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103A -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103A
KR20060111103A KR1020050033456A KR20050033456A KR20060111103A KR 20060111103 A KR20060111103 A KR 20060111103A KR 1020050033456 A KR1020050033456 A KR 1020050033456A KR 20050033456 A KR20050033456 A KR 20050033456A KR 20060111103 A KR20060111103 A KR 20060111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met
carbide
titanium carbonitride
high toughnes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666B1 (ko
Inventor
안선용
이성구
오세웅
김영흠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6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9/00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 C22C29/02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 C22C29/04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carbides or carbonitrides based on carbo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5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 C22C1/051Making hard metals based on borides, carbides, nitrides, oxides or silicides; Preparation of the powder mixture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5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 C22C1/058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by reaction sintering (i.e. gasless reaction starting from a mixture of solid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급냉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합금 특성 및 절삭 성능이 향상된 탄질화 티탄기(Ti(CN)-based) 서멧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50wt% 이상의 탄질화 티탄륨(Ti(CN)) 및 10wt% 이하의 니켈(Ni)과 10wt% 이하의 코발트(Co)를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20wt% 이하의 탄화 텅스텐(WC), 10wt% 이하의 탄화 몰리브데늄(Mo2C), 10wt% 이하의 탄화 니오븀(NbC), 5wt% 이하의 질화 티탄륨(TiN)을 첨가하여, 이를 소결 온도 1450℃에서 1시간 진공 소결한 후, 100~200 torr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10℃/min.이상으로 급냉하여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는 우수한 합금 특성 및 절삭 특성을 가지며, 강의 선삭 절삭 과정 동안에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High toughness titanium carbonitride-based cerme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급속 냉각 소결 방식을 적용하여 합금 특성 및 절삭 성능을 향상시킨 탄질화 티탄기(Ti(CN)-based)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탄질화 티탄기 합금, 다시 말해서, 서멧트는 금속 절삭 분야에서 전통적 절삭 공구인 초경 합금(WC-Co) 대체 인써트 재료로 그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고온에서의 우수한 내마모성과 화학적 안정성 때문에 고속도 마무리 가공 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는 탄질화 경질상과 이를 둘러쌓고 있는 결합상으로 이루어져있다. 탄질화 경질상은 전형적으로 중심부(core)와 주변 조직(rim)으로 이루어진 유심구조를 갖는다. 중심부는 용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탄질화 티타륨(Ti(CN))이고, 주변 조직은 액상 소결 중 용해/재석출에 의해 형성된 고용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경질상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상은 액상 소결 중 물질 이동의 통로로 작용하며, 서멧트의 기계적 성질 중에서 인성(toughness)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 이다. 일반적으로, 결합상 성분은 코발트 또는 니켈이 주로 사용되나 최근 결합상의 고용 강화 효과을 목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원소가 소량 첨가되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 서멧트에서 결합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성분의 10~20wt% 정도 이다.
통상, 서멧트에서 경질상 성분은 Ti 금속 원소와 더불어 IVa 족의 금속 원소 Zr, Hf, Va 족의 금속 원소 V, Nb, Ta, 그리고 VIa 족의 금속 원소 Cr, Mo, W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성분은 첨가 탄화물이나 질화물 성분에 의해서 결정된다. 첨가 탄화물이나 질화물은 경질상과 결합상 간에 안정한 계면을 형성하여 기계적 성질의 향상을 가져오며, 탄화물의 금속 성분 원소에 의한 결합상의 고용 강화 효과도 나타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942,097호와 제 5,149,361호 등에는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에 각각의 탄화물의 첨가 효과가 다음과 같이 나타나 있다.
육방정계인 탄화 텅스텐(WC)의 첨가는 경질상 탄질화물과 결합상 간의 적심성(wettability)을 향상시켜 입자 미세화 효과를 부여한다. 그러나, 텅스텐과 질소간의 친화력(affinity)이 약하기 때문에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조성 내의 질소 함량의 증가하는 경우 탄화 텡스텐(WC)의 고용상으로의 흡수가 억제되어 고용되지 않은 탄화 텡스텐(WC)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탄화 몰리브데늄(Mo2C)은 경질상과 결합상 간의 완전 적심(complete wetting)이 일어나도록 하여 경질상의 입자 미세화에 의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첨가 탄화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이상의 첨가는 유리된 탄화 몰리브 데늄(Mo2C)이 존재하게 되어 경도 및 내마모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특히, 탄화 몰리브데늄(Mo2C)은 서멧트의 취성 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탄화 탈탄륨(TaC)의 첨가는 서멧트의 고온 경도(hot hardness)나 고온 항절력과 같은 고온 성질을 향상시키는 탄화물로 알려져 있다. 탄화 탈탄륨(TaC)는 소결 초기에 가장 먼저 분해하여 주변조직에서 중심부에 가까운 부분에 대부분 고용되어 경질상과 결합상간의 계면을 변화시켜 입성장 및 소결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서멧트의 조성이 고질소화되면서 상용 서멧트에 질화 지르코늄(ZrN)과 같은 질화물이 첨가되고 있으나 소결성 및 탈질에 의한 물성 저하 원인 때문에 극히 소량 첨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특허들의 기술적 특징은 주로 첨가탄화물의 양을 제어하여 서멧트의 성능을 개량시키고자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절삭 속도의 고속화 및 피삭재의 고경도화에 따라 절삭 성능이 더욱 향상된 서멧트의 필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어 기존 기술과 차별화 된 기술 도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결 후 냉각 시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급냉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 서멧트 대비 동등 이상의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멧트 소결체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50wt% 이상의 탄질화 티탄륨(Ti(CN)) 및 10wt% 이하의 니켈(Ni)과 10wt% 이하의 코발트(Co)를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20wt% 이하의 탄화 텅스텐(WC), 10wt% 이하의 탄화 몰리브데늄(Mo2C), 10wt% 이하의 탄화 니오븀(NbC) 및 5wt% 이하의 질화 티탄륨(TiN)을 첨가하여, 이를 1450℃에서 1 시간 진공 소결한 후, 100~200 torr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10oC/min.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급속 냉각 소결 방식 도입에 의해서 우수한 합금 특성 및 절삭 성능을 갖는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질화 티탄기(Ti(CN)) 서멧트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경질상으로 탄질화 티탄륨(Ti(CN))을 주성분으로하고 탄화 텡스텐(WC), 탄화 니오븀(NbC), 탄화 몰리브데늄(Mo2C), 및 질화 티탄륨(TiN), 결합상으로 철족 금속인 니켈과 코발트로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소결체를 제조함에 있어, 소결 후 급속 냉각 과정을 도입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서멧트 소결체의 조성에 있어서, 탄질화 티탄륨(Ti(CN))의 양이 50wt% 미만이 되면, 절삭 성능 중 내마모성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탄질화 티탄륨(Ti(CN))의 양을 50wt% 이상으로 유지한다.
또한, 탄화 텅스텐(WC)이 20wt% 이상 첨가되는 경우에는 고용되지 않은 탄화 텡스텐(WC)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탄화 텅스텐(WC)이 20wt%이하 첨가한다.
탄화 몰리브데늄(Mo2C)는 10wt% 이상 첨가되는 경우에는 소결체의 취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10wt% 이하로 첨가한다.
탄화 니오븀(NbC)은 Ta 성분 함유 원료의 대체 첨가물로 10wt% 이하 첨가한다.
또한, 질화 티타늄(TiN)이 5wt% 이상 첨가되는 경우 소결성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각각 5wt% 이하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서멧트 소결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1450℃ 소결 후, 100~200 torr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10oC/min. 이상으로급속 냉각한다
즉, 1450℃, 소결 온도에서 1시간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은 입자 재배열 및 입성장 시 탄질화물의 탈질에 의한 질소 가스의 포획을 최소화하여 기공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 중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로 내 압력을 100~200 torr로 유지하는 것은 경질상과 결합상의 나쁜 적심성 때문에 100 torr 미만의 압력에서 냉각 시 수반되는 액상의 표면 기어나옴(sweating)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200 torr 이상의 압력에서 냉각하면 소결체와 가스 간의 피할 수 없는 반응이 있어 적절하지 않다.
냉각 속도를 10oC 이상으로 하는 것은 절삭 성능이 우수한 표면 구조를 갖는 소결체를 얻기 위함이다.
<실시예>
먼저, 원료 분말로서 평균 입도가 1.5㎛ 탄질화 티탄륨(Ti(C0.5N0.5)) 분체(Kennametal 제품), 3.0㎛ 탄화 텡스텐(WC) 분체(대한 중석 제품), 1.4㎛ 탄화 몰리브데늄(Mo2C) 분체(Kennametal 제품), 0.8㎛ 탄화 니오븀(NbC) 분체(Starck사 제품), 1.5㎛ 질화 티탄륨(TiN) 분체(Kennametal 제품), 1.4㎛ 코발트(Co) 분체(OMG 제품), 1.5㎛ 니켈(Ni) 분체(INCO 제품)를 하기 표 1에 나타난 혼합 조성으로 배합하여 직경 5mm의 초경 구석과 함께 알코올을 용매로 애트리터(attritor)를 이용하여 20시간 혼합 밀링한다.
혼합된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에서 건조한 후 1000kg/cm2의 압력으로 프레스하여 성형체를 하기 표 1에 표시된 냉각 조건으로 소결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성형체를 흑연제 평면판(plate)에 올려놓고 흑연제 발열체와 단열재로 이루어진 로 내에서 소결한다. 소결 온도는 1450℃ 이다.
하기 표 2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서 얻어진 서멧트에 대하여 합금 특성, 즉, 경도(HRA), 강도(HV), 항절력(TRS) 및 기공(porosity)을 측정함과 동시에,
(A) 연속 선삭 내마모 시험
피삭재 : SCM440
절삭속도 : 180m/min.
이송량 : 0.3mm/rev.
절입량 : 1.5mm
절삭시간 : 50분
절삭팁 형상 : CNMG120408
평가 : 50분 절삭 후 측면 마모(frank wear,VB) 측정
(B) 내충격
피삭재 : SCM440
절삭속도 : 200m/min.
이송량 : 0.15mm/rev.부터 파손까지
절입량 : 1.5mm
절삭시간 : 파손까지
절삭팁 형상 : CNMG120408
평가 : 파손시까지의 한계 이송값(3회 반복의 평균)의 조건에서 선삭 절삭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하기 표 2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속 냉각 방식을 적용한 서멧트는 비교 예의 서멧트와 비교하여 우수한 합금 특성를 나타내며, 절삭 성능에서도 우수한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송값으로 계산)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배합조성(wt%) 소결 후 냉각 조건
Ti(C0.5N0.5) TiN WC Mo2C NbC Ni Co Gas 진공도 냉각 속도
발 명 서 멧 트 1 50 5 15 8 6 8 8 불활성 가스 100 torr 20oC/min.
2 50 5 15 8 6 8 8 150 torr 20oC/min.
3 55 5 12 8 5 8 7 200 torr 10oC/min.
4 55 5 12 8 5 8 7 200 torr 20oC/min.
5 52 4 17 9 3 7 8 100 torr 10oC/min.
6 52 4 17 9 3 7 8 150 torr 15oC/min.
비 교 서 멧 트 1 50 5 15 8 6 8 8 no 10-2 torr 20oC/min.
2 50 5 15 8 6 8 8 불활성 가스 100 torr 5oC/min.
3 52 5 13.5 7 3 8.5 7.5 200 torr 5oC/min.
4 50 0 22 7 6 8 8 200 torr 20oC/min.
5 48.0 5 15.5 9 6 8.5 8 200 torr 20oC/min.
6 48.0 5 15.5 9 6 8.5 8 100 torr 20oC/min.
표 1
합금 특성 절삭 성능
경도(HRA) 강도(HV) MPa/m2 항절력(TRS) Kg/mm2 기공 VB (Frank wear,mm) 한계이송 (mm/rev.)
실시예 1 92.5 1600 200 A02B02 0.25 0.185
2 92.5 1610 200 A02B02 0.25 0.2
3 93.0 1720 190 A02B02 0.20 0.185
4 93.0 1720 195 A02B02 0.19 0.185
5 92.8 1650 195 A02B02 0.23 0.2
6 92.7 1640 200 A02B02 0.23 0.2
비 교 예 1 92.5 1610 170 A02B02 0.30 0.145
2 92.5 1620 160 A02B02 0.25 0.145
3 92.7 1660 150 A02B02 0.20 0.145
4 92.0 1550 180 A04B04 0.35 0.17
5 91.0 1500 180 A02B02 0.35 0.185
6 91.2 1510 170 A04B02 0.35 0.185
표 2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급냉 소결 방식 도입에 의해 제조 되어 우수한 합금 특성 및 절삭 성능을 가지며, 특히, 급냉 소결 방식이 적용된 바 제조 공정 단가 감소에 따른 생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탄질화 티탄륨(Ti(CN)) 45~65wt%, 니켈(Ni) 6~10wt%, 코발트(Co) 6~10wt%를 주성분으로 하고, 탄화 텅스텐(WC) 10~20wt%, 탄화 몰리브데늄(Mo2C) 7~10wt%, 탄화 니오븀(NbC) 3~8wt% 및 질화 티탄륨(TiN) 3~6wt%를 첨가제로하여 구성되며, 서멧트의 미세 구조상에서 표면으로부터 1000㎛까지 경질상 중 고용상으로 이루어진 경질상의 부피 분율이 7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상은 (Ti, W, Mo, Nb)(C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3.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Ti(CN) 45~65wt%, Ni 6~10wt%, Co 6~10wt%를 주성분으로 하고 첨가제로서 WC 10~20wt%, Mo2C 7~10wt%, NbC 3~8wt% 및 TiN 3~6wt%를 첨가하여 혼합 밀링한 후, 성형체를 만든 다음, 진공 소결 후 불활성 가스 하에서 냉각함에 있어, 상기 혼합 밀링은 초경 구석과 함께 알코올을 용매로하여 애트리터를 이용하여 행하고, 상기 성형체는 혼합물을 건조 후 1000㎏/㎠의 압력으로 프레스하여 만들어지며, 상기 진공 소결은 1450℃에서 1시간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는 Ar, He, N2, CH4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냉각은 10~25℃/min으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의 제조 방법.
KR1020050033456A 2005-04-22 2005-04-22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6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56A KR100663666B1 (ko) 2005-04-22 2005-04-22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456A KR100663666B1 (ko) 2005-04-22 2005-04-22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03A true KR20060111103A (ko) 2006-10-26
KR100663666B1 KR100663666B1 (ko) 2007-01-02

Family

ID=3761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456A KR100663666B1 (ko) 2005-04-22 2005-04-22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6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49B1 (ko) * 2006-06-21 2008-01-2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인성을 향상시키는 2차 상이 완전 고용상으로부터 상분리에의하여 형성된 세라믹과 서멧트 및 각각의 제조 방법
KR101314092B1 (ko) * 2011-07-06 2013-10-04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공구용 소결체
RU2549755C2 (ru) * 2009-12-15 2015-04-27 Нуово Пиньоне С.п.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износа в системе сгорания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WO2015099305A1 (ko) * 2013-12-26 2015-07-02 한국야금 주식회사 내열충격성이 향상된 ti계 소결합금 및 이를 이용한 절삭공구
WO2016111452A1 (ko) * 2015-01-08 2016-07-14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공구용 소결합금
WO2017035916A1 (zh) * 2015-08-28 2017-03-09 南通高欣耐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型金属陶瓷耐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460389A (zh) * 2016-06-03 2017-12-12 杨新跃 一种制备防滑钉芯用组合物及其用于制备防滑钉芯的方法
CN110468320A (zh) * 2019-08-06 2019-11-19 广东工业大学 一种高硬度和高韧性的金属陶瓷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4345A (zh) * 2019-03-25 2019-07-12 广东工业大学 一种高性能金属陶瓷刀具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853A (ja) 1984-06-18 1986-0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焼結硬質合金の製造法
DE68913704T2 (de) * 1988-12-27 1994-06-16 Hitachi Metals Ltd Cermet-Legierung.
JP2771336B2 (ja) * 1990-12-27 1998-07-02 京セラ株式会社 被覆TiCN基サーメット
JPH08260129A (ja) * 1995-03-17 1996-10-08 Ngk Spark Plug Co Ltd 立方晶窒化ホウ素複合サーメット工具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49B1 (ko) * 2006-06-21 2008-01-2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인성을 향상시키는 2차 상이 완전 고용상으로부터 상분리에의하여 형성된 세라믹과 서멧트 및 각각의 제조 방법
RU2549755C2 (ru) * 2009-12-15 2015-04-27 Нуово Пиньоне С.п.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износа в системе сгорания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KR101314092B1 (ko) * 2011-07-06 2013-10-04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공구용 소결체
WO2015099305A1 (ko) * 2013-12-26 2015-07-02 한국야금 주식회사 내열충격성이 향상된 ti계 소결합금 및 이를 이용한 절삭공구
KR20150075552A (ko) * 2013-12-26 2015-07-06 한국야금 주식회사 내열충격성이 향상된 Ti계 소결합금 및 이를 이용한 절삭공구
WO2016111452A1 (ko) * 2015-01-08 2016-07-14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공구용 소결합금
WO2017035916A1 (zh) * 2015-08-28 2017-03-09 南通高欣耐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型金属陶瓷耐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460389A (zh) * 2016-06-03 2017-12-12 杨新跃 一种制备防滑钉芯用组合物及其用于制备防滑钉芯的方法
CN107460389B (zh) * 2016-06-03 2019-06-14 杨新跃 一种制备防滑钉芯用组合物及其用于制备防滑钉芯的方法
CN110468320A (zh) * 2019-08-06 2019-11-19 广东工业大学 一种高硬度和高韧性的金属陶瓷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666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66B1 (ko) 고인성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90490B1 (ko) 경사 조성 소결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EP2450136A1 (en) Cermet and coated cermet
ES2535752T3 (es) Método para producir un cuerpo compuesto sinterizado
JPH02131803A (ja) 耐欠損性のすぐれた耐摩耗性サーメット製切削工具
EP0635580A1 (en) Nitrogen-containing hard sintered alloy
JP5217417B2 (ja) 耐摩耗性に優れた炭窒化チタン基サーメット製切削工具
KR100388891B1 (ko) Ta 성분 함유 원료가 첨가되지 않은 탄질화 티탄기서멧트의 제조방법
KR101640644B1 (ko) 내열충격성이 향상된 Ti계 소결합금 및 이를 이용한 절삭공구
JPS5940898B2 (ja) 超硬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193731A (ja) 耐摩耗性のすぐれたサ−メツト製切削工具の製造法
KR100453720B1 (ko) Zr 및 Hf 성분을 함유하는 Ti(CN)계 서멧트 및이의 제조방법
KR102584679B1 (ko) 절삭공구용 초경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JPH0121857B2 (ko)
JPH04294907A (ja) 硬質層被覆炭化タングステン基超硬合金製切削工具
JP3359221B2 (ja) TiCN基サーメット工具とその製造方法
JP2014029001A (ja) サーメット、サーメットの製造方法、及び切削工具
JP2002292507A (ja) サーメット製切削工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6172B2 (ja) 強靭性サ−メツト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485994B1 (ko) 고질소함유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2815B1 (ko) 초미립 고질소 함유 탄질화 티탄기 서멧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237012A (ja) 耐欠損性のすぐれたサーメット製切削工具
JPH0530881B2 (ko)
JPS60152650A (ja) 耐摩耗性と高温特性に優れた焼結硬質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97507A (ja) 硬質層被覆炭化タングステン基超硬合金製切削工具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