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331B1 -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331B1
KR100800331B1 KR1020070053365A KR20070053365A KR100800331B1 KR 100800331 B1 KR100800331 B1 KR 100800331B1 KR 1020070053365 A KR1020070053365 A KR 1020070053365A KR 20070053365 A KR20070053365 A KR 20070053365A KR 100800331 B1 KR100800331 B1 KR 10080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osture
shoulder
us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용
Original Assignee
선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깨걸이(8)(10)를 좌우분리구성하여 각각 걸이부(10c)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긴 결합봉(10a)을 통하여 등판(2)의 연결부(4)(6)가 갖는 안내홈(6a)에 끼워 설치해 주도록 함으로서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연결부(4)(6)로부터 좌우어깨걸이(8)(10)의 상하 및 회전작동으로 의자의 사용 및 어깨걸이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의 자세교정장치{POSTURE CORRECTING DEVICE FOR CHAIR}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의자 (2)--등판
(4)(6)--연결부 (6a)--안내홈
(8)(10)--어깨걸이 (10a)--결합봉
(10b)--걸림구 (10c)--걸이부
(12)--연결구 (14)--받침대
(16)--좌판
본 발명은 주로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의 의자사용시 바른 자세유지를 습관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거의 대부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바른 자세를 습관화한다면 장시간 이용시에도 척추에 무리를 줄 우려가 없어 건강을 지킬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의자를 처음 사용하는 시기는 분별력이 떨어지고 또 산만한 유아기때부터로서, 이시기에는 스스로 바른 자세유지를 기대하기 어렵고 또 이시기에 바른자세를 습관화하지 못할 경우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이 되기까지 이어지는 의자의 과정에서 불안정한 자세에 의한 척추의 무리로 관련질병에 시달리게 되며, 현재 이러한 척추관련질병의 높은 발병율로 큰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건 출원인은 유아기 의자를 접할시 바른 자세를 습관화시켜 줄 수가 있고 또 불안정한 자세가 습관화된 청소년이나 성인들의 자세를 교정시켜 줄 수 있는 자세교정장치에 대하여 이미 특허출원 제2006-117015호를 제공한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2006-117015호는 등판 배면에 나란히 연결고정되는 좌우 안내편에 서로 일체감있게 연결된 좌우연결편을 삽입하여 장공과 볼트를 통하여 높낮이 조절가능케 연결하고 상기 좌우연결편에서는 이역시 서로 일체감있게 연결되는 좌우지지부를 힌지로 연결형성하여 사용자의 착석후 좌우지지부를 직립시켜서 상기 좌우지지부가 갖는 결합홈에 사용자의 양어깨부위가 삽입되게 하여 허리를 구부리는등의 불안정한 자세를 취할시 그 지지부에 의한 어깨부위의 당김으로 자심이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인지시켜 주어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자세교정장치는 목적하는바 충분히 달성할 수는 있으나 지지부 외에 상기 지지부와 힌지로 연결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을 높낮이 조 정가능케 연결하는 안내편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구조로서, 제작시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또 연결편과 안내편이 크게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좌우지지부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연결편을 통하여 높낮이를 조절토록 함으로서 무게가 무겁고 또 승강작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장공과 볼트를 통하여 조절된 높낮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또 앉은 상태에서는 높낮이 조절기 불가능할 뿐 아니라 매착석시 힌지를 이용하여 지지부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착석하고 착석후 젖혀진 지지부를 세워주어야 하나 뒤로 젖혀진 지지부는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나 위치상 손이 닿기 어려워 사용상의 불편함어 더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또 외관상 크게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높낮이 조절 및 착탈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의자의 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깨걸이를 좌우분리구성하여 각각 하부에 갖는 결합봉을 통하여 등판의 연결부가 갖는 안내홈에 승강 및 회전가능토록 끼워 설치하여서 된 자세교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 중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의자(A)의 등판(2) 배면에 갖는 좌우연결부(4)(6)의 안내홈(6a)에 어깨걸이(8)(10)의 결합봉(10a)이 결합되게 하여 상기 결합부(10a) 단부에 갖는 걸림구(10b)에 의해 어깨걸이(8)(1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등판(2)의 배면에 갖는 좌우연결부(4)(6)는 본체와 커버로 구성되어 별도의 연결구(12)를 통하여 받침대(14)를 결합하게 되는데, 성형제작시 각각 본체의 외측에 상하로 긴 안내홈(6a)이 형성되게 하여 커버의 조립으로 상기 안내홈이 차단되게 하고 또 안내홈(6a)의 상면에는 어깨걸이(8)(10)의 결합봉(10a) 직경보다 크고 걸림구(10b)의 직경보다는 작은 통공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 통공을 통하여 어깨걸이(8)(10)의 상하 및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깨걸이를 결합하는 안내홈을 반드시 연결부에 형성해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등판이 좌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부를 필요치 않는 의자등에 적용시에는 안내홈을 갖는 별도의 안내편을 부착형성하여 상기 안내편을 통하여 어깨걸이를 결합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어깨걸이(8)(10)는 좌우 각각 결합홈을 갖는 걸이부(10c)의 후방 하부에 긴 결합봉(10a)이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봉(10a)은 가급적 충분한 지지력을 지니도록 하고 또 걸이부(10c)는 충분한 탄력성 을 지니도록 하여 결합봉에 의해 지지력을 갖도록 하면서 그 걸이부는 사용자의 불안정한 자세시에도 필요이상의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걸이부(10c)는 탄력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결합봉(10a)은 금속재로서 그 단부를 걸이부(10c)에 인서트성형하여 어깨걸이(8)(10)를 구성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어깨걸이(8)(10)의 재질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걸이부는 물론 결합봉까지도 합성수지로 성형제작하여 사용토록 하거나 아니면 금속재로 제작하되 그 걸이부는 탄성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하여 충분한 탄력성을 지니도록 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걸림구(10b)는 어깨걸이(8)(10)가 연결부(4)(6)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관체형으로 구성하여 어깨걸이가 갖는 결합봉(10a) 하단에 삽입고정되나, 결합봉(10a)이 금속재로 형성될 경우 그 하단에 금속재 링을 용접고정하여 걸림구로서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등판(2)이 좌판(16)과 분리구성되어 연결부(4)(6)를 통하여 받침대(14)에 연결되는 의자(A)에 적용할시 등판을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변경으로 연결부(4)(6)에 안내홈(6a)을 형성해 줄 수가 있고 이외에 좌우어깨걸이(8)(10)를 별도 제작해 주는 것으로 만족하므로 저렴한 비용부담으로 적용해 제작해 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조립시에는 연결부(4)(6)를 통한 등판(2)의 연결시 좌우어깨걸이(8)(10)의 결합봉(10a)을 연결부(4)(6)의 본체가 갖는 안내홈(10a)에 결합한 다 음 커버를 결합고정해 주면 되므로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좌우어깨걸이(8)(10)는 합성수지재 걸이부(10c)와 금속재의 가는 결합봉(10a)으로 구성되어 무게가 가벼울 뿐 아니라 긴 결합봉(10a)을 통하여 연결부(4)(6)가 갖는 상하로 긴 안내홈(10a)에 헐겁게 결합되어 걸림구(10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결합봉(10a)에 의해 주어지는 길이범위내에서의 상하작동은 물론 방향에 관계없이 회전작동이 유연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어깨걸이(8)(10)의 걸이부(10c)를 잡고 각각 외측으로 벌려주게 되면 결합봉(10a)을 축으로 한 원활한 회전으로 벌림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어깨걸이에 의한 불편함없이 곧바로 착석할 수가 있고 또 착석후 벌어져 있던 걸이부(10c)를 잡고 오무려 주면서 그 걸이부(10c)가 갖는 결합홈 내에 양어깨를 진입시켜 주면 되므로 어깨걸이의 착용 또한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어깨걸이(8)(10)는 등판(2)의 연결부(4)(6)로부터 그 자중에 의해 최소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어깨걸이(8)(10)의 걸이부(10c)가 갖는 높이가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높이에 비해 낮을 경우 사용자가 좌우어깨걸이(8)(10)의 오무림 과정에서 위로 들어올려 주게 되면 상기 어깨걸이(8)(10)는 등판(2)의 연결부(4)(6)로부터의 상승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간단히 착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양어깨에 결쳐진 좌우어깨걸이(8)(10)는 자체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사용자의 어깨와의 접촉으로 적정높이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좌우어깨걸이는 좌우별도구성되고 또 그 무게가 가벼울 뿐 아니라 정자세하에서는 어깨와의 단순한 접촉감 외에는 별다른 간섭우려가 없어 불편함없이 착용하고 있을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중 사용자가 정자세가 아닌 허리를 비틀거나 구부리는 등의 불안정한 자세를 취할시 정위치를 고수하고 있는 어깨걸이(8)(10)의 걸이부(10c)는 사용자의 어깨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그 변화폭만큼 변형되면서 탄성이 작용하여 어깨에 압박감을 가해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곧바로 인지하고는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우어깨걸이(8)(10)는 그 걸이부까지도 전체적으로 강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안정한 자세시 강한 압박감이 주어지도록 하여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기 어렵도록 할 수도 있으나, 그 걸이부에 적절한 탄력성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불안정한 자세를 취할시 약간의 압박감으로 현재 불안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음을 인지시켜서 바른 자세유지를 위한 노력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도 만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필요에 의한 불안정한 자세시에나 갑작스런 직립동작시 어깨걸이의 큰 간섭이나 파손없이도 원하는 동작을 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의자(A)의 사용후 의자로부터 일어서고자 할 경우에는 양어깨에 걸쳐있는 좌우어깨걸이(8)(10)의 걸이부(10c)를 잡고 외측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각각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좌우로 벌어지게 되므로 좌우어깨걸이를 간단 히 분리하고 일어설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기간 이용으로 정자세가 습관화되거나 또는 자세가 교정되어 더 이상의 자세교정을 필요치 않는 경우 좌우어깨걸이의 걸이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뒤로 젖혀두고 의자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연결부(4)(6)로부터 어깨걸이(8)(10)를 간단히 분리제거한 상태에서 의자를 사용하면 되며 이러한 어깨걸이의 분리제거시에는 일반 의자로서의 외관을 유지하게 되므로 어깨걸이(8)(10)의 유무에 관계없이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등판(2)을 연결하는 연결부(4)(6)에 안내홈(6a)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6a)을 통하여 좌우어깨걸이(8)(10)를 연결설치해 주도록 구성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가 있고 또 의자(A)의 외관을 크게 저해할 우려가 없어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가 있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여줄 수가 있으며, 어깨걸이(8)(10)는 좌우분리구성되어 등판(2)이 갖는 연결부(4)(6)로부터 상하 및 회전가능케 연결되므로 의자를 이용하는데 별다른 불편함이 없을 뿐 혼자서도 어깨걸이(8)(10)를 쉽게 착탈할 수가 있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등판(2)의 후방에 좌우 어깨걸이(8)(10)를 상하작동가능케 연결구성하여서 된 의자의 자세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판(2)을 받침대(14)에 연결하는 좌우연결부(4)(6)에 각각 상부에 통공을 갖는 안내홈(6a)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게 하고, 좌우 어깨걸이(8)(10)는 걸이부(10c)로부터 단부에 걸림구(10b)를 갖는 결합봉(10a)이 연장형성되게 분리구성하여 각각 그 결합봉(10a)을 통하여 좌우연결부(4)(6)가 갖는 안내홈(6a)에 결합되게 하여 상하 및 회전작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2. 삭제
KR1020070053365A 2007-05-31 2007-05-31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KR10080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365A KR100800331B1 (ko) 2007-05-31 2007-05-31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365A KR100800331B1 (ko) 2007-05-31 2007-05-31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331B1 true KR100800331B1 (ko) 2008-02-11

Family

ID=3934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365A KR100800331B1 (ko) 2007-05-31 2007-05-31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3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95B1 (ko) * 2008-12-30 2011-01-14 황재용 의자용 자세교정장치
KR101402167B1 (ko) 2012-07-02 2014-06-03 이후장 거북목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74B1 (ko) 2000-08-03 2003-01-14 유승모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0301450Y1 (ko) 2002-10-24 2003-01-24 김명각 의자에 장치하는 졸음방지 및 자세교정기구
KR20060108190A (ko) * 2005-04-12 2006-10-17 김진의 작업용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074B1 (ko) 2000-08-03 2003-01-14 유승모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0301450Y1 (ko) 2002-10-24 2003-01-24 김명각 의자에 장치하는 졸음방지 및 자세교정기구
KR20060108190A (ko) * 2005-04-12 2006-10-17 김진의 작업용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95B1 (ko) * 2008-12-30 2011-01-14 황재용 의자용 자세교정장치
KR101402167B1 (ko) 2012-07-02 2014-06-03 이후장 거북목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867B2 (en) Breastfeeding chair
US6702371B2 (en) Foldable chair with detachable seat arrangement
US8100469B2 (en) Collapsible chair with curved back support
WO2009056004A1 (fr) Chaise de tatouage
US9072386B2 (en) Sitting arrangement
KR100800331B1 (ko) 의자의 자세교정장치
CN203662373U (zh) 靠背网面可拆卸的座椅
CN201230730Y (zh) 一种沙滩椅
CN205568390U (zh) 一种易于拆卸坐垫的可折叠式钓椅
CN201492036U (zh) 一种具有腰靠结构的转椅
KR100396942B1 (ko) 의자
CN210433150U (zh) 椅子及共享椅
CN208863902U (zh) 一种靠垫折叠连接件
CN208573355U (zh) 休憩辅助装置
CN208988166U (zh) 一种椅子搁脚装置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CN216059873U (zh) 一种办公椅
CN204908654U (zh) 折叠椅的扶手结构
CN215686074U (zh) 一种便携式椅面结构
CN213155067U (zh) 一种多功能孕婴枕
CN202775159U (zh) 改良的可调节躺椅
KR200488822Y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요추받침대
CN219422516U (zh) 一种休闲餐椅
CN209595255U (zh) 一种折叠沙发
CN210901861U (zh) 一种具有防脏功能的背包腰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