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722B1 -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722B1
KR100690722B1 KR1020040070012A KR20040070012A KR100690722B1 KR 100690722 B1 KR100690722 B1 KR 100690722B1 KR 1020040070012 A KR1020040070012 A KR 1020040070012A KR 20040070012 A KR20040070012 A KR 20040070012A KR 100690722 B1 KR100690722 B1 KR 10069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voltage
switches
keypad
termina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156A (ko
Inventor
박진구
이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26A/D conver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압단자에 다수의 스위치를 병렬연결하고 임의의 스위치 눌림에 의해 정전압의 분압전압을 해당 스위치신호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키패드 입력포드를 줄여 메인보드의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키패드의 출력포드 개수를 줄여 주제어부의 입출력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정전압단자에 병렬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 각각의 눌림에 따라 정전압을 분압하여 해당 스위치신호로 출력하는 키입력 수단과, 각각의 스위치신호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수단은 상기 정전압단자에 n개의 저항을 직렬 연결하고 상기 n개의 저항의 각 접속점에 n개의 스위치를 각기 연결하며 상기 n개의 스위치의 타측 단자를 공통연결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KEYPAD CIRCUIT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1은 종래의 키매트릭스 형태의 키패드 구조를 보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구조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키입력부 220 :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패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패드는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된다.
도1은 종래의 매트릭스 형태의 키패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설명하면, 행(column) 라인에 위치하는 신호선은 주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출력에 해당하며 열(row) 라인에 위치하는 신호선이 주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입력에 해당한다.
따라서, 하나의 키를 위해서는 열(row) 라인과 행(column) 라인의 쌍으로 이루어진 2개의 입출력신호선이 사용된다.
즉, 매트릭스 구조의 키패드는 주제어부(도면 미도시)의 다수의 키 스캔 포트에 연결된 다수의 열 라인과 다수의 컬럼 라인이 교차되는 위치에 각각의 키 버튼이 연결되어 해당 키 버튼의 눌림이 검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키 '1'이 눌리면 주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출력 'KBR(1)'이 주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입력 'KBC(0)'과 연결되어 키 '1'이 눌리어짐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25개의 키를 위하여 입출력신호선이 적어도 각각 5개씩 필요함으로 메인보드 상에서 신호선의 공간 확보가 어렵고 이로 인해 신호선 배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입출력신호선을 주제어부에서 처리해야 함으로 열 라인과 행 라인을 구성하는 신호선의 개수만큼의 입출력이 사용되어 주제어부의 입출력 포트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전압단자에 다수의 스위치를 병렬연결하고 임의의 스위치 눌림에 의해 정전압의 분압전압을 해당 스위치신호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키패드 입력포드를 줄여 메인보드의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키패드의 출력포드 개수를 줄여 주제어부의 입출력 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 키 입력이 없는 경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을 정전압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하여 정전압원에 의한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소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창안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전압단자에 병렬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 각각의 눌림에 따라 정전압을 분압하여 해당 스위치신호로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스위치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정전압단자에 n개의 저항을 직렬 연결하고 상기 n개의 저항의 각 접속점에 n개의 스위치를 각기 연결하며 상기 n개의 스위치의 타측 단자를 공통연결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압(Vin)에 대해 병렬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SW1~SWn) 중 임의의 스위치가 눌림에 의해 정전압(Vin)을 분압하여 해당 스위치신호로 출력하는 키입력부(220)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신호를 주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2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키 입력부(220)는 정전압(Vin) 단자에 n개의 저항(R1~Rn)을 직렬 연결하고 상기 n개의 저항(R1~Rn)의 각 접속점에 연결된 n개의 스위치(SW1~SWn)의 타측 단자를 공통연결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10)의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저항(Rg)을 통해 접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n개의 저항(R1~Rn)은 동일한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자(Vin)에 정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키입력부(220)에 구비된 n개의 스위치(SW1~SWn) 중 임의의 스위치가 눌리면 상기 입력단자(Vin)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10)의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의 개수가 달라지게 되어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10)의 입력전압이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SW1)가 눌리면 저항(R1)만이 연결되고 스위치(SW2)가 눌리면 저항(R1)(R2)이 연결되며 스위치(SWn)가 눌리면 저항(R1~Rn)이 모두 연결된다.
즉, n개의 스위치(SW1~SWn) 중 어느 스위치가 눌리는지에 따라 단자(Vin)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10)의 입력단자 사이에 저항값이 가변되어 정전압을 가변된 저항값과 저항(Rg)에 의해 분압함으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의 입력전압이 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10)는 입력전압에 따라 각각의 서로 다른 디지털신호를 주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출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스위치(SW1~SWn) 중 하나의 스위치가 눌림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10)의 입력전압이 가변되면 그 입력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10)의 디지털출력이 가변되는 것임으로 종래의 매트릭스 구조의 키패드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25개의 키패드를 구성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5*5 매트릭스 구조에 의하여 총10개의 신호선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5비트 출력의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를 사용하는 경우 2^5 = 32의 키패드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총5개의 신호선만을 사용하여도 주제어부의 입출력포트를 5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키매트릭스 구조의 키패드와 동일한 개수를 구성하는 경우에 신호선의 개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주제어부의 입출력포트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보드 상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키 입력이 없는 경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을 정전압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하여 정전압원에 의한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소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전압단자에 병렬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 각각의 눌림에 따라 정전압을 분압하여 해당 스위치신호로 출력하는 키입력 수단과, 각각의 스위치신호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디지털신호를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수단은 상기 정전압단자에 n개의 저항을 직렬 연결하고 상기 n개의 저항의 각 접속점에 n개의 스위치를 각기 연결하며 상기 n개의 스위치의 타측 단자를 공통연결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2. 삭제
KR1020040070012A 2004-09-02 2004-09-02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KR10069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012A KR100690722B1 (ko) 2004-09-02 2004-09-02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012A KR100690722B1 (ko) 2004-09-02 2004-09-02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56A KR20060021156A (ko) 2006-03-07
KR100690722B1 true KR100690722B1 (ko) 2007-03-09

Family

ID=3712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012A KR100690722B1 (ko) 2004-09-02 2004-09-02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803B1 (ko) 2020-02-05 2021-04-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입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636A (ko) * 1998-11-17 2000-06-15 신동훈 다중신호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636A (ko) * 1998-11-17 2000-06-15 신동훈 다중신호 입력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3263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803B1 (ko) 2020-02-05 2021-04-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56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09889A (zh) 指纹传感器
US8648736B2 (en) Key input device
KR1006907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회로
KR20090031184A (ko) 디지털 투 아날로그 컨버터
KR101892826B1 (ko) 스위칭 노이즈가 개선된 다단 저항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US20080150646A1 (en) Variable rc oscillator
EP1189353A3 (en) D/A converter
KR101675932B1 (ko) 이미지 센서
US11474964B2 (en) Configurable input/outpu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7242267B2 (en) Interpolating programmable gain attenuator
US6573730B2 (en) Detector provided with plural input means for obtaining output by changes in resistance values
JP2001127634A (ja)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CN214315242U (zh) 一种电信号处理电路
US20040125004A1 (en) D/A converter for converting plurality of digital signals simultaneously
KR20010051566A (ko) 멀티 비트 키 스위치를 구비한 키보드
US20240175756A1 (en) Micro-bolometer and thermal sensing method thereof
US8004439B2 (en) Digital to analog converter
JP2589189Y2 (ja) ビデオ出力信号の切替装置
CN102024593A (zh) 按钮装置及应用所述按钮装置的控制系统
KR20060111990A (ko) 키 인식 회로
TWI795852B (zh) 切換控制電路以及光學感控電路
KR960002147Y1 (ko) 가변 저항식 멤브레인 키보드
KR100567259B1 (ko) 키입력 장치
KR100502402B1 (ko) 축차비교형아날로그-디지탈변환회로
KR1006382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