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990A - 키 인식 회로 - Google Patents

키 인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990A
KR20060111990A KR1020050034310A KR20050034310A KR20060111990A KR 20060111990 A KR20060111990 A KR 20060111990A KR 1020050034310 A KR1020050034310 A KR 1020050034310A KR 20050034310 A KR20050034310 A KR 20050034310A KR 20060111990 A KR20060111990 A KR 20060111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ignal
signal line
voltag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3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1990A/ko
Publication of KR2006011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eciprocating knives
    • B02C18/0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인식 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신호라인 및 통신 포트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키 인식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는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 신호경로와,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값을 갖는 각각의 키 저항과,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며 외부의 키 눌림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와 선택적으로 단락되는 제 1 신호 라인과, 상기 제 2 신호 라인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단이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신호 라인과, 상기 제 2 신호 라인 상에 구비되는 기준 저항과, 상기 제 1 신호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과,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특정 키의 입력신호를 인지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패드, 회로, 매트릭스

Description

키 인식 회로{Circuit for analyzing key signal}
도 1은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키 인식 회로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의 회로도.
본 발명은 키 인식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인식 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신호라인 및 통신 포트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키 인식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의 발달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이동 무선 전화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 등의 여러 기능들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문자/기호키, 방 향키 및 다양한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 입력부(101)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 입력부(101)의 이용이 필수적이다.
한편, 상기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키의 눌림신호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키 인식 회로가 요구되며, 이러한 키 인식 회로는 통상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현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키 인식 회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로측 신호라인과 복수개의 세로측 신호라인이 교차되는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측 신호라인과 세로측 신호라인의 교차점이 상기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해당되며 예를 들어, 키 입력부 상의 특정 키가 눌리게 되면 해당 키에 상응하는 교차점이 단락(short)되어 단말 제어부가 이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가로측 신호라인과 세로측 신호라인의 개수는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키의 개수에 의해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25개의 키가 요구되면 적어도 5개의 세로측 신호라인과 5개의 세로측 신호라인이 요구된다. 즉, 25개의 키를 인식하기 위해 적어도 10개 이상의 신호라인(202)이 요구된다. 또한, 각각의 신호라인의 일단에는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는 통신 포트(201)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의 키 입력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키의 개수에 따라 일정 개수 이상의 신호라인 및 통신 포트가 요구된다. 그러나, 신호라인 및 통신 포트가 증가될수록 키 입력신호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해당 신호라인 및 통신 포트의 개수만큼 제조 단가가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키 인식 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신호라인 및 통신 포트의 개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키 인식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는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 신호경로와,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값을 갖는 각각의 키 저항과,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며 외부의 키 눌림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와 선택적으로 단락되는 제 1 신호 라인과, 상기 제 2 신호 라인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단이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신호 라인과, 상기 제 2 신호 라인 상에 구비되는 기준 저항과, 상기 제 1 신호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과,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특정 키의 입력신호를 인지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위치는 키 눌림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키에 대한 눌 림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키에 상응하는 키 신호경로의 스위치만 온(on)된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키에 대한 눌림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키 신호경로와 상기 제 2 신호 라인이 단락되며, 단락된 상태의 전압이 상기 전압 측정부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대응되는 키 신호경로를 구비시키고 각각의 키 신호경로에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저항이 구비되어 특정 키에 대한 눌림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각각의 키에 따라 다르게 입력됨에 따라 특정 키에 대한 입력신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의 회로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는 다수의 키로 구성되는 키 입력부를 구비하는 제반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 뿐만 아니라 PDA, 게임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는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키의 개수에 상응하는 만큼의 스위치(S1, S2, S3 .... Sn)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스위치는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스위치는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 키 입력부 상의 특정 키가 눌려졌을 때 선택적으 로 온/오프(on/off)된다. 상기 각각의 스위치는 키 눌림신호가 없을 때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각각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각각의 키 신호경로(303)에는 소정의 값을 갖는 저항이 구비되는데 이를 키 저항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각각의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키 저항들은 서로 다른 값(R1, R2, R3 .... Rn)을 갖는다.
상기 키 저항 및 스위치가 구비되는 각각의 키 신호경로(303)의 일단은 제 1 신호 라인(304)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의 일측은 전원 공급부(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과 전원 공급부(306)의 연결은 제 2 신호 라인(305)에 의해 매개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306)로부터 소정의 전압(Vcc)을 인가받는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 상에는 기준 저항(RS)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키 저항 및 스위치가 구비되는 복수의 키 신호경로(30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의 일단에는 전압 측정부(30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의 전압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측정된 전압은 중앙 제어부(301)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전압 측정부(302)는 구체적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Digital Conver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제어부(301)는 해당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 및 키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전원 공급부(306)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2 신호 라인 (305)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키 인식 회로에는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대응되는 신호 경로들이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키 신호경로(303)들은 제 1 신호 라인(30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303)들과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과의 전기적 연결은 각각의 신호 경로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들에 의해 스위칭된다. 키 눌림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위치들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303)들과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은 단선(open) 상태가 된다.
따라서, 키 눌림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306)로부터 인가된 전압은 상기 기준 저항(RS)을 거쳐 그대로 상기 전압 측정부(302)로 전달되고 해당 전압값이 상기 중앙 제어부(301)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전압 측정부(302)로 전달되는 전압값(V)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기될 수 있다.
V = I·R
= Vcc/RS · RS
= Vcc
(여기서, 상기 I는 상기 키 인식 회로에 흐르는 전류이고, 상기 R은 상기 키 인식 회로에 구비되는 전체 저항을 말한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306)로부터 상기 제 2 신호 라인(305)에 전압(Vcc)이 인가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리적 힘의 인가에 의해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복수 의 키 중 특정의 키가 눌리게 되어 해당 특정 키에 대한 키 눌림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키에 상응하는 키 신호경로(303) 예를 들어, 제 1 키 신호경로(303)의 스위치(S1)가 온(on)되어 상기 제 1 키 신호경로(303)와 상기 제 1 신호 라인(304)은 단락(short)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신호 라인(305)과 상기 제 1 키 신호경로(303)는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306)로부터 인가된 전압(Vcc)은 단락되어 있는 상기 제 1 키 신호경로(303)의 키 저항(R1)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키 저항(R1)에 의해 전압 강하된 전압값(V1)은 상기 전압 측정부(302)에 전달된다. 이 때의 전압값(V1)은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V1 = I·R
= Vcc/(RS+R1) · R1
상기 제 1 키 신호경로(303)와 제 2 신호 라인(305)이 단락되는 방식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S2 스위치의 온(on)에 상응하는 키 눌림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 2 키 신호경로(303)와 상기 제 2 신호 라인(305)이 단락되고, 상기 S3 스위치의 온(on)에 상응하는 키 눌림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 3 키 신호경로(303)와 상기 제 2 신호 라인(305)이 단락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제반 키들의 눌림신호에 대하여 제 2 신호 라인(305)과의 단락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제 3 ... 제 n 키 신호경로(303)가 각각 상기 제 2 신호 라인(305)과 단락되었을 경우 상기 전압 측정부(302)에 전달되는 각각의 전압값 즉, V2, V3 ... Vn 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V2 = Vcc/(RS+R2) · R2
V3 = Vcc/(RS+R3) · R3
·
·
Vn = Vcc/(RS+Rn) · Rn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키 신호경로(303)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키 저항(R1, R2, .... Rn)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기 때문에 각각의 키 눌림신호 발생에 의해 상기 전압 측정부(302) 및 중앙 제어부(301)로 각각 입력되는 전압값(V1, V2 ... Vn) 역시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즉, 이러한 전압값의 차이에 의해 상기 중앙 제어부(301)는 입력되는 전압값을 통해 특정 키의 입력신호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대응되는 키 신호경로(303)를 구비시키고 각각의 키 신호경로(303)에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저항이 구비되어 특정 키에 대한 눌림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301)에 입력되는 전압값이 각각의 키에 따라 다르게 입력됨에 따라 특정 키에 대한 입력신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회로는 종래와 같이 다수의 통신 포트 및 신호라인이 요구되지 않아 키 입력신호의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키 입력부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키 입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대응되는 복수의 키 신호경로;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값을 갖는 각각의 키 저항;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며 외부의 키 눌림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와 선택적으로 단락되는 제 1 신호 라인;
    상기 제 2 신호 라인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단이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신호 라인;
    상기 제 2 신호 라인 상에 구비되는 기준 저항;
    상기 제 1 신호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분석하여 특정 키의 입력신호를 인지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 신호경로 상에 구비되는 각각의 스위치는 키 눌림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키에 대한 눌림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키에 상응하는 키 신호경로의 스위치만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 키에 대한 눌림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키 신호경로와 상기 제 2 신호 라인이 단락되며, 단락된 상태의 전압이 상기 전압 측정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회로.
KR1020050034310A 2005-04-26 2005-04-26 키 인식 회로 KR20060111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10A KR20060111990A (ko) 2005-04-26 2005-04-26 키 인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10A KR20060111990A (ko) 2005-04-26 2005-04-26 키 인식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90A true KR20060111990A (ko) 2006-10-31

Family

ID=3762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10A KR20060111990A (ko) 2005-04-26 2005-04-26 키 인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1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881A (zh) * 2022-02-14 2022-05-13 海固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自行车表盘装置及自行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881A (zh) * 2022-02-14 2022-05-13 海固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自行车表盘装置及自行车
CN114475881B (zh) * 2022-02-14 2024-04-05 海固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自行车表盘装置及自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09039A (ja) 移動体装置におけるキーマトリクスへの2線接続
USRE41017E1 (en) Circuit layout arrangement for key switch signal recognition
KR100718373B1 (ko) 키 인식 장치
KR20060111990A (ko) 키 인식 회로
JP2005117161A (ja) リモコン装置
JP2013013128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0978662B1 (ko) 키 스캔 회로
CN109581093B (zh) 侦测电路与相关侦测方法
KR20010051566A (ko) 멀티 비트 키 스위치를 구비한 키보드
KR10063932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압전체를 이용한 키패드
KR100605852B1 (ko) 키입력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803486B1 (ko) 감소된 키 제어 라인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907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KR100567259B1 (ko) 키입력 장치
JP2719262B2 (ja) マイクロホン付音響装置
JP2000181609A (ja) 操作スイッチ識別回路
JP6766352B2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KR100628071B1 (ko) 키패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35324A (ko) 3가지 상태 스위치 확인 회로
KR1006382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JP4902476B2 (ja) アナログ信号入力装置
JP2000066822A (ja) キー操作部
JP2009032201A (ja) 電子機器
JP2970854B2 (ja) Nキーロールオーバー回路
JPH01118919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