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773A -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773A
KR20180110773A KR1020170040518A KR20170040518A KR20180110773A KR 20180110773 A KR20180110773 A KR 20180110773A KR 1020170040518 A KR1020170040518 A KR 1020170040518A KR 20170040518 A KR20170040518 A KR 20170040518A KR 20180110773 A KR20180110773 A KR 2018011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belt
chair
buckle
belt
mount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종
Original Assignee
김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종 filed Critical 김민종
Priority to KR102017004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0773A/ko
Publication of KR2018011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농업분야와 어업분야를 비롯한 각종 산업분야에서 쪼그려 앉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엉덩이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및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하기 위하여 쪼그려 앉을 때 몸으로부터 빠지거나 엉덩이 윗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엉덩방아를 찧지 않도록 함으로써 허리나 꼬리뼈를 다치게 되는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착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작업용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지퍼에 의하여 개폐되는 커버의 내부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쿠션재가 수용된 소정 높이의 의자본체를 포함하는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의 뒷부분 중심선상에 재봉결합된 상태에서 의자본체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을 구부린 상태에서 면접촉시키는 경우에 고리부가 형성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에 횡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양쪽 끝부분에는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는 암버클과 수버클이 결합된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벨트의 앞부분 좌우 양측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암버클이 결합된 장착띠와; 상기 의자본체의 앞쪽 중심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게 재봉결합되고, 끝부분에는 상기 허리벨트에 설치된 장착띠상의 암버클에 끼워져 결속되는 수버클이 결합되며,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허리벨트의 앞부분 좌우 양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허리벨트에 설치된 장착띠 상의 암버클에 끼워져 결속되는 한 쌍의 비탄성 결속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작업용 의자{Work stool}
본 발명은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업분야와 어업분야를 비롯한 각종 산업분야에서 쪼그려 앉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엉덩이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및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하기 위하여 쪼그려 앉을 때 몸으로부터 빠지거나 엉덩이 윗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엉덩방아를 찧지 않도록 함으로써 허리나 꼬리뼈를 다치게 되는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착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하는 농·어민들을 비롯하여 기타 각종 산업분야의 작업장 내에서 이동하면서 단순 조립 등을 하는 작업자들은 작업위치에서 쪼그려 앉아서 이동 및 작업을 하게 된다.
예로서, 농산물인 고추, 딸기, 토마토 등과 같은 작물들을 밭이나 비닐하우스에서 이랑을 따라 이식(移植)하거나 수확하는 경우 또는 해산물 등을 손질·수거하거나 그물 등의 어구(漁具)를 손질하는 경우 또는 일정 크기의 작업장에서 긴 조립라인을 따라 공산품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해야됨으로 허리와 무릎 등에 무리가 가해져 허리디스크, 관절염 등 질병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그러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이동할 때마다 의자나 방석 등을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농촌에서 농작물을 옮겨 심거나 수확하는 경우에 깔고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통상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받침판을 깔고 앉을 수 있도록 하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소형 의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어떠한 경우든 작업 장소를 이전할 경우 받침판이나 소형 의자를 손으로 들고 이동시켜야 하므로 이동이 잦은 작업환경에서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스티로폼 받침판이 커버의 내부에 수용된 형태의 작업용 의자가 마련되고, 상기 작업용 모자를 구성하는 커버에는 가랑이에 끼워 걸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걸림끈을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끈을 가랑이에 끼워 걸면 작업용 의자가 착용자의 엉덩이에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하여 손으로 잡지 않고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의자의 경우 걸림끈의 양단이 커버에 고정된 폐루프(Closed loop)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복을 입고, 장화 같은 작업화를 신은 상태에서는 가랑이에 끼워 걸어주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고, 작업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걸림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및 착용상태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작업용 의자를 장시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걸림끈이 가랑이쪽 신체부위를 압박하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저림현상이 발생되고, 피부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작업용 의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2177호(명칭: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몸체(10)의 뒷부분 상부 좌우 양쪽으로부터 윗쪽으로 허리벨트(20)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의자몸체의 상부 양쪽으로부터 고정벨트(30)가 연장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허리벨트에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벨트의 아랫부분으로부터 별도의 걸개벨트(40)가 연장된 상태에서 의자몸체에 결합되어 착용시 엉덩이 하부에 걸쳐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앉을 때 의자몸체가 엉덩이에 밀착되도록 하여 바로 앉을 수 있고 허리 벨트에 의해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착용시 고정벨트에 연결된 걸개벨트가 허벅지에 걸리는 것이 아니라 엉덩이 아랫부분에 걸리기 때문에 작업을 위하여 쪼그려 앉는 순간 의자몸체가 윗쪽으로 밀리면서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뒤로 넘어지게 되어 허리나 꼬리뼈를 다치게 되는 등 부상의 위험이 매우 크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허리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및 착용상태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2177호,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농업분야와 어업분야를 비롯한 각종 산업분야에서 쪼그려 앉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엉덩이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및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하기 위하여 쪼그려 앉을 때 몸으로부터 빠지거나 엉덩이 윗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엉덩방아를 찧지 않도록 함으로써 허리나 꼬리뼈를 다치게 되는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착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작업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퍼에 의하여 개폐되는 커버의 내부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쿠션재가 수용된 소정 높이의 의자본체를 포함하는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의 뒷부분 중심선상에 재봉결합된 상태에서 의자본체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을 구부린 상태에서 면접촉시키는 경우에 고리부가 형성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에 횡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양쪽 끝부분에는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는 암버클과 수버클이 결합된 허리벨트와; 상기 허리벨트의 앞부분 좌우 양측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암버클이 결합된 장착띠와; 상기 의자본체의 앞쪽 중심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게 재봉결합되고, 끝부분에는 상기 허리벨트에 설치된 장착띠상의 암버클에 끼워져 결속되는 수버클이 결합되며,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허리벨트의 앞부분 좌우 양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허리벨트에 설치된 장착띠상의 암버클에 끼워져 결속되는 한 쌍의 비탄성 결속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편의 뒷면에는 상단부를 뒷쪽으로 구부려 면접촉시키는 경우에 서로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면서 고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벨크로파스너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에 끼워지는 허리벨트의 뒷부분 앞면에도 벨크로파스너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고리부의 형성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허리벨트의 착용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벨트에 대한 장착띠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띠가 허리벨트의 앞면과 뒷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장착띠 뒷부분 내측면과 상기 장착띠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허리벨트의 뒷면에는 일정 범위에 걸쳐 각각 벨크로파스너가 설치되어 허리벨트에 대하여 장착띠를 탈부착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농업분야와 어업분야를 비롯한 각종 산업분야에서 쪼그려 앉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 허리벨트를 착용한 다음 결속벨트를 가랑이의 앞쪽으로부터 허리벨트의 앞부분 좌우 양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결속벨트상의 수버클을 허리벨트에 설치된 장착띠상의 암버클에 끼워 결속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결속벨트가 가랑이 앞쪽에서 허리벨트의 앞부분 좌우 양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허리벨트에 설치된 장착띠상의 암버클에 끼워져 결속되기 때문에 작업을 하기 위하여 쪼그려 앉을 때 의자본체가 몸으로부터 빠지거나 엉덩이 윗쪽으로 밀리지 않게 되어 엉덩방아를 찧을 염려가 없고 따라서 허리나 꼬리뼈를 다치는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지지편의 윗부분을 구부려 고리부를 형성할 때, 고리부의 형성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맞추어 허리벨트의 착용 높이와 횡방향 길이의 중심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작업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에서 허리벨트의 전면 앞부분에 암버클이 구비된 장착띠가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에서 허리벨트의 전면 앞부분에 암버클이 구비된 장착띠가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탈부착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에서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허리벨트의 착용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에서 의자본체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10)는 쪼그려 앉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엉덩이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 및 작업할 수 있도록 하되,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쪼그려 앉을 때 몸으로부터 빠지거나 윗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고, 착용자의 신체구조에 따라 착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퍼(11)에 의하여 개폐되는 커버(12)의 내부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쿠션재(13)가 수용되는 소정 높이의 의자본체(20)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자본체(20)의 뒷부분 중심선상에는 별도의 지지편(30)이 의자본체(20)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상태로 재봉결합되는데, 상기 지지편(30)은 윗부분을 뒷쪽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면접촉시키는 경우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고리부(31)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31)에는 착용자의 허리에 감겨지는 허리벨트(40)가 횡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는데, 상기 허리벨트(40)의 양쪽 끝에는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는 암버클(41)과 수버클(42)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벨트(40)의 앞부분 좌우 양측에는 별도의 장착띠(50)가 고정되거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띠(50)의 하단부에는 암버클(51)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지지편(30)과 마주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의자본체(20)의 앞쪽 중심부 가장자리에는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허리벨트(40)의 앞부분 좌우 양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허리벨트(40)에 설치된 장착띠(50)상의 암버클(51)에 끼워져 결속되는 한 쌍의 비탄성 결속벨트(6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결속벨트(60)의 고정되지 않은 끝부분에는 상기 장착띠(50)상의 암버클(51)에 끼워져 결속되는 수버클(61)(62)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30)의 뒷면에는 상단부를 뒷쪽으로 구부려 면접촉시키는 경우에 서로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면서 고리부(31)가 형성되도록 하는 벨크로파스너(70)가 형성되고, 상기 상기 지지편(30)상의 고리부(31)에 끼워지는 허리벨트(40)의 뒷부분 앞면에도 벨크로파스너(7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리부(31)의 형성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허리벨트(40)의 착용높이와 허리벨트(40)의 횡방향 길이의 중심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허리벨트(40)에 대한 장착띠(5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띠(50)가 허리벨트(40)의 앞면과 뒷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장착띠(50) 뒷부분 내측면과 상기 장착띠(50)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허리벨트(40)의 뒷면에는 각각 벨크로파스너(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허리벨트(40)에 대한 장착띠(50)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장착띠의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10)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본체(20)의 상부면이 착용자의 엉덩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허리벨트(40)를 허리에 감은 상태에서 허리벨트(40)의 양단에 결합된 암버클(41)과 수버클(42)을 서로 끼워 결속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편(30)과 마주하는 위치에 해당되는 의자본체(20)의 앞쪽 중심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한 쌍의 비탄성 결속벨트(60)를 착용자의 가랑이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허리벨트(40)의 앞부분 좌우 양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결속벨트(60)상의 수버클(61)(62)을 상기 허리벨트(40)에 앞부분 좌우 양쪽에 설치된 장착띠(50)상의 암버클(51)에 끼워 결속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10)의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쪼그려 앉는 경우에 양쪽의 결속벨트(60)가 가랑이 앞쪽으로부터 허리벨트(40)의 앞부분 좌우 양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장착띠(50)상의 암버클(51)에 결속되기 때문에 의자본체(20)가 몸으로부터 빠지거나 엉덩이 윗쪽으로 밀리지 않게 되어 엉덩방아를 찧을 염려가 없고 따라서 허리나 꼬리뼈를 다치게 되는 부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허리벨트(40)의 착용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30)의 윗부분을 뒷쪽으로 구부려 고리부(31)를 형성할 때, 상기 고리부(31)의 형성 높이를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높게 하거나 낮게 조절한 상태에서 허리벨트(40)를 끼워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또, 착용자의 허리둘레가 큰 경우에 허리벨트(40)의 양쪽 끝부분에 결합된 암버클(41)이나 수버클(42)쪽에서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허리벨트(41)의 중심을 맞추어야 하는데, 이 경우 허리벨트(40)의 뒷면과 지지편(30)상의 고리부(31)의 내면에 형성된 벨크로파스너(70)를 분리하여 길이의 중심을 조절한 후 다시 부착하면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허리벨트(40)를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장착띠(50)가 허리벨트(40)에 대하여 벨크로파스너(70)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에,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허리벨트(40)상에서의 설치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10 : 작업용 의자 12 : 커버
20 : 의자본체 30 : 지지편
31: 고리부 40 : 허리벨트
41, 51 : 암버클 42, 61,62 : 수버클
50 : 장착띠 60 : 결속벨트
70 : 벨크로파스너(Velcro-fastner).

Claims (3)

  1. 지퍼(11)에 의하여 개폐되는 커버(12)의 내부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쿠션재(13)가 수용된 소정 높이의 의자본체(20)를 포함하는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본체(20)의 뒷부분 중심선상에 재봉결합된 상태에서 의자본체(20)의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을 구부린 상태에서 면접촉시키는 경우에 고리부(31)가 형성되는 지지편(30)과;
    상기 지지편(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31)에 횡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양쪽 끝부분에는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속되는 암버클(41)과 수버클(42)이 결합된 허리벨트(40)와;
    상기 허리벨트(40)의 앞부분 좌우 양측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암버클(51)이 결합된 장착띠(50)와;
    상기 의자본체(20)의 앞쪽 중심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게 재봉결합되고, 끝부분에는 상기 허리벨트(40)에 설치된 장착띠(50)상의 암버클(51)에 끼워져 결속되는 수버클(61)(62)이 결합되며, 착용시 착용자의 가랑이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허리벨트(40)의 앞부분 좌우 양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허리벨트(40)에 설치된 장착띠(50)상의 암버클(51)에 끼워져 결속되는 한 쌍의 비탄성 결속벨트(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30)의 뒷면에는 상단부를 뒷쪽으로 구부려 면접촉시키는 경우에 서로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면서 고리부(31)가 형성되도록 하는 벨크로파스너(70)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31)에 끼워지는 허리벨트(40)의 뒷부분 앞면에도 벨크로파스너(70)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고리부(31)의 형성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허리벨트(40)의 착용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40)에 대한 장착띠(50)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띠(50)가 허리벨트(40)의 앞면과 뒷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장착띠(50)의 뒷부분 내측면과 상기 장착띠(50)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허리벨트(40)의 뒷면에는 일정 범위에 걸쳐 각각 벨크로파스너(70)가 설치되어 허리벨트(40)에 대하여 장착띠(50)를 탈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KR1020170040518A 2017-03-30 2017-03-30 작업용 의자 KR20180110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518A KR20180110773A (ko) 2017-03-30 2017-03-30 작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518A KR20180110773A (ko) 2017-03-30 2017-03-30 작업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773A true KR20180110773A (ko) 2018-10-11

Family

ID=6386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518A KR20180110773A (ko) 2017-03-30 2017-03-30 작업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07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3747A (zh) * 2020-11-10 2021-03-16 黄滔 蹲姿作业辅助装置及使用方法
US11304529B2 (en) * 2017-12-24 2022-04-19 Edenview Co., Ltd Work 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4529B2 (en) * 2017-12-24 2022-04-19 Edenview Co., Ltd Work chair
CN112493747A (zh) * 2020-11-10 2021-03-16 黄滔 蹲姿作业辅助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5093A (en) Animal leash assembly
JP6491200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6125792A (en) Shoulder harness with support handle
US8490844B2 (en) Front infant carrier
US3094990A (en) Garment
US4057853A (en) Snake leggings
SE0900554A1 (sv) Barnbärsele vars sittstöds bredd kan ändras.
KR102161316B1 (ko) 반려동물용 엘리자베스 칼라
JPH06237951A (ja) 支持控え
AU2019264559A1 (en) Breastfeeding aid
KR20180110773A (ko) 작업용 의자
US5762619A (en) Fashion belt with built-in lumbar support
US20170188641A1 (en) Garment configured for protecting wearer's legs
KR20200041657A (ko) 작업용 방석
US8505542B2 (en) Infant hand restraint with diaper
US20200375774A1 (en) Knee brace
KR20180016225A (ko) 작업용 의자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US2418050A (en) Child's garment
JP6530153B1 (ja) ペット用サスペンダー
US2671904A (en) Garter
DE1610538A1 (de) Unterwaesche und Nachtbekleidung fuer/mit Hautschutz
JP3224920U (ja) ペット用サスペンダー
RO134871A2 (ro) Sistem de purtat copiii care cuprinde un sistem de prindere şi ajustare progresivă simultană a lăţimii şi lungimii panoului de susţinere dorsală
US2445349A (en) Garment suppo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