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268A - 낚싯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낚싯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268A
KR20060109268A KR1020050096853A KR20050096853A KR20060109268A KR 20060109268 A KR20060109268 A KR 20060109268A KR 1020050096853 A KR1020050096853 A KR 1020050096853A KR 20050096853 A KR20050096853 A KR 20050096853A KR 20060109268 A KR20060109268 A KR 20060109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attern
reinforcement
prepre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811B1 (ko
Inventor
쇼타로 타니가와
이사무 토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10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이음매 부분에서의 변형이나 균열을 억제하면서, 물고기가 걸렸을 경우에 매끄러운 구부러짐을 생기게 하면서 그 물고기의 당김에 유연하게 견딜 수 있는 초릿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해결 수단] 메인 패턴(5)으로 구성되는 내외측층과 중합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 패턴(5)을 배치하는 것과 함께, 보강 패턴(5)의 적어도 하나를 내외측층의 중간에 배치하고, 보강 패턴(5)을, 장대축선(X)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와,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다.
낚싯대, 제조 방법, 메인 패턴, 보강 패턴, 경사각

Description

낚싯대 및 그 제조 방법{FISHING R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의 (a)는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로부터 뽑아내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b)는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로부터 뽑아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2의 (a)는 제1, 제2 메인 패턴과 입구 감기 보강 패턴 및 장대 기단측의 제1 보강 패턴을 맨드릴에 감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제3 메인 패턴과 제2 보강 패턴을 이미 권회되어 있는 제2 메인 패턴 상에 감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슬릿 테이프를 이미 권회되어 있는 제3 메인 패턴 상에 감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의 (a)는 제3 보강 패턴을 감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제3 보강 패턴을 감고, 제4 보강 패턴과 입구 감기 보강 패턴을 감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제4 보강 패턴과 입구 감기 보강 패턴을 권회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d)는 성형 테이프를 권회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의 (a)는 표 1 ~ 3에 기재한 테스트 결과를 내기 위한 시험 설비를 도시하고, 추를 초릿대에 매단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표 1 ~ 3에 기재한 테스트 결과를 내기 위한 시험 설비를 도시하고, 무부하 상태에서의 측정 상황을 도시 하는 측면도.
도 5는 표 6에 기재한 테스트 결과를 내기 위한 시험 설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의 (a)는 제4 보강 패턴의 거북이 등상으로 배치된 강화 섬유의 배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b)는 제4 보강 패턴의 연삭 처리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부호의 설명>
1 : 장대 선단측 장대 1A : 장대 기단부 외주면
2 : 장대 기단측 장대 2A : 장대 선단부 내주면
3A : 제1 메인 패턴 3B : 제2 메인 패턴
3C : 제3 메인 패턴 4 : 입구 감기 보강 패턴
5 : 보강 패턴 5A : 제1 보강 패턴
5B : 제2 보강 패턴 5C : 제3 보강 패턴
5D : 제4 보강 패턴 7 : 슬릿 테이프
θ1 : 제1 경사각 θ2 : 제2 경사각
θ3 : 제3 경사각 c : 강화 섬유
X : 장대축선
본 발명은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 외주면(外周面)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 내주면(內周面)을 서로 압접(壓接)하는 상태로 감합(嵌合)시켜, 장대 선단측 장대를 신장(伸張)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용 장대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혼합하고, 그 혼합 강화 섬유에 에폭시 등의 수지를 함침(含浸)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prepreg) 시트를 소정의 테이퍼 형상을 한 맨드릴(mandrel)에 권회(卷回)하고, 그 권회한 통상(筒狀)의 것을 소성(燒成)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측 단부 내에 압접시켜 장대 선단측 장대의 빠짐 방지 기능을 가지는 이음매부를 형성하는 것이지만,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 등에 하중이 집중하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재단한 보강 패턴을 감아 강도를 향상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다.
이 보강 패턴은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혼합한 것, 혹은 장대의 원주(圓周)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혼합한 것에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로 구성하여 설치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강 패턴을 시행한 이음매부에서도, 낚시 조작을 행하는 상태에서 이음매부에 걸리는 하중은 단순히 하향 방향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도 더해지는 점으로부터, 이 이음매부에서 변형이 일어나 기 때문에 장대의 강성이 저하하고, 물고기의 당김에 견뎌 물고기의 힘이 빠지도록 만드는 기능이나 낚아 올릴 때의 장대의 허리의 강도 등이 저하하여 낚시 시에서의 자유로운 조작성을 결여하고 있었다.
한편, 보강 패턴으로서 장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강화 섬유의 방향을 경사시킨 상태로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재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36782호 (단락 번호 〔0014〕, 〔0017〕 및 도 1, 도 2)
상기한 보강 패턴은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에서의 외주면에, 또한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 경우에는, 보강 패턴이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에서의 외주면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 내주면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촉 부분에 작용하는 접촉 압력에 대해서는 대항력을 발휘하는 것이지만, 그 접촉면에 작용하는 접촉 압력이나 전단력(剪斷力)은 이음매부에서의 외주면 측의 외측층과 내주면 측의 내측층 간에 위치하는 중간층에도 미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그 중간층에서는 강화 섬유를 장대의 축선 방향이나 원주 방향으로 혼합하였을 뿐의 프리프레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대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는 충분히는 대항하지 못하고, 강도면에서 충분하지 않은 점이 있었다. 즉, 강화 섬유의 장설(張設)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부터 전단력 등이 작용하면, 강화 섬유가 충분히 전단력에 대항할 수 없는 점으로부터, 수지의 내부로 결정의 점액 등이 발생하고, 수지층 간 박리(剝離)나 수지와 강화 섬유 간의 박리 등이 일어나 이음매부에서의 변형이 생긴다.
그렇게 하면,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 등의 이음매 부분에 소성(塑性) 변형이 일어나거나, 강화 섬유의 박리나 장대를 구성하는 내측층과 외측층 등의 각층끼리의 어긋남 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매 부분에서의 소성 변형이나 강화 섬유의 박리 등을 억제하면서, 물고기가 걸렸을 경우에 매끄러운 구부러짐을 생기게 하면서 그 물고기의 당김에 유연하게 견딜 수 있는 낚싯대의 장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 또는 상기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 중 적어도 일방(一方)의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에,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메인 패턴으로 구성되는 내외측층과 중합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 패턴을 배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보강 패턴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내외측층의 중간에 배치하고, 상기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에 비하여 장대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를 짧게 재단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장대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 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는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강화 섬유군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로 또한 서로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한 프리프레그끼리를 겹쳐 맞춘 복수의 보강 패턴을 장대 기단부에 배치하는 것과 함께, 그 중의 적어도 하나를 내측층과 외측층 간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내측층과 외측층 간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하여 강화 섬유군이 대항력을 발휘한다. 이것에 의하여, 수지층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완화할 수 있고, 수지와 강화 섬유의 박리 등을 저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보강 패턴은 복수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내외층 간의 복수 단계에서 보강 패턴의 기능이 발휘되어 각 단계에서의 전단력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 외주면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 내주면이 압접하는 이음매 부분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도 중간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보강 패턴으로 분담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이 협동 (서로 작용함)하여 대항력을 발휘하는 점으로부터, 큰 소성 변형 등이 전파(傳播)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외측층과 내측층 간의 수지 간에 박리가 일어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효과〕
이 결과, 이음매 부분에서의 소성 변형이나 강화 섬유의 박리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허리가 강한 장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내측층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1 메인 패턴과,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상기 제1 메인 패턴보다 원주 방향을 따른 폭보다 큰 폭으로 재단한 제2 메인 패턴을 겹쳐 맞추고, 상기 제1 메인 패턴보다도 한층 더 내측에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4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상기 제2 메인 패턴의 외측에 또한 상기 외측층의 내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1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1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1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에 대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과 함께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룬다.
즉,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에 직접 접촉하는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에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 여, 상기 장대 기단부에서 받는 전단력에 대하여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의 경사 자세로 배치된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한다.
이것에 의하여, 장대 선단부의 소성 변형이나 균열의 발생 등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패턴의 구성으로서는,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소정 형상으로 재단한 제1 메인 패턴을 내측으로 하고, 장대축선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치한 프리프레그를 소정 형상으로 재단한 제2 메인 패턴을 외측에 위치시켜 겹쳐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들 메인 패턴에서 장대를 타원상으로 변형시키는 하중에 대해서는 내측의 제1 메인 패턴에서의 강화 섬유에서 대항력을 발휘시키고, 장대의 축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해서는 외측의 제2 메인 패턴의 장대축선 방향으로 배치한 강화 섬유에서 대항력을 발휘시켜, 장대의 내측에서도 장대의 원주 방향과 장대의 축선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도 대항력을 가지는 것이 된다.
게다가, 메인 패턴의 장대 선단부와 장대 기단부의 양 단부에는 강화 섬유가 장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상태로 배치된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지는 제1 보강 패턴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대 선단부와 장대 기단부에서는 두 개의 메인 패턴과 이 제1 보강 패턴이 겹쳐 맞추어진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장대 선단부와 장대 기단부에서는 강화 섬유의 방향이 장대축선 방향, 장대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원주 방향, 장대축선 방향으로 경사하는 교차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부림력이나 전단력, 인장력 등의 다방위(多方位) 하중에 대한 대항력을 높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층 부분에서도 두 개의 메인 패턴과 입구 감기 보강 패턴, 장대 기단측의 제1 보강 패턴을 중합시킨 구성에 의하여, 내측층 단독으로도 다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 있었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내측층과 외측층 간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의 제3 메인 패턴으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3 메인 패턴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재단하여 구성하고, 상기 중간층의 외측에 또한 상기 외측층의 내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2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2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2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중간층 부분에서도 보강 패턴의 하나인 제2 보강 패턴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제1 보강 패턴과 제2 보강 패턴이 장대 기단부에서 겹치는 상태로 배치되게 되고, 서로가 상대 측의 보강 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보강 패턴을 단독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단력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제2 보강 패턴을 단독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제3 메인 패턴의 장대 기단측 단부에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측층 부분에서 의 굽힘 모멘트에 기인하는 장대축선 방향을 따른 인장력에 대한 대항력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외측층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세폭(細幅)의 테이프상으로 재단하여 구성한 슬릿 테이프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에 걸쳐 나선상(螺旋狀)으로 권회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측층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3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3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3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상기 제3 보강 패턴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4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4 보강 패턴을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군을 혼합한 프리프레그와 유연성 섬유를 크로스상(狀)으로 엮은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형성하고, 상기 유연성 섬유를 크로스상으로 엮은 프리프레그에서는 상기 유연성 섬유를 수지층 표면보다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외측층으로서 원주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배치한 세폭의 슬릿 테이프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릿 테이프를 감을 때의 긴장력에 의하여 선행하여 권회되어 있는 제3 메인 패턴 등에 충분한 감아 조이는 힘을 부여하면서 권회할 수 있다. 게다가, 프리프레그 시트와 같이 장대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면적을 가지는 것을 권회하는 것이 아니라, 세폭의 것을 권회할 뿐이기 때문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꺾여 구부러짐이 생기거나 하는 일이 적다. 따라서, 권회 작업 중에 공기를 말려들게 하는 일이 적고, 소성 후에 보이드 등이 발생하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소성 후는 테이프끼리가 접속되어 1매의 메인 패턴과 마찬가지로, 1매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강화 섬유에 의하여 장대의 단면을 가로가 넓어지게 되는 타원상으로 변형시키는 외력에 대한 대항력을 높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3 보강 패턴과 제4 보강 패턴을 겹쳐 맞춘 구성은, 가장 외측에 유연성 섬유를 크로스상으로 엮은 프리프레그와, 그 내측에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군을 혼합한 프리프레그가 중합되어 있는 제4 보강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고나아가 그 제4 보강 패턴의 내측에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3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한 제3 보강 패턴이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상대 측면에 직접 압접하는 유연성 섬유를 크로스상으로 엮은 프리프레그를 통하여 제4 보강 패턴의 외측 보강 패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서는, 제4 보강 패턴의 내측 보강 패턴에서의 장대축선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과 장대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된 강화 섬유군이 대항력을 발휘하여 막아낼 수 있다.
게다가, 접촉면을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 장대가 하중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원상으로 넓어지려고 하는 그 반경 방향 하중에 대해서는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강화 섬유가 대항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가장 외측에 유연성 섬유를 크로스상으로 엮은 프리프레그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크로스상으로 배치한 섬유가 다방향으로부터의 접촉 하중에 대하여 대항력을 발휘하는 것과 함께, 유연성 섬유가 수지층보다 돌출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유연성 섬유로 둘러싸인 부위에 수분을 모으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공간의 형성에 의하여 상대 측면과의 밀착 면적이 적어지게 되어 있고, 이음매부에 깊숙히 들어간 수분도 상기 공간으로 유도되어 모이게 되기 때문에,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보다 힘있게 뽑아내었다고 하여도, 이음매부가 힘들게 압접하여 장대 선단측 장대를 장대 기단측 장대 내에 수납할 수 없게 되는, 이를테면, 고착 현상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이음매 부분에서의 소성 변형이나 강화 섬유의 박리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고착 현상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허리가 강한 장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의 특징 구성은,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1 메인 패턴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상기 제1 메인 패턴의 원주 방향을 따른 폭보다 큰 폭으로 재단한 제2 메인 패턴 상에 겹쳐 맞추어 배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메인 패턴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 측에 청구항 2에 기재된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 을 겹쳐 맞추고, 상기 제2 메인 패턴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청구항 2에 기재된 제1 보강 패턴을 겹쳐 맞추어 배치하며, 상기한 입구 감기 보강 패턴, 상기 제1 메인 패턴, 상기 제2 메인 패턴, 상기 제1 보강 패턴을 일체적으로 중합한 중합체를 상기 입구 감기 보강 패턴이 최내측에 위치하는 순서로 맨드릴에 권회하는 제1 공정과, 청구항 3에 기재된 제3 메인 패턴을 제2 메인 패턴과 제1 보강 패턴에 걸쳐 권회하는 것과 함께 그 권회한 제3 메인 패턴의 장대 기단 부분에 청구항 3에 기재된 제2 보강 패턴을 권회하고, 상기 제3 메인 패턴과 상기 제2 보강 패턴과 일체적으로 중합한 중합체를 제3 메인 패턴이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권회하는 제2 공정과, 청구항 4에 기재된 상기 슬릿 테이프를 상기 제3 메인 패턴과 상기 제2 보강 패턴에 걸쳐 권회하는 제3 공정과, 청구항 4에 기재된 제3 보강 패턴을 상기 제3 메인 패턴의 장대 기단부에 권회하는 제4 공정과, 청구항 4에 기재된 제4 보강 패턴을 상기 제3 보강 패턴의 장대 기단부에 권회하는 제5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상기한 입구 감기 보강 패턴, 상기 제1 메인 패턴, 상기 제2 메인 패턴, 상기 제1 보강 패턴을 일체적으로 중합한 중합체를 상기 입구 감기 보강 패턴이 최내측에 위치하는 순서로 맨드릴에 권회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3 메인 패턴과 상기 제2 보강 패턴과 일체적으로 중합한 중합체를 제3 메인 패턴이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권회하는 제2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즉, 메인 패턴과 보강 패턴을 시행하는 공정에서는, 미리 그 메인 패턴과 보 강 패턴을 중합체로 하여 권회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상대 위치가 권회하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일은 없고, 메인 패턴과 보강 패턴의 기능을 초기대로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패턴의 위치 결정이 확실히 이루어진 것의 위에서부터 제3 보강 패턴과 제4 보강 패턴을 순차로 권회하여 갔다고 하여도, 제1, 제2 보강 패턴과의 상대 위치를 예정보다도 다른 상태에서 시행하는 일이 적어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8개 조합 등 복수 개의 장대를 구비한 뽑이식 계류대(A)에 사용되고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주로 4번대에서 원상대까지의 중대에 사용되는 이음매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뽑아내지는 측을 장대 선단측 장대(1)로 하고, 장대 선단측 장대(1)를 유지하는 측을 장대 기단측 장대(2)로 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측 장대(1)를 장대 기단측 장대(2) 내에 출퇴(出退)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과 함께,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선단측 장대(1)를 뽑아낸 상태에서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1)의 장대 기단부 외주면(1A)과 장대 기단측 장대(2)의 장대 선단부 내주면(2A)을 서로 압접하는 상태로 감합시켜, 장대 선단측 장대(1)의 신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에, 서로 압접하는 장대 선단부 내주면(2A)과 장대 기단부 외주면(1A)으로 이음매부(B)를 구성하고 있 다.
다음으로, 장대 선단측 장대(1) 또는 장대 기단측 장대(2)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단은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메인 패턴과 보강 패턴, 입구 감기 보강 패턴을 준비한다. 제1 메인 패턴(3A)은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1 ~ 1.2프라이 분의 폭으로 재단되어 내측층을 구성한다. 제2 메인 패턴(3B)은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2 ~ 2.2프라이 분의 폭으로 재단되어 내측층을 구성한다.
프리프레그로서는 강화 섬유(c)로서 탄소 섬유를 사용하고, 강화 섬유(c)에 함침시키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된다. 단, 강화 섬유(c)로서는 유리 섬유 및 보론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페놀 수지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함침시키는 수지로서는 열화 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들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로서는 탄소 섬유로 메인 패턴에 20 ~ 60톤/mm2의 탄성률인 것, 보강 패턴(5A, 5B)에 10 ~ 20톤/mm2의 탄성률인 것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입구 감기 보강 패턴(4)과 장대 기단측에 배치되는 보강 패턴(5)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기단측의 보강 패턴(5)은 장대축선(X) 에 대하여 제1 경사각(θ1)을 따라 혼합 배치된 탄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상기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고,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되어 보강 부재로서 구성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 감기 보강 패턴(4)은 장대축선(X)에 대하여 제4 경사각(θ4)을 따라 혼합 배치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상기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고, 장대의 장대 선단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되어 보강 부재로서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1, 제2 메인 패턴(3A, 3B), 입구 감기 보강 패턴(4), 장대 기단측의 보강 패턴(5) 중 제1 보강 패턴(5A)을 권회한 상태에서 입구 감기 보강 패턴(4)이 가장 내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그 외측에 제1 메인 패턴(3A), 제2 메인 패턴(3B), 외측에 제1 보강 패턴(5A)이 위치하도록 겹쳐 맞추어 일체화하고, 이 일체화한 것을 입구 감기 보강 패턴(4)에서부터 맨드릴(6)에 권회한다.
이와 같이 권회한 것에서는 제1 메인 패턴(3A)과 제2 메인 패턴(3B)으로 3프 라이 분의 내측층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보강 패턴(5A)은 그 내측층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제2단으로서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제2 메인 패턴(3B) 상에 나아가 제3 메인 패턴(3C)과 제2 보강 패턴(5B)을 권회한다. 즉, 제3 메인 패턴(3C)은 제2 메인 패턴(3B)과 마찬가지로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1 ~ 1.2프라이 분의 폭으로 재단되어 중간층을 구성한다.
제2 보강 패턴(5B)은 장대축선(X)에 대하여 제2 경사각(θ2)을 따라 혼합 배치된 탄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상기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고,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되어 보강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2 보강 패턴(5B)을 제3 메인 패턴(3C)의 장대 기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하여, 맨드릴(6)에 이미 권회되어 있는 제2 메인 패턴(3B) 상에서 권회한다.
다음으로, 제3단으로서는,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 테이프(7)를 권회한다. 슬릿 테이프(7)는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른 폭을 세폭으로 재단하여 연결한 것이다. 이 슬릿 테이프(7)를 강화 섬유(c)가 장대의 원주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제3 메인 패턴(3C) 상에서 장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간다.
제4단으로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보강 패턴(5C)을 권회한다. 여기에, 제3 보강 패턴(5C)은 장대축선(X)에 대하여 제3 경사각(θ3)을 따라 혼합 배치된 탄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c)군과 상기 장대축선(X)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c)군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고, 장대의 장대 기단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되어 보강 부재로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슬릿 테이프(7)를 권회한 위에서부터 장대 기단부에 제3 보강 패턴(5C)을 권회한다.
제5단으로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보강 패턴(5C) 상에서 나아가 제4 보강 패턴(5D)을 권회한다. 제4 보강 패턴(5D)은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를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5d)에, 유연성이 높은 섬유(c)를 크로스 조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형성한 프리프레그(5c)를 겹쳐 맞추고, 탄소 섬유 등을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프리프레그(5d)가 내측으로 되도록 제3 보강 패턴(5C) 상에서 권회한다.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보강 패턴(5D)의 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는 제3 보강 패턴(5C)보다는 짧고, 제3 보강 패턴(5C)의 장대 선단측에 위치하도록 제4 보강 패턴(5D)을 권회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3 보강 패턴(5C)의 장대 기단측 부분은 표출하게 된다.
여기에, 제3 보강 패턴(5C)과 제4 보강 패턴(5D)의 배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 및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에 위치하는 제3 보강 패턴(5C)은 이음매부(B)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배치된다. 이것에 반하여, 제4 보강 패턴(5D)에 대해서는 제3 보강 패턴(5C)보다 짧고, 또한 장대 선단측으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보강 패턴(5C)을 이음매부(B)에 상당하는 길이로 설치하고 있어도 이음매부(B)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장대 선단측 장대(1)를 장대 기단측 장대(2)에서 뽑아내는 조작을 한 경우에, 제3 보강 패턴(5C)과 제4 보강 패턴(5D)의 장대 선단이 장대 기단측 장대(2)의 장대 선단보다는 돌출하는 일은 없어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제4 보강 패턴(5D)을 이음매부(B)의 장대 선단측의 어깨 부분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장대 선단측 장대(1)의 이음매부(B)에서의 장대 선단측단 근방에 발생하는 「가장자리 꺾임」으로 불리고 있는 장대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제4 보강 패턴(5D)에서의 장대의 표측에 위치하는 프리프레그(5c)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5c)에서는 유연성이 높은 섬유를 크로스망(網)하여, 섬유를 거북이 등상(狀)으로 배치한 형상을 나타내 고 있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섬유에 함침시킨 수지는 소성 후 연마 가공을 시행하여 깎아내기 때문에, 섬유만이 표면에 표출한 상태로 되어 있고, 거북이 등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유연성이 높은 섬유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 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프리프레그(5c)가 이음매부(B)의 표면에 위치하여, 상대 측의 이음매부(B)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와 압접하는 상태로 되어도, 거북이 등상의 오목부의 존재에 의하여 수분이 개재(介在)하여도 수분은 거북이 등상의 오목부에 모일 뿐으로 압접 상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아 이음매부의 고착 상태가 완화된다.
한편, 장대 선단측에는 제2 입구 감기 보강 패턴(8)을 권회한다. 이 제2 입구 감기 보강 패턴(8)은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c)군을 원주 방향으로 혼합한 것에 에폭시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 구성한 것이고, 장대 선단부의 축선 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 의하여, 프리프레그의 권회를 종료하고, 다음으로,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로판 테이프 등의 성형 테이프(9)를 나선상으로 권회하는 것에 의하여 프리프레그를 감아, 이 상태의 것을 소성로에서 소성 처리한다.
이 다음은, 소성한 후에 맨드릴(6)을 탈심하여 성형 테이프(9)를 박리하고, 소정 길이로 장대재(材)를 재단하여 소망하는 장대를 형성하고, 이 후 장대 표면에 연마 처리를 시행하여 낚싯대용 장대가 완성된다.
이상의 제작 공정은 기본적인 것이지만, 지금부터 기재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제2단 이후의 공정에서는 제4 보강 패턴(5D)을 권회하는 제5단의 공정을 유지하면, 어느 공정도 적당히 선택하여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작된 장대를 4번대 ~ 원상대에 적용한 8개 조합 계류대의 이음매부의 테스트를 행하였다. 그 테스트 결과가 다음의 것이다.
처음은,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 유지대(10)에 장착한 상기한 8개 조합 계류대(A)를 신장 상태로 장착하여, 초릿대(Aa)의 선단에 추(12)를 매달아 계류대(A)의 휨도 (기준 위치로부터의 추의 높이 위치(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다음의 표 1 ~ 표 6에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에, 표 1 ~ 표 3은 초릿대(Aa)의 선단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높이(H)를 측정한 것인데, 장대 유지대(10)에는 장대 홀더(10A)가 지면(紙面) 가장 안쪽으로 가는 방향으로 3개 병설(竝設)되어 있고, 그들 개개에 이음매부(B)의 강화 섬유(c)의 배열 방향이 다른 것을 조합하여 측정하여, 장대 홀더(10A)에 개체차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와 같이,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로 하여 3개의 장대 홀더(10A)에 장착하는 장대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장착하여 테스트를 행하였다.
테스트하는 계류대(A)의 이음매부(B)에 사용되는 보강 패턴(5)의 강화 섬유(c)의 배열 방향으로서는, 하기의 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축선 방향을 사이에 두고 ±45°씩 경사시키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춘 것을 「90°」로 하여 표시하고, 장대축선 방향을 사이에 두고 ±75°씩 경사시키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춘 것을 「150°」로 하여 표시하며, 강화 섬유(c)를 둘레 방향을 따라 혼합하고 있는 것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표시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1 ~ 3까지에서는, 「90°(i)」로 하여 (i)를 붙이고 있고, 이것은 장대의 자중(自重)이 다음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행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90°(i) = 302.3g, 150°(i) = 299.9g, 둘레 방향 = 302.3g
표 1에서의 Q1 = 45°로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A)를 장대 홀더(10A)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대 홀더(10A)의 상향 경사각(Q1)을 45°로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Q1 = 0°로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A)를 장대 홀더(10A)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대 홀더(10A)의 상향 경사각(Q1)을 0°로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Figure 112005058080178-PAT00001
다음으로, 「90°(i)」, 「150°(i)」, 「둘레 방향」으로 특정되는 장대를 표 1에서 기재한 결과를 얻는 경우와는 다른 장대 홀더(10A)에 장착하여 테스트를 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2에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05058080178-PAT00002
다음으로, 「90°(i)」, 「150°(i)」, 「둘레 방향」으로 특정되는 장대를 표 1, 표 2에서 기재한 결과를 얻는 경우와는 다른 장대 홀더(10A)에 장착하여 테스트를 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3에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05058080178-PAT00003
이상, 표 1 ~ 3에 기재한 테스트 결과를 평가하면,
즉, 장대 홀더(10A)의 개체차의 영향은 없고, 결과로서는 「90°(i)」의 높이(H)가 가장 높고, 「둘레 방향」의 높이(H)가 가장 낮다. 이것은, 「90°(i)」에서 이음매부(B)에서의 압접 상태에 추 하중을 걸어도 변형 등이 적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둘레 방향」에서 이음매부(B)에서의 변형 등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Figure 112005058080178-PAT00004
Figure 112005058080178-PAT00005
상기한 표 4, 5의 테스트 결과는 장대의 개체차가 측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테스트하는 계류대(A)의 이음매부(B)에 사용되는 보강 패턴(5)의 강화 섬유(c)의 배열 방향으로서는, 상기의 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대축선 방향을 사이에 두고 ±45°씩 경사시키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춘 것을 「90°」로 하여 표시하고, 장대축선 방향을 사이에 두고 ±75°씩 경사시키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춘 것을 「150°」로 하여 표시하며, 강화 섬유(c)를 둘레 방향을 따라 혼합하고 있는 것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표시하고 있는 것은 표 1 ~ 3까지의 것과 같은 것이며, 하기와 같이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4, 5에 있어서는 「90°(150°)(ii)」「90°(150°)(iii)」으로 하여 (ii), (iii)을 붙이고 있고, 이것은 장대의 자중이 다음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행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90°(ii) = 299.6g, 90°(iii) = 301.3g
150°(ii) = 300.8g, 150°(iii) = 302.0g
둘레 방향 = 301.6g
표 4, 5에서의 Q1 = 45° 또는 Q1 = 0°로 기재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장대(A)를 장대 홀더(10A)에 장착한 상태로 장대 홀더(10A)의 상향 경사각(Q1)을 45° 또는 0°로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부하를 일단 건 상태로부터 그 부하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수선(穗先)의 높이(H) 변화 및 소성 변형 정도를 계측하여 이음매부(B)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여기서, 표 6에 나타내는 「90°(i)」, 「150°(i)」는 표 1 ~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장대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장대축선 방향을 사이에 두고 ±45°씩 경사시키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춘 것을 「90°」로 하여 표시하며, 장대축선 방향을 사이에 두고 ±75°씩 경사시키고 있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춘 것을 「150°」로 하여 표시하고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둘레 방향으로만 강화 섬유를 배치하고 있는 종래품의 테스트 결과를 병기하고 있다. 종래품은 둘레 방향 (종래품)으로 표기하고 있다. 한편, (i)에 대해서는, 이것은 장대의 자중이 다음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테스트를 행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90°(i) = 302.3g, 150°(i) = 299.9g
테스트에 사용하는 기계는 상기한 기계와 같은 것이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10)의 장대 홀더(10A)에 테스트용의 계류대(A)를 장착하고, 초릿대(Aa)의 선단을 기준 위치에 장착 고정하여, 장대 홀더(10A)를 12N (뉴턴), 14N, 16N, 18N으로 들어올려 그때의 낚아 올리는 각도(Q2)를 측정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릿대(Aa)의 무부하 상태에서의 초기 수선 높이(H)를 미리 측정해 두고, 그 후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하중을 1분간 걸어, 재차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부하 상태에서의 초릿대(Aa)의 선단 높이를 측정하여, 이음매부(B)에서의 변형 정도 (장대 자체의 소성 변형 정도)를 검토한다. 여기에, 부하를 걸기 전의 무부하 상태에서의 초기 수선 높이(H)는 표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150°(i) = 525mm, 90°(i) = 570mm, 둘레 방향 (종래품) = 515mm
Figure 112005058080178-PAT00006
상기한 테스트 결과를 고찰해 보면,
(1) 대체로 소성 변형은 확인할 수 없었다 (소성 변형이 나타나고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아는 방법으로서는, 길게 늘인 계류대(A)를 평지에 놓은 상태에서 굴리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이 출현하고 있으면, 롤링이 원활함을 결여한 점으로부터 소성 변형의 정도를 보고 채용할 수 있다).
(2) 상기 테스트 결과에서는, 초릿대(Aa)의 선단의 휨량이 「90°(i)」에서 변화하고 있는데, 이것은 테스트 후에 검사하여 알게 된 것이지만, 3번대와 4번대의 이음매부(B)의 보강 패턴에서는 강화 섬유(c)가 서로 90°로 교차하는 방향으로는 설정되어 있지 않았던 것이 검출되어, 이것이 원인이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3) 「90°(i)」와「150°(i)」를 비교한 경우에, 낚아 올리는 각도(Q2)의 차이에 의하여 「90°(i)」 쪽이 작은 낚아 올리는 각도가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90°(i)」 쪽이 구부러지기 어렵고, 반발력이 강한 것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장대 자체의 허리의 강함을 명시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표 1 ~ 3에서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릿대(Aa)에 추(12)를 매단 상태에서의 수선 선단의 휨량을 비교하면, 「90°(i)」가 가장 작게 되어 있는 점으로부터도 증명할 수 있다.
(4) 테스트 후의 외관 상태를 눈으로 본 상태에서는, 「90°(i)」 「150°(i)」에서는 크랙 등의 결함은 생기지 않았지만, 「종래품」에서는 낚아 올리는 각도(Q2)가 커지는 만큼 크랙의 발생이 현저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 「둘레 방향 (종래품)」의 것과 「90°(i)」 「150°(i)」를 비교하면, 「90°(i)」 「150°(i)」의 소성 변형 정도가 극히 적은 점에서 이음매부(B)에서의 변형이 억제되고 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상, 두 종류의 테스트를 행한 결과를 평가하면, 「90°」 또는 「150°」와 같이 강화 섬유(c)의 혼합 방향을 장대축선(X)에 대하여 경사시키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구성에 의하여, 장대축선(X)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서도 대항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자체의 소성 변형, 강화 섬유끼리의 이격(離隔) 등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본 발명의 구성은, 뽑이식 장대인 계류대, 은어 장대 등뿐만 아니라, 병계식(竝繼式) 또는 인롱(印籠, 접합부의 재(材)의 한쪽 단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다른쪽 단의 일부를 움푹 패게 하여 연결하는 것) 이음식 낚싯대에도 적용 가능하다.
(2) 보강 패턴(5)으로서는 장대 기단부에서의 중간층뿐만 아니라, 장대 선단부의 중간층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매 부분에서의 소성 변형이나 강화 섬유의 박리 등을 억제하면서, 물고기가 걸렸을 경우에 매끄러운 구부러짐을 생기게 하면서 그 물고기의 당김에 유연하게 견딜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Claims (5)

  1.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 외주면(外周面)과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 내주면(內周面)을 서로 압접(壓接)하는 상태로 감합(嵌合)시켜, 장대 선단측 장대를 신장(伸張)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 또는 상기 장대 기단측 장대의 장대 선단부 중 적어도 일방(一方)의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의 장대 기단부에, 상기 장대 선단측 장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메인 패턴으로 구성되는 내외측층과 중합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 패턴을 배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보강 패턴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내외측층의 중간에 배치하고, 상기 보강 패턴을 상기 메인 패턴에 비하여 장대축선 방향을 따른 길이를 짧게 재단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장대축선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prepreg)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층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圓周)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1 메인 패턴과,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상기 제1 메인 패턴보다 원주 방향을 따른 폭보다 큰 폭으로 재단한 제2 메인 패턴을 겹쳐 맞추고, 상기 제1 메인 패턴보다도 한층 더 내측에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4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상기 제2 메인 패턴의 외측에 또한 상기 외측층의 내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1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1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1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낚싯대.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층과 외측층 간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의 제3 메인 패턴으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3 메인 패턴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재단하여 구성하고, 상기 중간층의 외측에 또한 상기 외측층의 내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2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2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2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 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있는 낚싯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층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세폭(細幅)의 테이프상으로 재단하여 구성한 슬릿 테이프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에 걸쳐 나선상(螺旋狀)으로 권회(卷回)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측층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3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3 보강 패턴을, 장대축선에 대하여 제3 경사각을 따라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와, 상기 프리프레그의 강화 섬유군과 상기 장대축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는 상태로 혼합 배치된 강화 섬유군을 가지는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구성하고, 상기 제3 보강 패턴의 외측에 상기 복수의 보강 패턴 중의 제4 보강 패턴을 배치하며, 상기 제4 보강 패턴을 장대의 둘레 방향으로 강화 섬유군을 혼합한 프리프레그와 유연성 섬유를 크로스상(狀)으로 엮은 프리프레그를 겹쳐 맞추어 형성하고, 상기 유연성 섬유를 크로스상으로 엮은 프리프레그에서는 상기 유연성 섬유를 수지층 표면보다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는 낚싯대.
  5.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재단한 제1 메인 패턴을, 강화 섬유군을 장대의 축선 방향을 따라 혼합한 프리프레그를 장대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또한 상기 제1 메인 패턴의 원주 방향을 따른 폭보다 큰 폭으로 재단한 제2 메인 패턴 상에 겹쳐 맞추어 배치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메인 패턴의 장대 선단부의 내주면 측에 청구항 2에 기재된 입구 감기용 보강 패턴을 겹쳐 맞추고, 상기 제2 메인 패턴의 장대 기단부의 외주면에 청구항 2에 기재된 제1 보강 패턴을 겹쳐 맞추어 배치하며, 상기한 입구 감기 보강 패턴, 상기 제1 메인 패턴, 상기 제2 메인 패턴, 상기 제1 보강 패턴을 일체적으로 중합한 중합체를 상기 입구 감기 보강 패턴이 최내측에 위치하는 순서로 맨드릴(mandrel)에 권회하는 제1 공정과, 청구항 3에 기재된 제3 메인 패턴을 제2 메인 패턴과 제1 보강 패턴에 걸쳐 권회하는 것과 함께 그 권회한 제3 메인 패턴의 장대 기단 부분에 청구항 3에 기재된 제2 보강 패턴을 권회하고, 상기 제3 메인 패턴과 상기 제2 보강 패턴과 일체적으로 중합한 중합체를 제3 메인 패턴이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권회하는 제2 공정과, 청구항 4에 기재된 상기 슬릿 테이프를 상기 제3 메인 패턴과 상기 제2 보강 패턴에 걸쳐 권회하는 제3 공정과, 청구항 4에 기재된 제3 보강 패턴을 상기 제3 메인 패턴의 장대 기단부에 권회하는 제4 공정과, 청구항 4에 기재된 제4 보강 패턴을 상기 제3 보강 패턴의 장대 기단부에 권회하는 제5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KR1020050096853A 2005-04-14 2005-10-14 낚싯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2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7023A JP4947611B2 (ja) 2005-04-14 2005-04-14 釣り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5-00117023 2005-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268A true KR20060109268A (ko) 2006-10-19
KR101232811B1 KR101232811B1 (ko) 2013-02-13

Family

ID=3707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853A KR101232811B1 (ko) 2005-04-14 2005-10-14 낚싯대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47611B2 (ko)
KR (1) KR101232811B1 (ko)
CN (1) CN1846485B (ko)
TW (1) TW2006355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3063A (ja) * 2013-12-27 2015-07-0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固定フードに繊維強化樹脂シートを備えるリールシート及び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た釣竿
WO2023215372A1 (en) * 2022-05-04 2023-11-09 Hidden T Properties Llc Pressure disper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fishing r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481A (en) * 1988-04-15 1989-08-29 Berkley, Inc. Solid graphite rod tip
JP2001238573A (ja) * 2000-02-29 2001-09-04 Daiwa Seiko Inc 釣 竿
JP2003009722A (ja) * 2001-06-29 2003-01-14 Shimano Inc 竿体の製造方法
CN1278605C (zh) * 2001-08-06 2006-10-11 株式会社岛野 钓竿用竿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35502A (en) 2006-10-16
JP4947611B2 (ja) 2012-06-06
CN1846485A (zh) 2006-10-18
JP2006288345A (ja) 2006-10-26
KR101232811B1 (ko) 2013-02-13
CN1846485B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358B1 (ko) 낚싯대용 장대 및 낚싯대
KR101286025B1 (ko) 낚싯대용 장대
KR100201359B1 (ko) 낚싯대재및그제조방법
CA2372943A1 (en) Arched structures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same
KR102412430B1 (ko) 토목섬유매트 포설공법
NO311948B1 (no) Stålvaier-element for blanding inn i etterfölgende herdematerialer
US7624544B2 (en) Tool for preventing the vortex effect
KR101232811B1 (ko) 낚싯대 및 그 제조 방법
CN107645975B (zh) 环线锯和用于制作这种环的方法
KR100992580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와이어로프 슬링
KR101232812B1 (ko) 뽑이식 장대
CN1188577C (zh) 可收缩柱、提升可收缩柱的装置和竖立可收缩柱的方法
KR100879904B1 (ko) 장대의 제조 방법
US9185887B2 (en) Aquaculture net with isotropic bottom mesh
KR20060109261A (ko) 낚싯대용 장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9050B1 (ko) 낚싯대
EP1659209B2 (en) Static rope and mast or boom construction including a static rope
KR20060064449A (ko) 낚싯대용 장대
US4644679A (en) Method of connecting a fishing net
JP2011188750A (ja) 釣り竿
CN209928099U (zh) 一种集束微型蝶形引入光缆
JP4493544B2 (ja) 釣り竿用の竿体
JP2011188751A (ja) 釣り竿
KR200448340Y1 (ko) 합성목재 데크 구조체
JP4983637B2 (ja) セグメントピース、セグメントリング、及びトンネル覆工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