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171A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171A
KR20060105171A KR1020050027605A KR20050027605A KR20060105171A KR 20060105171 A KR20060105171 A KR 20060105171A KR 1020050027605 A KR1020050027605 A KR 1020050027605A KR 20050027605 A KR20050027605 A KR 20050027605A KR 20060105171 A KR20060105171 A KR 2006010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injector
repair material
piston rod
p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866B1 (ko
Inventor
이상근
안상철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근 filed Critical 이상근
Priority to KR1020050027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86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입기에 압착판, 수납통,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끝단에 고압을 이용하여 주입장치를 연결하여 균열 부위에 완전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압착판, 수납통,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로 구성된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에 주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끝단에 패커가 연결되는 연결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 내부에 탄성부재와 볼베어링을 형성하여 패커로 부터 주입되는 보수재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부은 패커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공과 고정턱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Reparing agent injector for cracked concrete structure}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사용상태도.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입기 11 : 압착판
21 : 수납통 31 : 피스톤
41 : 피스톤 로드 311, 411 : 주입홈
411 : 연결부 412 : 연결공
413 : 고정턱 B : 볼베이링
S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입기에 압착판, 수납통,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를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끝단에 고압을 이용하여 주입장치를 연결하여 균열 부위에 완전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축조된 이후 시간이 경화하면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균열은 심한 경우 구조물의 안전성에 치명적인 부실의 원인이 되기도 함으로 균열상태에 따라 일정 시점에서 균열 보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에 관련된 산업제품 수요가 창출되고, 이로 인한 시장수요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에 관련된 업종 종사자와 이와 관련있는 산업분야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균열을 보수하기 위해 보수재을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균열부위를 보수하게 되는데, 상기 보수재 주입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지는데, 현재 건축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저압으로 보수재을 주입하는 인젝터 이용방법과 고압의 패커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인젝터를 이용한 충진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주사기 형상의 인젝터를 사용하여 보수재가 충진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인젝터의 구성 은 압착판과 수납통,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인젝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압착판을 견고하게 밀착시켜 고정하고, 일정량의 보수재을 수납통에 수납한 후,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피스톤을 뒤쪽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수납통에 수납된 보수재가 균열부위로 충진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젝터를 이용하여 균열부위를 충진할 경우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저압으로 보수재을 주입하게 됨으로 장시간의 주입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모든 균열부위에 충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커를 이용하는 충진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 부위에 먼저 설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 안에 패커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패커에 보수재 주입기를 연결하여 고압으로 짧은 시간 안에 패커를 통해 보수재가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패커를 이용하여 균열부위를 충진할 경우에는 패커를 삽입하기 위한 천공작업시 설치홈이 너무 크기 때문에 구조물 내부로 깊이 천공하게 되면 구조물 내에 매설된 철근이나 전기 파이프 등에 접촉되면서 이를 매설물을 훼손시키기도 하는 것은 물론, 일시적인 고압에 의해 균열부위를 충진하기 때문에 일부 균열부위에는 보수재가 충진되지 않아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납통,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로 구성된 주입기에 패커를 연결하여 고압으로 주입한 후, 주입기 내부에 수납된 보수재를 저압으로 재차 주입하여, 모든 균열부위에 충진되도록 하고, 주입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별도의 천공작업 없이 주입이 가능하므로, 천공작업으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압착판, 수납통,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로 구성된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에 주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 끝단에 패커가 연결되는 연결부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 내부에 탄성부재와 볼베어링을 형성하여 패커로 부터 주입되는 보수재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부은 패커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공과 고정턱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1)는 압착판(11), 수납통(21), 탄성부재(S)와 연결된 피스톤(31), 상기 피스톤(31)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41)로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착판(11)은 보수재를 주입하고자 하는 콘크르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완전 밀착하여 주입되는 보수재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균열부위에 고압력으로 보수재가 주입된 후, 수납통(21)에 보수재가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납통(21)은 압착판(11)과 결합되어 내부에 보수재가 수납되는 것으로, 이는 보수재가 압력에 의해 균열부위에 주입된 후, 압력에 의해 보수재가 수납된 후,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공간이 생기게 되면, 재차 보수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31)은 수납통(21) 내부에 밀폐가능하도록 탄성부재(S)와 연결된 구조로 삽입 구성된 것으로, 이는 그 중앙에 주입홈(311)이 형성되어 외부로 부터 주입되는 보수재가 압착판(11)을 통해 균열부위에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31)은 균열부위에 보수재가 충진되면, 계속적으로 주입되는 보수재에 의해 수납통(21)에 수납되도록 후진되며, 이때, 탄성부재(S)이 수축되어 탄성을 찾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41)는 그 내부에 주입홈(411)이 형성되고, 끝단에 패커가 연결되는 연결부(412)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부(412)는 그 내부에 탄성부재(S)와 볼베어링(B)으로 형성되어 패커로 부터 주입되는 보수재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412) 내부의 탄성부재(S)와 볼베어링(B)은 패커로 부터 보수재가 주입될 경우 볼베어링(B)이 후진되어 탄성부재(S)가 수축된 상태에서 보수재가 자유롭게 주입되며, 상기 보수재가 균열부위와 수납통(11)에 완전히 주입되면, 상기 보수재와 탄성부재(S)의 탄성에 의해 볼베어링(B)이 전진되어 보수재가 주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412)는 패커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공(413)과 고정턱(414)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공(413)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패커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턱(414)은 최대한 연결공(413)보다 작게 형성하여 삽입된 패커가 안정적으로 고정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재 주입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사용상태도과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작동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부위가 발견되면, 어떠한 공법을 이용하여 균열부위를 보수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수재를 주입하는 공법으로 결정되면, 보수재를 주입하고자 하는 콘 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압착판(11)을 완전 밀착하여 주입부위에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균열부위에 압착판(11)이 부착되면, 피스톤(31)과 피스톤 로드(41)가 결합된 수납통(21)을 상기 압착판(11)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입기(1)가 균열부위에 부착한 후, 상기 피스톤 로드(41)에 형성된 연결부(412)에 패커를 연결한 후, 고압으로 보수재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고압에 의해 볼베어링(B)이 후진, 탄성부재(S)를 수축시키면서 보주재가 피스톤(31)과 피스톤 로드(41)에 형성된 주입홈(311, 411)을 통해 압착판(11)을 거쳐 콘크리트 균열부위로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커와 결합된 연결부(412)는 연결공(413)과 고정턱(414)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413)에 의해 패커가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보수재 주입이 가능하고, 고정턱(414)에 의해 안전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보수재가 균열부위에 모두 주입되게 되면, 압력에 의해 피스톤(31)이 탄성부재(S)를 수축시키며 후진하게 되어 피스톤(31)에 의해 밀폐되었던 수납통(21)에 공간이 형성되어 보수재가 수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수재가 수납통(21)에 수납이 완료되면, 연결부(412) 내부에 형성된 탄성부재(S)가 탄성을 작용하여 볼베어링(B)이 전진되어 보수재의 주입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균열부위에 보수재를 주입하고, 수납통(21)에 수납되면, 균열부위에 다양한 원인으로 보수재가 주입되지 않은 공간이 생기면, 수납통(21)에 수납 된 보수재가 탄성부재(S)의 탄성에 의해 전진되는 피스톤(31)에 의해 재차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수납통, 탄성부재와 연결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로 구성된 주입기에 패커를 연결하여 고압으로 주입한 후, 주입기 내부에 수납된 보수재를 저압으로 재차 주입하여, 모든 균열부위에 충진되도록 하고, 주입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별도의 천공작업 없이 주입이 가능하므로, 천공작업으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압착판(11), 수납통(21), 탄성부재(S)와 연결된 피스톤(31), 상기 피스톤(31)의 위치를 결정하는 피스톤 로드(41)로 구성된 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1)과 피스톤 로드(41)에 주입홈(311, 411)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41) 끝단에 패커가 연결되는 연결부(412)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412) 내부에 탄성부재(S)와 볼베어링(B)을 형성하여 패커로 부터 주입되는 보수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12)은 패커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공(413)과 고정턱(4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KR1020050027605A 2005-04-01 2005-04-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KR100703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05A KR100703866B1 (ko) 2005-04-01 2005-04-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05A KR100703866B1 (ko) 2005-04-01 2005-04-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43U Division KR200386938Y1 (ko) 2005-04-01 2005-04-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171A true KR20060105171A (ko) 2006-10-11
KR100703866B1 KR100703866B1 (ko) 2007-04-06

Family

ID=3763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605A KR100703866B1 (ko) 2005-04-01 2005-04-01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6675A (zh) * 2023-03-10 2023-07-18 广东旭晟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红外设备的施工早期混凝土缺陷修复设备及其作业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862B1 (ko) * 2011-09-30 2013-04-04 (주)건화특수 보수제 주입기
CN110805302B (zh) * 2019-11-11 2022-02-01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孔洞封堵装置及孔洞封堵机器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6675A (zh) * 2023-03-10 2023-07-18 广东旭晟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红外设备的施工早期混凝土缺陷修复设备及其作业方法
CN116446675B (zh) * 2023-03-10 2024-01-30 广东旭晟建设工程有限公司 基于红外设备的施工早期混凝土缺陷修复设备及其作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866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392B1 (ko)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RU2365721C1 (ru) Впрыскивающая форсунка и способ уплотнения при помощи впрыскивающей форсунки
KR10070386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KR200386938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 보수재 주입기
CN104532860A (zh) 可回收土钉
JP6871394B2 (ja) セグメント、セグメント組立体及びグラウト装置
JP2010168850A (ja) 柱主筋継手のグラウト用型枠の支持方法と、位置固定治具及びグラウト用型枠ユニット
JP6576026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JP2018178365A (ja) 鉄筋継手カプラー
JP2009167735A (ja) 耐震補強工事における補強鋼板の地中貫入方法及び補強鋼板貫入装置
JP6893962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構造
KR100951872B1 (ko) 지반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KR100462457B1 (ko) 마이크로 패커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중저압 균열보수 공법
JP7178861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JP4545963B2 (ja) 脆性構築体用の高圧注入器具及びそれを用いた高圧注入工法並びに固定用薬液の漏斗治具
JP3775399B2 (ja) 組積造躯体の補強方法
CN221255207U (zh) 一种便于更换桥梁支座的连接装置
KR101298033B1 (ko) 그라우팅 재료 주입장치
CN211973475U (zh) 一种预制桩及接桩结构
JP2020060057A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CN105064715A (zh) 一种新型多功能注胶器
KR20170114550A (ko) 균열보수용 에폭시 주입기
KR100674370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보수용 에폭시수지 자동주입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9163598A (ja) 既存の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工法
JP2006249657A (ja) パイプ式ロックボルト及びパイプ式ロックボルト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