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701A -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701A
KR20060114701A KR1020067010468A KR20067010468A KR20060114701A KR 20060114701 A KR20060114701 A KR 20060114701A KR 1020067010468 A KR1020067010468 A KR 1020067010468A KR 20067010468 A KR20067010468 A KR 20067010468A KR 20060114701 A KR20060114701 A KR 2006011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ssage
message data
templa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490B1 (ko
Inventor
마사히로 지바
히로따까 우에다
다까노부 마쯔바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해당 메시지가 작성되었을 때와 마찬가지의 수순 또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템플릿 데이터 내에는, 표시용 영역과 작성용 영역이 포함되고,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해당 템플릿 데이터로부터 메시지를 표시할 때는 표시용 영역을 추출하여 이용하고, 해당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때는 작성용 영역을 추출하여 이용한다. 그리고, 다른 장치에 대하여, 표시용 영역과 작성용 영역과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해당 메시지의 수신 측에서도, 작업용 영역을 추출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작성되었을 때와 동일한 조작으로, 다른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미디어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템플릿 데이터, 표시용 영역, 레이아웃, 가이던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통신 기기의 보급에 수반하여, 작성한 메시지 데이터를 다른 유저에게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전화 등의 기능 향상에 수반하여, 텍스트나 화상·음·동화상 등 복수의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혹은 이들 복수 미디어 데이터의 레이아웃이나 재생·표시 타이밍이 포함된, 메시지의 작성·송신·수신을 행하는 커뮤니케이션도 가능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메시지는 복잡하기 때문에 작성하는 것은 곤란한데, 이 해결 방법으로서, 메시지 작성을 위한 템플릿(모형)을 이용하여, 필요한 텍스트나 화상·음·동화상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메시지 작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정보가 부가된 전자 메일을 용이하게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은 전자 메일 작성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 문헌 1에 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와 각 콘텐츠 데이터의 레이아웃 정보를 기술한 메일 템플릿을 준비하고, 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면서,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메일 템플릿의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메일을 작성하는 전자 메일 작성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 이러한 멀티미디어 메일을 메시지로서 수취한 메시지 수신자가 이 메시지를 마음에 들어 하여, 마찬가지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싶다거나, 혹은, 이 메시지를 작성하는 바탕으로 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별도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싶다고 생각하더라도, 수취한 메시지 중에 템플릿의 정보는 상실되어 있기 때문에, 메시지의 작성자로부터 별도 템플릿을 양수받거나, 템플릿의 입수처 혹은 입수 방법을 가르침 받을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와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2는 데이터 제공 방법 및 데이터 취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특허 문헌 2에는, 감입 화상(실시예에서는, 광고 등의 화상)이 포함된 템플릿 화상이라고 하는 것이 있으며, 작성 유저가 지정한 화상을 템플릿 화상 내의 감입 화상의 위에 감입하도록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때, 수신 측은, 이 템플릿을 재이용하고 싶을 때에는, 작성 유저가 지정한 화상을 떼어(이때에 감입 화상, 즉 광고 등의 화상이 나타남), 재차, 수신 측이 지정한 화상을 감입 화상 위에 감입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삼자에게 송신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 및 데이터 취득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32403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2-18966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와 같이, 용이한 메시지 작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템플릿을 이용하는 방법은 일반적이지만,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측이, 수신 메시지에 기초하여, 해당 메시지가 작성되었을 때와 마찬가지의 수순 또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메시지 작성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메시지의 작성자로부터, 별도 템플릿을 양수받든지, 템플릿의 입수처 혹은 입수 방법을 가르침 받을 필요가 있다고 하는 수고가 든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입 화상을 포함한 템플릿 화상을 재이용하여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해당 템플릿 화상에는,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시간 정보나 레이아웃 정보, 혹은 미디어 데이터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의 지시라고 하는, 메시지를 보다 용이하게 작성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작성 보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이 때문에,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해당 메시지가 작성되었을 때와 마찬가지의 수순 또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 자체를 유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해당 메시지가 작성되었을 때와 마찬가지의 수순 또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프 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떤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1 데이터 판독부와,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와,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를 구비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는, 메시지 데이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와,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은,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여 이용 가능한,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 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는, 태그 또는 태그의 속성에 따라 판별 가능하게 기술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태그 또는 태그의 속성을 판별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함으로써,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템플릿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태그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템플릿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태그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는, 해당 템플릿 데이터의 제공원을 특정하는 정보가 기 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 표시용 영역과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개소를 나타내는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는, 템플릿 데이터는 복수의 파일 단위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템플릿 데이터 내의 파일 단위의 데이터 중의 하나의 데이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에는, 메시지 데이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와,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제1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할 때에, 메시지 표시용 영역도 동시에 편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에서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정보에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고, 편집된 데이터와, 메시지 표시용 영역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편집된 메시지 표시용 영역에, 판독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덧붙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메시지 표시용 영역으로부터,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소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헤더 영역에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개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된 메시지 데 이터를 판독하는 제2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제2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와,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를 더 구비하고,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라고 간주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 가능한 템플릿 ID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여,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기억부에 기억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2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ID에 기초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하는 템플릿 판별부를 더 구비하고, 제1 데이터 판독부는,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고,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는,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정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판독부에서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의 재편집을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와,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 지 재생부와,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와,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와,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와,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를 구비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는, 메시지 데이터에 있어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와,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은,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여 이용 가능한,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는, 태그 또는 태그의 속성에 따라 판별 가능하게 기술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태그 또는 태그의 속성을 판별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함으로써,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메시지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태그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태그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 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표시 영역에는, 다른 장치에의 액세스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고, 메시지 재생부는, 다른 장치에의 액세스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여, 액세스에 의해서 취득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와,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와,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판단하는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판단부와, 그 입수처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부와,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 가능한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부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와,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데이터 ID에 기초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하는 템플릿 데이터 판별부와,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가 취득 가능한 경우에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부와,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 가능한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기억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와,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와,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데이터 ID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템플릿 ID 송신부와, 다른 장치로부터, 템플릿 ID에 기초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되었다고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부와,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 표 시용 영역과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개소를 나타내는 메시지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시지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메시지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는, 메시지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는, 메시지 데이터는 복수의 파일 단위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시지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메시지 데이터 내의 파일 단위의 데이터 중의 하나의 데이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신 측의 단말기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수신 측의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 측의 단말기의 식별자를 추출하는 식별자 추출부와, 단말기의 식별자와 처리 능력의 대응을 정한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한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을 특정하는 처리 특정부와, 특정한 처리 능력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데이터 편집부와, 편집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방법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 시지 표시용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스텝과,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을 구비하고,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은, 판독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한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방법은,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과,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과,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방법은,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과,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과,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과,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방법은,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과,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과,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판단하는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판단 스텝과, 입수처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 스텝과,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스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스텝과, 템플릿 데 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을 실행시키고,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은, 판독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한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과,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과,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과,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과,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과,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은,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과,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과,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과,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판단하는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판단 스텝과, 그 입수처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 스텝과,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스텝을 실행시킨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재생·편집 장치인 휴대 전화(1)의 하드웨어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휴대 전화(1)의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각 프로그램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템플릿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구체적인 템플릿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구체적인 템플릿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기동 기능과 이때에 표시시키는 가이던스와의 대응을 규정하는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휴대 전화(1)에서의 템플릿 데이터의 재생 및 편집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미디어 재생 처리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에 따라서 기동시키는 기동 기능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기동 기능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가이던스를 표시시키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표시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스텝 S18에서 실행되는 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4는 스텝 S25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5는 스텝 S25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6은 재기입된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재기입된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템플릿 데이터에 대한 판독 처리가 실행되고 있을 때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각각의 기능이 기동되고, 데이터가 편집된 상태의 화면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제1 구체예인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에서 기입되는 메시지 데이터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2 구체예인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에서 기입되는 메시지 데이터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재생·편집 프로그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도 13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 메시지 데이터를 일시 보존하는 처리를 추가한 플로차트.
도 24는 메시지 데이터의 구성의 제4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9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 메시지 데이터를 재편집하는 처리를 추가한 플로차트.
도 26은 메시지 데이터 중, 메시지 영역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시간 관리부(1314)가 작성한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View 모드에 있어서의, 이벤트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29는 휴대 전화(1)에서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휴대 전화(1)에서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EC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에,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Reuse가 선택된 후에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템플릿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대응한 재생·편집 프로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9는 메시지 데이터의 열람·작성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0은 템플릿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1은 템플릿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2는 메시지 서버(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메시지 서버(3)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4는 메시지 서버(3)가, 도 43에 도시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한 후의 메시지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메시지 서버(3)가, 도 43에 도시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한 후의 메시지 데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휴대 전화
2: 템플릿 제공 서버
3: 메시지 서버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기억부
131, 1310, 1330: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
132: UI 표시 프로그램
133: 화상 촬영 프로그램
134: 화상 데이터 표시 재생 프로그램
135: 음 데이터 재생 프로그램
136: 음성 데이터 녹음 프로그램
137: 동화상·애니메이션 데이터 표시 재생 프로그램
138: 텍스트 데이터 표시 재생 프로그램
139: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
140: 입출력부
142: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
144: 디스플레이
146: 마이크로폰
148: 스피커
149: 카메라
150: GPS
151: WWW 브라우저 프로그램
152: 메일 프로그램
153: 통화 프로그램
154: 위치 취득 프로그램
155: 어드레스북 프로그램
156: 파일 취득 프로그램
157: 각종 데이터 기억부
310: 데이터 수신부
320: 단말기 처리 능력 특정부
321: 처리 능력 테이블 기억부
322: 단말기 어드레스 추출부
330: 데이터 편집부
340: 데이터 전송부
1311: 데이터 판독부
1312: 구문 해석부
1313: 실행 제어부
1314: 시간 관리부
1315: 이벤트 처리부
1316: 재생 데이터 기입부
1317: 메시지 데이터 기입부
1318: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
1319: 메시지 데이터 판독부
1320, 1331: 템플릿 판별부
1332: 템플릿 취득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 및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놓는다. 이들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템플릿 데이터를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 서버(이하, 단순히 서버라고 함)(2)와, 제공된 템플릿의 재생 및 편집을 행하는 재생·편집 장치(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서버(2)와 재 생·편집 장치(1)는, 인터넷, 공중 회선망, 혹은 방송망을 통하여 통신을 행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버(2)와 재생·편집 장치(1)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전용 회선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여도 되고, 무선 통신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생·편집 장치(1)는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수상기, 및 팩시밀리 송수신기 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가 해당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재생·편집 장치(1)가 휴대 전화(1)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여기서, 템플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XHTML(eXtensible Hyper Text Markup Language),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등의 데이터 기술 언어로 기재된 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는, 재생 가능한 데이터(이하, 재생 데이터라고 함)를 포함한, 전술한 데이터 기술 언어로 기재된 데이터, 혹은 어느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가 라고 하는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데이터 기술 언어로 기재된 정보와, 재생 데이터를 구비하는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데이터 기술 언어에는, 움직임이나 대화성을 기술하기 위해서, ECMAScript나 Java(등록 상표)Script라고 하는 스크립트 언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어느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가 라고 하는 정보 중에, 재생 데이터에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어도 된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임으로써, 템플릿 데이터는, 재생·편집 장치(1)에서 재생 가능한 데이터이며, 또한 편집 가능한 데이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템플릿이란, 재생 혹은 편집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인 스크립트 데이터이며, 유저의 조작에 의해서, 임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스크립트 자신에게 가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는 스크립트 기술 형식으로 나타내어진 데이터의 일 형태를 가리킨다.
다음으로, 도 2에, 본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재생·편집 장치인 휴대 전화(1)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휴대 전화(1)는, 유저와의 인터페이스인 입출력부(140)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되고, 이 휴대 전화(1)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0)와,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2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의 중간 데이터 및 다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입출력부(140)는, 「1」, 「2」 등의 숫자 버튼 및 「R」, 「L」 등의 방향 버튼 등을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142)와, 유저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144)와,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146)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48)와, 화상을 촬영하여 입력하는 카메라(149)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그 내부에 타이머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 전화(1)에 있어서, 유저가 서버(2)로부터 얻은 템플릿의 재생 및 편집을 행하는 처리는, 휴대 전화(1)의 하드웨어, 기억부(130)에 기억되고 제어 부(12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및 템플릿 데이터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휴대 전화(1) 자체의 동작은 주지의 사실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2)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구축되는 서버이며, 그 구성에 대하여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에, 휴대 전화(1)의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각 프로그램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휴대 전화(1)에서의 데이터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3을 이용하여 설명되는 데이터 처리는, 제어부(120)가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각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휴대 전화(1)에서 실현된다. 즉, 통신부(110)에서 서버(2)로부터 수신한 템플릿 데이터는, 제어부(120)가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재생 및 편집 처리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을 참조하여, 처음에,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실행시킴으로써,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템플릿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여기서의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UI(User Interface) 내용 표시 프로그램(132)을 실행시킨다. UI 내용 표시 프로그램(132)을 실행시켜 템플릿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템플릿 데이터에서의 UI의 내용을 디스플레이(144)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촬영 프로그램(133)을 실행시키고, 카메라(149)로부터의 화상의 입력과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142)로부터의 각종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동화상을 촬영할 때에는, 또한 마이크로폰(146)으로부터의 음성의 입력도 접수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 표시 재생 프로그램(134)을 실행시키고,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44) 상에서 재생시킨다. 또한, 그 화상 데이터에 음성도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음성을 스피커(148)에서 재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 재생 프로그램(135)을 실행시키고,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48)에서 재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 녹음 프로그램(136)을 실행시키고, 마이크로폰(146)으로부터의 음성의 입력과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142)로부터의 각종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동화상·애니메이션 데이터 표시 재생 프로그램(137)을 실행시키고,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화상 또는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44) 상에서 재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 표시 재생 프로그램(138)을 실행시키고,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44) 상에서 재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139)을 실행시키고,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142)로부터의 텍스트 정보와 각종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WWW(World Wide Web) 브라우저 프로그램(151)을 실행시키고, WWW 콘텐츠를 재생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WWW 브라우저 프로그램(151)을 실행시키고, 통신부(110)를 통하여 서버(2)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메일 프로그램(152)을 실행시키고,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142)로부터의 텍스트 정보와 각종 지시를 접수하여, 메일을 송신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통화 프로그램(153)을 실행시키고, 통화를 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취득 프로그램(154)을 실행시키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150)로부터 해당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어드레스북 프로그램(155)을 실행시키고, 기억부(130)에 기억된 메일 어드 레스나 전화 번호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파일 취득 프로그램(156)을 실행시키고, 기억부(130)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서의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에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전술한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한다. 제어부(120)가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실행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되는 각 기능이 휴대 전화(1)에서 실현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처음에, 데이터 판독부(1311)는, 통신부(110)에서 수신하여,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에 기억되어 있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데이터 판독부(1311)는, 판독한 템플릿 데이터를 구문 해석부(1312)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구문 해석부(1312)는, 데이터 판독부(1311)로부터 전달받은 템플릿 데이터의 구문을 해석하고,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이 이용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기입부(1316)에 전달하여 기입한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를 메시지 데이터 기입부(1317)와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1318)에 전달한다. 또한, 구문 해석부(1312)는, 해석 결과를 실행 제어부(1313)와 시간 관리부(1314)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시간 관리부(1314)는, 구문 해석부(1312)로부터 전달받은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타임 테이블을 작성한다. 그리고, 시간 관리부(1314)는, 작성한 타임 테이블을 실행 제어부(1313)에 전달한다.
또한, 이벤트 관리부(1315)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벤트 관리부(1315)는, 검출 결과를 실행 제어부(1313)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실행 제어부(1313)는, 시간 관리부(1314)로부터 전달받은 타임 테이블과, 이벤트 관리부(1315)로부터 전달받은 이벤트 발생의 검출 결과와, 구문 해석부(1312)로부터 전달받은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데이터의 표시·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실행 제어부(1313)는, 이벤트 관리부(1315)로부터 전달받은 이벤트 발생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데이터 기입부(1316)에 재생 데이터의 재기입을 지시한다.
재생 데이터 기입부(1316)는, 실행 제어부(131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재생 데이터를 재기입하고, 재기입한 재생 데이터를 실행 제어부(1313)에 전달한다. 그리고, 재기입된 재생 데이터는, 실행 제어부(1313)에서 실행된다.
메시지 데이터 기입부(1317)는, 구문 해석부(1312)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 데이터를 기입한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1318)는, 구문 해석부(1312)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 데이터를 구문 해석하여, 메시지 작성에 재이용할 수 있는 템플릿 데이터를 기입한다.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1318)에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2)로부터 제공된 템플릿 데이터를 휴대 전 화(1)에 있어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템플릿 데이터는 휴대 전화(1)의 기억부(130)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이 경우, 도 3 혹은 도 4에 도시되는 각 부는, 기억부(130)로부터 판독하여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처리한다.
다음으로, 서버(2)로부터 휴대 전화(1)에 제공되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에서 처리되는 템플릿 데이터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템플릿 데이터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구체적으로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및 송신을 휴대 전화(1)에 실행시키는 템플릿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에서 처리되는 템플릿 데이터는, 메시지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시지 영역은, 이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작성 및 송신을 행했을 때에, 수신자 측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즉, 메시지 영역에는, 화상(정지 화상)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나, 애니메이션 데이터 등의 미디어 데이터(도 5에서는 「미디어 데이터」로 나타냄)와,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의 기술(도 5에서는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 부분」으로 나타냄)이 포함된다. 또한, 메시지 영역에는, 수신자 측이 메시지 내용을 표시 중에, 예를 들면, WWW 브라우저가 기동되어 지정된 페이지가 표시되는, 등의 소정의 기능을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 기능이나, 그와 같은 기능을 조작할 수 있음을 수신자 측에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인 가이던스 부분이 포함되어도 된다(도 5에서는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으로 나타냄).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은, 이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작성을 행할 때에, 작성자 측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통상적으로, 메시지 작성 시에는, 되도록이면 수신자 측에 표시되는 메시지 내용에 가까운, 혹은 작성되는 메시지 내용이 상상하기 쉬운 정보를 작성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는, 화상(정지 화상)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나, 텍스트 데이터나, 애니메이션 데이터 등의 미디어 데이터(도 5에서는 「미디어 데이터」로 나타냄)와,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의 기술(도 5에서는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 부분」으로 나타냄)이 포함된다.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 포함되는 미디어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은, 메시지 영역과 공통의 데이터이어도 되고, 상이한 데이터더라도 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는, 메시지 작성 시에 이용하는 기동 기능이나, 그와 같은 기능을 조작할 수 있음을 작성자에게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표시시키기 위한 정보인 가이던스 부분이 포함되어도 된다(도 5에서는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으로 나타냄). 통상은, 이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 포함되는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과 메시지 영역에 포함되는 것과는 상이하다. 이것은, 메시지 작성 시에 필요한 기능이나 정보와, 수신 메시지를 볼 때에 필요한 기능이나 정보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단, 메시지의 작성 시와 수신 메시지의 열람 시에서 마찬가지의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통의 데이터이어도 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의 소정 부분만을 유저에게 편집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는,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이 더 포함된다.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은, 주로, 편집 가능한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메시지 작성을 보다 간단하게 할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반대로,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 등에 의해 편집할 수 없는 곳을 지정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템플릿 데이터에, 미디어 데이터의 레이아웃 정보 또는 재생 타이밍,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지정, 미디어 데이터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 또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에 유효한 가이던스, 및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됨으로써, 보다 복잡한 메시지의 보이는 방법이 지정 가능하다.
또한, 도 5는, 템플릿 데이터의 구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지만, 메시지 데이터 기입부(1317)가 기입하는 메시지 데이터의 구조도 도 5에 도시되는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즉, 템플릿 데이터를 이러한 데이터 구조로 함으로써, 템플릿 데이터는, 메시지 작성의 기능을 실현하는 템플릿으로서의 역할과,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메시지로서의 역할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구체적인 템플릿 데이터의 예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이들 템플릿 데이터는, 주로는 SMIL의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전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XML, XHTML, SMIL, SVG 등 다른 데이터 기술 언어로 기술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ECMAScript나 Java(등록 상표)Script 등의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되는 미디어 데이터 부분이 생략되어 있지만, 실제의 템플릿 데이터 중에 는, 이들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당연히 포함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 부분(제2행∼제14행) 중, 제3행에서는 템플릿 데이터의 타이틀이, 제4행에서는 템플릿 데이터의 작성자가, 및 제5행에서는 이 데이터가 템플릿 데이터임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제6행∼제8행에서는, 편집 가능 영역 및 편집 시에 기동하는 기능이 지정되어 있다. 즉, 제6행에서는,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가 치환되는(replace)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때에 기동하는 기능이 텍스트 에디터 「text_edit」임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7행에서는, 화상 데이터 「SecondImage.jpg」가 치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때에 기동하는 기능이 카메라 「camera」임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8행에서는, 음성 데이터 「SecondSound.mp3」이 치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때에 기동하는 기능이 마이크 「mic」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9행∼제13행은, 화상 영역 「Image」와 텍스트 영역 「Text」로 구성되는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15행 이후의 Body 부분에는, 상기 각 영역에 어느 미디어 데이터가 어느 타이밍으로 표시되는 것인지가 기술되어 있다. 즉, 제16행∼제21행에서는 동시에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7행∼제19행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FirstImage.mpg」, 「FirstText.txt」, 「FirstSound.smf」)가, 제16행에서 재생되는 시간(8초간)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제20행에는, 메시지 작성의 힌트로 되는 가이던스가 지정되어 있다. 제18행에, 치환될 데이터인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를 표시하는 것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텍스트 데이터의 표시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해당 텍스트 메시지가 치환 가능함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의 메시지 작성을 쉽게 하는 효과가 생긴다. 이 때문에, 제20행에서, 「메시지를 입력합니다」라고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것을 지정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가이던스를 지정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guidance> 태그를 이용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그 밖의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8행의 <text> 태그 중에 가이던스 내용의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혹은, 가이던스 내용의 기술을 템플릿 데이터 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최적의 가이던스를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이 판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즉, 제6행과 제18행이,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가 치환되는 것과, 텍스트 에디터가 기동되는 것과,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는 타이밍을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동 기능과 이때에 표시시키는 가이던스와의 대응을 규정하는 테이블이 미리 휴대 전화(1)의 기억부(130)에 저장되고, 휴대 전화(1)의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실행할 때에 자동적으로 해당 테이블을 판독하여,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이밍으로, 기동 기능 「text_edit」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텍스트 입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또는, 기동 기능의 지정이 없더라도, 「FirstText.txt」가 텍스트 데이터라는 점에서 판단하여, 휴대 전화(1)의 제어부(120)가 적절한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2행∼제28행에도 동시에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3행∼제25행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SecondImage.jpg」, 「SecondText.txt」, 「SecondSound.mp3」)가, 제22행에서 재생되는 시간(8초간)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제26행과 제27행에, 메시지 작성의 힌트로 되는 가이던스가 지정되어 있다. 가이던스에 관한 설명은, 제20행의 가이던스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7은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에 도시한 구체예와는 상이한 형태의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체예와는 상이한 기술 룰로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의 일례로서 든 것이지만, 도 4에 도시되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에 판독되고, 실행되는 데이터는 동일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 부분(제2행∼제11행) 중 제3행∼제5행은, 도 6에 도시된 템플릿 데이터와 마찬가지의 내용이다. 또한, 제6행∼제10행은, 도 6에 도시된 템플릿 데이터의 제9행∼제13행과 마찬가지의 내용이다.
또한, 제12행 이후의 Body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템플릿 데이터의 Body 부분과 마찬가지의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각 영역에 어느 미디어 데이터가 어느 타이밍으로 표시되는 것인지가 기술되어 있다. 즉, 제13행∼제18행에서는 동시에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4행∼제16행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FirstMovie.mpg」, 「FirstText.txt」, 「FirstSound.smf」)가, 제13행에서 재생되는 시간(8초간)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제15행에는, id 속성이 정의되어 있다. 제15행에서 정의되는 id 속성 은, 제17행의 <prompt> 태그 내의 targetID 속성과 조합됨으로써, 편집할 수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특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제17행의 <prompt> 태그 내의 targetID 「text1」은, 해당 targetID에 일치하는 id 속성을 갖는 태그(제15행의 <text> 태그) 내의 src 속성이, <prompt> 태그 내의 command 속성에 의해 지정되는 커맨드를 기동함으로써 편집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제17행에서는, 기동할 기능과, 기동한 기능에 의해 편집 가능한 데이터가 특정되는 기술이 이루어져 있지만, 동시에, 메시지 작성의 힌트로 되는 가이던스도 지정되어 있다. 제15행에, 치환될 데이터인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를 표시하는 것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텍스트 데이터의 표시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해당 텍스트 메시지가 치환 가능함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표시함으로써, 유저의 메시지 작성을 쉽게 하는 효과가 생긴다. 이 때문에, 제17행에서, 「메시지를 입력합니다」라고 가이던스를 표시하는 것을 지정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가이던스를 지정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desc 속성을 이용하는 예를 들고 있지만, 그 밖의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5행의 <text> 태그 중에 가이던스 내용의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혹은, 가이던스 내용의 기술을 템플릿 데이터 내에 포함시키지 않고, 최적의 가이던스를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이 판단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즉, 제15행과 제17행이,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가 치환되는 것과, 텍스트 에디터가 기동되는 것과, 해당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는 타이밍을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동 기능과 이때에 표시시키는 가이던스와의 대응을 규정하는 테이블이 미 리 휴대 전화(1)의 기억부(130)에 저장되고, 휴대 전화(1)의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실행할 때에 자동적으로 해당 테이블을 판독하여, 해당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타이밍으로, 기동 기능 「textedit」에 대응하는 가이던스 「텍스트 입력」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또는, 기동 기능의 지정이 없더라도, 「FirstText.txt」가 텍스트 데이터라는 점에서 판단하여, 휴대 전화(1)의 제어부(120)가 적절한 가이던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9행∼제25행에도 동시에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가 정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0행∼제22행에서 재생하는 미디어 데이터(「SecondImage.jpg」, 「SecondText.txt」, 「SecondSound.mp3」)가, 제19행에서 재생되는 시간(8초간)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제23행과 제24행에, 제17행과 마찬가지로, 기동하는 기능의 지정과, 편집 가능하게 하는 태그를 지정하는 기술과, 메시지 작성의 힌트로 되는 가이던스가 지정되어 있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17행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간에게 판독 가능한 텍스트 형식의 템플릿 데이터를 휴대 전화(1)에서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템플릿 데이터는 인간이 직접 판독할 수 없는 바이너리 형식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에서의 템플릿 데이터의 재생 및 편집 처리에 대하여, 도 9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의 플로차트에 도시되는 처리는, 휴대 전화(1)의 제어부(120)가, 도 4에 구성이 도시되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기억부(130)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처음에, 스텝 S11에서 초기화를 실행한 후, 스텝 S12에 있어서, 통신부(110)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템플릿 제공 서버(2)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13에서, 제어부(120)는,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실행하고, 데이터 판독부(1311)에서,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한다.
다음으로, 스텝 S14에서, 구문 해석부(1312)는, 템플릿 데이터를 구문 해석한다. 또한, 여기서의 구문 해석의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용되고 있는 데이터 기술 언어에 따른 일반적인 구문 해석 방법이면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에서 처리되는 템플릿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메시지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메시지 영역은, 이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작성이나 송신을 행했을 때에 수신자 측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영역이고,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은, 이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작성을 행할 때에 작성자 측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내는 영역이다. 따라서, 스텝 S14에서는,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이 판단된다.
또한, 여기서는, 재생 데이터 기입부(1316)는, 판독된 템플릿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을 재생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즉, 스텝 S14에서 템플릿 데이터는 구문 해석되는데, 이때, 무조건으로, 데이터 판독부(1311)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전체가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에 상당한다고 판단되어, 스텝 S19에서, 재생 데이터 기입부(1316)는, 판독된 템플릿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을 기입한다. 단, 이것은 일례이며, 실제로는,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부는 실제로 작성된 메시지가 어떻게 표시되는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메시지 작성에 필수적인 기능이 아니기 때문에, 스텝 S14에서는,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과,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만이 판독되어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스텝 S14에서의 구문 해석 후, 스텝 S15에 있어서, 시간 관리부(1314)는, 구문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타임 테이블을 작성한다. 작성되는 타임 테이블은, 처리 대상인 템플릿이 도 6에 도시되는 템플릿에서도 도 7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에서도 마찬가지의 것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은, 시간 관리부(1314)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성한 미디어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미디어 재생 처리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최초의 8초간에서, 화상 데이터 「FirstMovie.mpg」와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와 음성 데이터 「FirstSound.smf」를 각각 병렬로 재생하고, 다음 8초간에서, 화상 데이터 「SecondImage.jpg」와 텍스트 데이터 「SecondText.txt」와 음성 데이터 「SecondSound.mp3」을 각각 병렬로 재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에 따라서 기동시키는 기동 기능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기동 기능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발생하는 이벤트로서, 유저에 의한 Select 키의 조작을 상정하고 있으며, 최초의 8초간에 Select 키가 조작되면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139)인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고, 다음 8초간의 사이에 Select 키가 조작되면, 예를 들면 화상 촬영 프로그램(133)인 화상 촬영 애플리케이션과, 음성 데이터 녹음 프로그램(136)인 음성 입력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1개를 선택시키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44)에 표시시켜, 거기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기동하는 것이 나타내져 있다.
또한, 도 12는, 가이던스를 표시시키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가이던스 표시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최초의 8초간에 Select 키가 조작되면,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139)인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는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144)에 Select 키의 설명으로 「메시지를 입력합니다」라고 표시시키고, 다음 8초간에 Select 키가 조작되면 화상 촬영 프로그램(133)인 화상 촬영 애플리케이션과, 음성 데이터 녹음 프로그램(136)인 음성 입력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가 기동하는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144)에 Select 키의 설명으로서 「사진을 찍습니다」, 및 「마이크 녹음합니다」 등으로 표시시키는 것이 나타내져 있다.
다음으로, 스텝 S16에 있어서, 실행 제어부(1313)는, 구문 해석 결과 및 도 10에 도시되는 타임 테이블에 기초하여, 미디어 재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때 실행 제어부(1313)는, 도 12에 도시되는 가이던스 표시 타임 테이블에 기초하여, UI 표시 프로그램(132)을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 시간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UI를 디스플레이(14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7에서, 이벤트 관리부(1315)는 이벤트의 발생을 감시한다. 스텝 S17에서 발생이 검출되는 이벤트는, 타임 테이블이 종단에 도달한 종단 도달 이벤트 외에, 유저가, 메시지 송신을 행하는 등 하기 위해서, 메시지 작성의 종료를 지시 하기 위한 조작이나, 도 11에 도시된 기능을 기동하기 위한 UI로서 이용되는, Select 키 조작을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142)로부터의 이벤트 등이다. 그리고, 스텝 S17에서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되면(S17에서 예), 스텝 S18에 있어서, 실행 제어부(1313)에서, 해당 이벤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16에서의 재생 처리나, 스텝 S18의 이벤트에 따른 처리에 포함되는 재생 및 편집 처리는, 처리의 도중에 통화 프로그램 등에 인터럽트되거나, 또한 유저의 형편이나 전지의 소모에 의해 중단되거나 한 경우, 그 시점에서의 재생 및 편집 시점과 변경중인 상태를 기억부(130)에 보존하여 처리를 중단하고, 후에 재개할 때에는, 기억부(130)로부터 보존된 재생 및 편집 시점과 변경중인 상태를 판독하여 중단전의 재생 및 편집 시점으로부터,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스텝 S18에서 실행되는 이벤트에 따른 처리에 대하여, 도 13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스텝 S17에서 이벤트 관리부(1315)로부터 이벤트 발생의 검출 정보를 받으면, 스텝 S21에서, 실행 제어부(1312)는, 실행하고 있는 타임 테이블을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17에서 수취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이 검출된 이벤트를 판단하여, 그 이벤트가 해당 타임 테이블의 종단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인 경우에는(S22에서 예), 처리를 도 9의 스텝 S16으로 복귀시킨다. 즉, 재차, 타임 테이블의 시단으로 복귀시킨다. 단, 1회 혹은 소정의 횟수를 반복하여 실행한 후, 재생을 종료하는 처리이어도 된다.
또한, 스텝 S17에서 검출된 이벤트가, 메시지 송신을 행하는 등 하기 위해서, 메시지 작성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이었던 경우(S23에서 예), 스텝 S27에 있어서, 재생 데이터 기입부(1316)가 기입한 데이터나, 데이터 판독부(1311)로부터 판독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문 해석부(1312)가 데이터의 구문 해석을 행하여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데이터를 메시지 데이터 기입부(1317)에서 기입하는, 메시지 기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 S27에서의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스텝 S28에서, 스텝 S27에서 기입된 메시지가 송신되고, 본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28에서의 메시지 송신의 처리는, 통상적으로, 제어부(120)를 통하여, 메일 프로그램(152)이 기동되고, 메일 프로그램의 메일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또한, 스텝 S22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해당 타임 테이블의 종단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도, 메시지 송신을 행하는 등 하기 위해서 메시지 작성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도 아닌 경우(S22에서 아니오, 또한 S23에서 아니오), 스텝 S24∼S25에서, 이벤트에 따라서 결정된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11의 타임 테이블에 기초하여, 이벤트로서 Select 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된 시간에 대응하는 기동하여야 할 프로그램을 추출한다. 이때, 스텝 S24에서, 기동하여야 할 프로그램이 복수 추출된 경우에는, 스텝 S25에서, 어느 프로그램을 기동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처리를 행한다. 즉, 실행 제어부(1313)가, 디스플레이(144) 등에 선택용의 화면을 표시하여, 그 복수의 처리 중에서 지금부터 개시할 처리의 선택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재생 개시로부터 10초 후에 Select 키가 조작되는 이벤트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이면, 도 11을 참조하여, 화상 촬영 애플리케이션 기동인지, 음성 입력 애플리케이션 기동인지의 복수의 처리가 생각되기 때문에, 스텝 S25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44)에 「화상 촬영」 또는 「음성 입력」을 선택시키는 UI를 표시한다. 또는, 도 12의 타임 테이블에서 지정된 UI인 「사진을 찍습니다」 「마이크 녹음합니다」를 표시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스텝 S25에서 기동하는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다른 방법도 들 수 있으며, 그 방법 자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스텝 S25에서 결정된 기능은, S26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에서 실행된다.
또한, 전술한 스텝 S25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처음에, 스텝 S31에서, 실행 제어부(1313)는, 스텝 S23∼S24에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다음으로, 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취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S32에서 예), 스텝 S33에서 취득한다. 그리고, 실행하고 있는 해당 데이터의 재기입이 필요한 경우(S34에서 예), 스텝 S35에서, 재생 데이터 기입부(1316)가 데이터의 재기입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31에서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는 형태의 템플릿 데이터에서는, 제6행∼제8행의, content 속성으로 지정되어 있는 「text_edit」나 「camera」나 「mic」 등이 해당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형태의 템플릿 데이터에서는, 제17행이나 제23행이나 제24행의, <prompt> 태그 내의 command 속성으로써 지정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텍스트 에디터를 기동하여 텍스트를 입력시켜 원래의 데이터와 교체시키거나, 또는 카메라를 기동하여 화상을 촬영시켜 원래의 데이터와 교체시키거나, 또는 마이크를 기동하여 음성을 입력시켜 원래의 데이터와 교체시키는 처리를 상정하고 있다. 따라서, 스텝 S33에서 취득하는 데이터는, 취득한 미디어 데이터의 파일명과, 그 미디어 데이터의 내용이다. 즉, 스텝 S35에서의 데이터 재기입 처리에서는, 도 6에 도시되는 형태의 템플릿 데이터의, 제6행∼제8행의 content 속성 내의 해당하는 파일 패스를 지정하여 놓은 부분과, 제18행이나 제24행이나 제25행의 파일 패스를 지정하여 놓은 부분과, 각각의 파일의 내용이 재기입되게 된다.
또한 다른 처리 방법으로서, 스텝 S33에 있어서, 미디어 데이터의 내용만이 취득되어도 된다. 즉, 파일명은 그대로에, 내용이 상이한 데이터를 준비하면 되며, 이 경우에는, 스텝 S35에서 파일 패스의 재기입은 하지 않고, 스텝 S33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일의 내용만을 재기입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는 처리는, 도 9에 도시되는 재생·편집 처리의 스텝 S18의 이벤트 처리 중에서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그 기동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중에 데이터의 취득이나 재기입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자체가 데이터의 취득과 데이터의 재기입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즉,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되는 처리 대신에 도 15에 도시되는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도 15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4에 도시되는 처리와는 상이한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스텝 S41에 있어서, 실행 제어부(1313)는, 스텝 S23∼S24에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스텝 S42에서, 기동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취득한 후, 도 6의 제6행∼제8행에 도시되는 content 속성 내의, 해당하는 파일 패스가 지정하고 있는 파일이나, 제18행이나 제24행이나 제25행의 파일 패스가 지정하고 있는 파일의 내용을, 취득한 데이터에 재기입하여도 된다. 도 15에 도시되는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되는 처리와 같이,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기동하여 데이터를 직접 편집할 필요가 없다.
이 외에, 스텝 S31 또는 스텝 S41에서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중에는, 통화 프로그램(153)을 기동하여 전화를 거는 애플리케이션이나, WWW 브라우저 프로그램(151)을 기동하여 소정의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데이터의 취득이나 데이터의 재기입 처리를 의도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스텝 S25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 후, 처리를 도 9의 스텝 S16의 재생·편집 처리로 복귀시키지 않고, 다른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한 처리에서는, 스텝 S31 또는 스텝 S41에서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에디터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나 마이크 애플리케이션 등 휴대 전화(1)에 구비되는 기능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휴대 전화(1)의 외부 장치인,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에 구비되는 기능이어도 된다. 이것은, 메시지 작성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나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등에의 액세스를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에 구비되는 기능에 액세스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혹은, 미디어 데이터를 가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 편집을 행하는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스텝 S35 또는 스텝 S42의 재기입 처리의 결과, 재기입된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템플릿 데이터가 재기입된 경우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에서도, 도 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미디어 데이터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의 재생 개시로부터 0∼8초간의 사이에 Select 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즉, 템플릿 재생중에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11에 도시된 타임 테이블에 따라서 문자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유저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취득되어 텍스트 데이터 「InputText.txt」가 생성된다.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의 미디어 데이터 부분에 가해지고, 재생 데이터 내의 파일 패스 「FirstText.txt」(제6행 및 제18행)가 재기입되어,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InputtedText.txt」로 된다. 그와 동시에, 도 6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재생 데이터인 「FirstText.txt」 자체가 삭제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의 재생 개시로부터 8∼16초의 사이에 Select 키 이벤트가 발생하고, 도 11에 도시된 타임 테이블에 따라서, 화상 촬영 애플리케이션과 음성 입력 애플리케이션 중 음성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어 화상 데이터 「InputtedImage.jpg」가 생성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의 미디어 데이터 부분에 가해지고, 재생 데이터 내의 파일 패스 「SecondImage.jpg」(제7행 및 제23행)가 재기입되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nputtedImage.jpg」로 된다. 그와 동시에, 도 6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재생 데이터인 「SecondImage.jpg」 자체가 삭제된다.
또한, 도 17에, 도 7의 템플릿 데이터가 재기입된 경우의 구체예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에서도,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미디어 데이터 부분은 생략하여 놓는다. 또한, 상정하는 유저의 조작은,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된 경우와 동일하게 한다.
즉, 도 7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의 재생중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가 취득되어 텍스트 데이터 「InputText.txt」가 생성된다.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의 미디어 데이터 부분에 가해지고, 재생 데이터 내의 파일 패스 「FirstText.txt」(제15행)가 재기입되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nputtedText.txt」로 된다. 그와 동시에, 도 7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재생 데이터인 「FirstText.txt」 자체가 삭제된다.
그리고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도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의 재생 개시로부터 8∼16초의 사이에 Select 키 이벤트가 발생하고, 도 11에 도시된 타임 테이블에 따라서, 화상 촬영 애플리케이션과 음성 입력 애플리케이션 중 음성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이 경우, 유저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어 화상 데이터 「InputtedImage.jpg」가 생성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재생 데이터의 미디어 데이터 부분에 가해지고, 재생 데이터 내의 파일 패스 「SecondImage.jpg」(제20행)가 재기입되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nputtedImage.jpg」로 된다. 그와 동시에, 도 7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재생 데이터인 「SecondImage.jpg」자체가 삭제된다.
또한, 여기까지 설명한 처리의 흐름을,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6 혹은 도 7에 도시된 템플릿 데이터에 대한 판독 처리가 실행되고 있을 때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판독 처리가 개시된 처음의 8초간(좌측 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FirstMovie.mpg」,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 및 음성 데이터 「FirstSound.smf」가 재생되고, 다음 8초간(오른쪽 상측 도면)에는 화상 데이터 「SecondImage.jpg」, 텍스트 데이터 「SecondText.txt」, 및 「SecondSound.mp3」이 지정된 레이아웃에 따라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최초의 8초간에서는, 「메시지를 입력합니다」 가이던스가 표시되고, 다음 8초간에는 「사진을 찍습니다」 「마이크 녹음합니다」 가이던스가 표시되어 있다. 최초의 8초간에, 유저에 의한 Select 키의 누름 등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텍스트 에디터가 기동된다. 또한 다음 8초간에, 유저에 의한 Select 키의 누름 등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카메라 또는 마이크가 기동되는데, 그 전에, 어느 쪽의 기능을 기동할지를 선택하는 화면(오른쪽 하측 도면)이 표시되고, 선택된 기능이 기동된다.
다음으로, 각각의 기능이 기동되어, 데이터가 편집된 상태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전술한 조작에 의해서, 템플릿 데이터의 최초의 8초간에 표시되는 텍스트 데이터가 「선물입니다」로 편집되고(InputtedText.txt), 다음 8초간에 표시되는 사진과 음이 각각 편집되어 있는(InputtedImage.jpg, InputtedSound.mp3) 것이 나타내져 있다.
이와 같은 변경된 템플릿 데이터는, 메시지 송신을 행하는 등 하기 위해서, 유저에 의해서 메시지 작성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도 13의 스텝 S27의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에서,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스텝 S27에서의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1 구체예로서는, 이와 같이 편집된 도 16 또는 도 17의 템플릿 데이터가, 그대로 기입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도 20에, 미디어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 제1 구체예인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에서 기입되는 메시지 데이터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기입되는 메시지 데이터의 미디어 데이터 부분으로부터는, 당초의 템플릿에 포함되어 있던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와 화상 데이터 「SecondImage.jpg」가 삭제되고, 대신에 텍스트 데이터 「InputtedText.txt」와 화상 데이터 「InputtedText.jpg」가 가해져 있다.
스텝 S27에서의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2 구체예로서는, 편집된 도 16 또는 도 17의 템플릿 데이터에, 편집 전의 템플릿에 포함되는 요소를 가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즉, 제2 구체예인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에서는,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20에 된 바와 같은 편집된 템플릿 데이터에, 편집 전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부와, 편집 가능 영역 지정부와, 도 6 또는 도 7에서 나타내는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부를 가한다. 또한, 편집 전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던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와 화상 데이터 「SecondImage.jpg」를 미디어 데이터 부분에 가한다.
스텝 S27에서의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3 구체예로서는, 도 21에 도시되는 편집 후의 템플릿 데이터 중,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이나,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을 삭제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되는 편집 후의 템플릿 데이터 중, 도 16의 제6행∼제8행에 상당하는 부분과, 제20행에, 제26행∼제27행에 상당하는 부분을 삭제한다. 이것은 즉, 이들 부분은 메시지의 작성 시에 이용되는 것이며, 메시지로서는 이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의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는, 스텝 S28에 있어서 송신되어, 처리가 종료된다. 메시지 송신의 처리는, 통상적으로, 제어부(120)가 메일 프로그램(152)을 기동하여, 메일 프로그램의 메일 송신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통신부(110)를 통하여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메시지 데이터를 재편집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메일 프로그램은, 작성된 메시지를 우편함 등에 보존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의 작성중에 유저가 일시 보존한 메시지는, Draft 박스에 보존된다. 또한, 송신된 메시지는, Send 박스에 보존된다. 그리고, 보존된 메시지는, 이들 박스로부터 취출되어 재편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 데이터를 일시 보존하여, 보존한 메시지를 재편집하는 기능을,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도 갖게 할 수 있다.
도 22는, 재생·편집 프로그램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동도를 참조하여, 도 22의 재생·편집 프로그램(131)0에서는, 도 4의 재생·편집 프로그램(131)에, 메시지 데이터 판독부(1319)와, 템플릿 판별부(1320)가 추가되어 있다.
도 23은, 도 13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 메시지 데이터를 일시 보존하는 처리를 추가한 플로차트이다. 동도를 참조하여, 도 13의 플로차트 외에 추가로, 스텝 S29 및 스텝 S30이 추가되어 있다.
스텝 S29에서는, 유저가 메시지 데이터의 편집중에 명시적으로 메시지 데이터의 일시 보존을 선택했을 때, 재생·편집 처리의 프로그램 이외의 다른 프로그램을 기동했을 때, 또는 어떤 이유에 의해 시스템을 서스펜드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과 같이, 편집중인 메시지 데이터를 일시 보존할 필요가 있을 때에, 예로 된다.
스텝 S30에서는, 스텝 S29에서 예일 때에, 메시지 데이터 기입부(1317)는, 편집중인 메시지 데이터를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에 기입한다.
스텝 S30의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예로서,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구체예 외에 추가로, 제4 구체예이어도 된다.
전술한 제1, 및 제2 구체예에서는, 기입되는 메시지 데이터에는, 편집 후의 템플릿 데이터가 포함된다. 따라서, 일시 보존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편집 후의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면,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를 재편집할 수 있다.
전술한 제3 구체예에서는, 기입되는 메시지 데이터에는, 편집 후의 템플릿 데이터 중의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및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 이 포함되지 않지만, 편집 전의 템플릿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시 보존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편집 전의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면,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를 재편집할 수 있다.
한편, 편집 후의 템플릿 데이터 중의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및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과, 편집 후의 템플릿을 포함하지 않는 메시지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일시 보존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해도,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및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의 정보가 없기 때문에,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를 재편집할 수 없다. 따라서, 제4 구체예에서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릿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으로 한다. 이 템플릿 ID는, 애초부터 템플릿 데이터에 기술된 것이어도 되고, 통신부(110)가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에, 그 템플릿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서 부여한 것이어도 되고, 데이터 판독부(1311)가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에, 그 템플릿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서 설정한 값이어도 된다. 혹은, 템플릿의 입수처로써 템플릿 ID로 하여도 된다.
도 25는, 도 9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 메시지 데이터를 재편집하는 처리를 추가한 플로차트이다. 동도를 참조하여, 도 9의 플로차트 외에 추가로, 스텝 S12가 스텝 S191, S192로 변경되어 있고, 스텝 S14가 스텝 S194로 변경되어 있다.
스텝 S191에서는, 메시지 데이터 판독부(1319)가,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로부터 일시 보존되어 있는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한다.
스텝 S192에서는, 템플릿 판별부(1320)가,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에 템플릿 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템플릿 ID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 템플릿 ID로부터 템플릿을 판별하여, 예로 된다.
스텝 S13에서는, 도 9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판독부(1311)가, 판별한 템플릿 데이터를,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로부터 판독한다.
스텝 S194에서는, 구문 해석부(1312)가 스텝 S13에서 템플릿 데이터가 판독되지 않았을 때에는,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데이터의 구문 해석을 행하고, 스텝 S13에서 템플릿 데이터가 판독되었을 때에는, 판독한 템플릿 데이터를 구문 해석한다. 이후의 스텝의 처리는, 도 9의 플로차트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스텝 S18의 이벤트 처리의 내용인 도 23의 스텝 S27의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에서는, 제1, 제2, 및 제3 구체예로서 설명한 메시지 데이터의 기입 처리여도 되고, 제4 구체예로서 설명한 템플릿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기입하여도 된다. 제4 구체예에서 기입한 경우에는, 템플릿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가 송신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된 메시지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중 회선망이나 인터넷망 또는 방송망 등을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각종 정보 기기 단말기에 송신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로서, 이들 메시지 데이터가 수신된 장치에서의 처리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로서는, 템플릿 데이터가 휴대 전화(1)에 판독되어, 실행되는 흐름이 설명되어 있다. 특히, 도 3을 이용하여, 통신부(110)를 통하여 템플릿 제 공 서버(2)로부터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제어부(120)가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실행시킴으로써 처리하는 것이 설명되어 있다.
메일 프로그램(152)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110)를 통하여, 메시지 작성 장치인 다른 휴대 전화(1)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도 또한, 휴대 전화(1)에 있어서, 통상, 제어부(120)가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을 실행시킴으로써 처리된다.
그와 같은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 전화(1)에서의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단, 이 경우, 구문 해석부(1312)는, 데이터 판독부(1311)로부터 판독한 데이터가, 템플릿 데이터인 것인지, 메시지 데이터인 것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구문 해석부(1312)에서의 데이터 구별 방법에는 크게 2가지의 방법이 있다.
제1 데이터 구별 방법은, 통신부(110)가 어떻게 데이터를 수신했는지에 의해서, 제어부(120)가, 템플릿 데이터가 메시지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즉, 제어부(120)가, 메일 프로그램(152)을 기동시켜 수신한 데이터는 메시지 데이터라고 간주하고, 템플릿 제공 서버(2)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는 템플릿 데이터라고 간주하고, 미리 기억부(130)에,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던 것이면 템플릿 데이터라고 간주하는, 등 하여 구별하는 방법이다. 또한, 메일 프로그램(152)을 기동시켜 템플릿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도 생각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메일 데이터에 일반적으로 부가되는 메일 헤더의 내용을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가, 메시지 데이터인지 템플릿인지를 판단하여도 된다.
제2 데이터 구별 방법은, 수신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데이터인지 메시지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기술에 기초하여 구별하는 방법이다. 즉,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되는 템플릿의 구체예에서는, 제5행과 같이, 템플릿임을 나타내는 기술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기술을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가 템플릿 데이터인지 메시지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이 경우, 전술된 메시지 기입 처리에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메시지 기입 처리에 있어서, 도 16 또는 도 17의 제5행에 도시되는 템플릿임을 나타내는 기술을 생략하는 처리가 필요해진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1)에 있어서, 취득된 데이터가 데이터 판독부(1311) 또는 구문 해석부(1312)에서 템플릿 데이터인지 메시지 데이터인지가 판단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판독부(1311)에서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재생·편집 엔진 프로그램(131)이 판독한 데이터를 메시지 데이터라고 판단하여 동작하는 모드를, View 모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우선, 데이터 판독부(1311)가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가, 전술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1 구체예로 든 메시지 데이터(도 20)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구문 해석부(1312)는, 도 20에 도시되는 메시지 데이터 중,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 부분과 미디어 데이터 부분을 메시지 영역이라고 판단하고, 재생 데이터 기입부(1316)는, 메시지 영역으로 판단된 부분을 기입한다.
도 26에, 도 17에 도시되는 메시지 데이터 중, 메시지 영역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하부선을 그어 나타낸다. 여기서는, <meta> 태그와 <prompt> 태그 이외의 태그가 메시지 영역으로서 판단된다. 즉, 구문 해석부(1312)는, 메시지 데이터 내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 영역을 판단한다.
또한, 구문 해석부(1312)는, 해석 결과를 실행 제어부(1313)와 시간 관리부(1314)에 전달한다.
시간 관리부(1314)는, 구문 해석부(1312)로부터 전달받은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타임 테이블을 작성한다. 그리고, 시간 관리부(1314)는, 작성한 타임 테이블을 실행 제어부(1313)에 전달한다. 또한, 이벤트 관리부(1315)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벤트 관리부(1315)는, 검출 결과를 실행 제어부(1313)에 전달한다.
실행 제어부(1313)는, 시간 관리부(1314)로부터 전달받은 타임 테이블과, 이벤트 관리부(1315)로부터 전달받은 이벤트 발생의 검출 결과와, 구문 해석부(1312)로부터 전달받은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재생 처리를 제어한다.
실행 제어부(1313)에서 제어됨으로써 휴대 전화(1)에서 실행되는 재생 처리 및 편집 처리의 흐름은, 제1 실시 형태에서 도 9에 도시된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이때,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시간 관리부(1314)가 작성한 타임 테이블의 구체예를 도 27에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View 모드에서는,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미디어 데이터가, 도 27의 타임 테이블에 따라서 표시된다.
또한, View 모드에서는, 도 9의 스텝 S17에서 발생이 검출되는 이벤트는, 타 임 테이블이 종단에 도달한 종단 도달 이벤트 외에, 유저가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작성하고, 해당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작성을 행하는 등을 위해서 템플릿 데이터의 작성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이나, 도 11에 도시된 기능을 기동시키기 위한 UI로서 이용되는 Select 키 조작을 포함하는 키 코드 입력 디바이스(142)로부터의 이벤트 등이다.
도 28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View 모드에서의, 이벤트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전술한 스텝 S17에서 이벤트 관리부(1315)로부터 이벤트 발생의 검출 정보를 받으면, 스텝 S51에서, 실행 제어부(1312)는, 실행하고 히T는 타임 테이블을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52에 있어서, 스텝 S17에서 발생이 검출된 이벤트에 내용이 판단된다. 스텝 S52에서의 판단의 결과, 발생이 검출된 이벤트가 해당 타임 테이블의 종단까지 도달하였음을 나타내는 이벤트인 경우에는(S52에서 예), 처리를 도 9의 스텝 S16으로 복귀시킨다. 즉, 재차, 처리를 타임 테이블의 시단으로 복귀시킨다. 단, 1회 혹은 소정의 횟수를 반복하여 실행한 후, 재생을 종료하는 처리이어도 된다.
한편, 스텝 S17에서 발생이 검출된 이벤트가,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작성하고, 해당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작성을 행하는 등을 위해서 템플릿 데이터의 작성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이었던 경우(S53에서 예), 스텝 S57의 템플릿 데이터 기입 처리에서, 데이터 판독부(1311)로부터 판독한 메시지 데 이터를 이용하여, 구문 해석부(1312)가 데이터의 구문 해석을 행하고,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1318)가, 메시지 작성에 재이용할 수 있는 템플릿 데이터를 기입하여 이벤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57에서 기입된 템플릿 데이터는 기억부(130)에 기억되고, 재차, 메시지 작성을 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스텝 S57에서의,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 도시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1 내지 제3 구체예에 따라서 상이하며,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발생이 검출된 이벤트가, 해당 타임 테이블의 종단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이벤트도,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작성을 행하는 등을 위해서 템플릿 데이터의 작성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도 아닌 경우에는(S52에서 아니오, 또한 S53에서 아니오), 스텝 S54∼S55에서, 결정된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11의 타임 테이블에 기초하여, 이벤트로서 Select 키가 조작된 경우에는, 조작된 시간에 대응하는 기동하여야 할 프로그램을 추출한다. 이때, 스텝 S54에서, 기동하여야 할 프로그램이 복수 추출된 경우에는, 스텝 S55에 있어서, 어느 프로그램을 기동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처리를 행한다. 이들 동작은, 도 13의 스텝 S24∼S25의 동작과 동일하다. 단, 도 26에 도시되는 메시지 데이터의 구체예에서는 기동 기능을 지정하는 <prompt> 태그가 기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동하여야 할 기능은 발생하지 않는다. 기동하여야 할 기능이 발생하는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마지막으로, 스텝 S56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에서 지정된 기능이 실행된다. 스텝 S56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처리도, 스텝 S26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스텝 S57에서의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1318)에서의 템플릿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도 5에 도시되는 메시지 데이터 중에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부분을 기입한다고 하는 처리와 동등하다.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1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도 20)인 경우, 스텝 S57에서, 템플릿 기입부(1318)는,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지 않고 그대로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기만 하여도 된다. 이때의, 기초로 된 템플릿(예를 들면 도 6)과,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예를 들면 도 16)의 상이한 부분은, 도 16에서 하부선으로 나타낸 부분과, 미디어 데이터 부분이다. 따라서, 스텝 S57에서의 템플릿 데이터 기입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기입된 템플릿과는 완전 동일한 것으로는 되지 않지만, 기입된 템플릿의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또는 타이밍 부분이나,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은, 바탕으로 된 템플릿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기입된 템플릿을, 바탕으로 된 템플릿과 거의 마찬가지의 사용성의 템플릿 데이터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단, 바탕으로 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던 재생 데이터는, 도 16에 하부선을 그어 나타낸 재생 데이터로 교체되게 된다.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2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도 21)인 경우, 스텝 S57에서, 템플릿 기입부(1318)는, 도 21의 메시지 데이터 중의 2개째의 SMIL 부분을 추출하여 기입한 다. 다음으로, 추출된 SMIL 부분이 이용하고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취출하여 기입한다. 이에 의해,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바탕으로 된 템플릿을 완전히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추출하는 SMIL 부분에 대해서는, SMIL 부분의 <meta> 태그의 role 속성에 기술되어 있어도 되고(도 6 또는 도 7의 제5행), 메시지 데이터 내의 최후의 데이터는 템플릿 데이터임, 과 같이 데이터 내의 위치에 따라서 미리 정해져 있더라도 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중의 헤더 부분에, 메시지 내의 어느 데이터가 템플릿 데이터의 부분인지, 또는 어느 데이터가 메시지 데이터의 부분인지가 기술되어 있어도 된다.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부에 이러한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가 포함됨으로써 휴대 전화(1)에서는 어느 부분이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인지를 용이하게 판별 가능하며, 템플릿 작성자에게 있어서도, 의도한 메시지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 데이터의 각 영역 내용을 표시하는 부분은, 헤더 형식이 아니라, 1개의 파일로서 포함되고, 해당 파일을 해석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가 파일 형식으로 포함됨으로써, 휴대 전화(1)에서는 어느 부분이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인지를 용이하게 판별 가능하고, 또한, 보다 복잡한 정보를 갖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3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인 경우에도 또한, 전술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2 구체예에 대응한 기입 방법과 동일하면 된다.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3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와, 제2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의 차이는, 도 19에 표시되는 1개째의 SMIL 부분이며, 전술한 방법으로 취출했을 때에 얻어지는 템플릿 데이터는, 동일한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메시지 데이터의 기입 처리에 따라서 템플릿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이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템플릿 데이터를 추출할 때, 추출 방법을 선택함에 있어서 , 메시지 데이터의 기입 방법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메시지 데이터의 기출 방법 및 그것에 대응한 템플릿 데이터의 추출 방법은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 즉, 송신 측의 단말기와, 수신 측의 단말기에서, 이들 방법이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되고, 메일 송신 시에, 메일의 헤더에 해당 방법이 특정되는 정보를 부가해도 되고, 템플릿 데이터 내에, <meta> 태그 등에 의해 지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29는, 도 19에 도시된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를 휴대 전화(1)에서 수신하여 표시했을 때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되는 화면 천이의 구체예는, 위에서 설명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1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도 20)를 판독 표시했을 때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이다.
도 29를 참조하여, 수취한 메시지를 재생할 때는, 가이던스 부분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의 기동도 되지 않고, 지정된 미디어 데이터가, 지정된 레이아웃 및 타이밍으로 표시될 뿐이다. 다음으로,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작성하여 해당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한층 더 메시지 작성을 행하는 등 하기 위해서, 템플릿 데이터의 작성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으로서 Option 키가 눌러지고, 또한 Reuse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템플릿 데이터가 기입되고, 이것을 판독함으로써, 도 30과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의 처리의 흐 름은, 도 18의 화면 천이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처리의 흐름과 거의 동일하며, 차이는, 본래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던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 화상 데이터 「SecondImage.jpg」, 및 음성 데이터 「SecondSound.mp3」 대신에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 「InputtedText.txt」, 화상 데이터 「InputtedImage.jpg」, 및 음성 데이터 「InputtedSound.mp3」이 포함되어 있는 일이며, 편집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나, 기동시키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나, 가이던스라고 하는, 메시지 작성에 필요한 정보는, 원래의 템플릿에 포함되는 정보와 마찬가지로 이용 가능하다. 물론,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2 구체예 및 제3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템플릿 데이터를 복원했을 때에는, 편집 전의 원래의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 「FirstText.txt」, 화상 데이터 「SecondImage.jpg」, 및 음성 데이터 「SecondSound.mp3」도 포함시켜 복원 가능하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도 6이나 도 7과 같은 형태의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 및 송신하여, 송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이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했다. 다음으로, 그 밖의 형태의 템플릿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31은,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을 행하는, 제1 실시 형태에 설명한 태그와, 메시지 데이터를 메시지로서 표시할 때에 이용하는 태그가, <switch> 태그로써 구별할 수 있는 형태의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1에 구체예가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에서는, 제17행의 <switch> 태그의 mode 속성으로써, 「compositon」이 지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이 <switch> 태그에 의해 둘러싸인 제18행이 해당 템플릿을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을 행할 때에만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제25행에서 지정된<switch> 태그에 둘러싸인, 제26행 및 제27행도 또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을 행할 때에만 해석된다.
이것은 즉, 도 5에 도시한, 메시지 영역인지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인지의 구별이, <switch> 태그로써 지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때에는, 도 9의 스텝 S14 및 스텝 S19에서 메시지 작성용의 데이터가 기입되는데, 이때에는, <switch> 태그가 없는 통상의 부분과, <switch> 태그의 mode 속성에 「compositon」이 지정되어 있는 범위 내가 기입되고, 「compositon」 이외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범위는 기입되지 않는다. 즉, 휴대 전화(1)는, 미디어 데이터의 레이아웃 정보 또는 재생 타이밍 또는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지정, 미디어 데이터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 메시지 데이터 작성에 유효한 가이던스를 태그를 이용하여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며, 템플릿 데이터 내의 어디가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인지를 판단하는 것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템플릿 데이터 내의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이 태그에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1)에서 용이하게 템플릿 데이터 내의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이 판별 가능하며, 템플릿 작성자에게 있어서도, 의도한 메시지 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가 표시될 때의 메시지 영역이 태그에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1) 에서 용이하게 메시지 영역을 판별 가능하며, 메시지 작성자에게 있어서도, 의도한 메시지 표시 방법을 가능하게 하고, 템플릿 작성자에게 있어서도, 의도한 메시지 작성 방법과 메시지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메시지 데이터로서 메시지의 표시를 행할 때는, 도 26의 편집 후의 메시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명한 경우에는 메시지 영역을 추출할 때에, <meta> 태그와 <prompt> 태그 이외를 메시지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했지만, 상기 <switch> 태그를 이용함으로써, 태그마다, 표시 처리 시에 무시하는 태그와 채용하는 태그를 미리 기억시켜 놓을 필요가 없어져, <switch> 태그를 해석하기만 하여도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2는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20행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witch> 태그의 mode 속성에 「view」가 지정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제21행은,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메시지로서 표시할 때에만 이용되고, 해당 템플릿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때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또한, 제21행은, 동화상 데이터 「FirstMovie.mpg」의 재생중에, Select 키를 누르는 등의 어떠한 유저의 조작이 발생한 경우에, WWW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웹사이트 「hoge.com」에 액세스하는 것을 지정하고 있다. 이러한 웹사이트에의 유도 등에서 이용되는 기능은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때에는 불필요하지만,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메시지로서 표시할 때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이러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1행째, 및 21행째와 같은 지정에 의해서,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 중에, 지정된 웹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고,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중에, 그 웹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없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면, EC(Electronic Commercial)의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3은, EC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취득했을 때에,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도를 참조하여, 유저가 WEB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임의의 EC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임의의 상품(여기서는, Wisky)을 구입했다고 한다. EC 사이트는, 구입 확인의 의미를 포함해서, 메시지 데이터를 유저에게 송신한다. 이 메시지 데이터는, 지금까지 설명하여 온 바와 같은, 템플릿 데이터가 복원 가능한 메시지이다. 여기서는, EC 사이트로부터 2매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가 도착한다고 한다.
1장째의 슬라이드가 표시되고 있을 때에는, Option 키의 선택 후, Reuse 메뉴의 선택이 가능하다. 한편, 2장째의 슬라이드가 표시되고 있을 때에는, Option 키의 선택 후, Reuse 메뉴의 선택이 가능함과 함께, Connect 메뉴의 선택도 가능하다. Connect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EC 사이트에 액세스가 행해지고, EC 사이트의 홈페이지가 표시된다.
도 34는, Reuse가 선택된 후에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euse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메시지의 작성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는, 1장째의 슬라이드의 메시지 데이터가 변경 가능하게 된다. 메시지의 작성의 수순은, 도 26의 예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 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한편, Reuse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EC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없다.
유저가 1장째의 슬라이드를 변경했을 때에는, 변경된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가 친구인 제삼자에게 송신된다. 제3자는, 이 메시지 데이터를 수취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한 유저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삼자는, 유저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중에, EC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자는, EC 사이트에 의한 서비스(Whisky Shop)가 존재하는 것을 알고, EC 사이트에 의한 서비스가 유통된다. 또한, 제3자는, 친구로부터 이 메시지 데이터를 수취했기 때문에, 이 EC 사이트에 의한 서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서비스의 유통이 촉진된다.
한편, 제3자는,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한 유저와 마찬가지로, 1장째의 슬라이드의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이 가능하지만,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중에는, EC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제삼자는,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중에, EC 사이트에 액세스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과는 직접 관계되지 않는 EC 사이트의 홈페이지가 표시되어, 메시지 작성의 작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Connect 메뉴의 선택으로 EC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것이 아니라, Connect 메뉴와는 별도로, 어떠한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EC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것이어도 되고, EC 사이트에의 액세스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어떠한 메시지를 동시에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템플릿 데이터의 메시지 작성 영역은,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부분, 미디어 데이터 타이밍 부분,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기동 기능 부분, 가이던스 부분, 및 미디어 데이터의 전부를 포함하지만, 반드시 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템플릿 데이터의 메시지 작성 영역은,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부분은, 미리 정해진 레이아웃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또한, 미디어 데이터 타이밍 부분도,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은, 편집 가능한 영역이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 또는 가이던스에 의해서 편집 가능 영역을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예를 들면, 도 16의 템플릿에서는, 6-8행째에서, 「InputtedText.text」, 「InputtedImage.jpg」, 및 「SecondSound.mp3」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편집 가능한 영역임을 지정한다. 그러나, 가이던스에 의해서, 이들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편집 가능한 영역임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것으로 하면,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은 없어도 된다.
기동 기능 부분은, 이것이 없더라도 미디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6의 템플릿에서는, 6-8행째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Text edit」, 「camera」, 「mic」)을 기동하고 있다. 그러나, 텍스트를 편집할 때에는, 「Text edit」을 기동하고, 화상을 편집할 때에는, 「camera」를 기동하고, 음성을 편집할 때에는, 「mic」를 기동하는 것이 미리 정해져 있으면, 기동 기능 부분은 없어도 된다.
가이던스도, 유저를 가이드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미디어 데이터는, 메시지를 표시할 때에는 필요하지만, 메시지의 작성을 행할 때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상과 같이, 미디어 데이터 재생 레이아웃 부분, 미디어 데이터 타이밍 부분,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기동 기능 부분, 가이던스 부분, 및 미디어 데이터는, 템플릿의 메시지 작성 영역에 필수의 것이 아니라, 템플릿 데이터의 메시지 작성 영역은,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템플릿의 메시지 작성 영역은, 예를 들면, 가이던스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32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는,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메시지로서 표시할 때에 네트워크 액세스를 행하게 하는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인데, 메시지 작성 시에 네트워크 액세스를 행하게 하는 기술이 포함되어도 된다. 즉, 앞서 설명한 mode 속성이 「composition」인 <switch> 태그에 둘러싸인 행에, 네트워크 액세스를 행하게 하는 기재가 이루어져도 된다. 이러한 기재가 있음으로써,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때에, 메시지 작성을 보조하기 위한 데이터나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등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며, 그와 같은 데이터나 기능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즉, 메시지가 작성되었을 때에 이용된 것과 동일한 네트워크 상의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템플릿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상의 기능에 액세스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하는, 혹은, 미디어 데이터를 가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 편집을 행하는 등이 생각된다. 템플릿 데이터를 이러한 데이터 구성에 하는 것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실행되고, 해당 템플릿 데이터가 재이용되었을 때에 메시지 작성 보조 서비스에의 액세스가 재차 행해지게 되어, 서비스의 유통에 공헌할 수 있다.
즉, 템플릿을 이러한 데이터 구조로 함으로써,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의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템플릿을 이용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수취한 수신자가, 메시지로부터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을 재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을 행할 때에 동일한 네트워크 상의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기능 자체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5는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prompt> 태그의 내용을 수정 가능한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템플릿 내에서 지정되어 있는 기동하는 기능을, 유저가 수정 가능한 템플릿 데이터의 구체예이다.
도 35를 참조하여, 제26행의 <prompt> 태그는, 커맨드가 파일 「url.txt」로 지정되어 있고, 제31행의 <prompt> 태그로써, 텍스트 에디터에 의해, 파일 「url.txt」가 수정 가능한 것이 지정되어 있다. 이, 제31행의 <prompt> 태그는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때밖에 이용되지 않지만, 반대로, 제26행의 <prompt> 태그는,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메시지로서 표시될 때밖에 이용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작성을 행하고 있는 유저가, 혼자서 만든 사이트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메시지 내에 간단히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시지를 수취한 수신자가, 해당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차 메시지를 작성할 때에, 액세스처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6은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가 처리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도 35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지만, 도 20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와 도 36에 도시되는 템플릿 데이터에서는 <switch> 태그의 위치가 상이하다. 단, 도 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의 기술 전체의 틀을 <switch> 태그로 나누어 자르는 것에 의해, 해당 템플릿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때의 표시와, 해당 템플릿을 메시지 데이터로서 표시할 때의 표시를 전혀 다르게 한 템플릿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가까운 템플릿 데이터의 다른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2 구체예 및 제3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와 같은 템플릿 데이터를 들 수 있다. 즉, 메시지 작성 시에 이용하는 부분과 메시지 표시에 이용하는 부분이, 1개의 기술 중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다른 기술에 포함되는 템플릿이다.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3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이 경우의 템플릿 데이터는, 도 21의 템플릿 데이터 중, 1개째의 SMIL 부분은 메시지 표시에 이용되며, 이 부분 중,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과, 기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이 없는 템플릿 데이터이다. 즉, 처음부터, 메시지 표시 영역(1개째의 SMIL 부분으로부터,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과 기 동 기능 또는 가이던스 부분을 생략한 것)과,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2개째의 SMIL 부분)이 별도로 준비된 템플릿 데이터라고도 생각되고, 템플릿 데이터 자체가, 처음부터 이 형태로 준비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처음에, 도 9의 스텝 S14 및 스텝 S19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을 행하기 위해서 템플릿을 판독하여 메시지 작성용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는, 2개째의 SMIL 부분인 메시지 작성 보조용 영역을 기입하여 실행한다. 또한, 메시지 표시를 행할 때에는, 전술한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2 구체예 및 제3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할 때와 마찬가지의 처리로 표시하면 된다. 메시지 작성용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 이용하는 부분을 추출할 때의 방법은, 메시지 데이터 기입 처리의 제2 구체예에서 나타낸 메시지 데이터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추출할 때의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즉, SMIL 부분의, <meta> 태그의, role 속성에 기술되어 있어도 되고(도 6 또는 도 7의 제5행), 템플릿 데이터 내의 최후의 데이터는 템플릿 데이터임, 과 같이, 데이터 내의 위치에서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된다. 또는,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 부분에, 템플릿 데이터 내의 어느 데이터가,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의 부분인지, 혹은 어느 데이터가 메시지 영역의 부분인지가 기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 데이터의 각 영역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은, 헤더라는 형식이 아니라 1개의 파일로 되어 있으며, 여기를 해석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영역의 기술 언어는 모두 SMIL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 영역은 실제로는 완전하게 나누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이는 방법이 상이한 템플릿을 작성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지만, 애당초,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영역의 기술 언어가 상이한 템플릿조차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템플릿 데이터로서의 기술, 즉 메시지 작성 보조용의 기술을 메시지 데이터 내에 기술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지만, 메시지 작성 보조용의 기술로 바꾸어,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로서, 메시지 데이터 내에 템플릿을 입수 가능한 해당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는 장치에의 액세스 정보인 URL을 기술하여도 된다. 이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는, 템플릿 데이터 자체에 해당 템플릿의 제공원의 정보로서 원래 기술되어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도 되고, 혹은, 템플릿 데이터를 입수했을 때의 템플릿 입수처 정보를 기억해 놓고, 휴대 전화(1)에서 메시지 작성 시에 메시지 데이터 내에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수취한 메시지로부터 템플릿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해당 URL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템플릿 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메시지 데이터 내에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기술함으로써,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의 내용을 메시지 데이터에 넣지 않더라도, 메시지 수신자는, 메시지를 작성했을 때에 이용된 템플릿을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템플릿을 작성하는 타이밍은, 유저가 지시를 행하는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로 했지만, 메시지 수신 시에 템플릿의 복원이 가능한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 시에 바로 템플릿 복원을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1)가 이미 동일한 템플릿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템플릿의 복원을 행하지 않는 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수신한 메시지에 템플릿 의 입수처인 다른 장치에의 액세스 정보인 URL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 수신 시에, 바로 템플릿을 입수하기 위해서 URL에 액세스하거나, 이미 입수 완료한 템플릿이면 액세스는 하지 않는, 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템플릿 ID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재편집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리고, 송신하는 메시지 데이터는, 템플릿 ID를 포함하는 도 24와 같은 구조의 메시지 데이터이더라도 됨을 설명했다.
도 37은, 템플릿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대응한 재생·편집 프로그램을 도시한다. 동도를 참조하여, 도 37의 재생·편집 프로그램(1330)에서는, 도 4의 재생·편집 프로그램(131)에, 템플릿 판별부(1331)와, 템플릿 취득부(1312)가 추가되어 있다.
템플릿 판별부(1331)는, 데이터 판독부(1311)가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ID에 기초하여, 그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되고 있던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한다.
템플릿 취득부(1332)는,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가 취득 완료이고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에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데이터 판독부(1311)를 지시하여, 그것을 판독시킨다.
또한, 템플릿 취득부(1332)는,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가 취득 완료가 아닐 때에는, 통신부(110)를 지시하여, 인터넷 제공 서버(2)에 템플릿 ID를 송신시킨다. 인터넷 제공 서버(2)는, 템플릿 ID에 대응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특정하여, 특정한 템플릿 데이터를 송신한다. 통신부(110)는, 수신한 템플릿 데이터를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에 기억한다. 템플릿 취득부(1332)는, 데이터 판독부(1311)를 지시하여, 각종 데이터 기억부(157)에 기억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시킨다.
구문 해석부(1312)는, 판독이다 템플릿 데이터를 구문 해석한다. 구문 해석한 결과로부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에 해당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에서 전술한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처리 및 메시지 데이터의 열람·작성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도 38을 참조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처리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는, 도 3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메시지 데이터 열람 시에 이용되는 열람용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 작성 시에 이용되는 작성용 영역을 구비하는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 도 3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 템플릿 데이터로부터 작성용 영역을 추출하여 이용한다. 해당 작성용 영역에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의 과정에서 편집되는 편집 영역이 포함되든지 지정되든지 하고 있다. 휴대 전화(1)에서는, 작성용 영역의 내용에 따라서, 도 38(C)에 도시되는 편집 영역이 편집되고, 메시지 데이터가 작성된다. 이 때문에,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는, 바탕으로 된 템플릿 데이터의 편집 영역이 변경된 형태이다. 그리고, 휴대 전화(1)에서는 작성된 데이터를 송신할 때, 도 38(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람용 영역뿐만 아니라, 작성용 영역도 포함시켜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1)에서는 템플릿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를 작성하기 때문에, 이 메시지를 판독하는 수신자 측에서, 메시지를 작성했을 때에 이용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 미디어 데이터의 레이아웃 정보 또는 재생 타이밍,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의 지정, 미디어 데이터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 또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에 유효한 가이던스, 또는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템플릿 작성자가 의도적으로, 보다 복잡한 메시지를 지정한 기능을 이용하여 메시지 작성자에게 메시지 작성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9를 참조하여, 도 38에 도시된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처리에서 작성되어 송신된 템플릿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해당 템플릿 데이터에는, 도 39(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람용 영역과 작성용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메시지 데이터의 열람·작성 처리에 있어서, 휴대 전화(1)는 도 39(A)에 도시되는 해당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여, 메시지를 열람을 위해서 데이터를 표시할 때에는, 도 3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람용 영역을 추출하여 이용한다. 이 때문에, 열람에 불필요한 표시나 동작을 행하는 일이 없다. 또한, 해당 메시지 데이터가 작성되었을 때와 동일한 조작으로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39(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신한 템플릿 데이터로부터 작성용 영역을 추출하여 이용한다. 이에 의해, 해당 메시지 데이터가 작성되었을 때와 동일한 조작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가 전술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처리 및 메시지 데이터의 열람·작성 처리를 행함으로써, 템플릿 데이터 내의 열람용 영역과 작성용 영역을 추출하여, 메시지 데이터 열람 시와 메시지 데이터 작성 시에서 상이한 영역을 이용하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자도, 메시지 데이터가 작성되었을 때와 동일한 조작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할 때에,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메시지 영역을 동시에 편집하기 때문에,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와, 메시지 영역의 데이터에 동일한 미디어 데이터가 이용되고 있는 등 관련이 있는 경우에, 메시지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의 변경에 수반한 변경을, 메시지 영역 내의 데이터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 따른 데이터의 편집과, 최종적인 메시지 데이터 작성의 과정이 별도로 되기 때문에, 데이터 편집 시의 데이터 조작을 최저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할 때에, 템플릿 데이터 내의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부분을 편집하지 않고서 그대로 메시지 데이터에 가하기 때문에, 또한 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는, 수신한 메시지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그대로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메시지 영역 내의 쓸데없는 데이터가 생략되어 메시지 데이터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9에 도시되는 메시지 데이터의 열람·작성 처리에서는, 편집 영역의 내용이 바탕으로 된 템플릿 데이터의 편집 영역의 내용과 상이하다. 그 때문에, 해당 메시지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행할 때, 바탕으로 된 템플릿 데이터를 작성했을 때와 완전하게 동일한 조작 혹은 표시로는 되지 않는다. 완전하게 동일한 조작으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템플릿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도 4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작성용 영역에 편집 영역을 포함하게 하지 않는 데이터 구조로 하거나, 또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시에 작성용 영역에 편집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템플릿 데이터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고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어떤 방법으로 열람용 영역과 작성용 영역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보다 단순하게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내에, 별도, 데이터 내의 어디가 열람용 영역이고, 어디가 작성용 영역인 것인지라고 하는 것을 기술하여 놓은,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20, 또는 도 21 등의 메시지 데이터의 편집은,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쪽의 단말기에서 전부 행해졌다. 본 실시의 실시 형태에서는, 메시지 데이터를 중계하는 메시지 서버가, 메시지를 수취하는 단말기의 처리 능력에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한다.
도 42는, 메시지 서버(3)의 구성을 도시한다. 동도를 참조하여, 메시지 서버(3)는, 데이터 수신부(310)와, 단말기 어드레스 추출부(322)와, 처리 능력 테이블 기억부(321)와, 단말기 처리 능력 특정부(320)와, 데이터 편집부(330)와, 데이 터 전송부(340)를 구비한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메시지 데이터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영역과,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고, 또한 수신 단말기의 어드레스도 포함한다.
처리 능력 테이블 기억부(321)는, 처리 능력 테이블을 기억한다. 처리 능력 테이블은, 수신 단말기의 어드레스와, 그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의 레벨과의 대응을 정한다. 처리 능력의 레벨은 「1」일 때에는 처리 능력이 낮고, 처리 능력의 레벨이 「2」일 때에는 처리 능력이 중간 정도이고, 처리 능력의 레벨이 「3」일 때에 처리 능력이 높은 것으로 한다.
단말기 어드레스 추출부(322)는,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기의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단말기 처리 능력 특정부(320)는, 처리 능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한 단말기의 어드레스의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의 레벨을 특정한다.
데이터 편집부(330)는, 특정된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 레벨에 따라서, 수신한 메시지를 편집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편집부(330)는, 처리 능력 레벨이 「1」일 때에는, 수신 단말기가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기동 기능 지정 부분, 및 가이던스 부분을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들 부분을 삭제한다. 또한, 데이터 편집부(330)는, 처리 능력 레벨이 「2」일 때에는, 수신 단말기가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및 기동 기능 지정 부분을 처리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들 부분을 삭제한다. 또한, 데이터 편집부(330)는, 처리 능력 레벨이 「3」일 때에는, 수신 단말기가 모든 부분을 처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어느 부분도 삭제하지 않는다.
데이터 전송부(340)는, 추출한 어드레스의 단말기에 편집 후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43은, 메시지 서버(3)가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44는, 메시지 서버(3)가, 도 43에 도시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한 후의 메시지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의 레벨이 「1」로 특정되었기 때문에, 도 44의 메시지 데이터는, 도 43에서의 제6∼제8행째의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기동 기능 부분, 제20행째의 가이던스 부분, 및 제26∼제27행째의 가이던스 부분이 삭제된 것으로 된다.
도 45는, 메시지 서버(3)가, 도 43에 도시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한 후의 메시지 데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의 레벨이 「2」로 특정되었기 때문에, 도 45의 메시지 데이터는, 도 43에서의 제6∼제8행째의 편집 가능 영역 지정 부분, 기동 기능 부분이 삭제된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메시지 서버는,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에 따라서, 수신 단말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기 때문에, 송신 측의 단말기는, 수신 측의 단말기의 처리 능력을 신경쓰지 않고, 메시지 데이터의 편집 및 작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신 측의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 측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쓸데없는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 단말기의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의 특정을 행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의 특정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수신 단말기가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어느 종류에 속하는지에 의해서, 수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의 특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전화(1)에서 실행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한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방법 및 메시지 데이터의 열람·작성 방법을,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부속하는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ROM, RAM 및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써 기록시켜,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혹은, 컴퓨터에 내장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써 기록시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에 의해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공되는 프로그램 제품은, 하드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저장부에 인스톨되어 실행된다. 또한,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자체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44)

  1.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1 데이터 판독부(1311)와,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를 구비한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은, 다른 장치에 액세스 하여 이용 가능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인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는, 상기 태그 또는 상기 태그의 속성에 따라 판별 가능하게 기술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태그 또는 상기 태그의 속성을 판별하여,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태그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 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태그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는, 그 템플릿 데이터의 제공원을 특정하는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 표시용 영역과 상기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 역의 개소를 나타내는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템플릿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는 복수의 파일 단위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템플릿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상기 템플릿 데이터 내의 상기 파일 단위의 데이터 중의 하나의 데이터인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에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제1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13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할 때에,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도 동시에 편집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에서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고, 상기 편집된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의 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상기 판독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상기 편집된 메시지 데이터 내에 기술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헤더 영역에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개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 가능한 템플릿 ID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고, 기억부(130)에 기억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2 데이터 판독부(1319)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ID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하는 템플릿 판별부(13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데이터 판독부(1311)는, 상기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2 데이터 판독부(1319)에서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의 재편집을 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편집된 메시지 표시용 영역에, 상기 판독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덧붙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으로부터,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소거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작성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110)를 더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30)와,
    상기 기억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2 데이터 판독부(1319)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제2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1313)를 더 구비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부(1316)는, 상기 판독한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라고 간주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2.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30)와,
    상기 기억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1319)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1313)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1318)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에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은,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여 이용 가능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인 데이터 처리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는, 상기 태그 또는 상기 태그의 속성에 따라 판별 가능하게 기술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태그 또는 상기 태그의 속성을 판별하여,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레이아웃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 중 편집 가능한 미디어 데이터를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미디어 데이터의 편집을 위해서 기동하는 기능을 특정하는 정보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유효한 가이던스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태그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태그를 이용하여 기술된 데이터이며,
    상기 태그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 성 보조 영역 이외의 영역임을 나타내는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표시 영역에는, 다른 장치에의 액세스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메시지 재생부(1313)는, 상기 다른 장치에의 액세스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장치에 액세스하여, 액세스에 의해서 취득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 표시용 영역과 상기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개소를 나타내는 메시지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복수의 파일 단위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구성 요소 정보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내의 상기 파일 단위의 데이터 중의 하나의 데이터인 데이터 처리 장치.
  32.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20)와,
    상기 기억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1319)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1313)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부(1318)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3.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20)와,
    상기 기억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1319)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1313)와,
    상기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판단하는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판단부(1331)와,
    상기 입수처로부터 상기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부(1317)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4.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 가능한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 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20)와,
    상기 기억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1319)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1313)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데이터 ID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하는 템플릿 데이터 판별부(1331)와,
    상기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가 취득 가능한 경우에 상기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부(1332)와,
    상기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부(1316)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5.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를 판별 가능한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ID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20)와,
    상기 기억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1319)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부(1312)와,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부(1313)와,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플릿 데이터 ID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는 템플릿 ID 송신부(110)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템플릿 ID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되었다고 판별된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부(1332)와,
    상기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부(1317)를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6. 수신 측의 단말기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수신 측의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310)와,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 측의 단말기의 식별자를 추출하는 식별자 추출부(322)와,
    단말기의 식별자와 처리 능력의 대응을 정한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부(321)와,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한 단말기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처리 능 력을 특정하는 처리 능력 특정부(320)와,
    상기 특정한 처리 능력에 따라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데이터 편집부(330)와,
    상기 편집된 메시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340)를 구비한 데이터 처리 장치.
  37.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스텝(S13)과,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S14)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S35)을 구비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S35)은, 상기 판독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8.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S191)과,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S16)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S57)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9.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S191)과,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S16)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S57)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0.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S91)과,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S16)과,
    상기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판단하는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판단 스텝(S192)과,
    상기 입수처로부터 상기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 스텝(S13)과,
    상기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스텝(S35)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1.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템플릿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스텝(S13)과,
    상기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S14)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편집하는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S35)을 실행시키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 편집 스텝(S35)은, 상기 판독된 템플릿 데이터에 포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42.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S191)과,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S16)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S57)을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43.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S191)과,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S16)과,
    상기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판단된 메시지 데이터 작성 보조 영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 지 데이터를 템플릿 데이터로서 기입하는 템플릿 데이터 기입 스텝(S57)을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44. 데이터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수신 측에서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 표시용 영역과,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술된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저장 스텝과,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저장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 스텝(S191)과,
    상기 판독된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을 판단하는 메시지 표시용 영역 판단 스텝(S194)과,
    상기 메시지 표시용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표시와 재생을 행하는 메시지 재생 스텝(S16)과,
    상기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정보 영역 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데이터의 작성 시에 이용된 템플릿 데이터의 입수처를 판단하는 템플릿 데이터 입수처 판단 스텝(S192)과,
    상기 입수처로부터 상기 템플릿 데이터를 취득하는 템플릿 데이터 취득 스텝(S13)과,
    상기 취득한 템플릿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를 작성하는 메시지 데이터 작성 스텝(S35)을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KR1020067010468A 2003-10-31 2004-10-29 데이터 처리 장치 KR101010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3213 2003-10-31
JPJP-P-2003-00373213 2003-10-31
JPJP-P-2004-00093023 2004-03-26
JP2004093023A JP3927962B2 (ja) 2003-10-31 2004-03-26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01A true KR20060114701A (ko) 2006-11-07
KR101010490B1 KR101010490B1 (ko) 2011-01-21

Family

ID=3455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468A KR101010490B1 (ko) 2003-10-31 2004-10-29 데이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88784A1 (ko)
EP (1) EP1688848A4 (ko)
JP (1) JP3927962B2 (ko)
KR (1) KR101010490B1 (ko)
WO (1) WO2005043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8179B2 (ja) * 2005-11-11 2011-12-28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メール処理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JP2007133833A (ja) * 2005-11-14 2007-05-31 Softbank Mobile Corp メール通信方法、メールサーバ及びメール通信システム
CN101480049B (zh) 2006-06-23 2011-06-22 夏普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方法,图像显示系统,图像数据发送装置
JP4087420B2 (ja) 2006-06-28 2008-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並びに、画像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2008035503A (ja) * 2006-06-30 2008-02-14 Sharp Corp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102847B2 (ja) * 2006-06-30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068119B2 (ja) * 2006-07-25 2008-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26852B2 (ja) 2006-08-11 2012-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26853B2 (ja) 2006-08-11 2012-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390615B2 (en) * 2006-08-11 2013-03-05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providing a control script for executing basic functions
US8161339B2 (en) * 2006-08-11 2012-04-17 Sharp Kabushiki Kaisha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ntent playback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213499B2 (en) * 2007-04-04 2012-07-0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address generation for motion vectors and coefficients
WO2009001470A1 (ja) * 2007-06-28 2008-12-31 Fujitsu Limited 通信装置、メール制御方法およびメール制御プログラム
JP4386954B2 (ja) * 2008-05-29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2752398B (zh) * 2012-07-18 2015-09-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解析流量值的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CN106027799B (zh) * 2014-05-09 2020-03-2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终端信息的提示方法和装置及终端
KR101633212B1 (ko) * 2015-01-02 2016-06-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사용자 맞춤형 템플릿을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7239263B (zh) * 2016-03-28 2021-02-0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短信提醒控制方法和系统
JP6946010B2 (ja) * 2017-01-31 2021-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338A (en) * 1996-09-20 1999-01-26 Electronic Data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multimedia applications
JPH11306170A (ja) * 1998-04-17 1999-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キュメント作成装置
FI112427B (fi) * 1999-11-05 2003-11-28 Nokia Corp Menetelmä langattoman päätelaitteen ominaisuuksien määrittämiseksi multimediasanoman välityspalvelussa, multimediasanoman välityspalvelu ja multimediapäätelaite
US20060235945A1 (en) * 2000-01-14 2006-10-19 Frietas Nathaniel X Software architecture for wireless data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6560604B1 (en) * 2000-03-10 2003-05-06 Aether System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dynamically updating options, features, and/or services available to a client device
US6466937B1 (en) * 2000-03-10 2002-10-15 Aether System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transaction databases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US20010054078A1 (en) * 2000-06-19 2001-12-20 Jan Buckner Electronic database information integration process and a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ame
US7035803B1 (en) * 2000-11-03 2006-04-25 At&T Corp. Method for sending multi-media messages using customizable background images
JP2002189666A (ja) 2000-12-19 2002-07-05 Sony Corp データ提供システム、データ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データ取得装置及びその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6993553B2 (en) * 2000-12-19 2006-01-31 Sony Corporation Data providing system,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2002324036A (ja) 2001-02-16 2002-11-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電子メールシステム、電子メール作成方法、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
US7223911B2 (en) * 2001-10-29 2007-05-29 Yamaha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reproducing and composing capability of music
US20030110297A1 (en) * 2001-12-12 2003-06-12 Tabatabai Ali J. Transforming multimedia data for delivery to multiple heterogeneous devices
JP3763300B2 (ja) * 2002-03-25 2006-04-05 ヤマハ株式会社 テンプレートファイル編集装置及び編集プログラム
JP2003323381A (ja) * 2002-05-07 2003-11-14 Fuji Photo Film Co Ltd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作成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作成方法
FI113131B (fi) * 2002-05-31 2004-02-27 Oplayo Oy Järjestely multimediaesityksen luomiseksi
US7324443B2 (en) * 2002-06-17 2008-01-29 Lucent Technologies Inc. Binary protocol for session initi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194527B2 (en) * 2002-06-18 2007-03-2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variations browser
JPWO2004027624A1 (ja) * 2002-07-09 2006-01-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ファイル操作方法およびレイアウト編集装置
JP4114421B2 (ja) * 2002-07-22 2008-07-0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装置、サーバ装置、レイアウト記述文書の提供方法
FR2843515B1 (fr) * 2002-08-08 2004-11-12 Eastman Kodak Co Procede de mise en page de messages multimedias
US7290057B2 (en) * 2002-08-20 2007-10-3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streaming of web content data
KR100484181B1 (ko) * 2002-12-02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문서 저작 장치 및 방법
US7526545B2 (en) * 2003-01-17 2009-04-28 Relevant Media Llc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20040181550A1 (en) * 2003-03-13 2004-09-16 Ville Warsta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adaptation of multimedia message content
US20040199631A1 (en) * 2003-03-21 2004-10-07 Hitachi, Ltd. Ubiquitous information utilities and services for convention center
US20040243688A1 (en) * 2003-05-30 2004-12-02 Wugofski Theodore D. Inbox caching of messages on a mobile terminal
US7401068B2 (en) * 2003-09-30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web-based electronic research and presentation functions via a document creation application
US7873353B2 (en) * 2003-09-30 2011-01-18 Ianywhere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pplications and data, and for tracking of key indicators on mobile handheld devices
US20050250483A1 (en) * 2004-05-07 2005-11-10 Malik Dale W Caller look-up system
US7321921B2 (en) * 2004-07-13 2008-01-22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Messaging system in a hybrid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8784A1 (en) 2007-04-19
KR101010490B1 (ko) 2011-01-21
JP2005158015A (ja) 2005-06-16
JP3927962B2 (ja) 2007-06-13
EP1688848A4 (en) 2011-08-24
WO2005043405A1 (ja) 2005-05-12
EP1688848A1 (en)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490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US8156417B2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emplate for easy preparing multimedia contests
KR100484181B1 (ko) 멀티미디어 문서 저작 장치 및 방법
KR100470576B1 (ko) 메일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05671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80218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text-based subtitles
JP4369434B2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処理装置、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データのデータ構造
JP4587966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4666789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KR20020084993A (ko)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메뉴 페이지 생성 방법
JP2008052693A (ja) 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6209782A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08523759A (ja) 映像メッセージを合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3256643A (ja) ヘルプデスクシステム
JP3997763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
CN101025734A (zh) 数据处理设备、数据处理方法和数据处理程序
JP4716408B2 (ja) 電子文書装置および電子文書記憶方法
JP2002312278A (ja) 携帯電話用のホームページ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6190203A (ja) 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オーサリングサーバ、オーサリング方法およびオーサリングプログラム
JP2007142728A (ja) 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6189487A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