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792B1 -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792B1
KR100562792B1 KR1020030061005A KR20030061005A KR100562792B1 KR 100562792 B1 KR100562792 B1 KR 100562792B1 KR 1020030061005 A KR1020030061005 A KR 1020030061005A KR 20030061005 A KR20030061005 A KR 20030061005A KR 100562792 B1 KR100562792 B1 KR 10056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iler
ship
transfer
transfe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665A (ko
Inventor
김경한
권영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Priority to KR102003006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7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에 수용된 화물을 육측의 이송부로 운반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에서 발생된 진동이 이송부에서 트레일러 측으로 운반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는,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육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 본체;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어 선박과 이에 가까운 선박측 이재부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트레일러측 이재부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선박측 이재부와 트레일러측 이재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및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어, 선박화물 이재수단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각각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절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물, 크레인, 엘리베이터, 프레임, 컨베이어, 트롤리

Description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CARGO LOADING AND SHIPPING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사시도,
도 2는 유얼 호이스트 방식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선박 C; 화물
T; 트레일러 100; 크레인 본체
110; 선박화물 이재수단 111; 지지프레임
112; 가이드 레일 113; 선박화물전용의 운반기구
200; 보조 프레임 210;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220; 이송수단 221; 팔레트
222; 승강기 223; 제 1 컨베이어
224; 제 2 컨베이어 300; 진동절연수단
본 발명은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서 화물 트레일러로 하역하고, 화물을 선박으로 선적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과 화물 트레일러 사이에 매개유닛을 구비하여, 신속하게 화물의 하역 및 선적이 가능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 크레인은 주요 항만시설의 하나로서, 화물 하역 및 선적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화물 크레인의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하역 및 선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종래에는 화물 하역 또는 선적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본체(10)에 설치된 한 대의 선박화물 이재수단(11)이 선박(1)에 탑재된 화물(C)의 위치에서, 트레일러(T)에 이재위치까지의 전(全) 구간을 왕복하게 되는데, 선박(1)에서 트레일러(T)까지의 거리가 꽤 멀고 선박화물 이재수단(11)의 이동속도는 느리므로 그 구간을 1회 왕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화물(C) 한 대당 선박(1)에서 트레일러(T)로 또는 그 역으로 옮겨싣는데 긴 시간이 소비되는 것은 물론, 특히 선박(1)과 트레일러(T) 및 선박화물 이재수단(11)중 어느 일측의 작업준비가 지연되는 경우에 그 작업준비가 완료되기까지 나머지들이 작업을 중단한 채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물 크레인은 항만의 전체적인 하역/선적 효율을 크게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1-211238(1986.9.19, "선박과 도크 사이의 적하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는 하역/선적 작업을 해측과 육측으로 분업화함으로써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의 향상을 추구한 화물의 하 역/선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선박(1)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11)와 트레일러측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2) 사이에서 화물을 중계하는 하양플랫폼이 화물을 적재하고 선박화물 이재수단(11)와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2)의 각각의 작업 높이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선박화물 이재수단(11)와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2) 중 어느 일측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타측에서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역시 작업 시간이 지연되어 작업 효율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선박화물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1,12)의 이동속도를 높여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화물(C)의 하중과 그 운반중 안전을 감안할 때, 선박화물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11,12)의 이동속도를 높이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30144호에서 항만에 정박한 선박 및 화물 트레일러 사이의 하역 및 선적작업을 분화한 화물 하역/선적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에 의하면, 화물(C)의 운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특히 선박(1)이나 트레일러(T) 어느 일측의 사정으로 인하여 타측의 작업이 지연되는 일, 대체적인 예로서 트레일러(T)들이 필요이상으로 대기하게 되는 일이 없이 그 입고와 출고가 원할해지므로 하역 및 선적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항만에서의 화물 하역/선적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 효율 증대를 통한 물류비를 절감에 기여하고, 또한 항만의 용역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이송부로 운반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과, 상기 이송부에서 트레일러로 운반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이 동일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의 파지작업시 발생하는 진동이 선박화물 이재수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의 파지작업시 발생하는 화물의 진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6-7000188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화물 상에서 작동하는 가속/유도 또는 감속/유도 모멘트에 반작용하기 위해, 화물이 콜렉터 패들 사이의 공간의 최고 위치에 있는 경우, 화물의 중심 중력 아래로 연장되도록 충분히 큰 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대응 콜렉터 패들을 포함하는 트롤리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의 전반적인 기구구조의 개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비용이 예상되며, 충분한 진동감쇠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 선박화물 이재수단의 파지작업시 발생하는 화물의 진동을 줄여 보다 정확한 하역 및 선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박화물을 육측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재하는 수단을 선박화물 이재수단과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으로 분업화하여 선적 및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선박이 항만에 체류하는 재항시 간을 단축하고, 항만의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박화물을 이재수단과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각각을 진동절연하여 선적 및 하역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는,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육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 본체; 상기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어 선박과 이에 가까운 선박측 이재부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 상기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어,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트레일러측 이재부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사익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한 선박측 이재부와 트레일러측 이재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크레인 본체와 보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각각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절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진동절연수단에 의해 크레인 본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각각에서 이송된 복수의 화물을 순차적으로 집적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수단이 설치되는 화물 집적부; 및 상기 크레인 본체의 이동에 따라 종동되어 지면을 활주하는 무한궤도로 구비된 복수의 구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선박측 이재부로서 선박에서 이송된 화물을 적재하는 팔레트; 상기 팔레트를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기; 상기 팔레트에 설치되어 팔레트에 안착된 화물을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중간이재하는 제 1 컨베이어; 및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에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가 하강한 위치쪽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송하는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는, 크레인 본체(100)와, 선박화물 이재수단(110)과, 보조 프레임(200),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 및 진동절연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 본체(100)는, 육측에 설치된 레일(10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101)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휠유닛(102)이 설치된다. 이 크레인 본체(100)에는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이 설치된다.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은, 상기 크레인 본체(100)에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1)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12)과,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선박(1)과 이에 가까운 선박측 이재부(120)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C)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은, 트레일러(T)와 이에 가까운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21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은, 상기 크레인 본체(100)와 별도로 구성되는 보조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진동절연수단(300), 예컨대 방진고무 또는 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탄성유닛 등에 의해 크레인 본체(100)에 안착되는 안착부(201)와,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110)과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 각각에서 이송된 복수의 화물(C)을 순차적으로 집적하는 화물 집적부(202); 및 상기 크레인 본체(100)의 이동에 따라 종동되어 지면을 활주하는 무한궤도로 구비되는 복수의 구름수단(20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물 집적부(202)에는 상기 이송수단(220)이 설치되어, 트레일러(T)에서 선박(1)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루어지는 선적 및 하역 작업시 상호 작업시간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대기시간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 화물 집적부(202)에 집적되는 화물의 수는 항만의 처리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220)은, 상기 선박측 이재부(120)로서, 선박에서 이송된 화물(C)을 적재하는 팔레트(221); 상기 팔레트(221)를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기(222); 상기 팔레트(221)에 설치되어 팔레트(221)에 안착된 화물(C)을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211)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C)을 중간이재하는 제 1 컨베이어(223); 및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에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221)가 하강한 위치쪽으로 또 는 그 역으로 이송하는 제 2 컨베이어(224);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2 컨베이어(224)는, 상기 화물 집적부(202)에 적재되는 화물의 수에 따라, 화물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의 컨베이어를 복수로 구비할 수도 있고, 하나의 컨베이어의 길이를 요구되는 대기 시간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컨베이어(2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를 구비한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컨베이어(224)가 설치되는 화물 집적부(202)에는 X선 검사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트레일러(T)에 화물(C)을 옮겨 싣기 전에 수작업으로 이루어 지는 검사작업을 자동화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선박 화물의 하역 및 선적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항만에 접안된 선박에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본체(100)가 육측 레일(101)을 따라 복수의 휠유닛(102)이 구름동작을 하여, 하역하기 위한 화물(C)의 컬럼으로 이동한다. 하역 위치로 크레인 본체(100)가 도착하면,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이 동작한다.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110)은,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선박에 탑재된 화물을 향해 이동하여,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를 직하방으로 하강시켜 파지한다. 하역할 화물의 파지가 종료되면, 상기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는, 일정 높이로 픽업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선박(1)과 이에 가까운 선박측 이재부(120)로 화물을 이재한다.
한편, 상기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가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절연하여, 후술할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2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박측 이재부(120)는 크레인 본체(100)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진동절연수단(300), 예컨대 방진고무 또는 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탄성유닛 등에 의해 크레인 본체(100)에 안착되는 안착부(201)와, 상기 크레인 본체(100)의 이동에 따라 종동되어 지면을 활주하는 무한궤도로 구비되는 복수의 구름수단(203)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보조 프레임(200) 자체의 강성, 상기 진동절연수단 및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구름수단(203)을 통해, 상기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가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가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크레인 본체(100)를 통해 전달되지만, 상기 보조 프레임(200)과 상기 크레인 본체(100)은 상기 진동절연수단(300)의 개재하에 설치되기 때문에, 1차적으로 진동이 감쇠된다. 상기 진동절연수단(300)을 통해 감쇠되지 못한 진동은 상기 보조 프레임(200)에 전달되나, 상기 보조 프레임(200)은 상기 복수의 구름수단(203)을 통해 지면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에 잔여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트레일러 이재수단()을 진동시키지 않는다.
한편, 상기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에 의해 선박측 이재부(120)에 도착한 화물은, 트레일러측 이재부(211)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 승강기(222) 및 이송수단(220)을 거쳐 화물 집적부(202)로 운반된다.
상기 화물은 상기 선박측 이재부(120)로서, 선박에서 이송된 화물(C)을 적재 하는 팔레트(221)를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와 같은 높이로 하강시키는 승강기(222)에 의해 상기 화물 집적부(202)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2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C)을 제 2 컨베이어(224)로 화물을 운반시키는 제 1 컨베이어에 의해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화물(C)이, 제 1 컨베이어(223)에 의해 화물이 복수의 제 2 컨베이어(224)로 위치하게 되면, 각각의 제 2 컨베이어(224)들이 동작하면서 트레일러측 이재부(211), 즉, 최종단의 제 2 컨베이어(224)의 위치로 화물을 운반한다. 이 때, 복수의 제 2 컨베이어(224)의 설치 숫자를 조정하여, 화물 집적부(202)에 수용되는 화물(C)의 수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항만의 처리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수단(220)을 통해 화물 집적부(202)로 이송된 화물이 트레일러측 이재부(211)에 위치하면,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213)가 동작하여, 대기하고 있는 트레일러(T)에 상기 화물을 적재한다. 상기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213)는, 상기 크레인 본체(100)와 별도로 구성되는 보조 프레임(200)에 설치되기 때문에,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의 동작에 독립하여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213)의 동작중에도, 상기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는 계속해서, 선박에 적재된 화물(C)을 선박측 이재부(120)로 이송하고, 이송된 화물(C)은 상기 이송수단(220)을 통해 화물 집적부(202)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집적되기 때문에, 트레일러(T)는 화물 탑재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213)는, 크레인 본체(100)와 별개로 구성된 보조 프레임(200)에 설치되기 때문에,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113)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트레일러(T)에 화물을 선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트레일러(T)에서 선박(1)으로 화물을 선적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의 역순으로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으로 사료되어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에 의하면, 선박화물 이재수단과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이 각각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시에 동작하기 때문에 선적 및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선박이 항만에 체류하는 재항시간을 단축하고, 항만의 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화물 이재수단에서 콘테이너 파지 및 리프팅 작업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감쇠수단에 의해 절연되어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선적 및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육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레인 본체;
    상기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어 선박과 이에 가까운 선박측 이재부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선박화물 이재수단;
    상기 크레인 본체에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어,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트레일러측 이재부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한 선박측 이재부와 트레일러측 이재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크레인 본체와 보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각각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절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진동절연수단에 의해 크레인 본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선박화물 이재수단 및 트레일러화물 이재수단 각각에서 이송된 복수의 화물을 순차적으로 집적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수단이 설치되는 화물 집적부; 및
    상기 크레인 본체의 이동에 따라 종동되어 지면을 활주하는 복수의 구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수단은, 무한궤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선박측 이재부로서 선박에서 이송된 화물을 적재하는 팔레트;
    상기 팔레트를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기;
    상기 팔레트에 설치되어 팔레트에 안착된 화물을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중간이재하는 제 1 컨베이어; 및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부에 설치되어 상기 팔레트가 하강한 위치쪽으로 또는 그 역으로 이송하는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KR1020030061005A 2003-09-02 2003-09-02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KR100562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005A KR100562792B1 (ko) 2003-09-02 2003-09-02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005A KR100562792B1 (ko) 2003-09-02 2003-09-02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665A KR20050023665A (ko) 2005-03-10
KR100562792B1 true KR100562792B1 (ko) 2006-03-23

Family

ID=3723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005A KR100562792B1 (ko) 2003-09-02 2003-09-02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61B1 (ko) * 2005-04-25 2007-07-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KR102307914B1 (ko) * 2019-12-26 2021-10-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축 화물의 선적 궤적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665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792B1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JP7288015B2 (ja)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US3807582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ship containers
EP2146894B1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KR102059451B1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WO2012133278A1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US4160617A (en) Container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 for vessel loading crane-yard interface
JP2003517983A (ja) 貨物荷揚げ/船積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62792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CN100519329C (zh) 货船上的货物处理装置和系统
FI111157B (fi) Menetelmä ja sovitelma paperi-, kartonki- ja sellurullien lastaamiseksi kuljetusvälineeseen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CN112074475B (zh) 用于集装箱的收纳和转移装置
KR100743561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장치
CN108495783B (zh) 在集装箱船和码头之间转移标准化集装箱的方法
KR100230144B1 (ko) 화물 하역/선적 장치
WO2005014450A1 (en)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WO2020110349A1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JP3214137B2 (ja) 高速船用荷役設備
JPH01220697A (ja) ドック付近でのコンテナ取扱装置
KR20110040122A (ko) 이동식 버퍼 플랫폼을 가진 컨테이너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WO2016032329A1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ing a sea container with an elongated heavy product or a row of heavy products
US7004707B2 (en) Movable bulk charging/discharging equipment
CN102173365A (zh) 集装箱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