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060Y1 -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 Google Patents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060Y1
KR200498060Y1 KR2020210002119U KR20210002119U KR200498060Y1 KR 200498060 Y1 KR200498060 Y1 KR 200498060Y1 KR 2020210002119 U KR2020210002119 U KR 2020210002119U KR 20210002119 U KR20210002119 U KR 20210002119U KR 200498060 Y1 KR200498060 Y1 KR 200498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drain
fastening part
fasten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098U (ko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동하이테크판매 filed Critical (주)경동하이테크판매
Priority to KR2020210002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060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홈통이 상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본체와,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상부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본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부본체 내에 상부본체를 보호하는 커버링이 설치됨으로써 덮개 제거시 상부본체에 함께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부본체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상부본체의 하부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별도의 청소가 필요하지 않으며, 하부본체의 바닥에 소음방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야간 배수에 따른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은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배수트랩이 안착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는 제 1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하측에 결합되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 2 체결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 가장자리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본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Floor drain having divided structure}
개시된 내용은 욕실 또는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안착 설치되는 배수트랩 측으로 오수가 유입 및 배수되게 하는 배수홈통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배수홈통은 욕실이나 화장실이 시공되는 슬라브 내에 매설되어 그 상부에는 배수트랩이 안착 설치되고 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배수트랩을 통해 이물질은 걸러내고 오수는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배수홈통은 콘크리트 타설 전 거푸집 측에 설치되는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배수홈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홈통 상에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공사현장에서 빗물을 배수하기 위해 배수홈통에 덮여진 덮개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해머 등을 이용해 덮개를 타격해 깨는 방식으로 제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덮개 뿐만 아니라 배수홈통 측에도 충격이 가해져 배수홈통 일부가 함께 깨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렇게 배수홈통이 함께 파손되는 경우 이미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층을 일부 제거한 후 배수홈통을 재설치한 뒤에 콘크리트를 다시 보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배수트랩이 설치되기 전 빗물과 모래 등 이물질이 배수홈통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배수트랩 및 배수관 설치 전 배수홈통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배수홈통의 경우 일체로 제조되어 있어 배수홈통의 바닥면이 존재함에 따라 바닥면에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배수홈통 내부로 작업자는 손을 넣어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야간에 배수트랩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경우 배수홈통 하부로 물이 떨어져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200818호(2000.08.11)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224178호(2001.03.0
배수홈통이 상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본체와,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상부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본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부본체 내에 상부본체를 보호하는 커버링이 설치됨으로써 덮개 제거시 상부본체에 함께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부본체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상부본체의 하부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별도의 청소가 필요하지 않으며, 하부본체의 바닥에 소음방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야간 배수에 따른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배수트랩이 안착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는 제 1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하측에 결합되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 2 체결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 가장자리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본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본체 내에는 상,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의 커버링이 설치되며, 상기 커버링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외향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체결부 측에는 제 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 측에는 상기 제 1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나사산과 제 2 나사산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가 상기 상부본체 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체결부 측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 측에는 상기 나사홈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공 및 나사홈 측에 일체로 삽입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가 상기 상부본체 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2 체결부의 상단에는 링 형상의 제 1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본체의 바닥면에는 링 형상의 소음방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에 의하면, 배수홈통이 상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본체와,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상부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본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부본체 내에 상부본체를 보호하는 커버링이 설치됨으로써 덮개 제거시 상부본체에 함께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부본체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부본체의 하부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별도의 청소가 필요하지 않으며, 하부본체의 바닥에 소음방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야간 배수에 따른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은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배수트랩이 안착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는 제 1 체결부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하측에 결합되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 2 체결부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 가장자리로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본체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1)의 구성요소들과 이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부본체(10)가 구비되는데, 이 상부본체(10)는 그 하부에 후술 될 하부본체(20)가 체결 설치되고, 상부에는 배수트랩(60)이 안착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본체(10)는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배수트랩(60)이 안착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는 제 1 체결부(11)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상부본체(10)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 콘크리트 층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 덮개(미도시)가 덮여진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해머 등을 이용해 덮개를 타격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타격에 의한 충격으로 상부본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본체(10) 내에 커버링(30)이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커버링(30)은 상,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이 상부본체(10) 내주연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단에는 전술한 상부본체(10)의 걸림턱(12) 상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31)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링(30)은 추후 오염이나 파손이 있을 경우 제거되며, 오염이나 파손이 없을 경우 설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하부본체(20)가 체결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커버링(30)의 하단에는 링 형상의 제 2 패킹부재(41)가 구비되는데, 커버링(30) 하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결합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기밀성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체결부(11)는 하부본체(20)의 제 2 체결부(21)와 상호 체결됨으로써 하부본체(20)가 상부본체(10) 측에 설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제 1 체결부(11) 측에는 제 1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후술 될 제 2 체결부(21) 측에는 제 1 나사산(111)과 나사결합되는 제 2 나사산(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나사산(111)과 제 2 나사산(211)의 나사결합에 의해 하부본체(20)가 상부본체(10)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산에 의한 결합방식 외에,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11) 측에는 나사홈(112)이 형성되고 제 2 체결부(21) 측에는 나사홈(112)과 연통되는 나사공(212)이 형성되어 나사공(212) 및 나사홈(112) 측에 일체로 삽입되는 체결나사(80)에 의해 하부본체(20)가 상부본체(10) 측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나사산에 의한 결합방식과 체결나사에 의한 결합방식에 의해 상부본체(10)와 하부본체(20)가 상고 고정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 공지된 결합방식 중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상부본체(10)의 하부는 바닥이 없는 완전 개방된 형상으로 제조됨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 후에 빗물 배수를 위해 덮개가 제거된다 하더라도 그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아 청소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한편, 전술한 상부본체(10)의 하측에는 하부본체(20)가 결합되는데, 이 하부본체(20)는 상부본체(10)와 함께 배수홈통의 전체 형상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배수관(70)이 연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부본체(20)는 그 가장자리에는 상부본체(10)의 제 1 체결부(11)와 체결되는 제 2 체결부(21)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구(2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면에는 배수관(7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구(22) 가장자리로 돌출부(23)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돌출부(23)는 배수관(70)의 내경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한 가지 규격의 배수관(70)만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규격의 배수관(7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 2 체결부(21)의 상단에는 하부본체(20)가 상부본체(10)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제 1 패킹부재(40)가 구비된다. 이 제 1 패킹부재(40)는 전술한 커버링(30) 하단에 구비되는 제 2 패킹부재(41)와 함께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1) 내부의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제 2 패킹부재(41)의 경우 커버링(30) 하단에 삽입 가능하도록 "┗┛"자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제 1 패킹부재(40)의 경우 제 1 체결부(11)와 제 2 체결부(21)가 나사산 또는 체결나사(8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 1 패킹부재(40)와 제 2 패킹부재(41)는 두 개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고, 두 개 중에서 한 개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하부본체(20)의 바닥면에는 링 형상의 소음방지패드(50)가 구비되는데, 소음방지패드(50)는 야간 배수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본체(20)는 배수관(70)이 연결되기 전에는 상부본체(10)에 고정 체결되지 않아 상부본체(10)의 바닥이 완전히 개방되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관(70)이 연결될 시점에 상부본체(10)에 고정 체결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1)이 배수홈통으로서의 형상으로 완성됨과 동시에 그 기능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수홈통이 상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원통 형상의 상부본체와,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상부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본체로 분할 구성되고, 상부본체 내에 상부본체를 보호하는 커버링이 설치됨으로써 덮개 제거시 상부본체에 함께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부본체가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부본체의 하부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별도의 청소가 필요하지 않으며, 하부본체의 바닥에 소음방지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야간 배수에 따른 소음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10 : 상부본체
11 : 제 1 체결부
111 : 제 1 나사산
112 : 나사홈
12 : 걸림턱
20 : 하부본체
21 : 제 2 체결부
211 : 제 2 나사산
212 : 나사공
22 : 관통구
23 : 돌출부
30 : 커버링
31 : 고정돌기
40 : 제 1 패킹부재
41 : 제 2 패킹부재
50 : 소음방지패드
60 : 배수트랩
70 : 배수관
80 : 체결나사

Claims (6)

  1. 상,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배수트랩(60)이 안착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는 제 1 체결부(11)가 형성되며 내주연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상부본체(10); 및
    상기 상부본체(10) 하측에 결합되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 체결부(11)와 체결되는 제 2 체결부(21)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구(22)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배수관(70)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22)의 가장자리로 돌출부(23)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본체(20);가 포함되며,
    상기 상부본체(10) 내에는 상,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의 커버링(30)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링(3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12) 상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돌기(31)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11) 측에는 제 1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21) 측에는 상기 제 1 나사산(111)과 나사결합되는 제 2 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나사산(111)과 제 2 나사산(211)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20)가 상기 상부본체(10) 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체결부(21)의 상단에는 링 형상의 제 1 패킹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링(30)의 하단에는 링 형상의 제 2 패킹부재(41)가 구비되되, 제 2 패킹부재(41)는 상기 커버링(30)의 하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20)의 바닥면에는 링 형상의 소음방지패드(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11) 측에는 나사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21) 측에는 상기 나사홈(112)과 연통되는 나사공(212)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공(212) 및 나사홈(112) 측에 일체로 삽입되는 체결나사(80)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20)가 상기 상부본체(10) 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5. 삭제
  6. 삭제
KR2020210002119U 2021-07-05 2021-07-05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KR200498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19U KR200498060Y1 (ko) 2021-07-05 2021-07-05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19U KR200498060Y1 (ko) 2021-07-05 2021-07-05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98U KR20230000098U (ko) 2023-01-12
KR200498060Y1 true KR200498060Y1 (ko) 2024-06-10

Family

ID=8489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119U KR200498060Y1 (ko) 2021-07-05 2021-07-05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06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12B1 (ko) * 2010-07-29 2010-12-09 세흥화학공업주식회사 소음방지수단이 구비된 배수트랩
KR101716096B1 (ko) * 2016-09-21 2017-03-22 이형준 용이하게 시공되는 배수트랩
KR101820281B1 (ko) * 2017-03-14 2018-01-22 박중혁 악취역류방지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8Y1 (ko) 2000-05-24 2000-10-16 고영철 바닥 배수용 배수구
KR200224178Y1 (ko) 2000-12-02 2001-05-15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444530Y1 (ko) * 2007-06-08 2009-05-18 문승용 바닥 배수용 배수체의 부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112B1 (ko) * 2010-07-29 2010-12-09 세흥화학공업주식회사 소음방지수단이 구비된 배수트랩
KR101716096B1 (ko) * 2016-09-21 2017-03-22 이형준 용이하게 시공되는 배수트랩
KR101820281B1 (ko) * 2017-03-14 2018-01-22 박중혁 악취역류방지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98U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9257A (en) Sewer relief valve
JP7407995B2 (ja) 排水システム
KR200498060Y1 (ko) 분할구조를 갖는 배수홈통
KR10060444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하수도용 맨홀
JP4729082B2 (ja) 公共桝用逆流防止装置及び公共桝
KR20080006173U (ko) 바닥 배수용 배수체의 부설장치
JP4091210B2 (ja) ピット用排水管
KR20160146247A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JP7488756B2 (ja) 継手
KR200284854Y1 (ko) 오수차단블럭
JP7407996B2 (ja) 排水システム
KR200187054Y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74360B1 (ko) 맨홀의 결합 및 이탈방지 장치
JP4747147B2 (ja) 軒樋用ドレン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0471003B1 (ko) 건축 단지의 아스팔트 도로용 배수구 설치구조
JPH03432Y2 (ko)
KR200390941Y1 (ko)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무소음 이탈방지형 맨홀뚜껑
KR200395832Y1 (ko) 매입형 집수구의 설치 구조
KR910008964Y1 (ko) 배수전(排水佺)
KR200284855Y1 (ko) 오수차단블럭
KR200465356Y1 (ko) 배수수단이 구비된 오수용 맨홀 덮개
JPS5835744Y2 (ja) 排水トラツプ
KR200356480Y1 (ko) 우,오수 합성용 오수관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