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062A - 콩 자동 탈곡기 - Google Patents

콩 자동 탈곡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062A
KR20060104062A KR1020050025896A KR20050025896A KR20060104062A KR 20060104062 A KR20060104062 A KR 20060104062A KR 1020050025896 A KR1020050025896 A KR 1020050025896A KR 20050025896 A KR20050025896 A KR 20050025896A KR 20060104062 A KR20060104062 A KR 2006010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main body
soybean
mesh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6028B1 (ko
Inventor
김승문
Original Assignee
김승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문 filed Critical 김승문
Priority to KR102005002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02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된 콩 대를 털어 콩을 자동으로 수확하는 콩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만곡부의 일측에 별도의 무거리 배출구를 형성하지 않고도 콩대감김 방지용 파이프의 회전에 따라 만곡부 상에 위치된 무거리를 본체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콩 대 투입구(23)가 형성된 본체(3)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축(5)과, 상기 구동축의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둘레면에는 콩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망체(8)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콩 대를 두드리는 타격부재(19)와, 상기 구동축에 일단이 편심되게 설치된 컨넥팅로드(33)와, 상기 로드에 일단이 연결되어 경사지게 설치된 콩 배출 안내판(32)과, 상기 본체의 하부 일 측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흡입 배출하는 팬(39)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22)로 구성된 콩 자동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망체(8)의 일측에 위치된 만곡부(31)상의 콩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26)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무거리 배출부재(56)를 설치하고 상기 만곡부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덮개(22)에는 무거리가 본체(3)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무거리 배출구(24)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콩 자동 탈곡기{omitted}
도 1은 종래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콩 배출부 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콩대 투입구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콩 대 끼임 방지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거리 배출구측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일부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콩배출 안내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망체 정지방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콩 배출 안내판에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구멍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13은 콩배출구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측에 3점 링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본체 8 : 망체
22 : 덮개 23 : 콩 대 투입구
26 ;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 32 : 콩 배출 안내판
37 : 콩 선별판 56 : 무거리 배출부재
57 : 개폐판 59 : 레버
60 : 로울러 베어링 62 : 외부공기 흡입공
64 : 콩 자동 이송장치 66 : 포대발판
67 : 지지틀 68 : 3점 링크
본 발명은 수확된 콩 대를 털어 콩을 자동으로 수확하는 콩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수확된 콩을 자동으로 터는 과정에서 콩 대와 같은 무거리를 콩 탈곡기로부터 멀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콩 자동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콩 배출부 측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력수단인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되고, 외주 연에 다수개의 탈곡 날이 형성된 탈곡드럼(1)과, 상기 탈곡드럼(1)의 하부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토출공이 관통된 받이판(2)이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에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탈곡드럼(1)에 전달하여 탈곡드럼(1)이 회동되도록 하는 수단인 구동부(20)로 이루어진 콩깍지나 콩잎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받이판(2)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부(20)의 풀리 중 상기 탈곡드럼(1)을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M)축에 연결된 구동풀리(21)의 전면부에 편심 결합된 수직링크(111)에 일 측부가 연결되고 일정각도로 경사진 1차 선별판(110)과, 상기 1차 선별판(1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면에 다수개의 토출공(121)을 갖는 2차 선별판(120)과, 상기 2차 선별판(120)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 측단에 모래나 흙이 아래로 빠지도록 통공된 소공(小孔)(131)과, 이 소공(131)의 일 측에 통공되어 콩이 낙하되는 대공(大孔)(132)을 갖는 3차 선별판(130)으로 이루어진 선별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에는 상기 3차 선별판(130)에 의해 선별되어 대공(132)을 통해 낙하되는 풋콩이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부(2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200)는, 내부에 상기 탈곡드럼(1)의 구동 축(1a)에 벨트(B)로 연결된 연동 축(211)을 갖는 이송벨트(210)와, 상기 이송벨트(210)의 외면부에 다수 개 결합되어 이송벨트(21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되는 수용컵(220)과, 상기 수용컵(220)에 의해 선별된 풋콩이 상측으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2차 선별판(120)의 일 측에는 조절구(140)가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조절구(140)가 인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요홈부(11)가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에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여 콩 탈곡장치가 구동되도록 한 다음, 하우징(10)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된 투입구(12)에 수확된 콩깍지를 넣으면, 콩깍지는 하우징(10) 내부에 구성된 탈곡드럼(1)에 의해 탈곡되어져 풋콩과 이물질로 분리되어 받이판(2)으로 떨어지는데, 이 때 풋콩을 제외한 콩깍지나 콩잎 등과 같은 이물질은, 송풍 팬(P)에 의해 하우징(10)의 타 측에 형성된 이물질배출구(13)를 통해 밖으로 일부가 배출되며 일부는 풋콩과 같이 받이판(2)에 그대로 낙하된다.
상기 받이판(2)을 통해 낙하되는 풋콩과 이물질은 1차 선별판(110)에 의해 흔들리면서 경사진 1차 선별판(110)을 타고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 때 이물질의 일부는 다시 송풍 팬(P)에 의해 상기 이물질배출구(13)를 통해 하우징(10) 밖으로 배출되며, 상기 1차 선별판(110)을 타고 내려오는 풋콩과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은 이물질은 다시 2차 선별판(120)에 안착되어 2차 선별판(120)의 떨림에 의해 상기 2차 선별판(120)의 내면에 통공된 다수개의 토출공(121)을 통해 풋콩은 떨어지고 걸러지지 않은 분쇄된 이물질은 2차 선별판을 타고 3차 선별판으로 옮겨 내려가는 과정에서 송풍 팬의 흡입력에 흡입되어 하우징 타 측부에 구성된 이물질 배출부(13)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2차 선별판(120)의 토출공(121)을 통해 떨어지거나 또는 2차 선별판(120)을 타고 내려오는 이물질 및 풋콩은 상기 2차 선별판(120)의 하부에 결합된 3차 선별판(130)에 안착되게 되고, 안착된 이물질 및 풋콩은 3차 선별판(130)의 흔들거림에 의해 이 3차 선별판(130)을 타고 내려오다가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은 3차 선별판(130)의 일 측에 형성된 소공(131)을 통해 밖으로 떨어지고, 풋콩과 콩 깍지는 계속 내려와 상기 소공(131)의 일측에 통공된 대공(132)을 통하여 풋콩은 떨어지고 콩 깍지는 3차 선별판(130)의 끝 부분으로 배출된다.
상기 3차 선별판(130)의 떨림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다가 상기 대공(132)을 통해 떨어진 풋콩들은,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에 구비된 이송부(200)의 수용컵(220)에 그대로 떨어짐에 따라 이송되는 수용컵(220)에 의해 이송부(200)의 상 측부에 형성된 배출부(23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콩 탈곡기는 한번의 작업을 통해 콩깍지나 콩잎과 같은 이물질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순수한 풋콩만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을 갖으나,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콩 대로부터 콩깍지를 수 작업으로 일일이 딴 상태에서 이를 탈곡드럼의 외주 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벗기게 되므로 콩 탈곡의 완전 자동화 실현이 불가능하게 되어 많은 양의 콩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탈곡드럼의 회전으로 콩깍지로부터 콩이 분리되더라도 받이판에 형성된 토출공이 콩깍지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어 콩깍지로부터 분리된 콩이 배출판의 하방으로 떨어지지 못하고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받이판에 형성되는 토출공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 경우에는 받이판을 통해 콩만이 배출되지 못하고 보다 많은 양의 콩깍지가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셋째, 콩이 탈곡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1, 2, 3차 선별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콩깍지는 물론이고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방향 전환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해 콩의 원활한 배출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수직링크의 편심 운동으로 1, 2, 3차 선별판이 흔들리도록 이들을 하우징에 장착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한꺼번에 매달려 진동운동을 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인에 의해 새로운 구조를 갖는 콩 탈곡기가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348685호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48685호의 콩 탈곡기 구성은 공보에 자세히 게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348685호는 전술한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나,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첫째, 무거리가 무거리 배출구를 통해 자유 낙하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잘게 부서지지 않은 콩 대가 배출될 경우에는 무거리 배출구가 콩 대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원활한 무거리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콩 자동 이송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콩을 포대에 담는 과정에서 포대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바닥 면이 젖어 있을 경우 포대가 습기에 오염되므로 콩이 상하게 되는 치명적인 결점을 갖는다.
셋째, 콩 탈곡기에 3점 링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트랙터를 이용하여 운반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넷째, 콩 배출 안내판에 측벽이 있어 콩 탈곡을 완료한 상태에서 콩 배출 안 내판에 형성된 콩 배출공으로 끼인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데 번거로웠다.
다섯째, 콩 배출 안내판과 통하여진 부위와 통하여지게 송풍 팬이 설치되어 송풍 팬의 구동에 따라 콩과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을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콩 배출 안내판이 폐쇄되어 있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물질을 하우징의 외부로 멀리 배출시키지 못하였다.
여섯째, 콩 대 투입구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콩 대를 투입하면 로울러에 얹혀져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철망에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로울러가 회전하더라도 철망이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가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만곡부의 일측에 별도의 무거리 배출구를 형성하지 않고도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의 회전에 따라 만곡부 상에 위치된 무거리를 본체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콩 대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콩 대가 본체 및 망체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콩 자동 이송장치의 일측에 포대를 얹혀 놓기 위한 발판을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여 포대가 젖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일측에 3점 링크를 장착하여 트랙터를 이용하여 콩 탈곡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일측에 콩 대 투입구 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이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둘레면에는 콩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콩 대를 두드리는 타격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일단이 편심되게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본체에 설치되는 로드에 힌지 결합된 컨넥팅로드와, 상기 로드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망체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끝단에는 복수개의 콩 배출공이 형성된 콩 배출 안내판과, 상기 본체의 하부 일 측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고속 회전하면서 콩 배출 안내판을 따라 배출되는 이물질을 흡입 배출하는 팬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로 구성된 콩 자동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일측에 위치된 만곡부 상의 콩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무거리 배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만곡부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덮개에는 무거리가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무거리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무거리 배출구측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일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중 실용신안등록 제348685호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3)의 일측에 콩 대 투입구(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콩 대 투입구의 망체(8) 회전방향 측에는 투입된 콩 대가 본체(3)와 망체(8)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콩 대 끼임 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콩 대 끼임 방지수단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일단이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26)에 근접되게 절곡된 판 상의 지지판(53)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일단이 망체(8)의 플랜지(8a)와 근접되게 위치된 가이드판(54)과,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중첩되게 고정되어 플랜지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장편(55)으로 구성하였으나, 콩 대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콩 대가 본체(3)와 망체(8)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느 구성이던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망체(8)가 구동축(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콩 대 투입구(23)를 통해 콩 대를 투입하더라도 본체(3)를 이루는 프레임과 망체(8)사이의 틈새가 가이드판(54) 및 연장편(55)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이들 사이로 끼이지 않게 되므로 콩 대가 투입된 상태에서 망체(8)의 회전이 중단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망체(8)에는 콩 대로부터 탈곡된 콩이 콩 배출 안내판(32)으로 자유 낙하되도록 통공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고 콩 대 투입구(23)에 인접한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26)에는 콩 대의 원활한 투입이 가능하도록 스크류(5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의 후단으로는 콩 대를 타격하는 복수 개의 타격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망체(8)와 인접한 만곡부(31) 상에 위치된 콩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26)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무거리 배출부재(5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31)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덮개(22)에는 무거리가 본체(3)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무거리 배출구(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무거리 배출부재(56)의 끝단부를 주걱형태로 하여 무거리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되지만, 이 경우에는 만곡부(31)상에 위치된 콩이 배출공(31a)으로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상태에서 무거리 배출부재(56)가 무거리는 물론이고 콩을 함께 배출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도 9와 같이 끝부분을 "V"형상으로 제작하였다.
이에 따라,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26)가 회전하여 무거리 배출부재(56)가 만곡부(31)상에 위치된 무거리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만곡부(31)에 있던 콩이 무거리와 함께 배출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콩배출 안내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콩 선별판(37)의 끝단에 개폐판(57)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57)과 콩 선별판(37)의 측벽 사이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8)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는, 콩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콩깍지와 같은 이물질이 콩 선별판(37)에 걸려 선별되면 도 10b와 같이 개폐판(57)을 일측으로 젖히고 콩 대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콩 탈곡기를 계속적으로 가동하여 콩 배출 안내판(32)을 진동시킴에 따라 상기 콩 배출 안내판과 일체로 형성된 콩 선별판(37)에 있던 이물질이 외부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망체 정지방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덮개(22) 및 본체(3)에 공지의 록커(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되어 있어 본체(3)에 덮개(22)가 닫힌 상태에서 록커에 의해 덮개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고 덮개(22)의 내부에는 망체(8)의 가장자리를 눌러 콩 대의 과잉 투입으로 망체에 어느 정도의 과부하가 걸리더라도 망체의 회전이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망체 정지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망체 정지방지수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는 덮개(22)의 내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9)와, 상기 레버에 각각 설치되어 망체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접속되는 로울러 베어링(60)과, 상기 덮개 및 레버사이에 설치되어 로울러 베어링을 망체측으로 편의하는 탄성부재(6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콩 배출 안내판에 형성된 외부공기 흡입공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콩 배출 안내판(32)의 하부에 절곡부(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는 물론이고 절곡부와 인접한 콩 배출 안내판(32) 상에는 팬(39)의 구동시 팬 하우징(45)의 내부로 보다 많은 양의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공기 흡입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콩배출구측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본체(3)의 일측에 공지의 콩 자동 이송장치(6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콩 자동 이송장치의 전방 하부에는 축(65)을 중심으로 포대발판(66)이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대발판(66)을 콩 자동 이송장치(64)에 고정 설치하여도 되지만, 콩 자동 탈곡기의 운반 및 보관 시에 포대발판(66)을 접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측에 3점 링크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상기 본체(3)의 일측에 지지틀(6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틀(67)에는 본 발명의 콩 자동 탈곡기를 트랙터(도시는 생략함)에 연결하여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3점 링크(68a)(68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덮개(22)를 덮어 공지의 록커에 의해 본체(3)에 록킹시키면 도 11과 같이 덮개(22)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로울러 베어링(60)이 망체(8)의 가장자리에 각각 밀착되므로 덮개(22)와 레버(59)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1)가 압축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61)의 복원력에 의해 로울러 베어링(60)이 망체(8)를 샤프트(6)에 고정된 로울러(7)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 후, 모터(4)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5)을 회전시키면 샤프트(6)의 로울러(7)에 얹혀진 망체(8)가 구동축(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구동축(5)에 편심되게 일단이 연결된 컨넥팅로드(33)는 선회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컨넥팅로드와 일단이 힌지 결합된 로드(34)에 의해 콩 배출 안내판(32)이 상, 하로 요동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콩 껍질이 매달린 콩 대를 콩 대 투입구(23)로 밀어 넣으면 콩 대가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26)의 입구측에 고정된 스크류(52)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인입되어 콩 대 감김 용 파이프(26)의 외주 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타격부 재(19)에 의해 타격되므로 콩 대로부터 콩 껍질이 떨어지면서 콩 껍질에서 콩이 탈곡된다.
이와 같이 콩 대 투입구(23)를 통해 콩 대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탈곡하는 과정에서 콩 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망체 정지방지수단에 의해 본체(3)와 망체(8)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콩 대 감김 용 파이프(26)에 의해 구동축(5)에 감기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5)의 회전에 따른 타격부재(19)의 타격으로 콩 대로부터 콩이 탈곡되면 무거리 및 콩이 망체(8)의 내주 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고정된 레일(9)을 따라 만곡부(31)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콩은 물론 콩 껍질 등의 이물질이 망체(8)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하방(콩 배출 안내판 측)으로 자유 낙하된다.
그러나 무거리는 망체(8)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배출되지 않으므로 레일(9)을 따라 만곡부(31)측으로 이동하는데, 탈곡된 일부 콩이 망체(8)의 통공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무거리와 함께 만곡부(31)측으로 이동하였다가 만곡부(31)에 형성된 배출공(31a)을 통해 하방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상기 만곡부(31)로 이동된 무거리는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26)가 지속적으로 회전하고 있어 외주면에 설치된 무거리 배출부재(56)에 의해 덮개(22)에 형성된 무거리 배출구(24)를 통해 본체(3)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타격부재(19)의 타격으로 콩 대로부터 탈곡되어 망체(8)를 통과한 콩과 일부의 콩 껍질이 콩 배출 안내판(32)으로 자유 낙하되면 상기 콩 배출 안내판은 컨넥팅로드(33)에 의해 상하 요동운동을 하면서 채를 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게 되므로 이들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2와 같이 콩 배출 안내판(32)상이 외부공기 흡입공(62)이 형성되어 있어 팬 하우징(45)의 내부로 보다 많은 양의 외부공기가 흡입되므로 콩과 함께 배출되는 콩 껍질과 같은 이물질을 본체의 외부로 보다 멀리 배출시키게 된다.
계속되는 동작으로 부스러기 형태의 콩 껍질이 제거된 상태로 콩이 콩 선별판(37)을 통과하면 콩이 공지의 콩 자동 이송장치(64)에 의해 상부로 운반되어 포대에 담기게 되는데,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콩이 담기는 포대를 포대발판(65)에 얹어 놓도록 되어 있어 콩을 탈곡하는 지점이 습지더라도 포대가 젖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콩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팬(39)의 구동으로 비교적 크기가 큰 콩 껍질과 같은 이물질이 콩 선별판(37)에 도달하면 콩 대의 투입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 상태에서 도 10b와 같이 개폐판(57)을 열으면 컨넥팅로드(33)에 의해 콩 선별판(37)이 상, 하 요동운동을 하므로 콩 선별판(37)에 얹혀져 있던 이물질이 개폐판(5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콩 선별판(37)에 있던 이물질을 본체(3)의 외부로 자동 배출시키고 나면 탄성부재(58)를 인장시키면서 일측으로 젖혔던 개폐판(57)을 도 10a와 같은 초기 상태로 환원시키므로써, 계속해서 콩의 탈곡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콩 탈곡기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만곡부에 위치된 무거리를 무거리 배출막대가 회전하면서 무거리 배출구 측으로 퍼내게 되므로 무거리 배출구가 콩 대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둘째, 포대를 포대발판에 얹은 상태에서 콩 자동 이송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콩을 포대에 담을 수 있게 되므로 콩 탈곡을 습지의 밭에서 실시하더라도 포대에 담긴 콩이 상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셋째, 본체의 일 측에 3점 링크가 구비되어 있어 트랙터를 이용하여 비교적 중량체인 콩 탈곡기를 밭 등으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콩 배출 안내판의 일 측에 개폐판을 설치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콩 배출 안내판에 위치된 콩 껍질과 같은 이물질을 수 작업으로 배출하지 않아도 공 회전에 의해 자동으로 이물질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의 제거작업이 편리해지게 된다.
다섯째, 콩 배출 안내판 상에 외부공기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어 팬의 구동시 보다 많은 양의 외부공기가 팬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콩 껍질 등과 같은 이물질을 본체로부터 보다 멀리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콩 탈곡 시 분진발생에 따른 호흡기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여섯째, 콩 대 투입구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콩 대가 투입되어 망체에 어느 정도의 부하가 걸리더라도 망체 정지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망체가 정지되는 현 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무거리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9)

  1. 일측에 콩 대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이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둘레면에는 콩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콩 대를 두드리는 타격부재와, 상기 구동축에 일단이 편심되게 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본체에 설치되는 로드에 힌지 결합된 컨넥팅로드와, 상기 로드에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망체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끝단에는 복수개의 콩 배출공이 형성된 콩 배출 안내판과, 상기 본체의 하부 일 측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고속 회전하면서 콩 배출 안내판을 따라 배출되는 이물질을 흡입 배출하는 팬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로 구성된 콩 자동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일 측에 위치된 만곡부 상의 콩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무거리 배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만곡부의 직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에는 무거리가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무거리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 대 투입구의 망체 회전방향 측에 투입된 콩 대가 본체와 망체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콩 대 끼임 방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콩 대 끼임 방지수단은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일단이 콩 대 감김 방지용 파이프에 근접되게 절곡된 판 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일단이 망체의 플랜지와 근접되게 위치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에 중첩되게 고정되어 플랜지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장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 배출 안내판의 하부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절곡부는 물론이고 절곡부와 인접한 콩 배출 안내판 상에 외부공기 흡입공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콩 배출 안내판의 끝단에 개폐판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상기 개폐판과 콩 배출 안내판의 측벽 사이에는 탄성부재의 양단을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공지의 콩 자동 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콩 자동 이송장치의 전방 하부에는 축을 중심으로 포대발판이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지지틀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틀에는 트랙터와의 연결을 위한 3점 링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록커에 의해 본체에 록킹시키도록 하고 덮개의 내부에는 망체의 가장자리를 눌러주는 망체 정지방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탈곡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 정지방지수단은 덮개의 내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와, 상기 레버에 각각 설치되어 망체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접속되는 로울러 베어링과, 상기 덮개 및 레버사이에 설치되어 로울러 베어링을 망체측으로 편의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 자동 탈곡기.
KR1020050025896A 2005-03-29 2005-03-29 콩 자동 탈곡기 KR10063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896A KR100636028B1 (ko) 2005-03-29 2005-03-29 콩 자동 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896A KR100636028B1 (ko) 2005-03-29 2005-03-29 콩 자동 탈곡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550U Division KR200388761Y1 (ko) 2005-03-29 2005-03-29 콩 자동 탈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62A true KR20060104062A (ko) 2006-10-09
KR100636028B1 KR100636028B1 (ko) 2006-10-23

Family

ID=3763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896A KR100636028B1 (ko) 2005-03-29 2005-03-29 콩 자동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0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0680A (zh) * 2013-06-10 2013-11-0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蓖麻脱壳机
CN103650789A (zh) * 2013-12-09 2014-03-2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菜籽脱粒机
CN104858015A (zh) * 2015-05-13 2015-08-26 田华青 皂角籽皮分离机
CN106888708A (zh) * 2017-03-10 2017-06-27 湖南省富瑞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轻型换挡式玉米脱粒机
CN111567227A (zh) * 2020-05-29 2020-08-25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油菜的荚壳及菜籽拍打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267B1 (ko) * 2007-12-27 2010-03-10 김상완 콩 자동 탈곡기의 무거리 배출장치
KR101514428B1 (ko) * 2012-11-30 2015-04-24 이정오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KR102159025B1 (ko) 2018-12-11 2020-09-23 대한민국 진동 제어가 가능한 탈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56Y1 (ko) 2000-03-28 2000-08-16 김승문 상토 분쇄기의 상토 내림장치
KR200266251Y1 (ko) 2001-09-03 2002-02-27 최선화 상토 및 탈곡겸용장치의 망통구조
KR200274010Y1 (ko) 2002-01-18 2002-05-01 주식회사 광풍 콩탈곡 겸용 상토제조기
KR200348685Y1 (ko) 2004-02-03 2004-05-03 김승문 콩 자동 탈곡기
KR200379776Y1 (ko) 2004-12-30 2005-03-24 구진섭 콩 탈곡기의 탈곡 회전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0680A (zh) * 2013-06-10 2013-11-0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蓖麻脱壳机
CN103650789A (zh) * 2013-12-09 2014-03-2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菜籽脱粒机
CN103650789B (zh) * 2013-12-09 2015-10-28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菜籽脱粒机
CN104858015A (zh) * 2015-05-13 2015-08-26 田华青 皂角籽皮分离机
CN106888708A (zh) * 2017-03-10 2017-06-27 湖南省富瑞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轻型换挡式玉米脱粒机
CN111567227A (zh) * 2020-05-29 2020-08-25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油菜的荚壳及菜籽拍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028B1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028B1 (ko) 콩 자동 탈곡기
KR200416455Y1 (ko) 곡물탈곡기
US45979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hulls and debris from plant products
CN106612990A (zh) 全自动无损玉米须分离装置
CN111165184A (zh) 一种新型打豆机
KR200388761Y1 (ko) 콩 자동 탈곡기
US4143665A (en) Machine for shelling beans or peas and for separating particles therefrom
KR101138102B1 (ko) 콩 탈곡기의 콩과 이 물질 분리장치
CN209953253U (zh) 一种可分离稻杆杂质的循环式稻谷分离机
KR100639976B1 (ko) 콩 탈곡기
KR200348685Y1 (ko) 콩 자동 탈곡기
CN216655252U (zh) 一种防止堵塞的茶叶筛分机
CN111837647B (zh) 一种水稻吹式脱粒机
KR200344538Y1 (ko)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KR101624399B1 (ko) 탈곡기용 송풍장치
KR200394295Y1 (ko) 콩 탈곡기
KR200404178Y1 (ko) 콩 탈곡기
JP3350943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CN214052575U (zh) 一种农业用红豆去杂质机
JP3715003B2 (ja) コンバインの枝梗除去装置
KR200417398Y1 (ko) 콩 탈곡기의 콩 송풍 이송장치
JP2654939B2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の二番物還元装置
CN113079829A (zh) 一种农作物脱粒筛选设备
JPS6224444Y2 (ko)
CN206778931U (zh) 一种毛豆采摘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