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832A -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832A
KR20060108832A KR1020050031009A KR20050031009A KR20060108832A KR 20060108832 A KR20060108832 A KR 20060108832A KR 1020050031009 A KR1020050031009 A KR 1020050031009A KR 20050031009 A KR20050031009 A KR 20050031009A KR 20060108832 A KR20060108832 A KR 20060108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densation
refrigerator
unit
hot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렬
이태희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8832A/ko
Publication of KR2006010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은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냉각 응축되는 주응축부; 상기 주응축부와 연결되어 냉매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 상기 밸브와 연결되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 및 상기 핫라인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응축열량의 부족분을 보상하는 보상부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핫라인으로의 냉매유입과 무관하게 냉매의 응출열량이 항상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증발열량이 유지되고 나아가 냉동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안전하도록 할 수 있다.
핫라인, 주응축부, 보조응축부, 송풍팬

Description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Refregerater, refrigerating systeme for refrigerater and processing method for refrigerating system}
도 1은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제3실시예에서 주응축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도어 3 : 압축기
4 : 응축기 5 : 핫라인 6 : 주응축부
7 : 보조응축부 8 : 밸브 9 : 팽창부
10 : 증발기 11 :송풍팬 12 : 제1응축부
13 : 제2응축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 맺힘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매립되는 핫라인으로의 냉기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고의 냉각성능을 향상하고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냉각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시스템을 이루는 냉동시스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시스템 구성요소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시키는 와이어 콘덴서와, 냉각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와이어 콘덴서에 의해 응축되고 팽창장치를 거친 냉매가 냉각실의 내부의 공기로부터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며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에는 저온 저압의 액상냉매가 공급되고, 증발기 내부에서 주위의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액상냉매는 기화하게 된다. 이러한 기화과정 동안에서 주위의 공기는 냉매의 기화열에 열기가 흡수됨에 따라 냉기로 생성된다. 그리고 기체상태의 냉매는 압축기로 공급되어 압축된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의 기체상태냉매는 다시 와이어 컨덴서로 공급되어 응축된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에서는 냉장고 내부와 외기의 온도차에 의해 냉장도 도어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냉장고 냉동시스템은 상기 압축기에서 나온 냉매를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핫라인을 구성하여,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핫라인에는 와이어 컨덴서를 나온 냉매가 항상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렇게 핫라인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냉장고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열전달에 의하여 냉장고의 성능은 궁극적으로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핫라인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냉장고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개선된 가스켓을 제시하는 발명과 3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핫라인으로의 냉매출입을 제한하는 발명도 제시된 바 있다. 특히, 3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핫라인으로의 냉매출입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50741호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3방향 밸브를 이용한 냉장고의 냉동싸이클에서는 냉매가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는 경우에 냉매의 응축열량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매의 응축열량이 부족하게 됨으로써 냉매의 증발열량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응축열량과 증발열량의 부족으로 인해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불완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키고 냉각성능을 최적으로 향상시키는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는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핫라인으로의 냉매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핫라인으로의 냉매유입과 무관하게 냉매의 응축열량이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도어; 상기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 및 상기 핫라인의 동작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냉매의 추가응축이 이루어지는 보조응축부가 포함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은,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냉각 응축되는 주응축부; 상기 주응축부와 연결되어 냉매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 상기 밸브와 연결되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및; 상기 핫라인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응축열량의 부족분을 보상하는 보상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핫라인으로 냉매가 흐르는지 판단하는 단계; 핫라인으로 냉매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 보조응축부가 작동하여 응축열량 부족분을 보상하게 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에 의해서 냉매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냉장고의 냉각성능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냉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는 내부에 냉동실과 냉장실로 분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일측에 장착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4)와 상기 본체(1)와 도어(2)의 접촉부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핫라인(5)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핫라인(5)은 기계실에 설치된 응축기(4)의 유출측에서 분기되어 응축기(4)의 유입측으로 이어지며, 냉장고 본체(1)와 도어(2)의 접촉부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냉장고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압축기(3)에 의해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응축기(4)를 지나는 과정에서 냉각 응축되어 고압의 액상으로 전환된다. 또한 고압의 액체상태 로 된 냉매는 상기 핫라인(5)을 경유하면서 본체(1)와 도어(2)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냉매는 응축되어 응축열량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은, 냉매가 압축되도록 하는 압축부(21)와, 냉매가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부(22)와, 냉매가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부(23)와, 냉매가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부(20)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응축부(22)는 주응축부(24), 핫라인(25), 보조응축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부(22)로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을 핫라인(25)의 동작 상태별로 설명하면, 먼저, 냉매가 핫라인(25)을 경유하는 경우에는 주응축부(24)와 핫라인(25)을 경유하도록 하고, 냉매가 핫라인(25)을 경유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응축부(24)와 보조응축부(26)를 경유하도록 하여 핫라인(25)을 경유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부족한 응축열량을 상기 보조응축부를 통해 보상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냉매가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응축열량의 부족분을 보조응축부(26)에 의해 보상됨으로써 증발열량도 부족하지 않게 되고, 나아가 냉동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안정하게 동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은, 저온 저압의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압축기(3)와, 상기 압축기(3)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냉각 응축되는 주응축부(6)와, 상기 주응축부(6)의 유출측에 상호 연통되어 냉매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8)와, 상기 밸브(8)와 연결되어 냉 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5)과, 상기 밸브(8)와 연결되어 냉매의 응축열량을 보상하는 보조응축부(7)와, 상기 핫라인(5)과 보조응축부(7)중 어느 하나를 경유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부(9)와, 상기 팽창부(9)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부(10)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밸브(8)는 주응측기(6)에서 나온 냉매를 상기 핫라인(5) 또는 보조응축부(7)의 어느 일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장고의 주위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하게, 상기 보조응축부(7)는 냉매가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부족한 응축열량을 보상할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압축기(3)에서 압축되고 주응축부(6)에서 응축된 냉매는 밸브(8)의 제어를 받아 핫라인(5)과 보조응축부(7)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게 된다. 즉, 냉장고 주의의 환경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는 경우에는 냉매가 보조응축부(7)를 경유하게 되고, 상기 보조응축부(7)에서는 냉매가 핫라인(5)을 경유하지 않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응축열량의 부족분을 보상할 정도로 냉매의 응축작용이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핫라인(5)과 보조응축부(7)중 어느 하나를 경유한 냉매는 팽창부(9)에서 저온저압의 액체상태 냉매가 된 다음, 증발부(10)에서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그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냉장고 주의의 환경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핫라인의 동작이 필요한가를 판단한다(S100). 상기 핫라인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주응축부와 핫라인의 동작으로 냉매의 응축열량이 완전하게 발생하고(S110), 핫라인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응축부와 보조응축부에 의해 냉매의 응축열량이 완전하게 발생한다(S120).
냉매가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응축열량의 부족은 상기와 같이 보조응축부를 통해 보상함은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냉각팬의 분당회전수 증가에 의하거나 주응축부의 분할사용을 통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은, 저온 저압의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압축기(3)와, 상기 압축기(3)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냉각 응축되는 주응축부(6)와, 상기 주응측기(6)후방에 위치되며 모터구동을 통해 회전하면서 외부공기를 기계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팬(11)과,상기 주응축부(6)의 유출측에 상호 연통되어 냉매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8)와, 상기 밸브(8)와 연결되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5)과,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부(9)와, 상기 팽창부(9)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부(10)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밸브(8)는 주응측기(6)에서 나온 냉매를 상기 핫라인(5)을 경유하게 하거나 핫라인(5)을 경유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냉장고 주위의 환경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는 경우에는 냉매가 핫라인(5)으로 경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데, 냉매가 상기 핫라인(5)을 경유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응축열량을 부족을 상기 냉각팬(11)을 제어하여 냉각팬(11)의 분당회전수(RPM : revolution per minute)를 증가시켜 상기 주응축부(6)에서 냉매의 응축을 증가시킴으로써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8)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장고의 주위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동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냉매의 핫라인(5) 경유가 필요한 경우에는, 압축기(3)에서 압축되고 주응축부(6)에서 응축된 냉매는 밸브(8)의 제어를 받아 핫라인(5)으로 이동된다. 상기 핫라인(5)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방지되고, 냉매의 응축작용이 일어나 응축열량이 발생한다.
그러나, 냉매의 핫라인(5) 경유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압축기(3)에서 압축된 냉매는 주응축부(6)로 이동되고, 상기 밸브(8)는 주응축부(6)후방에 설치된 냉각팬(11)을 제어하여 상기 냉각팬(11)의 분당회전수가 증가되도록하여 상기 주응축부(6)에서 냉매의 응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열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팬(11)의 분당회전수의 증가로 증가된 응축열량은 냉매가 핫라인(5)을 경유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응축열량의 부족분을 보상할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핫라인(5)을 경유한 냉매나 핫라인(5)을 경유하지 않은 냉매는 팽창부(9)에서 저온저압의 액체상태 냉매가 된 다음, 증발부(10)에서 저온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그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제 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은, 저온 저압의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압축기(3)와, 상기 압축기(3)로부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냉각 응축되는 제1응축부(12)와, 상기 제1응축부(12)의 유출측에 상호 연통되어 냉매의 출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8)와, 상기 밸브(8)와 연결되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5)과, 상기 밸브(8)와 연결되어 냉매가 냉각 응축되는 제2응축부(13)와, 상기 제1응축부(12)와 제2응축부(13)를 포함하는 주응축부(6)와, 상기 핫라인(5)과 제2응축부(13)중 어느 하나를 경유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부(9)와, 상기 팽창부(9)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부(10)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밸브(8)는 제1응축부(12)에서 나온 냉매를 상기 핫라인(5) 또는 제2응축부(13)의 어느 일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장고의 주위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하게, 제1응축부(12)와 제2응축부(13)는 상기 주응축부(6)를 분할하여 사용함으로써 구획되는 것으로, 냉매가 핫라인(5)을 경유하지 않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부족한 응축열량을 상기 제2응축부(13)를 통해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주응축부(6)를 상기 제1응축부(12)와 제2응축부(13)로 적절히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압축기(3)에서 압축되고 주응축부(6)에 포함되는 제1응축부(12)에서 응축된 냉매는 밸브(8)의 제어를 받아 핫라인(5)과 제2응축부(13)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게 된다. 즉, 냉장고 주의의 환경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는 경우에는 냉매가 주응축부(6)에 포함되는 제2응축부(13)를 경유하게 되고, 상기 제2응축부(13)에서는 냉매가 핫라인(5)을 경유하지 않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응축열량의 부족분을 보상할 정도로 냉매의 응축작용이 일어난다.
또한, 냉장고 주위 환경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냉매가 밸브(8)의 제어를 받아 핫라인(5)으로 경유하게 되고 상기 핫라인(5)에서 냉매의 응축작용에 일어나고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핫라인(5)과 제2응축부(13)중 어느 하나를 경유한 냉매는 팽창부(9)에서 저온저압의 액체상태 냉매가 된 다음, 증발부(10)에서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그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제3실시예에서 주응축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의 제3실시예에서 주 응축부의 동작은,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주응축부에 포함되는 제1응축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응축부 유입라인(20)과, 상기 제1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가 밸브로 이동되도록 하는 밸브 유입라인(21)과,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5)과, 상기 밸브의 제어를 받아 냉매가 주응축부에 포함되는 제2응축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응축부 유입라인(22)과, 상기 제2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응축부 토출라인(23)을 구성요소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응축부에서 상기 밸브 유입라인(21)과 제2응축부 유입라인(22)을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함으로써 냉매가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음으로 발생되는 응축열량 부족분을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주응축부를 분할하여 사용한다.
상기 냉동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1응축부 유입라인(20)을 통해 상기 제1응축부에서 응축되고, 응축된 냉매는 밸브 유입라인(21)을 통해 밸브로 이동된다. 상기 밸브는 냉매를 핫라인(5)으로 경유하게 할 것인지를 제어하고, 냉매의 핫라인(5) 경유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냉매는 제2응축부 유입라인(22)을 통해 상기 주응축부에 포함되는 제2응축부로 이동되어 응축된다. 상기 제2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2응축부 토출라인(23)을 거쳐 팽창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냉매가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되는 응축열량의 부족분을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보상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냉매가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되는 응축열량의 부족분이 상기와 같은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의 해서만 보상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의 실시예들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핫라인을 경유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되는 응축열량의 부족분이 보조응축부만으로 보상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보조응축부에 의한 냉매의 응축과 함께 주응축부의 후방에 설치되는 냉각팬의 분당회전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으로써 응축열량의 부족분이 보상될 수 있다.
핫라인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주응측부에서 냉각 응축된 후에 유동되게 하는 것과 달리 압축부에서 압축된 냉매를 핫라인으로 유동되게 한뒤 주응축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도 생각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냉장고의 냉동시스템에 의해서, 핫라인으로의 냉매의 경유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저김시키고, 냉장고의 냉각성능을 최적으로 햐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핫라인으로의 냉매유입과 무관하게 냉매의 응출열량이 항상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증발열량이 유지되고 나아가 냉동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안전하게 된다.

Claims (7)

  1. 냉동실, 냉장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도어;
    상기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설치되는 핫라인; 및
    상기 핫라인의 동작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냉매의 추가응축이 이루어지는 보조응축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2.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고,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에 제공되는 핫라인이 포함되는 응축부;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부가 포함되고,
    상기 응축부는 항상 냉매가 응축되는 주응축부;
    상기 핫라인으로 냉매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 동작되는 보상부 및
    상기 핫라인에서 보상부로의 냉매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냉매가 추가응축되는 보조응축부에 의해 냉매의 응축열량 부 족분을 보상하는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주응축부를 열교환시키는 송풍팬의 분당회전수를 증가시켜 냉매의 응축열량 부족분을 보상하는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냉매가 추가응축되는 보조응축부와 주응축기를 열교환시키는 송풍팬이 동시에 동작하는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주응축부를 분할사용함으로써 냉매의 응축열량 부족분을 보상하는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7. 냉장고 본체와 도어의 접촉부의 핫라인으로 냉매가 유동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냉매가 선택적으로 응축되는 보조응축부가 작동하는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31009A 2005-04-14 2005-04-14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60108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09A KR20060108832A (ko) 2005-04-14 2005-04-14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009A KR20060108832A (ko) 2005-04-14 2005-04-14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32A true KR20060108832A (ko) 2006-10-18

Family

ID=3762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009A KR20060108832A (ko) 2005-04-14 2005-04-14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88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133A1 (en) * 2019-08-21 2021-02-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ing apparatus using non-azeotropic mixed refriger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133A1 (en) * 2019-08-21 2021-02-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ing apparatus using non-azeotropic mixed refrige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18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1394481B1 (en) Refrigerator
JP3816872B2 (ja) 2つの蒸発器を備えた冷凍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法
JP4317793B2 (ja) 冷却システム
JP2000146328A (ja) 冷凍空調装置
KR200456849Y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JP2006336943A (ja) 冷凍システムおよび保冷庫
JPH10267503A (ja) 除霜のための冷媒の循環方法及び当該方法を用いた冷蔵庫
KR100796452B1 (ko) 히트펌프 및 이를 이용한 제상 방법
JP2005106454A (ja) 冷蔵庫
JP4178646B2 (ja) 冷蔵庫
JP2007093112A (ja) 冷却貯蔵庫
KR20100027353A (ko) 냉장냉동장치
JP2006023028A (ja) 冷媒冷却回路
JP3714348B2 (ja) 冷凍装置
JP2005257149A (ja) 冷蔵庫
JP201716115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60108832A (ko) 냉장고, 냉장고의 냉동시스템 및 냉동시스템의 제어방법
JP5556170B2 (ja) コンテナ用冷凍装置
JP5056026B2 (ja) 自動販売機
KR20060000943A (ko) 냉장고의 냉각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냉각제어방법
KR100549062B1 (ko) 냉장고
JP3735338B2 (ja) 車両用冷凍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0182726B1 (ko) 독립냉각방식 냉장고의 제상장치
KR200458146Y1 (ko) 냉동차량용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