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283A -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283A
KR20060114283A KR1020057011550A KR20057011550A KR20060114283A KR 20060114283 A KR20060114283 A KR 20060114283A KR 1020057011550 A KR1020057011550 A KR 1020057011550A KR 20057011550 A KR20057011550 A KR 20057011550A KR 20060114283 A KR20060114283 A KR 2006011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size
buffer
picture data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639B1 (ko
Inventor
켄이치로 아리도메
히로노부 미야자키
유키오 이소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7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를 축적한 것을 검출하는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과,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최종 데이터 검출 수단과,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고,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버퍼로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한 직후라도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 2의 사이즈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확보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기록 제어 장치, 동화상 오브젝트

Description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RECORDING CONTROL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비디오 오브젝트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동화상(비디오) 데이터나 음성(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가 주목받고 있다. 이 광디스크는 영화 등의 컨텐츠 상품의 미디어로서만이 아니라, 유저측에서 기록을 행하기 위한 기록형 미디어로서도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기록형 미디어로서는, 예를 들면, 동일 영역에 관해 한번만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 DVD-R 규격이나, 반복 재기록 가능한 DVD-RW 규격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광미디어의 파일 포맷으로서는, 재생 전용 디스크를 위한 DVD-Video 규격이 알려져 있지만, 기록형 미디어에 대해서도 이 DVD-Video 규격에 준거한 기록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VD-Video 규격에서는, 하나의 디스크당 최대 99의 타이틀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각 타이틀은 최대 99의 챕터(PTT : Part of TiTle)를 포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DVD-R이나 DVD-RW에 대해 캠코더(camcorder : camera and recorder)에 의해 기록을 행하는 경우, 기록 시작부터 기록 종료까지의 1회의 기록 단위가 챕터로서 기록되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킬 때까지 동일한 타이틀로서 기록된다. 타이틀을 닫는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면, 디스크가 이젝트(배출)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챕터에 달한 경우, 타이틀 내에서 99셀에 달한 경우, 동화 기록으로부터 정지화 기록으로 이행한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이 챕터 단위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면, 챕터 사이에 미묘한 간극이 생기고, 한 순간 도중절단(途切)되는 표시가 행하여진다. 캠코더에서의 기록 단위는 10수초부터 수십초 정도가 표준적이고, 그때마다 재생이 도중절단되어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비디오 스트림 사이를 외괸상 도중절단되지 않도록 접속하는 심레스 접속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9-163300호 공보(도 1) 참조).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광디스크상의 복수의 다른 영역의 화상을 심레스로 재생하기 위해 최소 편집 단위에 미치지 못한 이산(離散) 화상을 반도체 메모리에 일단 옮겨서 정리하고, 광디스크상가 새로운 기억 영역에 그 정리된 이산 화상을 전사하고 있다. 이로써, 심레스 재생이 가능해지는 최소 편집 단위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과 같이 새로운 기억 영역을 마련한 경우에는, 데이터를 중복하여 광디스크상에 보존하는 것으로 되어, 기억 효율이 악화하여 버린다. 특히, 챕터 단위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심레스 재생하여야 할 접속점이 많고, 이들 모든 접속점에 있어서 별도 기억 영역을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이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즈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확보하는 기록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1)의 기록 제어 장치는,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를 축적한 것을 검출하는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과,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최종 데이터 검출 수단과,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고,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버퍼로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한 직후라도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 2의 사이즈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확보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2)의 기록 제어 장치는 상기 (1)의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이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용량으로서 계측하는 용량 계측 수단과,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시간 환산에 의해 계측하는 시간 계측 수단과, 상기 용량 계측 수단이 상기 제 1의 사이즈를 계측하고 나서 또한 상기 시간 계측 수단이 상기 제 2의 사이즈를 계측한 것을 검출하는 임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제 1의 사이즈를 용량으로서 계측하고, 제 2의 사이즈를 시간 환산에 의해 계측하여,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환산한 제 2의 사이즈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확보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3)의 기록 제어 장치는, 상기 (2)의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이 상기 제 1의 사이즈 및 상기 제 2의 사이즈를 보존하고 상기 임계치 검출 수단에 공급하는 임계치 보존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이로써,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에 있어서의 임계치를 임의의 값으로 설정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4)의 기록 제어 장치는, 상기 (3)의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를 상기 제 1의 사이즈로서 설정함과 함께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를 상기 제 2의 사이즈로서 상기 임계치 보존 수단에 설정하는 임계치 설정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이로써,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 및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에 따라 임계치를 설정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5)의 기록 제어 장치는, 상기 (1)의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이, 상기 버퍼로부터 취출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고정 길이의 팩으로 분할하는 팩화 수단과, 상기 팩화된 동화상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DVD-Video 규격에 준거한 형식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생성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6)의 부호화 시스템은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고 동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고 음성 데이터를 하여 출력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챕터에 속하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과,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최종 데이터 검출 수단과,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와 함께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다중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와 함께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버퍼로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한 직후라도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 2의 사이즈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확보하는 부호화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7)의 기록 제어 방법은,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고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버퍼로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한 직후라도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 2의 사이즈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확보하는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8)의 기록 제어 방법은,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를 제 1의 사이즈로서 설정함과 함께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를 제 2의 사이즈로서 설정하는 순서와,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구비한다. 이로써,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 및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에 따라 임계치를 설정하고, 버퍼로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한 직후라도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 2의 사이즈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확보하는 기록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9)의 프로그램은,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고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버퍼로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한 직후라도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 2의 사이즈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확보하기 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10)의 프로그램은,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를 제 1의 사이즈로서 설정함과 함께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를 제 2의 사이즈로서 설정하는 순서와,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고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 및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에 따라 임계치를 설정하고, 버퍼로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한 직후라도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 2의 사이즈의 동화상 오브젝트를 확보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챕터간의 심레스 접속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즈의 비디오 오브젝트를 확보하는 기록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부호화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DVD-Video 규격에 의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록 제어부(300)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서의 축적 사이즈의 시계열 변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부호화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부호화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 면이다. 이 부호화 시스템은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비디오 인코더(100)와,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음성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오디오 인코더(200)와,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의 출력을 다중화하는 기록 제어부(300)와, 기록 제어부(300)에 의해 다중화된 스트림 데이터를 기록 매체(490)에 기록하는 매체 기록부(400)와, 비디오 인코더(100), 오디오 인코더(200), 기록 제어부(300) 및 매체 기록부(400)에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호화 제어부(500)와, 이들 각 부를 상호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600)를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 인코더(100)는, 신호선(101)으로부터 공급된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신호선(199)에 공급한다. 오디오 인코더(200)는, 신호선(201)으로부터 공급된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고 음성 데이터를 신호선(299)에 공급한다. 기록 제어부(300)는, 신호선(199 및 299)에 공급된 동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DVD-Video 규격에 의한 데이터 구조에 맞추어 다중화하고 스트림 데이터로서 신호선(399)에 공급한다. 매체 기록부(400)는 신호선(399)에 공급된 스트림 데이터를 DVD-Video 규격에 맞추어 기록 매체(490)에 기록한다.
부호화 제어부(500)는, 프로세서(510)와, ROM(520)과, RAM(530)과, 입출력 인터페이스(540)와, 이들을 상호 접속하는 버스(550)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세서(510)는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서의 부호화의 진행 상황을 참조하면서, 동화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부호화나 기록 매체(490)에의 기록의 시작 및 정지를 제어한다. ROM(520)은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파리미터 등을 보존하는 메모리이고,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EPROM에 의해 실현된다. RAM은, 프로세서(510)에서의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작업 데이터 등을 보존하는 메모리이고, 예를 들면 SRAM이나 DRAM 등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40)는 외부와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기록 매체(490)에의 기록의 시작 및 정지의 지시나 ROM(520) 내의 프로그램의 갱신 등을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DVD-Video 규격에 의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록 매체(490)의 기록 영역은 디스크의 반경 방향에서 보아 최내주측으로부터 차례로, 리드인 영역(801), 파일 관리 영역(802), 데이터 기록 영역(803), 리드아웃 영역(804)의 순서로 구분된다.
파일 관리 영역(802)는, 리드인 영역측으로부터, UDF(Universal Disc Format) 영역 및 VMG(Video ManaGer) 영역을 포함한다. 이들 UDF 영역 및 VMG 영역은 DVD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등의 파일을 관리하는 관리용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UDF 영역은 UDF 규격과 ISO9660 규격을 서포트함에 의해 컴퓨터로 DVD를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VMG 영역은 DVD 관리용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데이터 기록 영역(803)는 동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을 기록하는 영역이고, 비디오 타이틀 세트(VTS : Video Title Set)(811)라고 불리는 데이터군을 단위로 하여, 데이터의 기록이 이루어진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811)의 각각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 : Video Title Set Information)(821)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VTSM_VOBS : Video Object Set for the VTSM)(822)와, 비디오 타이틀 세트 타이틀(VTSTT_VOBS : Video Object Set for Titles in a VTS)(823)과, 백업 (VTSI(BUP) : Back-UP of VTSI)(824)으로 이루어진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VTSI)(821)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 대한 제어 정보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메뉴(VTSM_VOBS)(822)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내의 각종 메뉴를 위한 컨텐츠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타이틀(VTSTT_VOBS)(823)은 타이틀을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이다. 백업(VTSI(BUP))(824)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정보(821)의 백업 카피이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타이틀(VTSTT_VOBS)(823)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비디오 오브젝트(VOB)(831)라고 불리는 오브젝트 집합이 보존된다. 이 VOB(831)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셀(Cell)(841)이 포함되고, 이 셀(841)에는 또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비디오 오브젝트 단위(VOBU)(851)가 포함된다. 이 VOBU(851)에는, 1GOP(Group Of Picture)에 상당하는 동화상 신호나 그것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등이 포함된다.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에는 MPEG-2 방식 또는 MPEG-1 방식이 사용된다. 음성 신호의 부호화에는 AC-3 방식, 리니어 PCM 방식, MPEG Audio 방식 등이 사용된다.
비디오 오브젝트 단위(VOBU)(851)는 복수개의 팩(861)으로 구성된다. 팩(861)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이루어지지만, 이 예에서는 하나의 팩은 하나의 패킷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1팩은 패킷 앞에 팩 헤더(871)를 부가한 것이고, 또한 패킷은 패킷 헤더(872)와 데이터 본체인 패킷 데이터(873)를 구비한다. 또한, DVD-Video 규격에서는 1팩은 2048바이트(1섹터에 대응)로 정해져 있다. 부호화된 동화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은 각 팩으로 분할되어 보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비디오 인코더(100)에 의해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는 GOP(Group Of Picture)라고 불리는 화상 프레임의 집합으로 분할된다. 이 예에서는, 15프레임의 단위 화상(B1내지 P15)이 하나의 GOP(700)를 구성하고 있다.
각 프레임의 화상은 I픽처(Intra-Picture), P픽처(Predictive-Picture) 및 B픽처(Bidirectionally Predictive-Picture)의 3종류의 어느 하나로 분류된다. I픽처는 화면내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화면이고, 원화면과 같은 순서로 부호화되는 것이다. 또한, P픽처는 화면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화면이고, 이것도 원화면과 같은 순서로 부호화된다. 하나의 GOP는 적어도 하나의 I픽처를 포함하는 것이 된다.
단위 화상(710)에 있어서, I3은 I픽처를 나타내고, B1, B2, B4, B5, B7, B8, B10, B11, B13, B14는 B픽처를 나타내고, P6, P9, P12, P15는 P픽처를 나타낸다. 각 서픽스 번호는 픽처 타입에 관계없이 프레임 단위의 연속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B픽처는 쌍방향 예측 부호화에 의해 얻어지는 화면이고, I픽처과 P픽처가 부호화된 후에 I픽처와 P픽처 사이에 삽입되는 B픽처가 부호화되기 때문에, 원화면과는 다른 순서로 부호화된다. 그 때문에, B픽처는 쌍방향 예측 부호화할 때에 참조하는 I픽처나 P픽처보다도 뒤에 위치하도록 재배열된다. 이 재배열 후의 단위 화상(720)에서는, 예를 들면, I3의 뒤에 B1 및 B2가 위치하고, P6의 뒤에 B4 및 B5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단위 화상(720)은, 팩화되어 VOBU(730)를 구성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일예로서 1VOBU에 1GOP가 대응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1VOBU에 2GOP를 포함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각 VOBU의 선두에는 내비게이션 팩(731)(NV_PCK)이 마련되고, 데이터 서치 인포메이션(예를 들면, 점프 때에 어느 섹터까지 날아가는지를 지시한 제어 정보) 등의 재생 관리 정보가 보존된다.
팩 군(732)(V_PCK_I3)은, 단위 화상(I3)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보존한다. 1팩의 용량은 2048바이트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이것을 초과한 경우에는 복수의 팩으로 분할하여 보존된다. 팩(733)(A_PCK1)은 음성 데이터를 보존한다. 팩 군(734)(V_PCK_B1)은 단위 화상(B1)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보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록 제어부(300)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기록 제어부(300)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와, 오디오 스트림 버퍼(320)와,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와,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와, 비디오 팩화부(350)와, 오디오 팩화부(360)와, 다중화부(390)를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는, 비디오 인코더(100)로부터 신호선(199)에 공급된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한다. 오디오 스트림 버퍼(320)는, 오디오 인코더(200)로부터 신호선(299)에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축적한다. 이들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 및 오디오 스트림 버퍼(320)는, 선입선출형의 FIFO(First-In First-Out)이고, 입력된 순번대로 출력측에서 취출된다.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 터의 사이즈를 검출한다. 이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는, 신호선(199)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면, 신호선(339)에 의해 그 취지를 비디오 팩화부(350) 및 오디오 팩화부(360)에 알린다.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는, 어떤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것을 검출한다. 이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는, 프로세서(510) 등으로부터 기록 정지의 지시를 받아 챕터의 종료를 안다. 그리고, 그 챕터의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면, 신호선(349)에 의해 그 취지를 비디오 팩화부(350) 및 오디오 팩화부(360)에 알린다.
비디오 팩화부(350)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로부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비디오 팩을 생성한다. 이 비디오 팩화부(350)는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로부터 신호선(339)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알려지면, 그 소정의 사이즈보다도 적은 동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로부터 취출하여 비디오 팩을 생성한다. 한편, 비디오 팩화부(350)는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로부터 신호선(349)에 의해, 챕터의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것이 알려지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모든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비디오 팩을 생성한다.
오디오 팩화부(360)는 오디오 스트림 버퍼(3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취출하여 오디오 팩을 생성한다. 이 오디오 팩화부(360)는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 또는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로부터 상술한 사상(事象)의 발생이 알려지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로부터 취출된 동화상 데이터에 맞추어, 오디오 스트림 버퍼(32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취출하여 오디오 팩을 생성한다.
다중화부(390)는, 비디오 팩화부(350)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팩 및 오디오 팩화부(36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팩을 다중화하고 VOB를 출력한다. 이 다중화부(390)는, VOBU 생성부(370)와 VOB 생성부(380)로 구성된다. VOBU 생성부(370)는 비디오 팩 및 오디오 팩에 대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팩을 부가하고, VOBU를 생성한다. 또한, VOB 생성부(380)는 VOBU 생성부(370)에 의해 생성된 VOBU를 조합시켜 VOB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서의 축적 사이즈의 시계열 변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종방향은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서의 축적 사이즈를, 횡방향은 시간 경과를 각각 나타낸다. 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는 동화상 데이터가 소정의 속도(예를 들면, 9.3Mbps)에 의해 입력되어 간다. 그리고,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 또는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가 소정 용량씩 취출된다. 이 취출은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론상 순간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VOB의 표준적인 사이즈를 6M바이트로 상정하고,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로부터의 취출을 소정 용량으로서 6M바이트씩 행하는 것으로 한다.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6M바이트 갖추어지고 나서 곧바로 이 취출을 행한 다고 하면, 그 직후에 챕터가 종료된 경우에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거의 동화상 데이터가 남지 않고 최종 VOB의 사이즈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가 6M바이트를 초과하고 나서 또한 소정 시간분의 동화상 데이터가 축적된 때에 취출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VOBU에 1GOP가 대응하는 것으로 하면,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방식의 경우, 하나의 VOBU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15프레임/29.97H ≒ 0.5005초가 된다. 심레스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서 챕터의 최종 VOB를 시간 환산으로 1.5초 이상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VOB에 3개 이상의 VOBU를 포함시키도록 하면 좋다. 그러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가 6M바이트를 초과하고 나서 또한 소정 시간분의 동화상 데이터로서 3개의 VOBU가 축적된 때에 취출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로부터 6M바이트의 동화상 데이터가 취출된 직후라도, 3개의 VOBU가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잔존하게 되고, 그 직후에 챕터가 종료된 경우에도 최종 VOB의 사이즈가 시간 환산으로 1.5초 이상 확보되는 것으로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는 용량 카운터(331)와, 시간 카운터(332)와, 임계치 보존부(333)와, 임계치 검출기(334)를 구비하고 있다.
용량 카운터(331)는, 신호선(199)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입력 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감시하고,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되는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소정의 용량을 초과하면, 그 취지를 신호선(336)에 의해 전한다. 상술한 도 5의 예에서는, 소정의 용량으로서 6M바이트를 초과한 경우에, 그 취지를 신호선(336)에 의해 임계치 검출기(334)에 전한다.
시간 카운터(332)는, 신호선(199)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입력되는 동화상 데이터를 감시하여, 용량 카운터(331)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소정의 용량(6M바이트)을 초과하고 나서 또한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시간 환산에 의해 측정한다. 그리고, 이 시간 환산에 의한 사이즈가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면, 그 취지를 신호선(338)에 의해 전한다. 상술한 도 5의 예에서는, 소정의 용량으로서 6M바이트를 초과한 것을 신호선(337)에 의해 알려지면, 그 후, 소정의 시간으로서 3개의 VOBU(약 1.5초 상당)가 축적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그 취지를 신호선(338)에 의해 임계치 검출기(334)에 전한다.
임계치 보존부(333)는, 용량 카운터(331)에서의 소정의 용량 및 시간 카운터(332)에서의 소정의 시간을 임계치로서 보존한다. 이들 임계치는, 부호화 제어부(500)에 의해 설정된다.
임계치 검출기(334)는, 용량 카운터(331)에 의한 측정치가 임계치 보존부(333)에 의한 소정의 용량(6M바이트)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면, 신호선(337)에 의해 시간 카운터(332)에서의 측정을 시작시킨다. 그리고, 임계치 검출기(334)는, 시간 카운터(332)에 의한 측정치가 임계치 보존부(333)에 의한 소정의 시간(3VOBU)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면, 비디오 팩화부(350) 및 오디오 팩화부(360)에 대해 각각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 및 오디오 스트림 버퍼(320)로부터의 취출을 행하도록 신호선(339)에 의해 지시한다. 이 신호선(339)에 의한 지시가 되면, 용량 카운터(331)는 그 측정치에서 소정의 용량(6M바이트)을 감산하고, 시간 카운터(332)는 그 측정치를 제로로 리셋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부호화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부호화 시스템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부호화 시스템에서는, 챕터 기록의 시작이 (도시하지 않은) 버튼 등에 의해 지시되면, 입출력 인터페이스(540)를 통하여 부호화 시스템 전체에 전해진다. 이로써, 비디오 인코더(100) 및 오디오 인코더(200)에서 부호화가 시작된다(스텝 S912). 비디오 인코더(100)에 의해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되고, 오디오 인코더(200)에 의해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는 오디오 스트림 버퍼(320)에 축적되어 간다. 또한, 이에 앞서서 임계치 보존부(333)에는 임계치로서 소정의 용량 및 소정의 시간이 설정된다(스텝 S911).
그 후, 챕터 기록의 정지(도시하지 않은)가 버튼 등에 의해 지시되면, 입출력 인터페이스(540)를 통하여 부호화 시스템 전체에 전해진다. 이 기록 정지의 지시가 되면(스텝 S913), 챕터의 최종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것을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가 검출하고,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잔존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챕터의 최종 VOB로서 비디오 팩화부(350)에 팩화시킨다(스텝 S919). 팩화된 동화상 데이터는 VOBU 생성부(370) 및 VOB 생성부를 통하여 VOB로서 구성되고, 매체 기록부(400)에 의해 기록 매체(490)에 기록된다.
챕터 기록의 정지가 지시될 때까지는,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에 의해 감시되고, 소정의 용량(6M바이트) 및 소정의 시간(3VOBU)을 초과한 것이 검출되면(스텝 S914),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소정의 용량(6M바이트)의 동화상 데이터를 선두부터 비디오 팩화부(350)에 팩화시킨다(스텝 S915). 팩화된 동화상 데이터는 VOBU 생성부(370) 및 VOB 생성부를 통하여 VOB로서 구성되고, 매체 기록부(400)에 의해 기록 매체(490)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에 의해 측정하고, 소정의 용량 및 소정의 시간을 초과한 것을 검출한 때에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로부터 소정의 용량의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VOB를 생성하도록 함에 의해, 챕터 기록의 최종 VOB의 시간 환산의 사이즈로서 소정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화상의 재생 방식으로서 NTSC 방식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프레임 주파수 25Hz의 PAL 방식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VOBU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15프레임/25H=0.6초로 되기 때문에, 3개의 VOBU로 1.8초를 확보할 수 있다. 만약, 1GOP를 12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이면, 12프레임/25H=0.48초로 되기 때문에, 4개의 VOBU로 1.92초를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측정치가 임계치 보존부(333)에 의한 소정의 시간을 4VOBU로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록 제어부(300)의 각 부분을 하드웨어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프트웨어 내지 펌웨어로서 실현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부호화 제어부(500)의 ROM(520) 또는 RAM(530)에 프로그램을 격납하여 두고, 프로세서(510)에 의해 상술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구현화하기 위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구의 범위에서의 발명 특정 사항과 각각 대응 관계를 갖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1)에서, 버퍼는 예를 들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대응한다. 또한, 제 1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소정의 용량(도 5의 예에서의 6MB)에 대응한다. 또한, 제 2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환산(도 5의 예에서의 3VOBU)에 대응한다. 또한,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은 예를 들면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에 대응한다. 또한, 최종 데이터 검출 수단은 예를 들면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에 대응한다. 또한,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은 예를 들면 비디오 팩화부(350) 및 다중화부(390)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2)에서 용량 계측 수단은 예를 들면 용량 카운터(331)에 대응한다. 또한, 시간 계측 수단은 예를 들면 시간 카운터(332)에 대응한다. 또한, 임계치 검출 수단은 예를 들면 임계치 검출기(334)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3)에서, 임계치 보존 수단은 예를 들면 임계치 보존부(333)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4)에서, 임계치 설정 수단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510)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5)에서, 팩화 수단은 예를 들면 비디오 팩화부(350)에 대응한다. 또한, 다중화 수단은 예를 들면 다중화부(390)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6)에서, 동화상 부호화 수단은 예를 들면 비디오 인코더(100)에 대응한다. 또한, 음성 부호화 수단은 예를 들면 오디오 인코더(200)에 대응한다. 또한, 버퍼는 예를 들면 비디오 스트림 버퍼(310)에 대응한다. 또한, 제 1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소정의 용량(도 5의 예에서의 6MB)에 대응한다. 또한, 제 2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환산(도 5의 예에서의 3VOBU)에 대응한다. 또한,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은 예를 들면 축적 사이즈 검출부(330)에 대응한다. 또한, 최종 데이터 검출 수단은 예를 들면 최종 데이터 검출부(340)에 대응한다. 또한,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은 예를 들면 비디오 팩화부(350) 및 다중화부(390)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7) 또는 (9)에서,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고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2에 대응한다. 또한,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4에 대응한다. 또한,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버퍼에 축 적된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5에 대응한다. 또한,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3에 대응한다. 또한,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버퍼에 축적된 모든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고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9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8) 또는 (10)에서,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를 제 1의 사이즈로서 설정함과 함께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를 제 2의 사이즈로서 설정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1에 대응한다.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2에 대응한다.
또한,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4에 대응한다. 또한,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5에 대응한다. 또한,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3에 대응한다. 또한,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버퍼에 축적된 모든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스텝 S919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처리 순서는, 이들 일련의 순서를 갖는 방법으로서 파악하여도 좋고, 또한, 이들 일련의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하는 프로그램 내지 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파악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예를 들면 동화상 신호를 MPEG 형식으로 부호화하여 DVD에 기록을 행할 때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를 축적한 것을 검출하는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과,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최종 데이터 검출 수단과,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고,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용량으로서 계측하는 용량 계측 수단과,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시간 환산에 의해 계측하는 시간 계측 수단과,
    상기 용량 계측 수단이 상기 제 1의 사이즈를 계측하고 나서 또한 상기 시간 계측 수단이 상기 제 2의 사이즈를 계측한 것을 검출하는 임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은,
    상기 제 1의 사이즈 및 상기 제 2의 사이즈를 보존하여 상기 임계치 검출 수단에 공급하는 임계치 보존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를 상기 제 1의 사이즈로서 설정함과 함께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를 상기 제 2의 사이즈로서 상기 임계치 보존 수단에 설정하는 임계치 설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은,
    상기 버퍼로부터 취출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고정 길이의 팩으로 분할하는 팩화 수단과,
    상기 팩화된 동화상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장치.
  6.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동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 수단과,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음성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음성 부호화 수단과,
    챕터에 속하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축적 사이즈 검출 수단과,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최종 데이터 검출 수단과,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와 함께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다중화하여 출력하고,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와 함께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동화상 오브젝트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시스템.
  7.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방법.
  8.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를 제 1의 사이즈로서 설정함과 함께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를 제 2의 사이즈로서 설정하는 순서와,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제어 방법.
  9.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 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0. 챕터에 속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버퍼를 구비하는 기록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오브젝트의 표준 사이즈를 제 1의 사이즈로서 설정함과 함께 심레스 접속에 필요한 동화상 오브젝트의 하한치를 제 2의 사이즈로서 설정하는 순서와,
    동화상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동화상 데이터로서 순차적으로 상기 버퍼에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1의 사이즈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버퍼에 축적된 동화상 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제 2의 사이즈에 달한 것이 검출되면 상기 버퍼에 축적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중 선두부터 상기 제 1의 사이즈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종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을 검출하는 순서와,
    상기 챕터에 속하는 최후의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버퍼에 축적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버퍼에 축적된 모든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취출하여 동화상 오브젝트로서 출력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57011550A 2003-10-30 2004-10-29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KR101063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1353 2003-10-30
JP2003371353A JP3807400B2 (ja) 2003-10-30 2003-10-30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
PCT/JP2004/016455 WO2005043900A1 (ja) 2003-10-30 2004-10-29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283A true KR20060114283A (ko) 2006-11-06
KR101063639B1 KR101063639B1 (ko) 2011-09-07

Family

ID=3454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550A KR101063639B1 (ko) 2003-10-30 2004-10-29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2565B2 (ko)
EP (1) EP1605697B1 (ko)
JP (1) JP3807400B2 (ko)
KR (1) KR101063639B1 (ko)
CN (1) CN100542246C (ko)
TW (1) TWI258310B (ko)
WO (1) WO2005043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037B1 (ko) * 2006-02-10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임 쉬프트 방법 및 그에 따른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
JP4857895B2 (ja) 2006-05-10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79797B2 (ja) 2006-05-10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25339B2 (ja) * 2006-09-11 2009-02-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370622B1 (en) * 2007-12-31 2013-02-05 Rockstar Consortium U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output of a cryptographic system
CN101677384B (zh) * 2008-09-19 2011-03-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据存储管理系统及方法
BR112021016138A2 (pt) 2019-03-15 2022-01-04 Intel Corp Aparelho, método, processador gráfico de propósito geral e sistema de processamento de dados
US11934342B2 (en) 2019-03-15 2024-03-19 Intel Corporation Assistance for hardware prefetch in cache access
EP3938912B1 (en) 2019-03-15 2023-09-20 INTEL Corporation Memory controller management techniques
US11861761B2 (en) * 2019-11-15 2024-01-02 Intel Corporation Graphics processing unit processing and caching improv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917B2 (ja) * 1991-12-06 2000-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電子スチル・カメラ
DE4313177C2 (de) 1992-04-20 2002-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Informationswiedergabevorrichtung
US5754241A (en) * 1994-11-18 1998-05-19 Sanyo Electric Co., Ltd Video decoder capable of controlling encoded video data
JP3382615B1 (ja) * 1995-09-29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方法と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09163300A (ja) 1995-12-12 1997-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編集方法及び画像編集装置
JP2857129B2 (ja) 1996-01-08 1999-02-10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方法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EP0875856B1 (en) * 1996-09-27 2003-05-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edia stream editing and authoring system involving verification of editing instructions
US5951646A (en) * 1996-11-25 1999-09-14 America Online, Inc.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nd processing image and sound data
JP4110593B2 (ja) * 1997-05-19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記録方法及び信号記録装置
JP2000021086A (ja) * 1998-07-03 2000-01-21 Hitachi Ltd 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2000209553A (ja) * 1998-11-13 2000-07-28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FR2787963B1 (fr) * 1998-12-28 2001-02-09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stockage d'un flux de donnees audio et video numeriques, dispositif de stockage et recepteu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3159692B2 (ja) 1999-04-02 2001-04-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とその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CN100480977C (zh) * 2001-11-29 2009-04-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装置、记录程序和记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2246C (zh) 2009-09-16
JP2005136753A (ja) 2005-05-26
JP3807400B2 (ja) 2006-08-09
US7672565B2 (en) 2010-03-02
EP1605697A1 (en) 2005-12-14
TW200527924A (en) 2005-08-16
WO2005043900A1 (ja) 2005-05-12
EP1605697A4 (en) 2011-02-16
US20060083489A1 (en) 2006-04-20
EP1605697B1 (en) 2013-05-29
KR101063639B1 (ko) 2011-09-07
CN1723701A (zh) 2006-01-18
TWI258310B (en)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143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7274861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to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8000585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herein stream convertible at high-speed is recorded, and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therefor
US6782193B1 (en)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that are all suitable for seamless reproduction
JP3677205B2 (ja) 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装置及び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方法
KR100463944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KR101063639B1 (ko) 기록 제어 장치 및 기록 제어 방법
EP1195766A2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4118986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
US7233735B2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built-in storage medium
JP2002152658A (ja) 情報即時記録装置及び情報即時記録方法
EP3843095A1 (en) Playback method, playback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3861015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EP1320100A2 (en)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4164731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89424B1 (ko) 데이터 기록장치와 매체 및 정보 패키지
US20030223737A1 (en) Video data recording method and video data recording apparatus
KR100847617B1 (ko) 정보 기록 장치와 비디오 카메라
US20030161613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 terminal signal
JP3727913B2 (ja)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20060153540A1 (en) Data stream reocrding method and device
JP2001076462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236077A (ja) 自動チャプタ作成機能付き記録再生装置
JP2004364328A (ja) 情報即時記録装置
JP2001160946A (ja) システムストリーム作成装置、レコーダシステム、システムストリーム作成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