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154A -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154A
KR20060113154A KR1020050036059A KR20050036059A KR20060113154A KR 20060113154 A KR20060113154 A KR 20060113154A KR 1020050036059 A KR1020050036059 A KR 1020050036059A KR 20050036059 A KR20050036059 A KR 20050036059A KR 20060113154 A KR20060113154 A KR 20060113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hydroxide
natural rubber
weight
manganese
la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120B1 (ko
Inventor
김원철
김재열
Original Assignee
김재열
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열, 김원철 filed Critical 김재열
Priority to KR1020050036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12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4Dipping a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08L21/02Latex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 B29L2031/4864Glo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2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ngane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lov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은 1차 염수 침지, 1차 라텍스 침지, 2차 염수 침지, 2차 라텍스 침지, 가황 건조, 산 세척, 알칼리 세척 및 수세 후 유연제 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 통상적으로 제조되어지는 고무 장갑에 있어서,
상기 1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5.0 내지 94.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수성안료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1.0 내지 10.0 중량%로 혼합되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은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2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3.0 내지 92.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분산제 2.0 내지 4.0 중량%, 이산화티탄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 1.0 내지 10.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제조하기 위해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분산제를 혼합한 후 각각 입자가 100 내지 800㎚ 크기의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이 균등하게 분포된 고무 장갑을 성형하여 원적외선 방 출의 효과를 가지며, 특히 항균성과 탈취력이 우수한 것이 장점이다.
고무 장갑, 수산화알루미늄, 망간, 나노 입자, 항균력, 탈취력

Description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Rubber Gloves contained Aluminium hydroxide-Manganese Nano Mixt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입자의 수산화알루미늄과 나노 입자의 망간을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첨가시켜 고무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효과뿐만 아니라 항균력과 탈취력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입자의 수산화알루미늄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주부들이 고무장갑을 착용 시에는 손에서 나온 땀 등이 고무장갑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고무장갑 내부에서 곰팡이나 균류 등에 의해 피부 습진 등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고무장갑을 연속하여 사용할 시에는 고무장갑 내부에 악취 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특허들이 출원되었으며, 이들 특허 중 미국특허공보 제3,740,262호는 수술용 장갑에 파우더를 개입시켜 고무장갑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통풍성을 부여한다고는 하였으나 상기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3781호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주제의 고무장갑에 유기산 아연을 첨가하여 항균성 기능을 부여한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나 유기산 아연 그 자체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 유해한 물질이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6936호의 고무장갑은 고무장갑에 키토산 분말을 함유시켜 항균성 기능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96930호의 고무장갑은 고무장갑에 실버 나노 입자를 함유시켜 항균성을 부여하였으나 고가의 실버를 사용하므로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일반 대중화를 시키는데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74934호(공고일자 2005. 3. 8.)로 초미립자, 구체적으로 입경이 5 내지 200nm의 수산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초미립자의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특히 모공 속 노폐물의 제거, 각질 제거 및 진균감염, 여드름, 피부염 등의 피부 트러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발명을 등록받은 바 있는데, 나노 수산화알루미늄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그리고 나노 실버 이상의 항균 및 항진균 능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싸기 때문에 경제적 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고무 장갑의 제조에 적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첨가하여 고무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균성과 탈취력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항균력을 갖는 나노 입자의 수산화알루미늄과 그리고 탈취 효과가 뛰어난 나노 입자의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씩 혼합시킨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사용함에 따라 항균력은 물론 우수한 탈취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첨가하여 제조한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나노 입자의 수산화알루미늄과 나노 입자의 망간을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첨가시켜 고무 장갑을 제조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효과뿐만 아니라 항균력과 탈취력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 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은 1차 염수 침지, 1차 라텍스 침지, 2차 염수 침지, 2차 라텍스 침지, 가황 건조, 산 세척, 알칼리 세척 및 수세 후 유연제 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 통상적으로 제조되어지는 고무 장갑에 있어서,
상기 1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5.0 내지 94.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수성안료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1.0 내지 10.0 중량%로 혼합되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은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2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3.0 내지 92.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분산제 2.0 내지 4.0 중량%, 이산화티탄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 1.0 내지 10.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은 그 입자의 크기가 각각 100 내지 800㎚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은 음이온 화합물로 서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탈취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의 입자의 크기가 분산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의 입자의 크기는 100 내지 800 ㎚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입자의 크기가 100 ㎚ 미만이 될 경우에는 분산력은 증대되나 입자를 나노화시키는데 비용이 증대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800 ㎚를 초과할 경우에는 라텍스와의 혼합이 불안정하여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으므로 항균성 및 탈취 효과가 저하되고, 또한, 원적외선 방출 특성을 충분히 가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첨가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은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그 사용 함량은 1.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의 혼합 비율이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 일 때, 항균력과 탈취 효과가 우수하며, 수산화알루미늄의 혼합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 고가의 수산화알루미늄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비용의 상승이 발생하게 되고, 망간의 혼합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 갈색의 망간에 의해 안료의 색이 혼탁해질 수 있고, 탈취 효과의 상승이 미미하여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경제성만 저하된다.
그리고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의 사용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향균력과 탈취 효과가 떨어지며, 10.0 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이 고가이므로 경제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첨가하는 수산화알루미늄은 그 사용 함량이 1.0 내지 10.0 중량%가 바람직한데, 본 발명과 같이 두겹 제품으로 제조할 경우 성형몰드는 상기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침지하여 고무장갑의 내면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고무장갑의 내면은 유백색으로 제조하므로 이 때 갈색의 망간을 첨가하여 색이 혼탁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제조 시에는 수산화알루미늄만을 첨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1차 및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사용되어지는 천연고무 라텍스는 천연고무 라텍스를 기준으로 0.04 내지 0.08 중량%의 안정화제가 첨가된 천연고무 라텍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고무 라텍스는 그 사용 함량은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경우에는 85.0 내지 94.3 중량%,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경우에는 83.0 내지 92.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및 2차 천연고무 라텍스의 사용 함량이 각각 상기 사용 함량의 하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천연고무 라텍스의 함량 부족으로 인해 고무 물성의 고유 특성인 인장강도, 신율 등의 물성의 저하와 함께 부드러운 촉감이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고, 그리고 상기 사용 함량의 상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천연고무 라텍스의 과량 사용으로 인해 성형성이 떨어지고, 충분한 가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고무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에서 유황은 천연고무 라텍스를 가황시키기 위한 가황제로서 그 사용 함량은 4.7 내지 6.0 중량%가 바람직한데, 그 사용 함량이 4.7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가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황 후에 고무장갑의 고무 물성을 제대로 나타낼 수가 없으며,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가황이 되어 고무가 단단해지기 때문에 탄성력이 있는 고무 고유의 물성이 저하 된다.
그리고 수성안료 또는 이산화티탄은 고무장갑의 색상을 내기 위해 첨가하는 안료로서 그 사용 함량은 0.2 내지 0.5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들은 그 첨가량이 절대적인 사용량으로는 정해져 있지 않으나 상기 사용량의 범위 내에서 적정한 색상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수성안료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요자가 원하고자 하는 색상에 맞게 적정한 안료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 분산제는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첨가하는 수산화알루미늄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용 함량은 2.0 내지 4.0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사용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분산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산화알루미늄의 나노 입자가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 내에서 골고루 분산되지 않으며, 4.0 중량%를 초과하여도 특별히 분산력이 향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분산제로는 스테아린산, 규산계의 보강제용의 유기 아민류, 글리콜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화제는 천연고무 라텍스가 고분자 화합물과 물이 혼합된 불균일계의 현탁액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pH를 조절하여 알칼리성으로 안정화시켜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 함량은 0.04 내지 0.08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사용량이 0.04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이 충분히 알칼리화되지 않아 용액이 응고될 염려가 있으며, 0.08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pH농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의 고유 점성을 잃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알칼리화제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은
ⅰ) 성형몰드를 염수에 침지시켜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1차 염수 침지 공정);
ⅱ) 1차 염수 침지한 성형몰드를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1차 라텍스 침지 공정);
ⅲ) 상기 성형몰드를 다시 염수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2차 염수 침지 공정);
ⅳ) 2차 염수 침지한 성형몰드를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2차 라텍스 침지 공정);
ⅴ) 성형몰드로부터 탈구한 고무장갑을 건조기에 넣고 가황 건조시키는 단계(가황 건조 공정);
ⅵ) 고무 장갑을 물과 차아염소산 및 염산을 혼합시킨 혼합산 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산 세척 공정);
ⅶ) 산 세척한 고무장갑을 물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시킨 알칼리 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알칼리 세척 공정);
ⅷ) 수세 후 실리콘 오일의 유연제를 처리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유연제 처리 공정); 을 거쳐 제조되어지며,
상기 ⅱ) 단계의 1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5.0 내지 94.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수성안료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1.0 내지 10.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되어진 것을 사용하고,
상기 ⅳ) 단계의 2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3.0 내지 92.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분산제 2.0 내지 4.0 중량%, 이산화티탄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1.0 내지 10.0 중량% 첨가하여 제조되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은 그 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800 ㎚인 것을 사용하여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에서 염수 처리하기 위한 염수 침지 공정을 거치는 것은 몰드의 디핑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성형될 고무 장갑이 몰드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ⅰ) 내지 ⅷ) 단계의 공정에서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각 공정이 진행되고, 대략 통상적인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의 1차 염수 침지 공정은 염도가 12 내지 18도인 염수에 5 내지 15초간 침지시키고, 2차 염수 침지 공정은 염도가 10 내지 20도인 염수에 5 내지 20초간 침지시시키며, 상기 1차 라텍스 침지 공정은 10 내지 30초간 침지시키고, 2차 라텍스 침지 공정은 10 내지 50초간 침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 세척 공정은 물과 차아염소산 및 염산을 1,000 대 5 대 2의 중량비율로 혼합시켜 고무 장갑을 세척하고, 알칼리 세척 공정은 물과 수산화나트륨을 1,000 대 2의 중량비율로 혼합시켜 고무 장갑을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에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1차 및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사용된 천연고무 라텍스는 수산화칼륨 0.05 kg이 함유된 천연고무 라텍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93.7 kg, 유황 5.0 kg, 수성 안료 0.3 kg(정원소재공업제품)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 1.0 ㎏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9.7 kg, 유황 5.0 kg, 수성 안료 0.3 kg(정원소재공업제품)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 5.0 ㎏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4.7 kg, 유황 5.0 kg, 수성 안료 0.3 kg(정원소재공업제품)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 10.0 ㎏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94.7 kg, 유황 5.0 kg 및 수성 안료 0.3 kg(정원소재공업제품)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94.2 kg, 유황 5.0 kg, 수성 안료 0.3 kg(정원소재공업제품)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 0.5 ㎏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3.7 kg, 유황 5.0 kg, 수성 안료 0.3 kg(정원소재공업제품)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 11.0 ㎏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서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은 입자의 크기가 각각 200 ㎚인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50 대 5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에서 각각 제조한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과 천연고무 라텍스 86.7 ㎏, 유황 5.0 kg, 스테아린산 3.0 kg, 이산화티탄 0.3 kg 및 입자의 크기가 100 ㎚인 수산화알루미늄 5.0 ㎏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의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으로 고무 장갑을 제조한 후 샘플로 채취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항균력과 탈취 력, 고무 물성 및 원적외선 방출을 측정한 결과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05022720013-PAT00001
(측정 방법)
1) 항균성 평가 : 대장균, 포도상 구균
35℃ 일반 배양기에서 대장균 및 포도상 구균을 16~20시간 배양하고, 배양액을 멸균인산 완충액으로 20,000배로 희석한 다음 가로 2 cm ×세로 2 cm로 절단한 시편에 1 ml 적하하고, 25℃에서 24시간 보존 후 꺼낸다. 그 후 이를 멸균된 한천배지에 다시 48시간 배양하고 석평판 배양법(35℃, 2일간배양)으로 조사하여 생균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하기식에 따라 멸균율(%)을 계산하였다.
멸균율(%)=[(희석액의 생균수-24시간 보존후의 생균수)/희석액의 생균수] ×100
2) 탈취력 : 1일 2시간씩 40 ± 5℃의 온수에서 30일간 사용한 고무장갑의 내부를 직접 관능법에 의해 후각이 정상적이고 건강한 사람 5인을 구성하여 각 판정자가 감지한 악취 중 다수가 감지한 악취도를 채택한다.
악취도 악취감도 구분 설 명
0 무취 평상시 후각으로 감지 못하는 상태
1 감지 취기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없으나 냄새를 느낄수 있는 정도의 상태
2 보통 취기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있는 정도의 상태
3 강한 취기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한 냄새를 맏는 정도의 상태
3) 인장강도 및 신율 : KS M 6782에 준하였다. 시험편은 KS M 6782의 4호형 시험편을 사용하고, 장갑의 손등의 평활한 면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인장강도 LB = FB/B
여기에서 LB : 인장강도(N/m)
FB : 최대하중(N)
B : 시험편의 나비(cm)
신 율 EB = (L1 - L0) /L0
여기에서 EB : 신율(%)
L1 : 눈금거리(mm)
L0 : 절단면의 눈금 사이거리(mm)
4) 원적외선 방출 평가
45℃에서 시험하여 FT-IR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블랙 바디(black Body) 대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3은 고무 장갑 제조시 나노 입자의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원적외선 방출 효과와 항균력과 탈취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은 고무 장갑의 제조시 나노 입자의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50 대 5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1.0 내지 10.0 중량%의 범위 내로 혼합한 것으로 항균력과 탈취력이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해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교예 1은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종래의 일반적인 고무 장갑을 제조하여 실험한 것으로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없었으며, 대장균과 포도상구균의 항균력 실험에서도 항균력을 전혀 나타내지 못하였고, 탈취력도 나타내지 못하여 강한 취기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예 2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사용 함량 범위 미만으로 첨가하여 항균력과 탈취력이 저조하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3은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사용 함량 범위를 초과되어 첨가된 경우로서, 향균력과 탈취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이 고가이므로 초과 첨가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3은 일반적인 고무 장갑인 비교예 1의 물성인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상기의 이유와 같이 고무 장갑 내에 나노 입자의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이 응집되지 않고 골고루 균일하게 분포되어 함유되므로써, 인장강도와 연신율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제조하기 위해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분산제를 혼합한 후 각각 입자가 100 내지 800㎚ 크기의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이 균등하게 분포된 고무 장갑을 성형하여 원적외선 방출의 효과를 가지며, 특히 항균성과 탈취력이 우수한 것이 장점이다.

Claims (7)

1차 염수 침지, 1차 라텍스 침지, 2차 염수 침지, 2차 라텍스 침지, 가황 건조, 산 세척, 알칼리 세척 및 수세 후 유연제 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 통상적으로 제조되어지는 고무 장갑에 있어서,
상기 1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5.0 내지 94.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수성안료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1.0 내지 10.0 중량%로 혼합되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은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2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3.0 내지 92.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분산제 2.0 내지 4.0 중량%, 이산화티탄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 1.0 내지 10.0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은 그 입자의 크기가 각각 100 내지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사용되어지는 천연고무 라텍스는 천연고무 라텍스를 기준으로 0.04 내지 0.08 중량%의 안정화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스테아린산, 규산계의 보강제용의 유기 아민류, 글리콜류로 부터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으로 부터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ⅰ) 성형몰드를 염수에 침지시켜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1차 염수 침지 공정);
ⅱ) 1차 염수 침지한 성형몰드를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1차 라텍스 침지 공정);
ⅲ) 상기 성형몰드를 다시 염수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2차 염수 침지 공정);
ⅳ) 2차 염수 침지한 성형몰드를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2차 라텍스 침지 공정);
ⅴ) 성형몰드로부터 탈구한 고무장갑을 건조기에 넣고 가황 건조시키는 단계(가황 건조 공정);
ⅵ) 고무 장갑을 물과 차아염소산 및 염산을 혼합시킨 혼합산 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산 세척 공정);
ⅶ) 산 세척한 고무장갑을 물과 가성소다를 혼합시킨 알칼리 용액으로 세척하는 단계(알칼리 세척 공정);
ⅷ) 수세 후 실리콘 오일의 유연제를 처리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유연제 처리 공정); 을 거쳐 제조되어지며,
상기 ⅱ) 단계의 1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1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5.0 내지 94.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수성안료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을 30 내지 70 대 70 내지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을 1.0 내지 10.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되어진 것을 사용하고,
상기 ⅳ) 단계의 2차 라텍스 침지 공정에 사용되는 2차 천연고무 라텍스 용액은 천연고무 라텍스 83.0 내지 92.3 중량%, 유황 4.5 내지 6.0 중량%, 분산제 2.0 내지 4.0 중량%, 이산화티탄 0.2 내지 0.5 중량% 및 수산화알루미늄을 1.0 내지 10.0 중량% 첨가하여 제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과 망간은 그 입자의 크기가 각각 100 내지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KR1020050036059A 2005-04-29 2005-04-29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그 제조 방법 KR10067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059A KR100679120B1 (ko) 2005-04-29 2005-04-29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059A KR100679120B1 (ko) 2005-04-29 2005-04-29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154A true KR20060113154A (ko) 2006-11-02
KR100679120B1 KR100679120B1 (ko) 2007-02-05

Family

ID=3765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059A KR100679120B1 (ko) 2005-04-29 2005-04-29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23B1 (ko) * 2019-07-31 2020-07-24 하얀손산업(주) 라텍스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고무장갑 제조방법
KR102236811B1 (ko) * 2020-08-13 2021-04-06 강봉현 폐인조대리석으로부터 폴리황산알루미늄과 pmma를 분리 및 회수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603A (ja) * 1992-10-22 1994-05-17 Keitaro Yamanaka 抗菌防臭機能を有する手袋の製造方法
KR950005940A (ko) * 1993-08-18 1995-03-20 김학기 항균체를 함유한 장갑
JP3057482B2 (ja) 1997-01-28 2000-06-26 丸菱油化工業株式会社 繊維製品の防炎加工方法
JP2000087012A (ja) 1998-09-09 2000-03-28 Dainippon Ink & Chem Inc 防湿加工用樹脂組成物及び防湿材
KR100478775B1 (ko) 2004-10-05 2005-03-29 (주)한성크린소재 항균 및 탈취제 조성물이 도포된 식품가공용 장갑
KR100665719B1 (ko) * 2005-03-19 2007-01-09 이기율 실버 나노 입자가 함유된 고무장갑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23B1 (ko) * 2019-07-31 2020-07-24 하얀손산업(주) 라텍스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고무장갑 제조방법
KR102236811B1 (ko) * 2020-08-13 2021-04-06 강봉현 폐인조대리석으로부터 폴리황산알루미늄과 pmma를 분리 및 회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120B1 (ko) 200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ussef et al. Morpholog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modified paper by PS nanocomposites for packaging applications
US6448306B1 (en) Antimicrobial articles made from nitrile or natural rubber
KR101347584B1 (ko) 항균기능을 갖는 미끄럼 방지용 매트 및 제조방법
JP2008031485A (ja) 抗菌性着色加硫ゴム物品
KR20170039725A (ko) 방부 제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EP1618142A2 (en) Antimicrobial resin cured rubber articles and pre-vulcanized compositions
Dutta et al. Facile preparation of surface N-halamine chitin nanofiber to endow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KR102051622B1 (ko) 무기 항균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무기 항균제
KR20000068252A (ko) 항균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수지성형품
KR100665719B1 (ko) 실버 나노 입자가 함유된 고무장갑의 제조 방법
KR102030590B1 (ko) 유산균 생존력과 항균력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9120B1 (ko) 수산화알루미늄-망간 나노 혼합물이 함유된 고무 장갑 및그 제조 방법
CN107258814A (zh) 一种快速消毒杀菌的复合消毒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Lovato et al. Performance-Enhancing Materials in Medical Gloves
CN111961251A (zh) 纳米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抗菌纤维材料与应用
KR20080046834A (ko) 통기성 및 항균력을 갖는 기능성 라텍스 고무장갑 및 그제조방법
KR20070071774A (ko) 항균성, 항곰팡이성 및 음이온 방출 성능을 갖는 다기능성섬유
RU2426560C1 (ru) Состав для антисеп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тканых материалов
Igal et al. Antimicrobial fabrics impregnated with Ag particles included in silica matrices
KR101397140B1 (ko)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이 우수한 백색모래의 제조방법
JPH10330403A (ja) 新規包接体、その用途及び樹脂組成物
KR20150133529A (ko) 스킨슈즈의 제조방법
KR200388203Y1 (ko) 은나노 텐트
El Nashar et al. Production of safe and antimicrobial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rubber vulcanizates for toys and medical applications
KR101572613B1 (ko) 인체 무해한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