장착된다.
그리고 상기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40)은 선 바이저(20)의 일측에 부착되는 컨넥터(26)와 1차 와이어링(27)으로써 연결되고, 상기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40)과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30)의 +/-단자는 각각 2차 와이어링(28)으로써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은 그 구조가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므로서, 다수의 부품제작에 따른 제작비용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선 바이저가 루프 패널로부터 펼쳐진 상태가 될 경우에만 선 바이저 조명등이 켜질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되는 선 바이저 동작감지 스위칭 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선 바이저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선 바이저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선 바이저의 일측에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이 형성되고, 선 바이저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러 커버의 동작에 의해서 스위칭 동작되는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은,
선 바이저의 프레임을 루프 패널에 힌지결합시키는 피봇 암의 외측단 도중에 형성된 캠과;
상기한 캠과 대응동작되도록 상측부재의 도중이 산형상으로 소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장착되도록 상기 상측부재의 일단에서 연속형성되는 측면부재가 형성되고, 부재의 전체형상이 대략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측면부재의 하단에서 절곡된 후 연속해서 하측부재가 형성되는 접점 플레이트와;
상기한 상측부재의 외측단과 단락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단자와;
상기한 하측부재의 외측단과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칭 수단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피봇 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접점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의 조립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5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을 지시하는 것이고,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된다.
상기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50)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 이, 선 바이저(20)의 프레임(21)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선 바이저(20)가 루프 패널로부터 펼쳐진 상태일 경우에만 선 바이저 조명등(14)이 점등될 수 있도록 선 바이저(20)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자동으로 스위칭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50)은 선 바이저(20)의 회동기준이 되는 피봇 암(51)의 외측단에 캠(52)이 형성되고, 상기한 캠(52)과 대응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캠(52)이 형성된 피봇 암(51)의 하측에는 접점 플레이트(60)가 형성된다.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50)의 캠(5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암(51)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원형단면을 가지는 피봇 암(51)의 끝단부 소정구간이 호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점 플레이트(6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구성부분을 상측부재(61), 하측부재(62), 측면부재(63)로 구분하기로 하는데,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측부재(61)의 도중은 선 바이저(20)의 프레임(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캠(52)에 접촉될 수 있도록 산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산형상 상측부재(61)의 정상에는 캠(52)의 회동동작과정에서 상기 상측부재(61)의 외측 끝단이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절곡형성된 1차접점부(64)가 형성된다.
상측부재(61)의 일측 끝단과, 하측부재(62)의 끝단에는 각각 커넥터(26)로부 터 연결되는 1차 와이어링(28)과 접속된 상/하부단자(70,72)가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하측부재(62)의 끝단은 하부단자(72)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측부재(61)의 끝단은 상기 1차접점부(64)의 접점상태에 따라서 상부단자(70)에 붙었다 떨어졌다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측부재(61)의 끝단은 상기한 1차접점부(64)와 캠(52)과 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서 그 끝단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부단자(70)와 접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상측부재(61)의 끝단 도중에는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상부단자(70)를 향하여 2차접점부(65)가 호형상으로 절곡된 채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형성된 접점 플레이트(60)가 선 바이저(20)의 프레임(21)에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21)의 도중에는 접점 플레이트(60)의 측면부재(63)를 기준으로 상측부재(61)의 일부와 하측부재(62)의 일부가 끼워지기 위한 장착홈(80)이 절개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상부단자(70)와 하부단자(72)에 커넥터(26) 측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1차 와이어링(28)의 배선을 위하여 피봇 암(51)은 중공형의 도관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50)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된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30)과 직렬로 연결되어 선 바이저(20)를 루프 패널(10)로부터 펼친 상태에서 미러 커버(24)를 개방한 상태가 될 경우에만 선 바이저 조명 등(14)이 점등되도록 설정된다.
상기한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30)은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선 바이저(20)의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50)은 운전자 또는 승객이 선 바이저(20)를 회동시켜 루프 패널(10)로부터 펼치는 경우에, 선 바이저(2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면서 피봇 암(51)의 일단에 마련된 캠(52)이 상기한 접점 플레이트(60)의 1차접점부(64)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접점 플레이트(60)의 상측부재(61)는 측면부재(63)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2차접점부(65)가 상부단자(70)를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므로서, 2차접점부(65)와 상부단자(70)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부단자(70)와 하부단자(72) 중 어느 한 단자는 1차 와이어링에 연결된 상태이고, 나머지 일측의 단자는 한 단자는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30)과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점 플레이트(60)의 2차접점부(65)가 상부단자(70)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미러 커버(23) 작동상태에 따라서 선 바이저 조명등(14)이 점등되거나 소등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선 바이저가 루프 패널로부터 펼쳐 진 상태에서만 사용자가 선 바이저 조명등을 온동작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이 종래기술의 경우에 비하여 간단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캠과 접점 플레이트의 접촉동작에 따른 고정원인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선 바이저의 회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선 바이저의 일측에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이 형성되고, 선 바이저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러 커버의 동작에 의해서 스위칭 동작되는 미러 커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선 바이저 스위칭 수단(50)은,
    선 바이저(20)의 프레임(21)을 루프 패널(10)에 힌지결합시키는 피봇 암(51)의 외측단 도중에 형성된 캠(52)과;
    상기한 캠(52)과 대응동작되도록 상측부재(61)의 도중이 산형상으로 소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1)에 고정장착되도록 상기 상측부재(61)의 일단에서 연속형성되는 측면부재(63)가 형성되고, 부재의 전체형상이 대략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측면부재(63)의 하단에서 절곡된 후 연속해서 하측부재(62)가 형성되는 접점 플레이트(60)와;
    상기한 상측부재(61)의 외측단과 단락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단자(70)와;
    상기한 하측부재(62)의 외측단과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단자(72);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점 플레이트(60)의 상측부재(61)의 정상부 도중에는 캠(52)과 접하기 위한 1차접점부(64)가 호형상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상측부재(61)의 외측단부 도중에는 상부단자(70)와 접하기 위한 2차접점부(65)가 호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점 플레이트(60)의 측면부재(63)가 프레임(2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착홈(80)이 상기 프레임(21)의 도중에 절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KR1020050040623A 2005-05-16 2005-05-16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KR10065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623A KR100655614B1 (ko) 2005-05-16 2005-05-16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623A KR100655614B1 (ko) 2005-05-16 2005-05-16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39A true KR20060118639A (ko) 2006-11-24
KR100655614B1 KR100655614B1 (ko) 2006-12-08

Family

ID=3770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623A KR100655614B1 (ko) 2005-05-16 2005-05-16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272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용산 전원공급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피봇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272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용산 전원공급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선바이저의 피봇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614B1 (ko) 200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274B1 (ko) 조명부를 갖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CA1139724A (en) Illuminated visor mirror assembly
US7258470B2 (en) Vehicle sun visors having lighting devices
US7032949B1 (en) Sun visor assembly
KR100386353B1 (ko) 다기능 스위치
US6264352B1 (en) Sun visor and vanity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2001243850A (ja) 複合スイッチ装置
BRPI0600525A (pt) dispositivo de iluminação para o espelho de cortesia montado no pára-sol de um veìculo a motor
US20080218085A1 (en)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Low Beam Mode and High Beam Mode of a Xenon Headlight
US5188446A (en) Circuit assembly for illuminated visor
US6692060B1 (en) Lighted visor mirror assembly and method
KR100655614B1 (ko)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US5906424A (en) Lighted visor mirror assembly providing variable light intensity
US6273593B1 (en) Door and manually actuated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US4926295A (en) Sun visor for automotive vehicle
RU212118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зеркала автомобиля
KR101252198B1 (ko) 경사 폴딩 아웃사이드미러용 퍼들램프 장치
KR200371146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101529847B1 (ko) 내부 빛 조명 구조물
KR200438148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397784Y1 (ko) 슬라이드식 선바이저의 전원연결구조
KR200428942Y1 (ko)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KR100203183B1 (ko) 자동차의 룸 미러 구조
JPH08332840A (ja) 車両に用いられるサンバイザ
EP1361094A1 (en) A sun shade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