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410A - 지엽류(紙葉類) 감별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紙葉類) 감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410A
KR20060105410A KR20050091041A KR20050091041A KR20060105410A KR 20060105410 A KR20060105410 A KR 20060105410A KR 20050091041 A KR20050091041 A KR 20050091041A KR 20050091041 A KR20050091041 A KR 20050091041A KR 20060105410 A KR20060105410 A KR 2006010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ity
banknote
light
paper shee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9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유키 사가키
다케요시 기쿠치
히로카즈 가와이
Original Assignee
신꼬오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꼬오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꼬오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2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detecting or indicating tamper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신뢰성이 있는 지엽류의 진위 판별 결과를 얻는다.
지폐(10)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LED(4)와, 지폐(10)를 투과한 적외선을 수광하는 CCD 센서(6)와, CCD 카메라(6)가 수광한 적외선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하는 연산부(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엽류(紙葉類) 감별 장치{A discriminating apparatus for a kind of paper}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류 감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서의 단면의 개략도,
도 3은 지엽류 감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지폐의 진위 감별에 이용되는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지엽류 감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엽류 감별 장치 2 : 하우징체
2a : 재치부 2b : 구멍
3 : 압접부 4 : 적외선 LED
5 : 청색 LED 6 : CCD 센서
7a, 7b : 표시 LED 10 : 지폐
10a : 은화부
본 발명은, 지폐의 진위를 감별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컬러 카피)나 스캐너의 보급에 따라서, 위조 지폐가 간단히 제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은 발명의 위조 지폐를 검출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발명은, 지폐에 인쇄된 위조 방지용의 마이크로 문자를 판독하여 화상을 취득하고, 이 화상에 푸리에 변환을 행한 푸리에 변환 화상을 작성한다. 그리고 푸리에 변환 화상에 포함되는 주파수 성분과 미리 기억시켜 둔 임계값을 비교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 09-330450호 공보
그런데, 최근의 프린터 등은 고기능이고, 위조 지폐의 인쇄 부분은 진짜와 구별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교묘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인쇄 부분(마이크로 문자)을 판독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고, 보다 신뢰성이 있는 진위 판별 결과를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있는 지폐, 증권, 금권과 같은 지엽류의 진위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지엽류 감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엽류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과광 조사부와, 지엽류를 투과한 투과광을 수광하는 투과광 수광부와,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한 투과광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진위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엽류를 투과하는 투과광에 기초하여 진위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짜의 지엽류가 교묘하게 인쇄된 것이어도, 진짜 지엽류의 투과광과의 차이(相違)에 의해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어, 신뢰성이 있는 지엽류의 진위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엽류가 일반 프린터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 진짜 지엽류와 가짜 지엽류에서는,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하는 투과광 량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진짜 지엽류와 가짜 지엽류를 투과한 투과광을 대비함으로써,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지엽류에 반사광을 조사하는 반사광 조사부와, 지엽류를 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하는 반사광 수광부와, 반사광 수광부가 수광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진위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엽류를 반사하는 반사광에 기초하여 진위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짜의 지엽류가 교묘하게 인쇄된 것이어도, 진짜 지엽류의 반사광과의 차이에 의해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어, 신뢰성이 있는 지엽류의 진위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엽류가 일반 프린터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 진짜 지엽류와 가짜 지엽류에서는, 반사광 수광부가 수광하는 반사광 량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진짜 지엽류와 가짜 지엽류를 반사한 반사광을 대비함으로써,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지엽류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과광 조사부와, 지엽류를 투과한 투과광을 수광하는 투과광 수광부와, 지엽류에 반사광을 조사하는 반사광 조사부와, 지엽류를 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하는 반사광 수광부와, 투과광 수광부 가 수광한 투과광 및 반사광 수광부가 수광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진위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투과광과 반사광을 지엽류에 조사하여, 지엽류를 투과한 투과광과, 지엽류를 반사한 반사광으로부터 지엽류의 진위를 감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1개의 광을 지엽류에 조사하여,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경우와의 대비에 있어서, 고정밀도로 진위의 판별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엽류가 지폐인 경우, 지폐에는「은화」가 형성되어 있다. 진짜 지폐의 은화부는 특수한 제조 방법으로 작성된 요철의 모양을 갖고 있지만, 위조 지폐의 은화부의 모양은, 잉크 토너 등에 의해 인쇄(印字)되어 있을 뿐이다. 잉크 토너는, 일반적으로는 적외선을 투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투과광을 적외선으로 한 경우, 은화부를 투과하는 적외선의 투과광 량이 진짜 지폐와 위조 지폐에서 다르다. 또, 잉크 토너를 포함하는 위조 지폐의 은화부는, 비스듬히 조사된 광을 반사하게 되기 때문에, 진짜 지폐의 경우와 달리, 은화부의 모양이 명확하게 부각되게 된다. 이들의 진짜 지폐와 위조 지폐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별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로 진위의 판별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진위 판정부는,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한 투과광 및/또는 반사광 수광부가 수광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패턴을 취득하는 패턴 취득부를 갖고, 패턴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턴을 취득하여, 이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진 위를 판별하기 때문에, 수광한 투과광이나 반사광이 같아도, 지엽류의 패턴에 의해서 진위를 판별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로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진위 판별부는,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한 투과광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재질 및/또는 두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고 있고,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엽류의 재질 및/또는 두께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고정밀도로 지엽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과광 수광부 및 반사광 수광부는, 1개의 수광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투과광 수광부 및 반사광 수광부가 1개의 수광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공간 절약 및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감별 장치(1)는, 지폐(10)를 1장씩 올려 놓고, 올려 놓은 지폐(10)의 은화부(10a)에 적외선(투과광)과 가시광(반사광)을 조사하여, 적외선이 은화부(10a)를 투과한 투과광 량과, 가시광이 은화부(10a)를 반사한 반사광 량으로부터,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하여, 지폐의 진위, 즉, 정규의 지폐(10)인지, 부정하게 위조된 지폐(10)인지를 감별(판별)하는 장치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정규의 지폐(10)를 진권(眞券), 부정하게 위조된 지폐(10)를 위권(僞券)이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위를 판별하는 대상을 지폐로서 설명하지만, 지엽류 감별 장치(1)는, 증권이나 금권 등의 지엽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진권의 은화부(10a)는, 특수한 제조 방법에 의해 요철이 있는 인물 모양(패턴)이 형성되어 있지만, 위권의 은화부(10a)는, 일반적인 잉크 토너에 의해서 인물 모양(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진권 및 위권의 은화부(10a)에서의 광학적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외선이나 가시광을 은화부(10a)에 조사하여, 이들을 수광함으로써,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엽류 감별 장치의 구조)
지엽류 감별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10)를 올려 놓는 평평한 형상의 재치부(載置部)(2a)를 갖는 하우징체(2)와, 재치부(2a)에 올려 놓여진 지폐(10)에 대해서 수직으로 가압 가능한 압접부(3)와, 적외선 LED(4)(투과광 조사부)와, 청색 LED(5)(반사광 조사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6)(투과광 수광부, 반사광 수광부)와, 표시 LED(7a, 7b)를 갖고 있다. 또, 하우징체(2)의 재치부(2a)에는, 올려 놓여진 지폐(10)의 은화부(10a)와 중합하는 부분에, 적어도 은화부(10a)보다도 큰 구멍(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멍(2b)을 설치함으로써, 후술의 적외선을 적어도 지폐(10)의 은화부(10a)에 투과시킬 수 있고, 또, 지폐(10)의 하측으로부터 조사된 가시광을 지폐(10)의 은화부(10a)에서 반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압접부(3)는, 손잡이(3a)와 평판(3b)을 갖고 있고, 평판(3b)이 재치부(2a)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3a)가, 평판(3b)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3a)를 아래쪽으로 누름으로써, 평판(3b)의 하면이 재치부(2a)와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평판(3b)과 재치부 (2a)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평판(3b)의 하면과 재치부(2a)가 접촉하면, 스위치가 온이 되어, 후술의 적외선 LED(4)나 청색 LED(5)가 지폐(10)의 은화부(10a)에 적외선 및 가시광을 조사하여, 지폐(10)의 진위의 감별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는, 접촉식의 스위치이어도 되고, 센서 등에 의한 비접촉식의 스위치이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접부(3)의 평판(3b)을 재치부(2a)에 밀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재치부(2a)에 올려 놓인 지폐(10)를 프레스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구김이 있는 지폐(10)이어도, 이러한 구김을 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의 LED(4·5)로부터의 적외선이 은화부(10a)에 투과될 수 있고, 또, 가시광을 은화부(10a)에 반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고정밀도로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접부(3)를 누름으로써, 감별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지만, 지폐(10)를 재치부(2a)에 올려놓으면, 센서로 검지하여, 감별을 개시하도록 해도 되고, 지폐(10)의 반송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지폐(10)를 재치부(2a)로 반송하여, 감별하도록 해도 된다.
적외선 LED(4)는, 상기의 압접부(3)의 평판(3b) 내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평판(3b)과 재치부(2a)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이 되면, 적외선을 수평으로 조사한다. 또, 상기의 평판(3b)은, 내부에 도광판(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고, 수평으로 조사된 적외선을 재치부(2a)에 올려 놓인 지폐(10)에 대략 수직으로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광판이란, 아크릴판의 표면에 특수한 가 공을 행하여, 단면(端面)에서 들어온 광을 균일하게 면 발광시키는 판이다. 또한, 지폐(10)에 조사된 적외선은, 적어도 지폐(10)의 은화부(10a)에 조사되도록 되어 있고, 지폐(10)에 조사된 적외선은, 구멍(2b)을 통과하여 후술의 CCD 센서(6)로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 LED(4)를 설치하여, 적외선을 지폐(10)에 투과시키고 있지만, 가시광과 적외선을 조합한 광을 지폐(10)에 투과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이러한 투과광이, 은화부(10a)와 그 이외의 영역에 조사된 경우에도, 가시광의 파장대역과 적외선의 파장대역이 겹치지 않고, 또, 지폐(10)의 은화부(10a)와 그 이외의 영역의 광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은화부(10a)와 그 이외의 영역을 더욱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되어, 지폐(10)의 진위의 감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지폐(10)에 투과시키는 투과광을 자외선으로 해도 된다.
청색 LED(5)는, 하우징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평판(3b)과 재치부(2a)에 설치된 스위치가 온이 되면, 청색의 가시광을 비스듬히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청색 LED(5)는, 재치부(2a)의 구멍(2b)을 통해서, 지폐(10)의 은화부(10a)에, 지폐(10)의 하측으로부터 비스듬히 청색의 가시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권의 은화부(10a)를 옐로우나 마젠타로 하고, 가시광을 옐로우나 마젠타의 보색인 청색으로 하고 있지만, 물빛이나 녹색에 가까운 것이어도 되고, 진권의 은화부(10a)의 색과 보색 관계에 있는 색의 가시광이면 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광이 물질에 닿았을 때, 물질 표면색의 보색이 물질 에 흡수되고, 그 이외의 색의 광이 반사하도록 되어 있다. 요컨대, 은화부(10a)의 보색의 가시광을 비스듬히 조사하면, 진권의 은화부(10a)의 경우에는, 가시광이 흡수되지만, 잉크 토너로 인쇄된 위권의 은화부(10a)의 경우에는, 조사된 가시광이 반사하여, 후술의 CCD 센서(6)로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색이란, 빨강→오렌지→노란색→초록→파랑→보라색으로 변화하는 색의 스펙트럼을 원(圓)으로 하였을 때에 선택한 색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색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지엽류 감별 장치(1)에서는, 청색 LED(5)를, 반사광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구비하고 있지만, RGB의 3색을 구비한 광원(예를 들면, LED)을 구비하여, 설정에 의해 조사광의 색을 변화(선택)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진위를 판정하는 지엽류가 지폐(10) 이외의 경우에도, 색을 선택함으로써, 간단히 적용시킬 수 있다.
CCD 센서(6)는, 전기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를 1열로 배치한, 광의 변화를 화소마다 독립으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라인 센서이고, 하우징체(2)의 내부에서, 재치부(2a)의 구멍(2b)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은화부(10a)를 투과한 적외선 LED(4)로부터의 적외선이나, 은화부(10a)에서 반사한 청색 LED(5)로부터의 가시광을 수광한다. 1개의 센서로, 적외선 및 가시광을 수광함으로써, 장치의 공간 절약이나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CD 센서(6)가 적외선이나 가시광을 수광하면, 후술의 제어기(11) 수강(受講)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기(11)에서 지폐(10)의 진위가 감별된다. 이러한 감별 방법 등은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가시광을 청색 LED(5)로부터 조사하여, 은화부(10a)를 반사한 가시광을 CCD 센서(6)에 의해 수광하고 있지만, 가시광을 수광하는 센서를 CMOS 센서로 하여, CMOS 센서나 가시광의 광원 등이 일체로 된 라인 이미지 센서이어도 된다. 이 경우, 장치의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표시 LED(7a, 7b)는, 하우징체(2)의 상면에 설치되어, 지폐의 진위의 감별 결과를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LED(7a)는, 청색 LED이고, 표시 LED(7b)는, 적색 LED이다. 그리고, 지폐(10)의 감별 결과가 진짜인 경우, 즉, 지폐(10)가 진권인 경우, 표시 LED(7a)(청색 LED)를 발광하고, 지폐(10)의 감별 결과가 가짜인 경우, 즉, 지폐(10)가 위권인 경우, 표시 LED(7b)(적색 LED)를 발광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체(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버저가 설치되어 있고, 지폐(10)가 위권인 경우에는, 표시 LED(7b)(적색 LED)가 발광하는 동시에 버저가 울리게 되어 있다.
(장치의 전기적 구성)
상기한 지엽류 감별 장치(1)는, 하우징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기(11)에 의해서 제어되어 있고, 제어기(11)는, 전지(19)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기(1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산부(12)(진위 판별부, 패턴 취득부, 검출부)와, LED 구동부(13)와, A/D 변환부(14)와, 증폭기(15)를 갖고 있다. 연산부(12)는, RAM, ROM, 및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CD 센서(6)로부터의 수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은화부(10a)의 패턴(모양)을 취득하는 처리나, 취득한 패턴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 위를 감별하는 처리, 진위의 감별 결과를 통지하는 처리 등을 실행한다. LED 구동부(13)는, 적외선 LED(4), 청색 LED(5) 및 표시 LED(7a, 7b)를 발광 가능하게 한다. A/D 변환부(14)는, CCD 센서(61)에 접속되어 있고, CCD 센서(6)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량으로 변환하여 받아들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증폭기(15)는, CCD 센서(6)가 판독한 신호를 처리 가능하도록 증폭시켜, A/D 변환부(14)에 입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19)로부터 제어기(11)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지만, 외부 전원(AC 전원, 태양 전지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감별 방법)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엽류 감별 장치(1)의 연산부(12)에서의 처리인, 지폐(10)의 진위의 감별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산부(12)는, CCD 센서(6)가 수광한, 적외선 및 가시광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부(12)는, 한쪽에서 CCD 센서(6)가 수광한 적외선으로부터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고, 다른 쪽에서 CCD 센서(6)가 수광한 가시광으로부터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여, 2개의 감별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지폐(10)의 진위를 판정한다. 우선, 적외선에 의한 진위의 감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적외선에 의한 감별 방법)
상기한 바와 같이, 진권 및 위권의 은화부(10)에서의 광학적인 특성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진권의 은화부(10a)는, 특수한 방법에 의해 요철의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은화부(10a)에 적외선을 조사하면, 투과하는 적외선의 투과율이 요철 의 부분에 의해서 저하(변화)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위권의 은화부(10a)는, 적외선을 거의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일반적인 잉크 토너에 의해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적외선의 투과율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진권의 경우에는, 은화부(10a)를 투과하는 적외선의 투과광 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은화부(10a)의 패턴(모양)을 취득할 수 있지만, 위권의 경우에는, 적외선의 투과광 량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해서,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할 수 있다.
또한, 취득한 패턴으로부터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는 방법으로서는, 취득한 패턴으로부터 명암을 교대로 반복하는 패턴(파)을 형성하여, 그 반복을 주파수(공간 주파수)로서 파악하고, 이러한 공간 주파수에 기초하여 감별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명암의 진폭을, 미리 기억해 둔 진권의 데이터와 대비하여 감별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연산부(12)는, CCD 센서(6)가 수광한 적외선의 투과광 량에 기초하여, 지폐(10)의 두께나 재질을 검출한다. 즉, 미리 진권의 두께나 재질의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고, 수광한 적외선의 투과광 량으로부터 지폐(10)의 두께나 재질을 검출하여,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와 대조한다. 그리고, 일치한 경우에, 진권이라고 감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두께나 재질로부터도 진위를 감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게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할 수 있다.
(가시광에 의한 감별 방법)
다음에, 가시광에 의한 진위의 감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미 상기하 였지만, 광의 특성으로서, 광이 물질에 닿았을 때, 물질 표면 컬러의 보색이 물질에 흡수되고, 나머지가 반사하게 되어 있다. 즉, 진권의 은화부(10a)의 보색이 되는 가시광을 조사한 경우, 은화부(10a)에서 반사하는 것은 없기 때문에, 진권의 경우에는, 가시광에 의해서는 은화부(11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다. 한편, 위권의 은화부(10a)는, 잉크 토너에 의해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가시광이 반사하여, 반사한 가시광을 CCD 센서(6)로 수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CCD 센서(6)가 수광한 가시광에 의해, 은화부(10a)의 모양을 취득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위권이라고 감별할 수 있다.
또한, 위권에서, 은화부(10a)가 인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진권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시광이 반사하지 않고, 가시광에 의해서는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다.
도 4는, 상기한 방법으로 취득한 은화부(10a)의 패턴 결과의 데이터 테이블이고, 도 4의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가 감별된다. 구체적으로는, 진권의 경우도 위권의 경우도, 은화부(10a)에 광을 조사하지 않으면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다. 그리고, 진권의 경우, 청색의 가시광을 조사해도, 은화부(10a)에서 가시광이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으므로,「은화 무」가 된다. 또, 적외선을 조사하면, 은화부(10a)를 투과하는 투과광 량의 차이로부터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있어, 「은화 유」가 된다.
한편, 위권에서, 은화부(10a)가 인쇄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가시광을 조사해 도, 은화부(10a)에서 가시광이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으므로, 「은화 무」가 된다. 또, 적외선을 조사해도, 은화부(10a)에 두께(요철)가 없기 때문에, 투과광 량이 변화하지 않고,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게 되므로, 「은화 무」가 된다.
또, 위권에서, 은화부(10a)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 가시광을 조사하면, 은화부(10a)를 형성하는 잉크 토너의 영향으로, 가시광이 반사하기 때문에,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있어, 「은화 유」가 된다. 또, 적외선을 조사해도, 은화부(10a)에 두께(요철)가 없고, 또, 잉크 토너는 대부분 적외선을 투과하기 때문에, 투과광 량이 변화하지 않으며,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할 수 없으므로, 「은화 무」가 된다.
즉, 도 4의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면, 가시광에 의한 감별 결과가「은화 무」에서, 적외선에 의한 감별 결과가「은화 유」가 된 경우에, 재치부(2a)에 올려 놓인 지폐(10)는 진권이라고 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데이터로부터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함으로써, 1개의 데이터로부터 진위를 판별하는 경우와의 대비에 있어서, 보다 신뢰성이 있고, 또한, 고정밀도인 진위의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광 특성이 다르다는 성질에 기초하여, 수광한 투과광 량이나 반사광 량으로부터 진위를 판별하기 때문에, 언뜻 보아 진권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교묘하게 인쇄된 위권이어도, 신뢰성이 있는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지엽류 감별 장치의 동작)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엽류 감별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 명한다. 지엽류 감별 장치(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 우선, CCD 센서(6)의 초기 데이터를 취득한다(S1). 다음에, 스타트 스위치가 켜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구체적으로는, 압접부(3)가 눌러져, 압접부(3)의 평판(3b)과 재치부(2a)가 접촉하여, 스위치가 켜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타트 스위치가 켜져 있지 않은 경우(S2 : 아니오), S2를 반복한다. 스타트 스위치가 켜진 경우(S2 : 예), 적외선 LED(4) 및 청색 LED(5)를 구동하여, 적외선 및 가시광을 은화부(10a)에 조사한다(S3). 그리고, CCD 센서(6)에 의해, 은화부(10a)를 투과한 적외선 및 반사한 가시광을 수광(S4)하여, 수광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은화부(10a)의 패턴을 취득하고, 취득한 패턴을 보정하고, 정규화한다(S5). 또한, 여기에서, CCD 센서(6)에 의해 수광한 데이터가 작고, 보정 및 정규화할 수 없는 경우, 적외선 LED(4) 및 청색 LED(5)의 명도를 올려서 재차 투과광 및 반사광을 수광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지폐(10)의 진위 판정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우려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취득한 패턴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여(S6), 감별한 결과, 지폐(10)가 진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 지폐(10)가 진권인 경우(S7 : 예), 표시 LED(7a)(청색 LED)를 발광하여, 진권인 결과를 통지하고, S2로 되돌아가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지폐(10)가 진권이 아닌 경우(S7 : 아니오), 버저(17) 및 표시 LED(7b)에 의해, 지폐(10)가 위권인 결과를 통지하고(S9), S2로 되돌아가서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지엽류 감별 장치(1)는, 지폐(10)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LED(4)와, 지폐(10)를 투과한 적외선을 수광하는 CCD 센서(6)와, CCD 카메라(6)가 수광한 적외선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하는 연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폐(10)를 투과하는 적외선에 기초하여 진위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위권이 교묘하게 인쇄된 것이어도, 진권을 투과한 적외선과의 차이에 의해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어, 신뢰성이 있는 지폐(10)의 진위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10)가 일반 프린터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 진권과 위권에서는, CCD 센서(6)가 수광하는 투과광 량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진권과 위권을 투과한 적외선을 대비함으로써,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지엽류 감별 장치(1)는, 지폐(10)에 가시광을 조사하는 청색 LED(5)와, 지폐(10)를 반사한 가시광을 수광하는 CCD 센서(6)와, CCD 센서(6)가 수광한 가시광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하는 연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폐(10)를 반사하는 데에 가시광에 기초하여 진위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위권이 교묘하게 인쇄된 것이어도, 진권을 반사한 가시광과의 차이에 의해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어, 신뢰성이 있는 지폐(10)의 진위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10)가 일반 프린터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 진권과 위권에서는, CCD 센서(6)가 수광하는 반사광 량이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진권과 위권을 반사한 가시광을 대비함으로써,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지엽류 감별 장치(1)는, 지폐(10)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LED(4)와, 지폐(10)를 투과한 적외선을 수광하는 CCD 센서(6)와, 지폐(10)에 가시광을 조사하는 CCD 센서(6)와, 지폐(10)를 반사한 가시광을 수광하는 CCD 센서(6)와, CCD 센서(6)가 수광한 적외선 및 가시광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하는 연산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외선 및 가시광을 지폐(10)에 조사하여, 지폐(10)를 투과한 적외선과, 지폐(10)를 반사한 가시광으로부터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1개의 광을 지폐(10)에 조사하여,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는 경우와의 대비에 있어서, 고정밀도로 진위의 감별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폐에는「은화」가 형성되어 있다. 진짜 지폐의 은화부는 특수한 제조 방법으로 작성된 요철의 모양을 갖고 있지만, 위조 지폐의 은화부의 모양은, 잉크 토너 등에 의해 인쇄되어 있을 뿐이다. 잉크 토너는, 일반적으로는 적외선을 투과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투과광을 적외선으로 한 경우, 은화부를 투과하는 적외선의 투과광 량이 진짜 지폐와 위조 지폐에서 다르다. 또, 잉크 토너를 포함하는 위조 지폐의 은화부는, 비스듬히 조사된 광을 반사하게 되기 때문에, 진짜 지폐의 경우와 달리, 은화부의 모양이 명확하게 부각되게 된다. 이들의 진짜 지폐와 위조 지폐와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별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로 진위의 판별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연산부(12)는, CCD 센서(6)가 수광한 적외선 및/또는 가 시광에 기초하여, 지폐(10)의 패턴을 취득하고,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판별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턴을 취득하여, 그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기 때문에, 수광한 적외선이나 가시광이 같아도, 지폐(10)의 패턴에 의해서 진위를 감별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로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연산부(12)는, CCD 센서(6)가 수광한 투과광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재질 및/또는 두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폐(10)의 재질 및/또는 두께에 기초해도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고정밀도로 지폐(10)를 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1개의 CCD 센서(6)에 의해, 적외선 및 가시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의 공간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지폐(10)의 진위의 결과를, 표시 LED(7a, 7b) 및 버저(17)를 이용하여 통지하고 있지만, 이 이외의 방법으로 결과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 청색 LED(5)는, 지폐(10)의 하측으로부터 가시광을 은화부(10a)에 조사하고 있지만, 지폐(10)의 상측에서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지폐(10)의 상측으로 반사한 가시광을 수광하는 CCD 센서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지폐(10)의 상측 및 하측의 양측에서 가시광을 조사하도록 해도 되고, 적외선 LED(4)와 청색 LED(5)의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여,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 LED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도광판에 의해 지폐의 은화부(10a)에 수직으로 조사하도록 하고 있지만, 적외선 LED로부터 직접 은화부(10a)에 수직으로 조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폐(10)를 투과시키는 투과광은, 자외선이어도 된다. 또, 광을 조사하는 광원은, LED 이외의 광원이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지폐(10)의 진위를 감별하는 경우, 지폐(10)의 은화부(10a) 이외의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여, 진위를 감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적외선 LED(4)나 청색 LED(5)로부터 조사하는 광의 명도를 조절하는 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CCD 센서(6)가 수광한 데이터가 작고, 데이터 처리가 어려운 경우에, 적외선 LED(4)나 청색 LED(5)의 광의 명도를 크게 하고, 재차 수광하여 데이터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지폐(10)의 진위 판정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우려를 없앨 수 있다.
그 외에, 구체적 구성 등은,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고,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절히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에서 생기는 가장 적합한 작용 및 효과를 열거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에 의해, 신뢰성이 있는 지폐, 증권, 금권과 같은 지엽류의 진위 판별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지엽류 감별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지엽류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과광 조사부와,
    상기 지엽류를 투과한 상기 투과광을 수광하는 투과광 수광부와,
    상기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한 투과광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진위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2. 지엽류에 반사광을 조사하는 반사광 조사부와,
    상기 지엽류를 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하는 반사광 수광부와,
    상기 반사광 수광부가 수광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진위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3. 지엽류에 투과광을 조사하는 투과광 조사부와,
    상기 지엽류를 투과한 상기 투과광을 수광하는 투과광 수광부와,
    상기 지엽류에 반사광을 조사하는 반사광 조사부와,
    상기 지엽류를 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하는 반사광 수광부와,
    상기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한 투과광 및 상기 반사광 수광부가 수광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진위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정부는,
    상기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한 투과광 및/또는 상기 반사광 수광부가 수광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패턴을 취득하는 패턴 취득부를 갖고,
    상기 패턴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위 판별부는,
    상기 투과광 수광부가 수광한 투과광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재질 및/또는 두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광 수광부 및 상기 반사광 수광부는, 1개의 수광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감별 장치.
KR20050091041A 2005-04-01 2005-09-29 지엽류(紙葉類) 감별 장치 KR20060105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6591 2005-04-01
JP2005106591A JP4915053B2 (ja) 2005-04-01 2005-04-01 紙葉類鑑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410A true KR20060105410A (ko) 2006-10-11

Family

ID=3703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91041A KR20060105410A (ko) 2005-04-01 2005-09-29 지엽류(紙葉類) 감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5053B2 (ko)
KR (1) KR20060105410A (ko)
CN (1) CN1841432A (ko)
TW (1) TW2006366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50B1 (ko) * 2012-07-09 2015-01-09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트류 판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22B1 (ko) 2007-02-22 2008-11-04 대원토질 주식회사 위조지폐식별장치
JP5137602B2 (ja) 2008-01-31 2013-02-0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識別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JP5209982B2 (ja) 2008-01-31 2013-06-12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識別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JP5184157B2 (ja) * 2008-03-14 2013-04-17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識別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CN102136086A (zh) * 2010-12-31 2011-07-27 南京理工速必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纸币票面特征图像获取的点验钞机
CN107680243B (zh) * 2017-09-04 2019-11-05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基于红外传感器透射的纸币厚度测量装置及测量方法
JP7394100B2 (ja) 2021-09-30 2023-12-07 古河電工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レールボンド構造体およびレールボンド構造体の形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570A (ko) * 1999-06-02 1999-09-06 신선식 위조지폐의광학식방법을이용한감지방법과장치
KR20010090049A (ko) * 2001-08-29 2001-10-18 주식회사 캐쉬텍 광센서를 이용한 투명테이프가 부착된 지폐의 감별장치
KR20030008661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청호컴넷 위조지폐 감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66A (ja) * 1994-07-11 1996-01-23 Hitachi Ltd 紙幣真贋鑑定用放電灯点灯器具
JP2000113269A (ja) * 1998-10-02 2000-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紙幣鑑別装置
JP4266495B2 (ja) * 2000-06-12 2009-05-2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570A (ko) * 1999-06-02 1999-09-06 신선식 위조지폐의광학식방법을이용한감지방법과장치
KR20030008661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청호컴넷 위조지폐 감별기
KR20010090049A (ko) * 2001-08-29 2001-10-18 주식회사 캐쉬텍 광센서를 이용한 투명테이프가 부착된 지폐의 감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50B1 (ko) * 2012-07-09 2015-01-09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트류 판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15053B2 (ja) 2012-04-11
TW200636622A (en) 2006-10-16
JP2006285775A (ja) 2006-10-19
CN1841432A (zh)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5410A (ko) 지엽류(紙葉類) 감별 장치
JP5691061B2 (ja) 銀行券検証装置
JP4484211B2 (ja) 有価紙葉の光学的特徴を検出する光学センサ装置
JP5314419B2 (ja) 紙幣の真贋判定方法、及び紙幣の真贋判定装置
JP4703403B2 (ja) 検査装置
US8483472B2 (en) Paper sheet identifying device and paper sheet identifying method
US20130300101A1 (en) Laminated Documents and Cards Including Embedded Security Features
GB2355522A (en) Improvements in verifying printed security substrates
US20100322503A1 (en) Paper sheet identifying device and paper sheet identifying method
JP2004246714A (ja) パールインキ検出装置及びパールインキ検出方法
KR20190036901A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JP3182518B2 (ja) 記録媒体とその読取り装置
JP4074917B1 (ja) 紙葉類識別装置
JP2007136838A (ja) 認証用印刷物およびその認証方法
KR100923082B1 (ko) 지폐의 권종 감별 장치 및 방법
KR101307424B1 (ko) 복수의 발광소자로 구성된 어레이를 포함하는 보안매체 판독장치 및 그 방법
JP2007087333A (ja) パールインキ検出装置
JP3813212B2 (ja) 印刷物読み取り方法及び装置
JP6003335B2 (ja) 情報記録媒体の読取方法、情報記録媒体
KR100652828B1 (ko) 주민등록증 판독장치
US20170193348A1 (en) Tester For Detecting Graphene Security Element In A Security Document, And The Element Detection Method
JP6131729B2 (ja) 偽造防止媒体の読取方法
KR20000021206U (ko) 위조 유가증권 식별장치
KR20100113904A (ko) 위폐 판별 방법, 장치 및 판별기
EP3151203A1 (en) Tester for detecting graphene security element in a security document, and the element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