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632A -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632A
KR20060112632A KR1020050034053A KR20050034053A KR20060112632A KR 20060112632 A KR20060112632 A KR 20060112632A KR 1020050034053 A KR1020050034053 A KR 1020050034053A KR 20050034053 A KR20050034053 A KR 20050034053A KR 20060112632 A KR20060112632 A KR 2006011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unloading
loading
ship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561B1 (ko
Inventor
김경한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Priority to KR102005003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56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화물 선적 및 하역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선적 및 하역장치는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로서, 육지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화물이 집적되는 화물 집적부를 가지는 크레인 본체; 및 화물집적부에 집적된 화물을 검색하는 투시 검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의하면, 화물의 하역 및 선적 작업과 함께 화물 내부의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색을 위하여 화물이 항만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검색과정 중에 화물의 무게중심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어, 선박에 보다 많은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화물, 크레인, 엘리베이터, 프레임, 컨베이어, 트롤리, 검사장치, X-ray

Description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CARGO LOADING AND SHIPPING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사시도,
도 2는 듀얼 호이스트 방식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구비된 투시 검색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박 C; 화물
T; 트레일러 100; 크레인 본체
110; 선박화물 이재수단 111; 지지프레임
112; 가이드 레일 113; 선박화물전용의 운반기구
200; 보조 프레임 210;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220; 이송수단 221; 팔레트
222; 승강기 223; 제 1 컨베이어
224; 제 2 컨베이어 300; 진동절연수단
400; 투시 검색장치
본 발명은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서 화물 트레일러로 하역하고, 화물을 선박으로 선적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 크레인은 주요 항만시설의 하나로서, 화물 하역 및 선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화물 크레인의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하역 및 선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종래에는 화물 하역 또는 선적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본체(10)에 설치된 한 대의 선박화물 이재수단(11)이 선박(1)에 탑재된 화물(C)의 위치에서, 트레일러(T)에 이재위치까지의 전(全) 구간을 왕복하게 되는데, 선박(1)에서 트레일러(T)까지의 거리가 꽤 멀고 선박화물 이재수단(11)의 이동속도는 느리므로 그 구간을 1회 왕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화물(C) 한 대당 선박(1)에서 트레일러(T)로 또는 그 역으로 옮겨싣는데 긴 시간이 소비되는 것은 물론, 특히 선박(1)과 트레일러(T) 및 선박화물 이재수단(11)중 어느 일측의 작업준비가 지연되는 경우에 그 작업준비가 완료되기까지 나머지들이 작업을 중단한 채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물 크레인은 항만의 전체적인 하역/선적 효율을 크게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1-211238(1986.9.19, "선박과 도크 사이의 적하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는 하역/선적 작업을 해 측과 육측으로 분업화함으로써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의 향상을 추구한 화물의 하역/선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선박(1)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11)와 트레일러측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2) 사이에서 화물을 중계하는 하양플랫폼이 화물을 적재하고 선박화물 이재수단(11)와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2)의 각각의 작업 높이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선박화물 이재수단(11)와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2) 중 어느 일측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타측에서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역시 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 효율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선박화물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1,12)의 이동속도를 높여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화물(C)의 하중과 그 운반중 안전을 감안할 때, 선박화물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1,12)의 이동속도를 높이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30144호에서 항만에 정박한 선박 및 화물 트레일러 사이의 하역 및 선적작업을 분화한 화물 하역/선적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에 의하면, 화물(C)의 운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특히 선박(1)이나 트레일러(T) 어느 일측의 사정으로 인하여 타측의 작업이 지연되는 일, 대체적인 예로서 트레일러(T)들이 필요이상으로 대기하게 되는 일이 없이 그 입고와 출고가 원할해지므로 하역 및 선적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항만에서의 화물 하역/선적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 효율 증대를 통한 물류비를 절감에 기여하고, 또한 항만의 용역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한편, 이와 같이 자동화된 장비를 이용하여, 화물(C)의 선적 및 하역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통관에 필요한 검색을 위해 화물(C)이 대기하는 시간이 존재하게 된다. 주요항만에서는 항만 야드 일부분에 이와 같은 검색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화물을 상기 검색장치까지 이송하여야 하며, 검색이 끝난 화물을 다시 트레일러 등에 적재해야 하는 등의 추가작업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검색은 화물(C)의 선적 및 하역 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검사로인한 작업 대기 시간은 항만의 화물처리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화물(C)의 부피는 동일하지만, 그 무게중심은 적재된 물품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처럼 무게중심이 차이가 있을 경우, 동일한 부피의 화물(C)을 선적하더라도 선박에 미치는 하중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화물(C)의 무게중심에 대한 고려 없이 화물(C)을 선적할 경우, 선박의 안전운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항만에서의 화물 선적 및 하역작업중에 통관에 필요한 검색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물 선적 및 하역작업중에 이송중인 화물을 검색하여 이 화물의 무게중심을 찾을 수 있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 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는,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로서, 육지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화물이 집적되는 화물 집적부를 가지는 크레인 본체; 및 상기 화물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화물을 검색하는 투시 검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 검색장치는 상기 화물 집적부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추종유닛; 및 상기 추종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화물 내부를 검색하는 검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은 상기 화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색유닛은 상기 화물 집적부로 이송된 화물을 한 개씩 개별적으로 검색하며, x-ray 투사장치 또는 레이더 감시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는, 크레인 본체(100)와, 선박화물 이재수단(110)과, 보조 프레임(200),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 진동절연수단(300) 및 투시 검색장치(400)를 포함한다.
크레인 본체(100)는, 육측에 설치된 레일(10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10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휠유닛(102)이 설치된다. 이 크레 인 본체(100)에는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이 설치된다.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은 크레인 본체(100)에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1)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1 가이드레일(112)과, 제 1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선박(1)과 이에 가까운 선박측 이재부(120)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C)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를 포함한다.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은, 트레일러(T)와 이에 가까운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213)를 포함한다. 이 때,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은, 크레인 본체(100)와 별도로 구성되는 보조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프레임(200)은 진동절연수단(300), 예컨대 방진고무 또는 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탄성유닛 등에 의해 크레인 본체(100)에 안착되는 안착부(201)와, 선박화물 이재수단(110)과,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 각각에서 이송된 복수의 화물(C)을 순차적으로 집적하는 화물 집적부(202) 및 크레인 본체(100)의 이동에 따라 종동되어 지면을 활주하는 무한궤도로 구비되는 복수의 구름수단(203)을 포함한다.
화물 집적부(202)는 트레일러(T)에서 선박(1)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루어지는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상호 작업시간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대기시간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 화물 집적부(202)에 집적되는 화물의 수는 항만의 처리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송수단(220)은 선박측 이재부(120)로서, 선박에서 이송된 화물(C)을 적재하는 팔레트(221)와, 팔레트(221)를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기(222)와, 팔레트(221)에 설치되어 팔레트(221)에 안착된 화물(C)을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211)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C)을 중간이재하는 제 1 컨베이어(223) 및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에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221)가 하강한 위치쪽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송하는 제 2 컨베이어(224);를 포함한다.
제 2 컨베이어(224)는, 화물 집적부(202)에 적재되는 화물의 수에 따라, 화물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의 컨베이어를 복수로 구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컨베이어의 길이를 요구되는 대기 시간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컨베이어(2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구비한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시 검색장치(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컨베이어(224)가 설치되는 화물 집적부(202)에 설치되는 것으로, 트레일러(T)에 화물(C)을 옮겨 싣기 전에 수작업으로 이루어 지는 검사작업을 화물(C)의 선적 및 하역작업과 함께 실시한다.
투시 검색장치(400)는 레일(410), 추종유닛(420) 및 검색유닛(430)을 포함한다.
레일(410)은 화물 집적부(202)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C)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보조 프레임(2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추종유닛(420)은 레일(410)을 따라 왕복주행 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부(421)와 주행부 (421)와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422)를 포함한다.
검색유닛(430)은 몸체부(422)의 화물(C)에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추종유닛(420)의 왕복주행에 따라 이송된 화물(C)을 한 개씩 개별적으로 투시한다. 검색유닛(430)은 x-ray 투사장치 또는 레이더 감시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항만에 접안된 선박에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본체(100)가 육측 레일(101)을 따라 복수의 휠유닛(102)이 구름동작을 하여, 하역하기 위한 화물(C)의 컬럼으로 이동한다. 하역 위치로 크레인 본체(100)가 도착하면,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이 동작한다.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은 지지프레임(111)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 1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선박에 탑재된 화물을 향해 이동하여,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를 직하방으로 하강시켜 파지한다. 하역할 화물(C)의 파지가 종료되면,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는 화물(C)을 일정 높이로 픽업하여, 제 1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선박(1)과 이에 가까운 선박측 이재부(120)로 화물을 이재한다.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에 의해 선박측 이재부(120)에 도착한 화물(C)은 트레일러측 이재부(211)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 승강기(222) 및 이송수단(220)을 거쳐 화물 집적부(202)로 운반된다.
화물 집적부(202)로 운반된 화물(C)은 x-ray 또는 레이더 감시장치를 포함하는 투시 검사장치(400)에 의해 내부가 검사된다. 그리고, 소정의 제어유닛은 투시 검사장치(400)에 의해 감지된 화물(C) 내부 적재상태에 따라, 화물(C)의 무게중심을 대략적으로 계산한다. 즉, 화물(C)은 박스 형태의 규격화된 부피로 구성되지만,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종류 및 적재 상태에 따라, 각각의 화물(C)은 서로 다른 무게와 무게중심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화물(C) 내부의 적재상태와 함께 무게중심을 확인할 경우, 선적시 화물(C)의 무게와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선적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T)에서 선박(1)으로 화물을 선적할 경우에는 상기한 방법의 역순으로 과정이 진행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의하면, 화물의 하역 및 선적 작업과 함께 화물 내부의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색을 위하여 화물이 항만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검색과정 중에 화물의 무게중심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어, 선박에 보다 많은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있어서,
    육지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화물이 집적되는 화물 집적부를 가지는 크레인 본체; 및
    상기 화물집적부에 집적된 상기 화물을 검색하는 투시 검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검색장치는,
    상기 화물 집적부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추종유닛; 및
    상기 추종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화물 내부를 검색하는 검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화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유닛은,
    상기 화물 집적부로 이송된 화물을 한 개씩 개별적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유닛은,
    x-ray 투사장치 또는 레이더 감시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KR1020050034053A 2005-04-25 2005-04-25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KR10074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053A KR100743561B1 (ko) 2005-04-25 2005-04-25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053A KR100743561B1 (ko) 2005-04-25 2005-04-25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632A true KR20060112632A (ko) 2006-11-01
KR100743561B1 KR100743561B1 (ko) 2007-07-30

Family

ID=3762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053A KR100743561B1 (ko) 2005-04-25 2005-04-25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0385A1 (en) * 2016-08-31 2018-03-07 Nuctech Company Limited Quay crane comprising container insp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6988A1 (de) 1988-05-18 1989-11-30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Containerkrananlage
KR100562792B1 (ko) * 2003-09-02 2006-03-23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US7762760B2 (en) 2004-06-24 2010-07-27 Paceco Corp. Method of operating a cargo container scanning cra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0385A1 (en) * 2016-08-31 2018-03-07 Nuctech Company Limited Quay crane comprising container inspection system
US10365397B2 (en) 2016-08-31 2019-07-30 Nuctech Company Limited Container inspection system and port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561B1 (ko) 2007-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792B1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US20220281682A1 (en)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EP2146894B1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JP7288015B2 (ja)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KR100639474B1 (ko) 개별 탁송 화물용, 특히 iso 컨테이너용 로딩/언로딩장치
WO2012133278A1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KR20170110096A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KR101328193B1 (ko)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WO2019205873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US11377313B2 (en) Shipping container handling systems and methods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KR100743561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FI111157B (fi) Menetelmä ja sovitelma paperi-, kartonki- ja sellurullien lastaamiseksi kuljetusvälineeseen
KR100562792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US20050226713A1 (en) Process for handling cargo and cargo handling facility
CN112074475B (zh) 用于集装箱的收纳和转移装置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JP6096702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ゲートシステム
WO2019192368A1 (zh) 集装箱检查系统、港口设施及集装箱检查方法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101472730B1 (ko) 컨테이너 상.하역장치 및 이를 활용한 운송방법
WO2005014450A1 (en)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102032226B1 (ko) 화물 이송 시스템
KR20230065338A (ko) 선박에 장비 모듈들을 적재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459952A1 (en) Stanchions wagon with transferable skips for transporting bulk goods and method of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