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685Y1 - 맨홀뚜껑 - Google Patents

맨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685Y1
KR200166685Y1 KR2019970027941U KR19970027941U KR200166685Y1 KR 200166685 Y1 KR200166685 Y1 KR 200166685Y1 KR 2019970027941 U KR2019970027941 U KR 2019970027941U KR 19970027941 U KR19970027941 U KR 19970027941U KR 200166685 Y1 KR200166685 Y1 KR 200166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manhole
lid
mounting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732U (ko
Inventor
한명석
Original Assignee
한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석 filed Critical 한명석
Priority to KR2019970027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68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맨홀뚜껑은 70㎏정도로 제수변을 밖에서 조작하거나 맨홀안을 점검하기 위해 맨홀뚜껑을 열고 닫을때, 작업인원이 2명이상 필요하게 되고, 개방후 작업원의 부주위로 인해 실족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또한 손잡이가 기타의 이유로 휘어져 밖으로 빠져나와 유실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을 예시도면 제4도 내지 제7도와 같이, 맨홀뚜껑(16)을 내측뚜껑(42)과 외측뚜껑(44)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맨홀뚜껑(16)의 저면(22)으로 중공부(40)와 일체로 연장된 장착부(46)에 결속날개(50)과 결속홈(52) 및 고정면(62)으로 상기 내측뚜껑(42)을 견고히 장착가능하게 하고, 외측뚜겅(44)의 삽입공932)에서 인출이 가능한 "ㄷ"형의 손잡이(30)가 이탈방지편(54)과 터트(56)로 체결되므로 이탈을 방지하게 하며, 상기 외측뚜껑(44)에 장착부(46)를 중심으로 보강덧살(58)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므로써, 맨홀안의 시설물 점검이나 제수변의 개폐시에는 중량이 가벼운 내측뚜껑만을 열고도 작업이 가능하고, 외측뚜껑은 맨홀안으로 작업인이 출입할 경우에만 사용하게 하여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방사형의 보강덧살로 인해 맨홀뚜껑의 강성이 보다 증진되므로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손잡이에 이탈방지편을 채용하므로 손잡이의 유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홀뚜껑
본 고안은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맨홀뚜껑을 가운데 부분의 내측뚜껑과 외측뚜껑으로 분리 구성하여 시설물 점검시나 제수변의 개폐시에는 내측뚜껑만 열어 시행하고, 외측뚜껑은 작업인이 맨홀안으로 출입이 요구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나 인도등의 도로상에 보통 주철로 제조된 원판형 덮개인 맨홀뚜껑을 볼수 있는데, 이는 상수도 관로의 제수변이나 도시가스 밸브등과 같이 지하에 매설된 각종 변류를 보호하는 개폐뚜껑이다.
예시도면 제1도는 제수변 보호통에 장탁된 종래의 맨홀뚜껑을 보인 도면으로, 제수변 보호통(10)은 크게 원추형으로 된 하부의 보호관(12)과, 그 위의 철개(14)와, 상기 철개(14)를 폐쇄하는 맨홀뚜껑(16)의 3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바, 제수변(20)아래의 지지부(18)에 제수변(20)을 감싸도록 보호관(12)을 올려놓고, 상기 보호관(12)의 하단 플랜지(13)를 벽돌과 함께 몰타르로 굳힘으로써 상기 보호관(12)을 고착시키고, 보호관(12) 상측에 철개(14)를 돌려 씌우고, 맨홀뚜껑(16)으로 철개(14)를 폐쇄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다.
예시도면 제2도는 종래 맨홀뚜껑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종래 맨홀뚜껑의 분리사시도로서, 철개(14)에 설치되는 상기 맨홀뚜껑(16)은 일정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그 저면(22)에는 보강덧살(24)이 "井"자형상의 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26)에는 양측에 개방홈(28)이 한쌍 형성되어 있어 개방시 도구를 사용하여 열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가운데 양쪽의 삽입공(32)으로는 압연강재로 된 "ㄷ"자형의 손잡이(30)가 장착되어, 맨홀뚜껑(16) 개방시에는 손잡이(30)를 인출하여 들어올리게 되고, 폐쇄시에는 손잡이(30)를 삽입공(32)내에 안치되게 하여 맨홀뚜껑(16)의 상면(26)에서 손잡이(30)가 빠져나오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맨홀뚜껑(16)은 그 중량이 70㎏정도로 남자성인의 몸무게와 맞먹기 때문에 제수변(20)을 밖에서 조작하거나 맨홀안으로 들어가 작업을 하기 위해 맨홀뚜껑(16)을 열고 닫을때, 작업인원이 2인 이상이 필요하게 되고, 개방후 작업시 작업원의 부주위로 인해 실족하여 빠지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그리고, 맨홀뚜껑(16)에 장착되는 손잡이(30)가 반복사용 또는 기타 이유로 휘어져 밖으로 빠져나와 훼손 및 유실되는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맨홀뚜껑을 가운데 부분의 내측뚜껑과 외측뚜껑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시설물 점검시나 제수변의 개폐시에는 내측뚜껑만 열어 시행하고, 외측뚜껑은 작업인이 맨홀안으로 출입이 요구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맨홀뚜껑을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맨홀뚜껑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중공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내측뚜껑과 그 외측의 외측뚜껑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맨홀뚜껑의 저면으로 중공부와 일체로 연장된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측뚜껑의 원통 외주면에 일자형의 결속날개를 하나이상 돌출형성하며, 상기한 각각의 결속날개에 대응하도록 장착부내측에 결속홈과 고정면을 형성하고, 외측뚜껑의 삽입공에 서 인출이 가능한 "ㄷ"형의 손잡이가 이탈방지편과 너트로 체결되고, 상기 외측뚜껑에 장착부를 중심으로 보강덧살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수변등 맨홀안의 시설물 점검시와 제수변의 개폐시에는 중량이 가벼운 내측뚜껑만을 열고도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외측뚜껑은 맨홀안으로 작업인이 출입할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하여 점검이나 밸브개폐시에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방사형의 보강덧살로 인해 맨홀뚜껑의 강성이 보다 증진되게 하며, 손잡이에 이탈방지편을 채용하므로 유실을 막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제수변 보호통에 장착된 종래의 맨홀뚜껑을 보인 단면예시도,
제2도는 종래 맨홀뚜껑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종래 맨홀뚜껑의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뚜껑의 외측뚜껑 저면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뚜껑의 분리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뚜껑의 장착상태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내측뚜껑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철개 16 : 맨홀뚜껑
22 : 저면 26 : 상면
30 : 손잡이 32 : 삽입공
40 : 중공부 42 : 내측뚜껑
44 : 외측뚜껑 46 : 장착부
48 : 원통 50 : 결속날개
52 : 결속홈 54 : 이탈방지편
56 : 너트 58 : 보강덧살
59 : 일측부 60 : 타측부
62 : 고정면 64 : 탈거홈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맨홀뚜껑(16)이 중공부(40)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40)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측뚜껑(42)과 그 외측의 외측뚜껑(44)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중공부(40)와 일체로 저면(22)에 일정두께 이상으로 연장시킨 장착부(46)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46)내에 삽착되는 내측뚜껑(42)의 원통(48) 외주면에 결속날개(50)가 하나이상 돌출형성되고, 상기한 결속날개(50)에 대응되도록 장착부(46)내측에 결속홈(52)과 상기 결속홈(52)아래에 고정면(62)이 형성되며, "ㄷ" 자형의 손잡이(30)가 이탈방지편(54)과 너트(56)로 체결되고, 상기 외측뚜껑(44)의 저면(22)에 장착부(46)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보강덧살(58)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이다.
예시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뚜껑의 외측뚜껑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뚜껑의 분리사시도이다.
여기서, 철개(14)내에 안착되는 맨홀뚜껑(16)은 크게 내측뚜껑(42)과 외측뚜껑(44)으로 구성되는 바, 맨홀뚜껑(16)의 가운데부분에는 내측뚜껑(42)이 장착되도록 중공부(40)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중공부(40)와 일체로 저면(22)에 일정두께이상으로 연장시킨 장착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뚜껑(42)은 그 하단의 원통(48) 즉, 상기 장착부(46)내에 삽착되는 원통(48)외주면에 일자형의 결속날개(50)가 하나이상 돌출 형성된 것이고, 이러한 내측뚜껑(42)의 결속날개(50)에 대응하도록 장착부(46)내측에는 결속홈(52)과 장착부(46)하단 내측에 고정면(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뚜껑(42)의 상면 양가장자리에는 맨홀뚜껑(16)에서 탈거시 탈거수단을 끼울수 있게 탈거홈(64)를 형성하여 이탈이 쉽게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장착부(46)에 삽착되는 내측뚜껑(42)의 원통(48)은 장착부(46)의 높이와 같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원통(48)의 형성은 중형이상의 차량이 맨홀뚜껑(16)위로 지나갈때 내측뚜껑(42)이 튀어오르는 현상이 발생될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뚜껑(42)의 높이를 약 10㎝가 되도록 원통(48)의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장착부(46)와의 접촉면을 크게 한 것이고, 또한 고정면(62)과 결속날개(50)에 의하여 이탈요소를 완전히 배제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내측뚜껑(42)을 그 원통(48)측이 중공부(40)를 통해 장착부(46)내로 들어가도록 집어넣으면서 상기 원통(48)외주면에 형성된 결속날개(50)를 장착부(46)의 결속홈(52)에 끼운다음 일측으로 90도정도 돌리게 되면 예시도면 제6도에서와 같이 내측뚜껑(42)의 결속날개(50)가 고정면(62)에 끼워져서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예시도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내측뚜껑(42)은 원통(48)외면에 돌출 형성된 결속날개(50)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어도 되며, 일측부(59)는 높이가 조여지는 타측부(60)로 갈수록 h에서 h'로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하여 내측뚜껑(42)의 장착이 보다 견고하게 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시도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날개(50)는 그 양측부(59)(60)의 높이는 h이나 중간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되어 중앙은 높이가 h'가 되도록 되어 내측뚜껑(42)을 어느쪽으로 약 45도정도 돌려도 잠금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 것도 된다.
그리고 예시도면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뚜껑(44)의 삽입공(32)에서 인출이 가능한 "ㄷ"형의 손잡이(30)가 이탈방지편(54)과 너트(56)로 체결되어 손잡이(30)가 완전히 빠지려는 힘을 받더라도 예시도면 제6도에서 처럼 이탈방지편(54)이 삽입공(32)외측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외측뚜껑(44)에 장착부(46)를 중심으로 보강덧살(58)이 방사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보강덧살(58)이 사각형상일 때보다 사각 모서리부분의 응력집중을 방사상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보강성능이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시설물 점검이나 제수변의 개폐시에는 맨홀뚜껑(16)전체를 개방시킬 필요없이 가벼운 내측뚜껑(42)만 열어 시행하여도 되며, 이보다 무거운 외측뚜껑(44)은 작업인이 맨홀안으로 출입이 요구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맨홀뚜껑(16)을 내측뚜껑(42)과 외측뚜껑(44)으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맨홀뚜껑(16)의 저면(22)으로 중공부(40)와 일체로 연장된 장착부(46)에 결속날개(50)과 결속홈(52) 및 고정면(62)으로 상기 내측뚜껑(42)을 견고히 장착가능하게 하고, 외측뚜껑(44)의 삽입공(32)에서 인출이 가능한 "ㄷ"형의 손잡이(30)가 이탈방지편(54)과 너트(56)로 체결되므로 이탈을 방지하게 하며, 상기 외측뚜껑(44)에 장착부(46)를 중심으로 보강덧살(58)을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강성을 더욱 보강하므로써, 맨홀안의 시설물 점검이나 제수변의 개폐시에는 중량이 가벼운 내측뚜껑만을 열고도 작업이 가능하고 외측뚜껑은 맨홀안으로 작업인이 출입할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하여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방사형의 보강덧살로 인해 맨홀뚜껑의 강성이 보다 증진되므로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고, 손잡이에 이탈방지편을 채용하므로 손잡이의 유실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맨홀뚜껑(16)은 중공부(40)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40)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내측뚜껑(42)과 그 외측의 외측뚜껑(44)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중공부(40)와 일체로 저면(22)에 일정두께 이상으로 연장시킨 장착부(46)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46)내에 삽착되는 내측뚜껑(42)은 원통(48) 외주면에 결속날개(50)가 하나이상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내측뚜껑(42)의 상면 양가장자리에 탈거수단을 끼울수 있게 탈거홈(64)이 형성되고, 상기한 결속날개(50)에 대응되도록 장착부(46)내측에 결속홈(52)과 상기 결속홈(52)아래에 고정면(62)이 형성되며, "ㄷ" 자형의 손잡이(30)가 이탈방지편(54)과 너트(56)로 체결되고, 상기 외측뚜껑(44)의 저면(22)에 장착부(46)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보강덧살(58)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결속날개(50)는 그 일측부(59)에서 조여지는 타측부(60)로 갈수록 높이가 h에서 h'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
KR2019970027941U 1997-10-09 1997-10-09 맨홀뚜껑 KR200166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41U KR200166685Y1 (ko) 1997-10-09 1997-10-09 맨홀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41U KR200166685Y1 (ko) 1997-10-09 1997-10-09 맨홀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32U KR19990014732U (ko) 1999-05-06
KR200166685Y1 true KR200166685Y1 (ko) 2000-01-15

Family

ID=1951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941U KR200166685Y1 (ko) 1997-10-09 1997-10-09 맨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6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832B (zh) * 2018-09-17 2024-01-19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自调节式井盖及其排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32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8671C (en) Debris catcher for manholes and catch basins
US11008728B2 (en) Manhole device
US6035581A (en) Road surface aperture frames and covers
US2119923A (en) Cover and mounting for vents and the like
CN105926680B (zh) 一种双层多功能井盖装置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200166685Y1 (ko) 맨홀뚜껑
US4350177A (en) Utility box support
KR101229425B1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US4398556A (en) Fire hydrant cover
KR200465218Y1 (ko) 맨홀 조립체
KR200498060Y1 (ko)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KR100574360B1 (ko) 맨홀의 결합 및 이탈방지 장치
US20140197164A1 (en) Watertight handhole for the transit of cables in outdoor areas
JPH03432Y2 (ko)
KR20070023327A (ko) 맨홀
KR100385131B1 (ko) 차수판(遮水板) 고정장치
KR102570621B1 (ko) 이탈방지용 맨홀뚜껑
KR20230000098U (ko)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KR200348395Y1 (ko) 맨홀용 안전커버
KR200402142Y1 (ko) 맨홀
JP3142869U (ja) マンホール構造
KR20010067025A (ko) 뚜껑 이탈방지용 체결구가 형성된 철개
JP5636157B2 (ja) 竪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