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190A -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190A
KR20060108190A KR1020050030394A KR20050030394A KR20060108190A KR 20060108190 A KR20060108190 A KR 20060108190A KR 1020050030394 A KR1020050030394 A KR 1020050030394A KR 20050030394 A KR20050030394 A KR 20050030394A KR 20060108190 A KR20060108190 A KR 20060108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backrest
chair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의
Original Assignee
김진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의 filed Critical 김진의
Priority to KR102005003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8190A/ko
Publication of KR2006010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면 후방에 힌지부(13)가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다리(12)가 형성되는 시트(11)와; 하부에 상기 힌지부(13)에 체결되는 체결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7)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는 등받이(16)와; 상기 등받이(16)에 결속되어 구비되고 암수의 버클(20)에 의해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19)와; 일단이 상기 허리벨트(19)의 일측에 고정되고 자유단(21a)인 타단이 상기 시트(11)의 측면부에 착탈되는 한쌍의 탄력을 가진 시트지지밴드(21)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16)의 일측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자유단(22a)인 타단이 상기 시트(11)의 일측면에 착탈되는 등받이고정끈(22)과; 상기 시트(11)의 전면부 중앙에 길게 구비되는 중앙끈(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받이(16)의 중앙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장방형의 벨트결속구(18)가 형성되며; 상기 허리벨트(19)의 양단이 상기 벨트결속구(18)에 결속되어 중앙부위가 상기 벨트결속구(18)에 지지되고; 상기 시트(11)의 일측면 전방측에 벨트결속고리(14)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지지밴드(21)의 자유단(21a)이 상기 벨트결속고리(14)에 착탈되며; 상기 시트(11)의 일측면 후방측에 끈결속고리(15)가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고정끈(22)의 자유단(22a)이 상기 끈결속고리(15)에 착탈되는 작업용 의자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밭 이나 갯벌 등에서 앉아서 이동하면서 주로 작업하는 농어민들이 의자를 일일이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뿐 아니라,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작업동선에 영향없이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하여 종래의 작업의자보다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착용한 상태로 쉽게 앉고 일어설 수 있고, 휴식시 등받이(16)를 고정하여 작업중 등받이(16)에 기대서 휴식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관없이 누구나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등받이, 시트, 벨트결속구, 허리벨트, 시트지지밴드, 등받이고정끈, 벨트결속고리, 끈결속고리

Description

작업용 의자 {chair for work}
도 1은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31,41 ; 시트 12 ; 지지다리
13,32 ; 힌지부 14 ; 벨트결속고리
15 ; 끈결속고리 16,36 ; 등받이
17 ; 체결부 18 ; 벨트결속구
19 ; 허리벨트 20 ; 버클
21 ; 시트지지밴드 22 ; 등받이고정끈
23 ; 중앙끈 37 ; 볼트
38 ; 너트 41 ; 엠보싱
C ; 길이조절용클립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어민들이 작업시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농어촌 등지에서 수작업이나 농작업을 할 경우는 대부분 자리를 이동해가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항시 의자를 휴대하게 되었고, 작업시에 의자위에 앉아서 작업을 하면서 자리를 이동해야 할 경우는 의자를 손으로 들고 자리를 이동하여 작업위치에 다시 의자를 위치시켜서 의자위에 앉아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20-0366071호 "인체 착용형 작업 의자"가 발명된바 있으나, 종래의 인체 착용형 작업 의자는 등받이부와 방석부재를 지지하는 다리부위가 등받이부의 하측과 방석부재의 전방 하측에 분리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자를 착용하여 작업위치에 앉을 경우 각각에 형성된 다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세심한 신경을 써서 앉아야 하므로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앉는 동작이 매우 불편하였다.
그리고 의자를 착용시 어깨벨트부재를 어깨에 착용하여야 하므로 앉아서 장시간 작업시 어깨벨트부재로 인해 작업으로 인한 양팔의 피로감 이외의 또 다른 무게 중량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더욱 피로감을 더하였다.
또한 어깨벨트부재를 어깨에 착용하여야 함으로 인해 작업시 양팔을 주로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작업동선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지루함과 피로를 잠시 덜기위하여 상체를 뒤로 저치게 되면 등받이부가 뒤로 저쳐지면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다리부가 등받이의 회동에 의해 다리부가 전방측으로 틀어지게 되므로 의자 전체의 균형이 깨져서 사용자가 뒤로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편, 여성들이 지개를 매는 것은 거부감을 갖게되는 우리의 문화적 정서로 인해 어깨벨트부재를 어깨에 착용하는 지개식의 종래 발명은 보통 밭일을 많이 하는 농촌의 여성들에게 거부감을 주게되어 적합하지 못한 발명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작업동선에 영향없이 활동이 자유로우며, 앉고 서는 동작이 쉬워지도록 한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작업용 의자는,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면 후방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다리가 형성되는 시트와; 하부에 상기 힌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결속되어 구비되고 암수의 버클에 의해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와; 일단이 상기 허리벨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자유단인 타단이 시트의 측면부에 착탈되는 한쌍의 탄력을 가진 시트지지밴드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의 일측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자유단인 타단이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착탈되는 등받이고정끈과; 상기 시트의 전면부 중앙에 길게 구비되는 중앙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다른 특징은, 상기 등받이의 중앙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장방형의 벨트결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허리벨트의 양단이 상기 벨트결속구에 결속되어 중앙부위가 상기 벨트결속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시트의 일측면 전방측에 벨트결속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지지밴드의 자유단이 상기 벨트결속고리(14)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시트의 일측면 후방측에 끈결속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고정끈의 자유단이 상기 끈결속고리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밭 이나 갯벌 등에서 앉아서 이동하면서 주로 작업하는 농어민들이 의자를 일일이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뿐 아니라,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작업동선에 영향없이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하여 종래의 작업의자보다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착용한 상태로 쉽게 앉고 일어설 수 있고, 휴식시 등받이를 고정하여 작업중 등받이에 기대서 휴식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관없이 누구나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결합 사시도로써, 본 발명 작업용 의자는 등받이(16), 시트(11), 허리벨트(19), 시트지지밴드(21), 등받이고정끈(22)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시트(11)는 상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다리(12)가 형성되고, 상측 후방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힌지부(13)가 형성되며, 양측면 전방측에는 벨트결속고리(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면의 벨트결속고리(14) 후방측에는 끈결속고리(15)가 형성된다.
등받이(16)는 시트(11)와 양분되어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하측에 시트(11)의 힌지부(13)에 체결되는 체결부(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의 중앙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장방형의 벨트결속구(18)가 형성된다.
허리벨트(19)는 등받이(16)에 형서된 벨트결속구(18) 각각에 양단이 삽입되어서 결속되고 중앙부위가 벨트결속구(18)에 지지되며, 양단에는 암수의 버클(20)이 구비되어 허리에 쉽게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허리벨트(19)의 일측에는 길이조절용클립(C)이 결속되어 허리벨트()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시트지지밴드(21)는 일단이 허리벨트(19)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자유단(21a)인 타단은 시트(11)의 양측면 즉, 벨트결속고리(14)에 자유단(21a)이 착탈되어진다.
등받이고정끈(22)은 등받이(16)의 일측에 일단이 결속되어 고정되고 자유단(22a)인 타단은 시트(11) 일측면의 끈결속고리(15)에 자유단(22a)이 착탈되어진다.
중앙끈(23)은 시트(11)의 전면부 중앙에 결속되어 구비되고, 이는 시트(11)를 사용자의 둔부에 밀착고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허리띠 등에 결속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작업용 의자는, 각종 작업시 사용할경우, 먼저 시트(11)위에 사용자가 착석하고 등받이(16)에 결속되어 구비된 허리벨트(19)를 허리에 착용하여 등받이(16)가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허리벨트(19)가 결속된 등받이(16)의 벨트결속구(18)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허리벨트(19)의 착용시 허리벨트(19)의 위치를 높게 하거나 낮게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허리나 가슴, 배 등에 위치시켜 사용이 가능하며, 허리벨트(19)의 일측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즉, 허리둘레에 따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허리벨트(19)에 일단이 고정된 양측의 시트지지밴드(21)를 시트(11) 양측면에 형성된 벨트결속고리(14)에 자유단(21a)을 결속하여 고정시키고, 중앙끈()을 사용자의 허리띠 등에 결속하여 착용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업을 하는도중 사용자가 전후방이나 좌우로 조금씩 움직여도 의자는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트지지밴드(21)가 탄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구비되므로 작업중 사용자가 지루함을 해소하거나 허리의 뻣뻣함을 해소하기 위해 상체를 앞뒤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작업동선이 커질시는 시트지지밴드(21)가 시트(11)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시트(11)가 신체에 밀착되어 착용된 상태로 사용자의 이동범위 가 제한되므로 시트지지밴드(21)를 벨트결속고리(14)에서 분리하면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시트지지밴드(21)가 시트(11)에서 분리되면 시트(11)는 전후로 흔들리게 되는데, 시트(11)가 흔들리지 않도록 시트(11) 중앙에 구비된 중앙끈(23)을 손으로 잡거나 사용자의 허리띠에 결속하여 시트(11)가 이동간에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작업중에 잠시 휴식을 취할시는 등받이(16) 일측에 구비된 등받이고정끈(22)의 자유단(22a)을 시트(11)의 일측면에 형성된 끈결속고리(15)에 결속하여 등받이(16)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등받이(16)에 기대서 편하게 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 작업용 의자는 허리벨트(19)를 허리에 착용하여 등받이(16)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등받이부재가 어깨벨트부재가 어깨에 착용되어 등받이부재가 고정되었던 종래와 달리 사용자의 작업시 양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작업시의 행동제한이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지지다리(12)가 시트(11)의 둘레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다리가 방석부재의 전방 하측과 등받이부의 하측에 형성구비되어 방석부재와 등받이부의 균형을 세심히 고려하여 앉아야 했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 작업용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업위치에 앉을시 등받이(16)의 관여 없이 시트(11)의 지지다리(12)만 바닥에 닿으면 항시 균형이 유지되어 사용자의 앉는 동작이 쉬워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작업시 앉고 일어서기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작업동선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하여 종래보다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트(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과 저면이 개방되어져 있으나, 측면 및 저면이 막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바, 측면 및 저면이 막혀서 평평한 상태로 구비되면 농민들이 논밭에서 일할시 본 발명 작업용 의자를 고랑이나 밭두둑상에 올려놓고 사용하여도 농작물이 손상되거나, 밭에 씌워진 비닐이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고랑에서 본 발명 작업용 의자가 밑으로 주저안지 않고 처음 위치 그대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확대 사시도로써, 등받이(36)와 시트(31)의 체결부위가 도2와 같이 각각의 힌지부(32)에 관통되는 볼트(37) 및 너트(38)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으며,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시트의 단면도로써, 도3과 같이 시트(41)의 측면 및 저면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저면에는 다수의 엠보싱(4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 작업용 의자는 저면이 막혀있고 그 저면에 다수의 엠보싱(41)이 형성되므로 어민들이 갯벌 등에서 작업시 사용하면 갯벌에서 쉽게 가라앉지 않게 되며, 엠보싱(41)에 의해 시트(41)의 저면과 갯벌의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표면장력이 작아지게 되어 찐득한 갯벌에서도 본 발명 작업용 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쉽게 앉고 설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에 의하면, 밭 이나 갯벌 등에서 앉아서 이동하면서 주로 작업하는 농어민들이 의자를 일일이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뿐 아니라,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작업동선에 영향없이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하여 종래의 작업의자보다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착용한 상태로 쉽게 앉고 일어설 수 있고, 휴식시 등받이(16)를 고정하여 작업중 등받이(16)에 기대서 휴식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상관없이 누구나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면 후방에 힌지부(13)가 형성되고 상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지지다리(12)가 형성되는 시트(11)와;
    하부에 상기 힌지부(13)에 체결되는 체결부(17)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7)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는 등받이(16)와;
    상기 등받이(16)에 결속되어 구비되고 암수의 버클(20)에 의해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벨트(19)와;
    일단이 상기 허리벨트(19)의 일측에 고정되고 자유단(21a)인 타단이 상기 시트(11)의 측면부에 착탈되는 한쌍의 탄력을 가진 시트지지밴드(21)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16)의 일측에 결속되어 고정되고 자유단(22a)인 타단이 상기 시트(11)의 일측면에 착탈되는 등받이고정끈(22)과;
    상기 시트(11)의 전면부 중앙에 길게 구비되는 중앙끈(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6)의 중앙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한쌍을 이루는 장방형의 벨트결속구(18)가 형성되며;
    상기 허리벨트(19)의 양단이 상기 벨트결속구(18)에 결속되어 중앙부위가 상 기 벨트결속구(18)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1)의 일측면 전방측에 벨트결속고리(14)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지지밴드(21)의 자유단(21a)이 상기 벨트결속고리(14)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1)의 일측면 후방측에 끈결속고리(15)가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고정끈(22)의 자유단(22a)이 상기 벨트결속고리(14)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KR1020050030394A 2005-04-12 2005-04-12 작업용 의자 KR20060108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94A KR20060108190A (ko) 2005-04-12 2005-04-12 작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94A KR20060108190A (ko) 2005-04-12 2005-04-12 작업용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047U Division KR200389409Y1 (ko) 2005-04-12 2005-04-12 작업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190A true KR20060108190A (ko) 2006-10-17

Family

ID=3762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394A KR20060108190A (ko) 2005-04-12 2005-04-12 작업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81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31B1 (ko) * 2007-05-31 2008-02-11 선진산업 주식회사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JP2017170135A (ja) * 2016-03-16 2017-09-28 鳥取県 農作業用椅子
KR20190094840A (ko)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케이백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31B1 (ko) * 2007-05-31 2008-02-11 선진산업 주식회사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JP2017170135A (ja) * 2016-03-16 2017-09-28 鳥取県 農作業用椅子
KR20190094840A (ko) 2018-02-06 2019-08-14 주식회사케이백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13013U (zh) 臀部座椅支座装置
US4229835A (en) Padded undergarment for physical fitness
US6387067B1 (en) Shoulder support device for correct shoulder posture
CA2702097A1 (en) A gel pad insert to protect and cushion pelvic region
KR20120059742A (ko) 작업용 방석의자
US6719712B2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ack, hips, upper thighs and groin areas
KR20060108190A (ko) 작업용 의자
GB2546759A (en) A posture support
KR200389409Y1 (ko) 작업용 의자
KR20200041657A (ko) 작업용 방석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JP7365057B2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JP3141172U (ja) 身体装着式簡易立ち椅子
JP3155230U (ja) 上衣と下衣の最適着衣状態を保持する器具。
US6101629A (en) Knee chap
JP2015131024A (ja) 子守帯
JP6865973B2 (ja) 座位姿勢矯正ベルト
KR20180110773A (ko) 작업용 의자
JP3221368U (ja) 骨盤クッション
JP3218345U (ja) くびまき
US9750632B1 (en) Lower back support system
JP3212788U (ja) 背筋伸ばし器
US20030200595A1 (en) Support for a user's leg
JP7376074B2 (ja) サポーター付きズボ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