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871A - 승하강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승하강식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871A
KR20060101871A KR1020050023412A KR20050023412A KR20060101871A KR 20060101871 A KR20060101871 A KR 20060101871A KR 1020050023412 A KR1020050023412 A KR 1020050023412A KR 20050023412 A KR20050023412 A KR 20050023412A KR 20060101871 A KR20060101871 A KR 2006010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isc
elevating
bollar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호
Original Assignee
(주)로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로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2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1871A/ko
Publication of KR2006010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쉽고 편리하게 승하강몸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평소에는 승하강몸체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필요시 승하강몸체를 하우징 내로 삽입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볼라드의 설치상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잠금장치에 의해 승하강몸체는 고정몸체에 고정되어 있어, 관리인이 아닌 일반인들이 쉽게 승하강몸체를 고정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잠금장치를 열어 승하강몸체를 고정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승하강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볼라드, 고정몸체, 승하강몸체, 원판, 잠금장치

Description

승하강식 볼라드{Up-and-Down elevating type bollar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볼라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하강식 볼라드가 설치된 지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승하강식 볼라드가 설치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승하강식 볼라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고정몸체의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지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10 : 노출부
200 : 고정몸체 210 : 제 1원판
211 : 제 1홈 220 : 제 2원판
221 : 제 2홈 230 : 제 3원판
231 : 제 3홈 270 : 걸림고리
300 : 승하강몸체 310 : 고정편
330 : 함몰부 350 : 손잡이
370 : 체인 380 : 자물쇠
본 발명은 승하강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광장, 인구 밀집지역 또는 보도 등에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주차를 금지시키고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볼라드(Bollard)가 설치된다. 이러한 볼라드는 주로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고정 설치된다. 즉, 차량의 통행이 통제되는 지역의 초입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볼라드를 설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거나, 폭이 넓은 보도에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볼라드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 볼라드가 있는데, 고정식 볼라드에 경우 한번 설치하면 제거가 쉽지 않고, 파손되면 교체 또한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위급상황에서 볼라드로 인해서 진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로를 우회하거나 볼라드를 파손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되고, 우회할 경우 지체되는 시간에 의해 더 많은 인명피해 또는 재산피해 등이 초래되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평소에는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 유사시에는 하강시켜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승하강식 볼라드가 있다. 그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55848호의 " 승하강식 볼라드",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55847호의 " 승하강식 볼라드",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59987호의 " 수동으 로 승하강되는 차량진입 차단용 볼라드" 등의 공보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쉽고 편리하게 승하강몸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평소에는 승하강몸체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필요시 승하강몸체를 하우징 내로 삽입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볼라드의 설치상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승하강식 볼라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하강식 볼라드는, 지중에 기립되도록 매설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중공의 관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 내에 하단이 고정 마련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중공의 관 형상으로 하면이 개방된 승하강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하강몸체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승하강몸체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편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제 1홈이 형성된 제 1원판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승하강몸체를 상승시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제 1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제 1원판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승하강몸체는 지상으로 돌출되며 설치되고, 설치된 상기 승하강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제 1홈을 통과하도록 하면, 상기 승하강몸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 가 해제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의 상기 제 1원판이 고정된 부분의 상측에 상기 제 1원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제 2홈이 형성된 제 2원판이 부가되어, 상기 승하강몸체의 설치시 상기 제 2원판은 상기 고정편의 상부를 지지하여 지상으로 돌출된 상기 승하강몸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 1원판과 상기 제 2원판은 상기 제 1홈과 상기 제 2홈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의 최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제 3홈이 형성된 제 3원판이 부가되어, 상기 승하강몸체의 설치 해제시 상기 제 3원판은 상기 승하강몸체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승하강몸체의 상면이 지면으로부터 내려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몸체의 내부면에는 일단에 자물쇠가 구비된 잠금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내벽면에는 걸림고리가 마련되어, 상기 자물쇠는 상기 걸림고리에 고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식 볼라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하강식 볼라드가 설치된 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 며, 도 3은 도 1의 승하강식 볼라드가 설치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승하강식 볼라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고정몸체의 다른 실시예가 설치된 지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승하강식 볼라드는 하우징(100)과 고정몸체(200)와 승하강몸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중에 기립되도록 매설되는 하우징(10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노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A)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및 노출부(110')의 형상은 사각통 형상으로 될 수도 있으며, 이처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및 노출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00) 내에 하단이 용접 등으로 고정 마련되는 고정몸체(200)는 중공의 관 형상이며,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고정몸체(200)의 외주면의 상측에는 제 1원판(21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원판(210)이 고정된 부분의 상측으로 제 1원판(210)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제 2원판(220)이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몸체(200) 외주면의 최상단에는 제 3원판(230)이 고정되어 있다. 제 1,2,3원판(210,220,2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하기로 한다.
고정몸체(200)의 내벽면에는 걸림고리(27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벽면의 상측에 걸림고리(270)가 형성된다.
한편, 승하강몸체(300)는 고정몸체(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중공의 관 형상이고, 하면이 개방되어 있어, 고정몸체(200)가 승하강몸체(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승하강몸체(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몸체(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하우징(100)에 내장되며, 승하강몸체(300)의 상면(300a)이 지면(A)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승하강몸체(300)의 상면(300a)의 중앙부에는 상면(300a)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3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함몰부(330)에는 손잡이(350)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350)의 상면은 지면(A)과 일치하도록 승하강몸체(300)의 함몰부(330)에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손잡이(350)의 나머지 부분은 승하강몸체(300)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마련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손잡이(350)의 일부분이 승하강몸체(3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가 필요시 노출된 손잡이(350)를 당기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몸체(3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던 손잡이(350)가 잡아당기기 편하게 함몰부(330)의 외부로 돌출된다.
승하강몸체(300) 함몰부(330)의 하면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잠금장치는 일단에 자물쇠(380)가 구비된 체인(370)으로 구성된다.
자물쇠(380)는 고정몸체(200) 내벽면에 고정된 걸림고리(270)에 고정이 가능하다.
체인(370)의 길이는 승하강몸체(300)를 상승시켜 고정몸체(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물쇠(380)를 열 수 있는 열쇠는 관리인 등이 소지하여, 필요시 승하강몸체(3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자물쇠(380)를 열어 걸림고리(270)로부터 분리시키면 승하강몸체(300)를 고정몸체(2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승하강몸체(300)가 파손되거나 낡아서 교체해야 할 경우 승하강몸체(300)를 고정몸체(200)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승하강몸체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100) 내부에 오물 등이 유입된 경우에도 승하강몸체(300)를 고정몸체(2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의 청소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관리인이 아닌 일반인들이 쉽게 승하강몸체(300)를 고정몸체(2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하강몸체(300)의 하단 둘레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편(310)이 내측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편(310)은 승하강몸체(3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쌍의 고정편(310)으로 구성된다.
고정편(310)의 개수 및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일예로 한쌍의 고정편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세 개의 고정편이 서로 삼각형 구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고정편의 개수 및 배치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몸체(200)에 고정된 제 1,2,3원판(210,220,230)에는 고정편(310)과 대응되는 제 1,2,3홈(211,221,23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고정편(310)은 두 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2,3홈(211,221,231)의 개수도 고정편(310)과 같이 두 쌍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홈(211)과 제 2홈(221)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제 1원판(210)과 제 2원판(22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3원판(230)은 제 2원판(220)과 동일한 배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자 할 경우 승하강몸체(300)의 상면에 구비된 손잡이(350)를 잡아당겨 승하강몸체(300)를 상승시켜 고정편(310)이 제 1홈(211)을 통과하도록 하면, 제 1원판(210)과 제 2원판(220)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편(310)이 제 2원판(220)의 하면에 접촉되어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이때, 승하강몸체(300)를 회전시켜 고정편(310)이 제 1원판(2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승하강몸체(300)를 고정시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몸체(300)는 지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제 2원판(2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하강몸체(300)가 고정되는 위치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승하강몸체(300) 설치시 고정편(310)의 상부를 지지하여 지상으로 돌출된 승하강몸체(300)가 쉽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차량의 통행을 제개하고자 할 경우 설치된 승하강몸체(300)를 회전시켜 고정편(310)이 제 1홈(211)을 통과하도록 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몸체(3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가 해제된다.
이때, 고정몸체(200) 외주면의 최상단에 고정된 제 3원판(230)에 의해 승하강몸체(300)의 설치 해제시 제 3원판(230)이 승하강몸체(300)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여 승하강몸체(300)의 상면이 지면으로부터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강몸체(300)의 상면(300a)은 지면(A)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승하강몸체(300)의 설치시 승하강몸체(300)를 회전시켜 고정편(310)이 제 1원판(2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승하강몸체(300)의 회전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승하강몸체(300)의 상면 및 하우징의 노출부(110)에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승하강몸체(300)의 설치 해제시 승하강몸체(300)를 회전시켜 고정편(310)이 제 1홈(211)을 통과하도록 하는 승하강몸체(300)의 회전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승하강몸체(300)의 상면 및 하우징의 노출부(110)에 소정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승하강식 볼라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쉽고 편리하게 승하강몸체를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평소에는 승하강몸체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필요시 승하강몸체를 하우징 내로 삽입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볼라드의 설치상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몸체는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몸체에 고정이 되어 있어, 관리인이 아닌 일반인들이 쉽게 승하강몸체를 고정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승하강몸체의 교체 또는 하우징 내부의 청소 등 필요할 때에는 잠금장치를 열어 승하강몸체를 고정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Claims (5)

  1. 지중에 기립되도록 매설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
    중공의 관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 내에 하단이 고정 마련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중공의 관 형상으로 하면이 개방된 승하강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하강몸체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승하강몸체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편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제 1홈이 형성된 제 1원판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승하강몸체를 상승시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제 1홈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제 1원판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 상기 승하강몸체는 지상으로 돌출되며 설치되고,
    설치된 상기 승하강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제 1홈을 통과하도록 하면, 상기 승하강몸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의 상기 제 1원판이 고정된 부분의 상측에 상기 제 1원 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제 2홈이 형성된 제 2원판이 부가되어,
    상기 승하강몸체의 설치시 상기 제 2원판은 상기 고정편의 상부를 지지하여 지상으로 돌출된 상기 승하강몸체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원판과 상기 제 2원판은 상기 제 1홈과 상기 제 2홈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 외주면의 최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제 3홈이 형성된 제 3원판이 부가되어,
    상기 승하강몸체의 설치 해제시 상기 제 3원판은 상기 승하강몸체의 내부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승하강몸체의 상면이 지면으로부터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몸체의 내부면에는 일단에 자물쇠가 구비된 잠금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내벽면에는 걸림고리가 마련되어,
    상기 자물쇠는 상기 걸림고리에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KR1020050023412A 2005-03-22 2005-03-22 승하강식 볼라드 KR20060101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12A KR20060101871A (ko) 2005-03-22 2005-03-22 승하강식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12A KR20060101871A (ko) 2005-03-22 2005-03-22 승하강식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71A true KR20060101871A (ko) 2006-09-27

Family

ID=3763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412A KR20060101871A (ko) 2005-03-22 2005-03-22 승하강식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18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17B1 (ko) * 2008-09-24 2011-05-06 유지현 볼라드
KR101056888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056906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347073B1 (ko) * 2011-12-14 2014-01-06 김황자 볼라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17B1 (ko) * 2008-09-24 2011-05-06 유지현 볼라드
KR101056888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056906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347073B1 (ko) * 2011-12-14 2014-01-06 김황자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1871A (ko) 승하강식 볼라드
FR2749329A1 (fr) Barriere de securite pour voies routieres et autoroutieres
KR100632414B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100688323B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
KR200422824Y1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100594730B1 (ko) 수동으로 승하강되는 차량진입 차단용 볼라드
KR200228237Y1 (ko) 유동식 휀스
US11078638B2 (en) Twist and lock removable bollard
JP6408776B2 (ja) 支柱立設用鞘管及び支柱の立設方法
KR101074226B1 (ko) 수납형 볼라드
JP6968618B2 (ja) 車止めポール支持機構
KR20130041538A (ko)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RU73671U1 (ru) Ограждение
KR101781538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KR101162863B1 (ko) 수납형 볼라드
FR2817885A1 (fr) Bornes metalliques ameliorees, evolutives, et mobilier urbain
KR102036688B1 (ko) 지주대 기초 구조체 커버
AU714291B3 (en) An improved bollard
KR200234853Y1 (ko) 두루마리식 안전휀스
JP2503260Y2 (ja) 車止め
KR100557279B1 (ko) 맨홀뚜껑
US20040177661A1 (en) Antitheft locking assembly for a motorbike
KR101032517B1 (ko) 볼라드
JPS5912284Y2 (ja) マンホ−ル蓋
KR200166685Y1 (ko) 맨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